리로이 앤더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로이 앤더슨은 미국의 작곡가로, 관현악, 뮤지컬, 보컬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음악을 전공하고 여러 언어에 능통했으며, 군 복무 중에도 작곡 활동을 이어갔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고장난 시계", "썰매 타기", "타자기", "블루 탱고" 등이 있으며, 대중음악의 영향을 받아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을 구축했다. 앤더슨은 1975년 사망했으며,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작곡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의 음악은 오늘날에도 널리 연주되고 있으며, 특히 "타자기"와 같은 작품은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국전쟁 당시 군무원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작곡가 - 에프렘 짐발리스트
러시아 제국 출신 미국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지휘자, 음악 교육자인 에프렘 짐발리스트는 레오폴트 아우어의 제자로서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며 명성을 얻었고 커티스 음악원에서 후학을 양성했으며 은퇴 후에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심사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 미국의 작곡가 - 마빈 게이
마빈 게이는 소울, R&B, 펑크 등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고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음악으로 흑인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가수이자 작곡가, 배우이다. - 1975년 사망 - 사토 에이사쿠
사토 에이사쿠는 철도성 공무원 출신으로 일본 총리를 지낸 자유민주당의 주요 정치인으로, 오키나와 반환을 성사시키고 경제 호황을 이끌었으나 닉슨 쇼크와 오키나와 밀약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인물이다. - 1975년 사망 - 장준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인 장준하는 일본군 학도병으로 징집 후 탈출하여 광복군에서 활동, 해방 후 김구의 비서를 지냈고, 《사상계》를 창간하여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의문사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스웨덴계 미국인 - 윌리엄 렌퀴스트
윌리엄 렌퀴스트는 미국 대법원장으로 재직하며, 보수주의 성향으로 미국 수정헌법 제14조에 대한 좁은 해석, 연방 정부 권한 축소 및 주 정부 권한 확대를 주장했으며, `부시 대 고어` 사건과 빌 클린턴 탄핵 재판에 관여했다. - 스웨덴계 미국인 - 조지 W. 부시
조지 W. 부시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텍사스 주지사를 거쳐 제43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고 감세 정책과 허리케인 카트리나 대응으로 논란을 겪었다.
리로이 앤더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르로이 앤더슨 |
출생 | 1908년 6월 29일 |
출생지 | 미국매사추세츠주케임브리지 |
사망 | 1975년 5월 18일 |
사망지 | 미국코네티컷주 |
직업 | 작곡가, 피아니스트, 오르간 연주자 |
배우자 | 엘리너 퍼크 (1942년 결혼) |
학력 | |
출신 학교 | 하버드 대학교 |
음악 스타일 | |
장르 | 근대 음악 |
2. 생애
1938년은 앤더슨에게 음악가로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보스턴 교향악단 매니저의 요청으로 하버드 대학교 학생가를 편곡하여 제출했는데, 이를 본 지휘자 아서 피들러가 그의 오케스트레이션 능력을 높이 평가하며 직접 작품을 써볼 것을 권유했다. 이를 계기로 작곡한 『재즈 피치카토』(eng)는 큰 호응을 얻었고, 이어 피들러의 요청으로 『재즈 레가토』(eng)를 작곡했다.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미국 육군에 입대하여 스칸디나비아어 담당 정보 장교로 펜타곤에서 근무했다. 이 시기 결혼과 함께 언어학 연구는 중단했다.[23] 1946년 군에서 제대한 후 본격적인 음악 활동에 복귀하여 첫 히트곡 『싱코페이티드 클락』(eng)을 작곡했다. 이 곡은 골드 디스크를 수상하고 빌보드 차트 11위에 오르는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한국 전쟁 당시에도 군무원으로 복무했다.
1950년대에는 스튜디오 오케스트라 지휘자로서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당시의 연주 녹음은 현재도 CD로 발매되고 있다. 특히 『블루 탱고』(eng)는 기악곡으로는 최초로 밀리언셀러를 기록했다. 『싱코페이티드 클락』은 1959년 WCBS 방송국의 심야 쇼 테마 음악으로 사용되면서 더욱 유명해졌고, 1970년대에는 미첼 패리쉬가 가사를 붙여 노래로도 불리게 되었다. 1953년 조사에 따르면 앤더슨은 당시 미국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미국 작곡가였다.
1957년에는 메러디스 윌슨의 뮤지컬 『76개의 트롬본』(eng)의 오케스트레이션을 담당했다. 이에 영향을 받아 1958년 직접 뮤지컬 『골디락스』(eng)를 작곡하여 토니상을 수상했지만, 상업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이후 앤더슨은 뮤지컬 작곡을 중단하고 다시 관현악 소품 작곡에 집중했다.
