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케차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케차과는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강에 속하는 세균 과이다. 옥시덴티아속, 오리엔티아속, 리케차속 등을 포함하며, 오리엔티아속에는 O. tsutsugamushi가, 리케차속에는 R. rickettsii 등이 속한다. 유전체학 연구를 통해 리케차과에서만 발견되는 특정 단백질과 보존된 시그니처 삽입-결실이 확인되었고, 16S 및 23S 리보솜 RNA 서열 비교를 통해 계통도가 추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케차목 - 아나플라스마
아나플라스마는 진드기를 통해 숙주에 감염되는 세균 속으로, 혈액 검사로 진단하고 테트라사이클린으로 치료하며,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에 속한다.
리케차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학적 정보 | |
역 | 세균 (Bacteria) |
문 | 프로테오박테리아문 (Pseudomonadota) |
강 |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강 (Alphaproteobacteria) |
목 | 리케차목 (Rickettsiales) |
과 | 리케차과 (Rickettsiaceae) |
학명 | Rickettsiaceae Pinkerton 1936 (Approved Lists 1980) |
타입 속 | 리케차속 (Rickettsia) da Rocha-Lima 1916 (Approved Lists 1980) |
하위 분류 | |
속 | 오키덴티아속 (Occidentia) Mediannikov et al. 2017 오리엔티아속 (Orientia) Tamura et al. 1995 리케차속 (Rickettsia) da Rocha-Lima 1916 "Candidatus" Arcanobacter Martijn et al. 2015 "Candidatus" Cryptoprodota corrig. Ferrantini et al. 2009 Dermacentroxenus Wolbach 1919 "Candidatus" Gigarickettsia Vannini et al. 2014 "Candidatus" Hemipteriphilus Bing et al. 2013 "Candidatus" Megaira Schrallhammer et al. 2013 "Candidatus" Phycorickettsia Yurchenko et al. 2018 "Candidatus" Sarmatiella Castelli et al. 2021 "Candidatus" Spectririckettsia Castelli et al. 2019 "Candidatus" Tisiphia Davison et al. 2022 "Candidatus" Trichorickettsia Vannini et al. 2014 "Candidatus" Xenohaliotis Friedman et al. 2000 |
2. 하위 분류
- 옥시덴티아속
- 오리엔티아속 - O. tsutsugamushi영어 등
- 리케차속 - R. rickettsii영어 등
3. 계통 분류
2013년 펄라 등(Ferla ''et al.'')의 연구에 기반한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7]
{| class="wikitable"
|-
!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
|-
|
{| class="wikitable"
|-
| 마그네토코쿠스아강
|-
|
{| class="wikitable"
|-
! 카울로박테리아아강
|-
|
로도스피릴룸목, 스핑고모나스목, 로도박터과, 히포미크로비움목 |
홀로스포라목 |
|-
! 리케차아강
|-
|
{| class="wikitable"
|-
! 펠라지박터목
|-
|
펠라지박터과 |
---|
펠라지박터 |
기타 |
|-
|
{| class="wikitable"
|-
| 원시 미토콘드리아
|-
|
{| class="wikitable"
|-
! 아나플라스마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얼리키아 |
아나플라스마속 |
|-
| ''볼바키아''
|}
|-
| ''네오리케차''
|}
|-
|
{| class="wikitable"
|-
! 미디클로리아과
|-
| ''미디클로리아''
|-
! 리케차과
|-
|
리케차속 |
오리엔티아속 |
|}
|}
|}
|}
|}
|}
|}
비교 게놈 분석을 통해 리케차과(Rickettsiaceae)에 속하는 구성원에게서만 독점적으로 발견되고 이 과의 분자 표지자 역할을 하는 RP030, RP187 및 RP192의 세 가지 단백질이 확인되었다.[2] 또한, 전사 복구 결합 인자(transcription repair coupling factor) Mfd에 있는 4개의 아미노산 삽입, 리보솜 단백질 L19에 있는 10개의 아미노산 삽입, FtsZ 단백질과 주요 시그마 인자 70에 각각 1개의 아미노산 삽입, 그리고 리케차과 종에 특정한 엑소뉴클레아제 VII(exonuclease VII) 단백질의 1개의 아미노산 삭제를 포함하여 다수의 단백질에서 보존된 시그니처 삽입-결실이 확인되었다.[3]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의 개략적인 리보솜 RNA 계통수는 다음과 같으며, 리케차과의 계통도는 펄라 등[4]에 의해 16S + 23S 리보솜 RNA 서열 비교를 통해 추론되었다.
