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로저스 (청교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로저스(1550/1551-1618)는 잉글랜드의 청교도 설교자이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에식스주 웨더스필드에서 강사로 활동했다. 존 휘트기프트 대주교의 정책에 반대하여 추밀원에 청원서를 제출했다가 정직당하기도 했으며, 토머스 카트라이트의 장로교 운동을 지지했다. 1598년과 1603년에는 종교적 어려움을 겪었지만, 윌리엄 놀리스의 도움으로 복직되었으며, 런던 주교 리처드 본 재임 기간에는 비교적 자유롭게 활동했다. 로저스는 청교도 신앙과 실천에 관한 여러 저서를 남겼으며, 웨더스필드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튜어트 시대 사람 - 프랜시스 베이컨
프랜시스 베이컨은 엘리자베스 1세와 제임스 1세 시대의 영국의 철학자, 정치가, 변호사, 작가로서, 법무장관 및 대법관을 역임했으나 부패 혐의로 실각했고, 귀납적 방법론과 과학적 방법론을 제시하여 과학혁명에 영향을 미쳤으며, 유토피아적 이상향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 스튜어트 시대 사람 - 윌리엄 에임스
윌리엄 에임스는 윌리엄 퍼킨스의 영향을 받은 영국의 청교도 신학자로, 프라네커 대학교의 신학 교수이자 《신학의 정수》 저술가로서 칼뱅주의 확산에 기여했으며, 특히 뉴잉글랜드 청교도들에게 큰 영향을 주어 '교회 정치의 아버지'로 불린다. - 1618년 사망 - 허균
허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홍길동전, 교산시화, 도문대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1618년 사망 - 월터 롤리
월터 롤리 경은 16세기 잉글랜드의 탐험가, 군인, 정치가, 작가로, 엘리자베스 1세 치세에 활약하며 신대륙 탐험과 식민지 개척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 1550년 출생 - 헨리 허드슨
헨리 허드슨은 잉글랜드 탐험가이자 항해사로, 북동항로와 북서항로 개척을 시도하며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를 위해 항해하던 중 허드슨 강을 발견하여 네덜란드 북미 식민지 건설에 기여했으나, 선원 반란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1550년 출생 - 월터 롤리
월터 롤리 경은 16세기 잉글랜드의 탐험가, 군인, 정치가, 작가로, 엘리자베스 1세 치세에 활약하며 신대륙 탐험과 식민지 개척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리처드 로저스 (청교도)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550년경 |
사망 | 1618년 |
국적 | 잉글랜드 |
직업 | 성직자 |
분야 | 신학, 저술 |
종교 | 기독교 (청교도) |
배우자 | 바르톨로뮤 앤드루스의 딸 (두 번째 부인) (세 번째 부인) (네 번째 부인) |
자녀 | 적어도 12명의 자녀를 둠 (아들 다니엘 로저스 포함) |
생애 및 경력 | |
교육 | 케임브리지 대학교 (학사, 석사) |
사역 | 에식스 주 워킹턴의 강사 |
신념 | 청교도 신념 고수 39개조 신앙에 대한 견해 차이로 일시적으로 직위 박탈 |
주요 활동 | 설교 및 저술 활동 "신앙자의 실천" 저술 (사후 출판) 결혼과 가정 생활에 대한 가르침 강조 경건한 삶의 실천 강조 |
영향 | 윌리엄 퍼킨스의 영향을 받음 많은 청교도들에게 영향 가족 중심 신앙 강조에 기여 |
기타 | 네 번 결혼 많은 자녀를 둠 그의 설교와 저술은 사후에도 지속적인 영향력을 가짐 |
어록 | |
인용문 1 | 나는 정확한 하나님을 섬긴다. 하나님은 모든 지식의 원천이고, 목적이며, 질서와 방법의 원천이시다. |
인용문 2 | 사람은 본질상 황폐케 된 장소와 같으며, 그리스도의 은혜로 회복되는 데, 이것은 마치 주께서 그 마음에 새로운 빛을 일으키시는 것과 같다. |
2. 생애
리처드 로저스는 1550년 또는 1551년에 존 로저스(1558년 사망)와 아그네스 카터(1500~1559) 사이에서 태어났다. 17세기 가족 전통에 따르면 그는 워릭 백작의 집사의 아들이나 손자라고 주장했지만, 당시 워릭 백작은 없었기에, 족보학자들은 이 주장을 반증했다.[1] 그는 1565년 11월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칼리지의 시저로 입학하여 1571년에 문학사, 1574년에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2] 그는 1577년경에 에식스주 웨더스필드에서 강사로 임명되었다.
1583년에 그는 26명의 다른 사람들과 함께 대주교 존 휘트기프트의 세 가지 조항과 그의 방문에 따른 에이머 주교의 조치에 반대하는 청원서를 추밀원에 제출했다. 휘트기프트는 모든 청원자들을 정직시켰다. 8개월의 정직 이후 로저스는 설교를 재개했고, 로버트 로스 경의 중재를 통해 목회직에 복귀했다.