1975년 5월 18일, 코네티컷주 우드버리의 자택에서 폐암으로 사망했다. 1988년에는 "작곡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그의 음악은 오늘날에도 전 세계 팝스 오케스트라의 중요한 레퍼토리로 꾸준히 연주되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리로이 앤더슨은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스웨덴계 이민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교회 오르간 연주자였으며, 앤더슨은 어머니에게 처음으로 피아노 지도를 받았다. 이후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피아노 공부를 계속했다. 그의 아버지는 우체국 직원이지만 음악을 좋아하여 집에서 만돌린과 밴조를 연주했다고 전해진다.지역 고등학교에서 라틴어 교육을 받은 후, 1925년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하여 음악 분야의 다양한 학문을 깊이 있게 공부했다.
1929년, 앤더슨은 우등으로 학사 학위(예술 학사)를 받았으며, 우수 학생 클럽인 파이 베타 카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 이후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월터 피스톤과 게오르게 에네스쿠에게 작곡을 배웠고, 1930년에 석사 학위(음악)를 취득했다.[3] 1930년과 1931년 여름에는 형제와 함께 스칸디나비아 크루즈 선의 댄스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하기도 했다.
대학 졸업 후 2년 동안 래드클리프 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밴드마스터, 댄스홀의 콘트라베이스 연주자, 학생 합창단 지휘자, 교회 오르가니스트 등 다양한 음악 관련 활동을 했다.
1931년부터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독일어와 스칸디나비아 어 강좌를 수강하며 언어학 박사 학위 취득을 목표로 삼았다. 그는 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스웨덴어,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등 여러 언어를 연구했다. 그러나 1942년 음악가로서의 길을 걷기로 최종 결정하면서 언어학 연구를 중단했고, 박사 논문은 완성하지 못했다.[23] 같은 해 엘레노어 제인 피르케와 결혼하여 코네티컷주 우드버리에 정착했다.
2. 2. 언어학 연구 및 초기 음악 활동
앤더슨은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음악 석사 학위를 받은 후에도 학업을 계속하여 독일어와 스칸디나비아 국가 언어 박사 학위 취득을 목표로 삼았다.[3][23] 1931년부터 하버드 대학교에서 독일어와 스칸디나비아어 강좌를 수강하며 언어학 연구를 시작했다.[23] 그는 1942년 음악가의 길을 걷기로 최종 결정하기 전까지 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스웨덴어,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등 다양한 언어를 연구했으나, 박사 논문은 완성하지 못했다.[23]언어학을 공부하는 동안에도 음악 활동을 꾸준히 이어갔다. 그는 래드클리프 대학교에서 2년간 강의했으며, 이스트 밀턴 회중 교회에서 오르간 연주자이자 합창단 지휘자로 일했다. 또한 하버드 대학교 밴드를 이끌었고, 보스턴 주변에서 댄스 밴드 지휘 및 편곡 활동을 했으며, 댄스홀에서 더블 베이스 연주자로도 활동했다. 이 외에도 학생 합창단 지휘자, 교회 오르가니스트 등 다양한 음악 관련 일을 맡았다. 1930년과 1931년 여름에는 형제와 함께 스칸디나비아 크루즈 선의 댄스 오케스트라에서 연주하기도 했다.
3. 경력
리로이 앤더슨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음악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에도 독일어와 스칸디나비아 언어로 박사 학위 과정을 밟으며 학업을 이어갔다. 이 시기 그는 교회 오르간 연주자 및 합창단 지휘자, 하버드 대학교 밴드 지휘 및 편곡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병행했다.
1938년 보스턴 교향악단의 지휘자 아서 피들러와의 만남을 계기로 본격적인 작곡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재즈 피치카토』, 『싱코페이티드 클락』, 『블루 탱고』 등 다수의 경쾌하고 독창적인 관현악 소품을 발표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특히 『블루 탱고』는 기악곡 최초로 밀리언 셀러를 기록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 중에는 미군 정보 장교 및 군무원으로 복무하기도 했다.
1950년대에 전성기를 맞이하여 스튜디오 오케스트라 지휘자로서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당시 미국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작곡가 중 한 명으로 꼽혔다. 1958년에는 뮤지컬 『골디락스』를 작곡하여 토니상을 수상했으나, 이후로는 주로 관현악 소품 작곡에 집중했다.