{| class="wikitable"
|-
! 마그네토코쿠스과
|-
| ''마그네토코쿠스 마리누스''
|-
! 콜로박터과
|-
|
홀로스포라목 |
히포미크로비움목, 로도박터과, 로도스피릴룸목, 스핑고모나스목 등 |
|-
! 리케차과
|-
|
{| class="wikitable"
|-
! 펠라지박터목
|-
|
펠라지박터과 |
---|
펠라지박터 |
Subgroups Ib, II, IIIa, IIIb, IV and V |
|-
! 리케차목
|-
|
{| class="wikitable"
|-
| 원시 미토콘드리아
|-
|
{| class="wikitable"
|-
! 아나플라스마과
|-
|
{| class="wikitable"
|-
| ''네오리케차''
|-
|
{| class="wikitable"
|-
| ''볼바키아''
|-
|
아나플라스마 |
얼리키아 |
|}
|}
|-
|
{| class="wikitable"
|-
! 미디클로리아과
|-
| ''미디클로리아''
|-
! 리케차과
|-
|
오리엔티아 |
리케차 |
|}
|}
|}
|}
|}
|}
4. 유전체학
비교 게놈 분석을 통해 리케차과(Rickettsiaceae)에 속하는 구성원에게서만 독점적으로 발견되고 이 과의 분자 표지자 역할을 하는 RP030, RP187 및 RP192의 세 가지 단백질이 확인되었다.[2] 또한, 전사 복구 결합 인자(transcription repair coupling factor) Mfd에 있는 4개의 아미노산 삽입, 리보솜 단백질 L19에 있는 10개의 아미노산 삽입, FtsZ 단백질과 주요 시그마 인자 70에 각각 1개의 아미노산 삽입, 그리고 리케차과 종에 특정한 엑소뉴클레아제 VII(exonuclease VII) 단백질의 1개의 아미노산 삭제를 포함하여 다수의 단백질에서 보존된 시그니처 삽입-결실이 확인되었다.[3]
참조
[1]
논문
Flagellar Movement in Two Bacteria of the Family ''Rickettsiaceae'': A Re-Evaluation of Motility i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2]
논문
Phylogenomics and signature proteins for the alpha Proteobacteria and its main groups
[3]
논문
Protein signatures distinctive of alpha proteobacteria and its subgroups and a model for alpha proteobacterial evolution
[4]
논문
New rRNA gene-based phylogenies of the Alphaproteobacteria provide perspective on major groups, mitochondrial ancestry and phylogenetic instability
[5]
논문
Criteria for the accurate classification of the Rickettsial diseases (Rickettsioses) and of their etiological agents
1936-03-01
[6]
논문
Approved Lists of Bacterial Names
1980-01-01
[7]
논문
Zur Aetiologie des Fleckfiebers
[8]
웹사이트
Family ''Rickettsiaceae''
https://lpsn.dsmz.de[...]
2023-08-13
[9]
논문
High quality draft genome sequence and description of ''Occidentia massiliensis'' gen. nov., sp. nov., a new member of the family ''Rickettsiaceae''
2014-12-08
[10]
논문
List of novel names and novel combinations previously effectively, but not validly, published
2017-07-01
[11]
논문
Classification of ''Rickettsia tsutsugamushi'' in a New Genus, ''Orientia'' gen. nov., as ''Orientia tsutsugamushi'' comb. nov.
1995-07-01
[12]
논문
Notification that New Names and New Combinations Have Appeared in Volume 45, No. 3, of the IJSB
1995-10-01
[13]
논문
Flagellar Movement in Two Bacteria of the Family ''Rickettsiaceae'': A Re-Evaluation of Motility i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14]
논문
Phylogenomics and signature proteins for the alpha proteobacteria and its main groups
2007-11-28
[15]
논문
Protein Signatures Distinctive of Alpha Proteobacteria and Its Subgroups and a Model for α –Proteobacterial Evolution
2005-12-08
[16]
웹사이트
Family Rickettsiaceae
https://lpsn.dsmz.de[...]
[17]
저널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