로저스는 토머스 카트라이트 아래에서 장로교 운동을 지지하며 ''규율서''에 서명했다. 그는 리처드 뱅크로프트에 의해 브레인트리 주변의 컬버웰, 기포드 등과 함께 클라시스 중 한 명으로 언급되었다.[3] 1598년과 1603년에 그는 이에 따라 다시 어려움을 겪었다. 전자의 경우 교회 위원회 앞에서, 후자의 경우 관직 수행 선서를 거부하여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윌리엄 놀리스, 제1대 밴버리 백작의 영향력 덕분에 복직될 수 있었다. 1604년에서 1607년 사이에 리처드 본, 런던 주교의 주교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상당한 자유를 누렸지만, 본의 후임인 토머스 레이비스 아래에서 그는 다시 어려움을 겪었다.
로저스는 1618년 4월 68일에 웨더스필드에서 사망하여 교회 묘지에 묻혔다. 로저스는 다니엘 로저스와 에제키엘 로저스의 아버지였다. 그는 스티븐 마셜에 의해 웨더스필드의 뒤를 이었다.
2. 1. 초기 생애
리처드 로저스는 1550년 또는 1551년에 존 로저스와 아그네스 카터 사이에서 태어났다.[1] 17세기 가족 전통에 따르면 그는 워릭 백작 집안의 아들이나 손자라고 주장했지만, 당시 워릭 백작은 없었기에 족보학자들은 이 주장을 반증했다.[1] 그는 1565년 11월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칼리지에 시저로 입학하여 1571년에 문학사, 1574년에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2] 1577년경 에식스주 웨더스필드에서 강사로 임명되었다.[2]2. 2. 청교도 운동과 박해
리처드 로저스는 1583년 대주교 존 휘트기프트의 정책에 반대하는 청원서를 추밀원에 제출했다가 정직 처분을 받았다.[3] 8개월 후 로버트 로스 경의 중재로 복귀했다.[3] 그는 토머스 카트라이트의 장로교 운동을 지지하며 ''규율서''에 서명했고, 리처드 뱅크로프트에 의해 클라시스 중 한 명으로 언급되었다.[3]1598년과 1603년에는 교회 위원회와 관직 수행 선서 거부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윌리엄 놀리스, 제1대 밴버리 백작의 도움으로 복직되었다.[3] 1604년에서 1607년 사이에는 런던 주교 리처드 본의 재임 기간 동안 비교적 자유롭게 활동했으나, 그의 후임인 토머스 레이비스 아래에서 다시 박해를 받았다.[3]
2. 3. 사망
리처드 로저스는 1618년 4월, 68세의 나이로 웨더스필드에서 사망하여 교회 묘지에 묻혔다.[1] 그는 다니엘 로저스와 에제키엘 로저스의 아버지였다.[1] 스티븐 마셜이 그의 뒤를 이어 웨더스필드의 성직자가 되었다.[1]3. 저서
로저스는 청교도 신앙과 실천에 대한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저서는 경건한 삶과 회개를 강조하며, 당시 잉글랜드 사회와 종교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5]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7개의 논문, 성경에서 수집한 지침을 담다'', 1603년; 2판 런던, 1605년, 국왕 제임스에게 헌정; 4판 1627년, 2부; 5판 1630년. 축약본은 ''기독교 실천''이라고 불리며, 1618년에 출판되었고 자주 재발행되었다. 이 책은 기독교인의 삶을 다룬 초기 청교도 작품이다. 서문에서는 로버트 퍼슨스의 ''기독교 지침''과 가스파르 로아르테의 ''기독교 삶의 연습''을 언급하며, 이 책을 프로테스탄트적인 대안으로 제시했다.[4]
- ''영적인 꽃의 정원, R[ichard] R[ogers], W[ill] P[erkins], R[ichard] G[reenham], M. M., and G[eorge] W[ebbe]가 심다'', 런던, 1612년, 1622년, 1632년, 1643년 (2부), 1687년 (2부).
- ''특정 설교, 다음 세 가지 목적을 직접적으로 지향함, 첫째, 용서받을 수 없는 죄를 저지르지 않은 모든 악인을 진정한 회개로 인도하는 것; 둘째, 믿음과 회개 안에서 회심한 모든 사람을 확립하고 정착시키는 것; 셋째, 그렇게 정착된 사람들을 기독교인의 삶으로 이끄는 것... 그곳에는 사무엘 라이트, B.D.의 다양한 설교가 부록되어 있다'', 런던, 1612년.
- ''사사기 전체에 대한 주석, 처음 설교하고 여러 강좌에서 전달됨'', 런던, 1615년, 에드워드 코크 경에게 헌정.
- ''사무엘이 사울과 만남, 사무엘상 15장'', 런던, 1620년.

4. 평가 및 영향
4. 1. 한국 개신교에의 간접적 영향
4. 2.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참조
[1]
서적
Seeking A Settled Heart The 16th Century Diary of Puritan Richard Rogers
https://books.google[...]
Lulu Press
2007
[2]
학술
[3]
문서
Dangerous Positions
[4]
서적
The Jesuits: Cultures, Sciences, and the Arts, 1540-1773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
서적
Puritan papers
https://www.worldcat[...]
P & R Pub
2000-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