그의 음악은 사후에도 꾸준히 사랑받으며 다양한 매체에서 사용되고 있다. 녹음 산업에 기여한 공로로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별이 헌액되었고, 1988년에는 작곡가 명예의 전당[11]에 이름을 올렸다. 또한 1995년 하버드 대학교 밴드 본부가 '앤더슨 밴드 센터'로 명명되었으며[12], 코네티컷주 우드버리의 자택은 국립 사적지로 등재되었다.[13]
3. 1. 초기 경력: 아서 피들러와의 만남
1930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음악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앤더슨은 이스트 밀턴 회중 교회에서 오르간 연주자이자 합창단 지휘자로 활동했다. 동시에 하버드 대학교 밴드를 이끌고 보스턴 인근에서 댄스 밴드를 지휘하며 편곡 작업을 병행했다.1931년부터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독일어와 스칸디나비아 어 강좌를 수강하며 언어학 박사 학위를 목표로 삼았다. 그는 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스웨덴어,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등 다양한 언어를 연구했으나, 1942년 음악가의 길을 걷기로 최종 결정하면서 박사 논문은 미완성으로 남게 되었다.[23]
1938년은 앤더슨의 음악 경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보스턴 교향악단 매니저의 요청으로 하버드 대학교 학생가를 편곡하여 제출했는데, 이를 본 지휘자 아서 피들러가 그의 오케스트레이션 능력을 높이 평가하며 자작곡을 써볼 것을 권유했다. 이 계기로 앤더슨은 『재즈 피치카토』(Jazz Pizzicato)를 작곡 및 발표하여 큰 호응을 얻었고, 피들러의 요청에 따라 후속작 『재즈 레가토』(Jazz Legato)를 작곡했다.
1942년, 앤더슨은 결혼과 동시에 학업을 중단하고 미군에 입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에는 펜타곤에서 스칸디나비아어 담당 정보 장교로 복무했으며, 이후 한국 전쟁 발발 시에도 군무원으로 근무했다.
3. 2. 군 복무와 작곡 활동
1938년 앤더슨은 음악가로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보스턴 교향악단 매니저의 요청으로 하버드 대학교 학생가를 편곡하여 제출했는데, 이 편곡이 지휘자 아서 피들러의 주목을 받았다. 피들러는 앤더슨의 오케스트레이션 능력을 높이 평가하며 직접 작품을 써볼 것을 권유했다. 이를 계기로 앤더슨은 『재즈 피치카토』를 작곡 및 발표하여 큰 호응을 얻었고, 이어 피들러의 요청에 따라 『재즈 레가토』를 작곡했다.1942년, 앤더슨은 미군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펜타곤에서 스칸디나비아어 담당 정보 장교로 복무했다. 입대 직전 결혼과 함께 학업은 중단했다. 그는 한국 전쟁 당시에도 군무원으로 근무했다.
1946년 군에서 제대한 후, 앤더슨은 다시 음악 활동에 전념하여 첫 번째 히트곡인 『싱코페이티드 클락』을 작곡했다. 이 곡은 골드 디스크 상을 수상하고 빌보드 차트 11위에 오르는 성공을 거두었다. 1950년대에 그는 스튜디오 오케스트라 지휘자로서 활동하며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당시 지휘한 연주 음반들은 현재도 CD로 발매되고 있다. 특히 『블루 탱고』는 기악곡으로는 처음으로 밀리언 셀러를 기록했다. 『싱코페이티드 클락』은 1959년 WCBS 방송국의 심야 영화 프로그램인 『더 레이트 쇼』와 퀴즈 쇼 『제퍼디!』의 테마 음악으로 사용되면서 더욱 널리 알려졌다. 1970년대에는 미첼 패리쉬가 이 곡을 비롯한 앤더슨의 여러 작품에 가사를 붙여 노래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1953년 조사에 따르면, 앤더슨은 당시 미국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미국 작곡가였다.
1957년에는 메러디스 윌슨의 뮤지컬 삽입곡 『76개의 트롬본』의 오케스트레이션을 담당했다. 이에 영향을 받아 이듬해인 1958년에는 직접 뮤지컬 『골디락스』를 작곡했다. 이 작품은 토니상을 수상했지만 상업적으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이후 앤더슨은 뮤지컬 대신 관현악 소품 작곡에 집중했다.
앤더슨의 작품들은 꾸준히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었다. 1954년 작곡된 피아노곡 "잊혀진 꿈"은 2006년 영국 통신사 3의 TV 광고 음악으로 사용되었으며, 이전에는 로스앤젤레스 방송국 KABC-TV의 방송 종료 시그널 음악(1980년대)과 WABC-TV의 뉴스 프로그램 ''아이 위트니스 뉴스''의 엔딩 테마(1970년대, 만토바니 연주 버전)로 쓰였다. 또한 프랑스 영화 ''팝퓰레''(2012)에서도 주요 테마로 사용되었다. "타자기"는 푸에르토리코의 TV 코미디 프로그램 ''Esto no tiene nombre''(1960년대 후반-1970년대 후반)의 주제가였으며, 1977년부터 BBC 라디오 4의 시사 퀴즈 프로그램 ''더 뉴스 퀴즈''의 시그니처 곡으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 코미디언 제리 루이스는 자신의 TV 쇼와 1963년 영화 ''누가 가게를 지키는가?''에서 "타자기"에 맞춰 타자 치는 시늉을 하는 연기를 선보이기도 했다.
1975년, 앤더슨은 폐암으로 코네티컷주 우드버리의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음악적 업적을 기려 사후인 1988년 작곡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11],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1620번지에는 그의 이름이 새겨진 별이 있다. 1995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밴드의 새 본부가 그를 기리기 위해 '앤더슨 밴드 센터'로 명명되었고[12], 코네티컷주 우드버리에 있는 그의 자택은 국립 사적지로 등재되었다.[13] 그의 음악은 오늘날에도 팝스 오케스트라의 중요한 레퍼토리로 꾸준히 연주되고 있다.
3. 3. 전성기: 대중적인 성공
1938년 앤더슨에게 음악가로서의 전환기가 찾아왔다. 보스턴 교향악단 매니저의 요청으로 하버드 대학교 학생가를 편곡하여 제출한 결과, 지휘자 아서 피들러의 눈에 띄어 오케스트레이션 능력을 높이 평가받았고, 직접 작품을 써보라는 제안을 받았다. 이를 계기로 작곡 및 발표한 『재즈 피치카토』는 청중의 호응을 얻었다. 속편을 요청하는 피들러에게 응하여 『재즈 레가토』를 작곡했다.1942년 미군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스칸디나비아어 담당 정보 장교로 펜타곤에서 근무했다. 이 시기 결혼과 함께 학업은 중단했으며, 한국 전쟁 당시에도 군무원으로 복무했다.
1946년 군에서 제대한 후 음악 활동에 복귀하여 첫 히트곡 『싱코페이티드 클락』(Syncopated Clock)을 작곡했다. 이 곡은 골드 디스크 상을 수상했으며, 빌보드 차트 11위까지 오르는 성공을 거두었다. 1950년대에 들어 앤더슨은 스튜디오 오케스트라 지휘자로서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당시 그가 지휘한 연주들은 현재에도 CD 등으로 접할 수 있다. 특히 『블루 탱고』(Blue Tango)의 녹음은 기악곡으로는 처음으로 밀리언 셀러를 기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1953년의 한 조사에 따르면, 앤더슨은 당시 미국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미국 작곡가로 꼽힐 만큼 높은 인기를 누렸다. 그의 대표곡 중 하나인 『싱코페이티드 클락』은 1959년 미국 방송사 WCBS에 의해 심야 영화 프로그램인 『더 레이트 쇼』(The Late Show)와 퀴즈 쇼 『Jeopardy』의 테마 음악으로 채택되어 더욱 널리 알려졌다. 1970년대에는 미첼 패리쉬가 『싱코페이티드 클락』을 비롯한 그의 여러 작품에 가사를 붙여 노래로 불리기도 했다.
1957년에는 메러디스 윌슨의 유명 뮤지컬 곡 『76개의 트롬본』의 오케스트레이션을 담당하기도 했다. 이에 영향을 받아 1958년에는 직접 뮤지컬 『골디락스』(Goldilocks)를 작곡했다. 이 작품은 토니상을 수상하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나, 상업적으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후 앤더슨은 뮤지컬 작곡을 시도하지 않고 관현악 소품 작곡에 집중했다.
3. 4. 뮤지컬 작곡과 후기 활동
1957년, 메러디스 윌슨의 『76개의 트롬본』의 오케스트레이션을 담당했다. 이에 자극을 받아 다음 해인 1958년에는 뮤지컬 『골디락스』를 작곡했다. 이 작품은 토니상을 수상했지만, 상업적으로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후 앤더슨은 더 이상 뮤지컬을 쓰지 않고 관현악 소품 작곡에 집중했다.1975년, 폐암으로 코네티컷주 우드버리의 자택에서 사망했다.
녹음 산업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리로이 앤더슨은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1620번지에 별을 받았다. 그는 사후인 1988년 작곡가 명예의 전당[11]에 헌액되었으며, 그의 음악은 "팝스" 오케스트라 레퍼토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계속 연주되고 있다. 1995년에는 하버드 대학교 밴드의 새로운 본부가 리로이 앤더슨을 기리기 위해 앤더슨 밴드 센터로 명명되었다.[12] 코네티컷주 우드버리에 있는 리로이 앤더슨 하우스는 국립 사적지에 등재되었다.[13]
그의 작품들은 사후에도 여러 매체를 통해 사용되었다. 2006년에는 그가 1954년에 작곡한 피아노 작품 중 하나인 "잊혀진 꿈"이 영국의 휴대폰 회사 3의 TV 광고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었다. 이전에는 로스앤젤레스 방송국 KABC-TV가 1980년대에 방송 종료 시그널 음악으로 이 곡을 사용했으며, 만토바니가 연주한 버전은 1970년대 대부분 동안 WABC-TV의 ''아이 위트니스 뉴스''의 엔딩 테마로 사용되었다. "잊혀진 꿈"은 프랑스 영화 ''팝퓰레''(2012)에서 반복되는 테마로 사용되기도 했다.
"타자기"는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후반까지 푸에르토리코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 ''Esto no tiene nombre''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또한 1977년부터 방영된 BBC 라디오 4의 시리즈 ''더 뉴스 퀴즈''의 시그니처 곡이기도 하다. 미국의 코미디언 제리 루이스는 초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피에트로 델 칸토"로 분장하여 정장을 입고 "타자기"에 맞춰 타자수 역할을 연기했으며, 1963년 영화 ''누가 가게를 지키는가?''에서도 가상의 타자기를 "타자"하는 연기를 다시 선보였다.
4. 사망
앤더슨은 1975년 코네티컷주 우드버리의 자택에서 폐암으로 사망했으며, 향년 66세였다.[3] 그는 우드버리에 묻혔다.
5. 작품
다음은 리로이 앤더슨의 오리지널 녹음 중 선별된 음반 목록이다. 이 음반들은 1958년부터 1962년까지 33 1/3 rpm 디스크로 발매되었으며, 사후에 디지털 리마스터링된 콤팩트 디스크로 재발매되었다. 1945년부터 1962년까지의 78 rpm 및 45 rpm 디스크와 영국, 독일, 뉴질랜드 등 다른 레이블로 발매된 동일한 녹음은 이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17]
음반 제목 | 레이블 및 번호 | 발매 연도 |
---|---|---|
리로이 앤더슨이 자신의 작품을 지휘하다 | Decca DL 7509 | 1950 |
리로이 앤더슨이 자신의 작품을 지휘하다 2권 | Decca DL 7519 | 1951 |
리로이 앤더슨의 아이리시 모음곡 | Decca DL 4050 | 1952 |
크리스마스 캐럴 | Decca DL-8193 | 1955 |
리로이 앤더슨이 블루 탱고와 다른 인기곡들을 지휘하다 | Decca DL 8121 | 1958 |
크리스마스 페스티벌 | Decca DL 78925 (s) | 1959 |
리로이 앤더슨이 리로이 앤더슨을 지휘하다 | Decca DL 78865 (s) | 1959 |
리로이 앤더슨이 그의 음악을 지휘하다 | Decca DL 78954 (s) | 1960 |
리로이 앤더슨의 새로운 음악 | Decca DL 74335 (s) | 1962 |
리로이 앤더슨 컬렉션 (오리지널 데카 아날로그 녹음에서 디지털 리마스터링) | MCA Classics MCAD2-9815-A & B | 1988 |
최고의 리로이 앤더슨: 썰매 타기 (오리지널 데카 아날로그 마스터 녹음에서 디지털 리마스터링) | MCA Classics MCAD −11710 | 1997 |
블루 탱고와 다른 인기곡들 (1950-1952년 오리지널 녹음에서 디지털 리마스터링) | ASV Living Era AJA-5481 (영국) | 2003 |
5. 1. 대표작
- 《고장난 시계》 (1945)
- 《썰매 타기》 (1948)
- 《사라반드》 (1948)
- 《타자기》 (1950)
- 《춤추는 고양이》 (1950)
- 《팅, 탱, 통!》 (1951)
- 《블루 탱고》 (1951)
- 《사포 발레》 (1954)
- 《나팔수의 휴일》 (1954)
- 《해적 춤》 (1962)
- 《피라미드 춤》 (1962)
학자이자 교사였던 앤더슨은 댄스 밴드 뮤지션으로도 활동했는데, 이러한 경험은 그의 음악에 동시대 대중 음악의 영향을 뚜렷하게 남겼다. 특히 리듬 면에서 탱고, 삼바, 래그타임, 재즈 등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썰매 타기》나 《나팔수의 자장가》와 같이 서정적이고 선율 중심적인 작품에서는 스코틀랜드 민요의 특징인 요나누키 음계나 그와 유사한 민족 음계가 사용되기도 했다.
민족 음악이나 대중 음악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덜해 보이는 "무도회의 미녀" 같은 곡에서도 발트토이펠 등의 프랑스 무도 음악이나 사티의 "에르 드 발스"(왈츠 형식의 가요)의 영향이 나타난다. 또한, 이 작품에서 금관 악기의 두드러진 사용은 수자 이후 미국의 취주악 전통을 연상시킨다.
리로이 앤더슨은 전후 시대 농담 음악의 선구자적 면모도 보여주는데, 타자기나 사포와 같은 일상 용품을 악기로, 때로는 독주 악기로 활용했다. 단순한 패러디에 머무르기 쉬웠던 당시 농담 음악 경향과 달리, 앤더슨의 작품은 정교하고 세심하게 작곡되어 품격을 잃지 않는다. 진지하게 쓰인 음악과 어울리지 않는 도구의 조합은 그 자체로 독특한 재미 요소가 되어 자연스러운 위트와 페이소스를 자아낸다.
앤더슨이 대중 친화적인 음악 어법을 사용하기에 그의 유머 감각이 쉽게 전달된다는 장점도 있다.
5. 2. 관현악 작품 목록
- ''알마 마터'' (Alma Mater, 1954)
- ''채플 벨'' (Chapel Bells)
- ''메인 스트리트의 신입생'' (Freshman on Main Street)
- ''도서관 열람실'' (Library Reading Room)
- ''동창회'' (Class Reunion)
- ''아리에타'' (Arietta, 1962)
- ''발라데트'' (Balladette, 1962)
- ''무도회의 미녀'' (Belle of the Ball, 1951)
- ''블루 탱고'' (Blue Tango, 1951)
- ''브루노니아: 브라운의 노래'' (Brunonia: Songs of Brown, 1947), 브라운 대학교 노래 모음곡
- ''나팔수의 휴일'' (Bugler's Holiday, 1954)
- ''선장과 왕들'' (The Captains and the Kings, 1962)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C 장조 협주곡'' (Concerto in C Major for Piano and Orchestra, 1953) (작곡가에 의해 철회, 사후 발매)
- ''중국 인형'' (China Doll, 1951)
- ''클라리넷 캔디'' (Clarinet Candy, 1962)
- ''피들 파들'' (Fiddle-Faddle, 1947)
- ''봄의 첫날'' (The First Day of Spring, 1954)
- ''잊혀진 꿈'' (Forgotten Dreams, 1954)
- ''새틴의 소녀'' (The Girl in Satin, 1953)
- ''황금 시대'' (The Golden Years, 1962)
- ''브래드포드 주지사 행진곡'' (Governor Bradford March, 1948) (사후 출판)
- ''하버드 스케치'' (Harvard Sketches, 1938) (나중에 ''알마 마터''로 개명)[14]
- ''로웰 하우스 벨'' (Lowell House Bells)
- ''하버드 광장의 신입생'' (Freshman in Harvard Square)
- ''와이드너 열람실'' (Widener Reading Room)
- ''클래스 데이 컨페티 전투'' (Class Day Confetti Battle)
- ''홈 스트레치'' (Home Stretch, 1962)
- ''말과 마차'' (Horse and Buggy, 1951)
- ''재즈 레가토'' (Jazz Legato, 1938)
- ''재즈 피치카토'' (Jazz Pizzicato, 1938)
- ''드럼의 자장가'' (Lullaby of the Drums, 1970) (사후 출판)
- ''두 개의 왼발 행진곡'' (March of the Two Left Feet, 1970)
- ''마더스 휘슬러'' (Mother's Whistler, 1940) (사후 출판)
- ''페니 휘슬 송'' (The Penny Whistle Song, 1951)
- ''팬텀 연대'' (The Phantom Regiment, 1951)
- ''해적 댄스'' (Pirate Dance, 1962) (선택적 SATB 합창)
- ''플링크, 플랭크, 플렁크'' (Plink, Plank, Plunk!, 1951)
- ''산책'' (Promenade, 1945)
- ''고양이 발레 음악'' (Pussy Foot Ballet Music, 1962)
- ''피라미드 댄스'' (Pyramid Dance, 1962) (선택적 SATB 합창)
- ''샌드페이퍼 발레'' (Sandpaper Ballet, 1954)
- ''사라반드'' (Saraband, 1948)
- ''세레나타'' (Serenata, 1947)
- ''썰매 타기'' (Sleigh Ride, 1948)
- ''종의 노래'' (Song of the Bells, 1953)
- ''여름 하늘'' (Summer Skies, 1953)
- ''고장난 시계'' (The Syncopated Clock, 1945)
- ''타이컨더로가 행진곡'' (Ticonderoga March, 1939) (콘서트 밴드를 위해 작곡한 앤더슨의 유일한 작품)
- ''나팔수의 자장가'' (A Trumpeter's Lullaby, 1949)
- ''타자기'' (The Typewriter, 1950)
- ''왈츠 어라운드 더 스케일'' (Waltz Around the Scale, 1970)
- ''왈츠 추는 고양이'' (The Waltzing Cat, 1950)
5. 3. 관현악 편곡 작품
- ''생일 파티'' (1970)
- ''치킨 릴'' (1946)
- ''크리스마스 축제'' (1950) (원래 버전은 9:00, 나중에 1952년에 5:45로 단축됨)
- ''클래식 주크박스'' (1950)
- ''하버드 판타지'' (1936)
- ''하버드 페스티벌'' (1969)
- 아이리시 모음곡 (1947, 1949) - 1947년, 보스턴의 아일랜드 협회의 의뢰로 편곡한 작품.
- * ''아이리시 워셔우먼'' (1947)
- * ''음유 시인 소년'' (1947)
- * ''말로우의 레이크'' (1947)
- * ''녹색 옷 입기'' (1949)
- * ''한여름 밤의 마지막 장미'' (1947)
- * ''내가 남겨둔 소녀'' (1949)
- 스코틀랜드 모음곡 (1954)
- * ''보니 던디'' (사후 출판)
- * ''턴 예 투 미''
- * ''스코틀랜드의 푸른 종''
- * ''캠벨 가문이 온다'' (사후 출판)
- ''코네티컷 주 방위군 제2연대 행진곡'' (1973)
- ''목성의 노래'' (1951)
- ''금관 앙상블을 위한 캐롤 모음곡'' (1955) (일곱 곡의 캐롤)
-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캐롤 모음곡'' (1955) (여섯 곡의 캐롤)
- ''목관 앙상블을 위한 캐롤 모음곡'' (1955) (여섯 곡의 캐롤)
- ''야생 장미에게'' (1970) (에드워드 맥도웰의 노래를 편곡) (사후 출판)
- ''올드 맥도날드''
- ''76개의 트롬본''
5. 4. 뮤지컬 작품
- 내 여동생 아일린 (1952) (음악은 유실됨)
- 골디락스 (뮤지컬) (1958)
- * 서곡 (1958)
- * 나쁜 친구들 (1958)
- * 내게 오세요 (1958)
- * 작은 숙녀에게 주세요 (1958)
- * 누가 (1958)
- * 돌의 심장 (피라미드 댄스) (1958)
- * 그는 결코 벗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1958)
- * 안녕 (1958)
- * 사랑할 수 없어 (1958)
- * 언제 말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1958)
- * 내가 가져갈 수 없다면 (1958)
- * 대기 중인 여성 (1958)
- * 게으른 달 (1958)
- * 어린 소녀들 (1958)
- * 내 마지막 봄 (1958)
- * 아무도 당신을 사랑하지 않을 것입니다 (1958)
- * 키스 저장 (1958)
- * 내 마음을 가지고 갈까요? (1958)
- * 태그 어롱 키드 (1958)
- * 당신 안의 야수 (1958)
- * 고양이 발 (1958)
- * 여자가 없었던 적이 없습니다 (1958)
- * 타운 하우스 맥시즈 (1958)
- * 2년 동안 제작 (1958)
- * 누가 내 의자에 앉아 있었나요? (1958)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1961)
- * 나는 과부이기에는 너무 어리다
- * 피들 디 디
- * 이 사랑스러운 세상
5. 5. 보컬 작품
- ''사랑이 여기에 머물 것이라고 생각하세요?'' (1935)
- ''사랑은 올 수도 있고 갈 수도 있다'' (1935)
- ''내 마음 속의 음악'' (1935)
- ''당신은 항상 하버드 사람을 알 수 있습니다'' (1962)
- ''사랑이 무슨 소용이 있겠어요?'' (1935)
5. 6. 오르간 작품
- ''캠브리지 센테니얼 산업 행진곡'' (1946)
- ''부활절 노래'' (194-)
- ''제인과 피터를 위한 결혼 행진곡'' (1972)
5. 7. 기타 작품
6.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녹음 산업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리로이 앤더슨은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1620번지에 별을 받았다. 그는 사후인 1988년 작곡가 명예의 전당[11]에 헌액되었으며, 그의 음악은 "팝스" 오케스트라 레퍼토리의 주류로 남아있다.
2006년 그가 1954년에 작곡한 피아노 작품 중 하나인 "잊혀진 꿈"(Forgotten Dreamseng)은 영국의 휴대폰 회사 3의 TV 광고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었다. 이전에는 로스앤젤레스 방송국 KABC-TV가 1980년대에 방송 종료 시그널 음악으로 이 곡을 사용했으며, 만토바니가 연주한 버전은 1970년대 대부분 동안 WABC-TV의 ''아이 위트니스 뉴스''의 엔딩 테마로 사용되었다. "잊혀진 꿈"은 프랑스 영화 ''팝퓰레''(2012)에서 반복되는 테마로 사용되기도 했다.
"타자기"(The Typewritereng)는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후반까지 토미 무니즈가 제작한 푸에르토리코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 ''Esto no tiene nombre''의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또한 1977년부터 방영된 BBC 라디오 4의 시리즈 ''더 뉴스 퀴즈''의 시그니처 곡이기도 하다.
미국의 유명 코미디언 제리 루이스는 그의 초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피에트로 델 칸토"라는 캐릭터로 분장하여 정장을 입고 "타자기"를 연주하는 코믹 연기를 선보였다. 그는 1963년 영화 ''누가 가게를 지키는가?''에서도 가상의 타자기를 치는 연기를 다시 보여주었다.
리로이 앤더슨은 타자기나 사포와 같은 일상 용품을 악기로, 때로는 "독주 악기"로 활용하는 등 전후 시대 농담 음악의 선구자적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동시대의 다른 농담 음악이 패러디에 머무는 경향이 있었던 반면, 앤더슨의 작품은 정교하게 마무리되어 품격을 유지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진지하게 작곡된 음악과 어울리지 않는 도구의 조합은 자연스러운 위트와 페이소스를 자아냈으며, 서민적이고 통속적인 음악 어법을 사용했기에 그의 유머 감각은 대중에게 쉽게 전달될 수 있었다.
7. 수상 및 영예
다음은 리로이 앤더슨이 받은 주요 수상 내역 및 영예이다.
연도 | 내용 | 비고 |
---|---|---|
1929년 6월 17일 | 파이 베타 카파 회원 선출[2] | |
1929년, 1931–1935 | 하버드 대학교 밴드 음악 감독[18] | |
1952년 | 골드 레코드 | 블루 탱고 |
195?년 | 골드 디스크 | 싱코페이티드 클락 |
1958년 | 토니상 | 뮤지컬 골디락스 |
1960–1964 | ASCAP 이사회 회원 | 뉴욕 |
1962–1968 | 하버드 대학교 음악부 위원회 위원 |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주 |
1966년 3월 10일 | 아메리칸 밴드마스터 협회 골드만 표창 | |
1969년 | 파이 뮤 알파 신포니아, 감마 오메가 지부 명예 회원 | 인디애나 주립 대학교 |
1969–1975 | 뉴헤이븐 심포니 오케스트라 이사회 회원 | 코네티컷주 |
1971–1975 | 하트퍼드 심포니 오케스트라 이사회 회원 | 코네티컷주 |
1971년 6월 | 명예 박사 학위(Ph.D) | 포르티아 로스쿨, 보스턴, 매사추세츠주 |
1974년 5월 | 명예 박사 학위(Ph.D) | 웨스턴 뉴잉글랜드 대학교, 스프링필드, 매사추세츠주 |
1976년 |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의 별 등재[19] | |
1988년 4월 18일 | 송라이터 명예의 전당 헌액[20] | |
1995년 10월 26일 | 하버드 대학교 앤더슨 밴드 센터 헌정[21] |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주 |
2003년 5월 31일 | 리로이 앤더슨 광장 헌정[22] |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주 |
참조
[1]
웹사이트
Quotations about Leroy Anderson
http://leroyanderson[...]
[2]
간행물
Syncopated Clock, Indeed
Phi Beta Kappa Society
2008-06
[3]
웹사이트
Official Biography > American Composer and Conductor of Light Concert Music
http://www.leroyande[...]
Leroy Anderson
2015-08-17
[4]
웹사이트
Leroy Anderson biographical material
https://www.pbs.org/[...]
PBS
2015-08-17
[5]
웹사이트
Compositions – Jazz Pizzicato
https://www.pbs.org/[...]
PBS
2015-08-17
[6]
웹사이트
Compositions – Jazz Legato
https://www.pbs.org/[...]
PBS
2015-08-17
[7]
웹사이트
Compositions – The Syncopated Clock
https://www.pbs.org/[...]
PBS
2015-08-17
[8]
웹사이트
Compositions – Sleigh Ride
https://www.pbs.org/[...]
PBS
2015-08-17
[9]
웹사이트
Performance History Search
https://archives.bso[...]
2021-10-10
[10]
웹사이트
Boston Pops at Home: Short Films - The Typewriter
https://www.facebook[...]
2021-10-10
[11]
웹사이트
Songwriters Hall of Fame, Leroy Anderson [1908–1975]
https://www.songhall[...]
songhall.org
2020-04-24
[12]
웹사이트
Leroy Anderson Foundation, Cambridge Massachusetts, Birthplace of Leroy Anderson [1908–1975]
http://www.leroyande[...]
Leroyandersonfoundation.org
2012-05-01
[13]
뉴스
Leroy Anderson house, Woodbury
CT Trust for Historic Preservation
2013-05
[14]
문서
[15]
서적
Leroy Anderson: A Bio-Bibliography
Praeger
2004
[16]
웹사이트
Published Music
[17]
서적
Leroy Anderson: A Bio-Bibliography
Praeger, Westport CT USA
2004
[18]
서적
Music at Harvard
Coward-McCann, New York
1935
[19]
웹사이트
Leroy Anderson – Hollywood Star Walk – Los Angeles Times
http://projects.lati[...]
Projects.latimes.com
1975-05-19
[20]
웹사이트
Leroy Anderson Exhibit Home
https://web.archive.[...]
Songwriters Hall of Fame
1908-06-29
[21]
웹사이트
http://www.parabrisa[...]
[22]
웹사이트
Harvard Gazette: Leroy Anderson Square dedicated
http://news.harvard.[...]
News.harvard.edu
2003-07-17
[23]
웹사이트
Official Leroy Anderson website,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Leroy Anderson
http://www.leroyan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