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준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 준대수는 매끄러운 다양체, 매끄러운 벡터 다발, 리 대수 구조, 그리고 닻이라고 불리는 벡터 다발 사상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특정 호환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리 대수 준다발은 벡터 다발, 리 괄호, 그리고 앵커라고 불리는 사상으로 구성된 삼중항이다. 리 준대수는 기본 성질과 부분 준대수, 아이디얼, 준동형사상 등의 개념을 가지며, 리 군을 리 대수에 대응시키는 표준적인 구성을 일반화한다. 리 준대수는 리 군-리 대수 대응, 리 함자, 그리고 리 준대수의 적분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을 포함한다. 리 준대수의 적분 가능성은 리 정리와 Ševera-Weinstein 군체와 관련이 있으며, 특정 조건에서 적분 불가능할 수 있다. 이 개념은 1967년 장 프라딘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분의 일반화 - 기울기 (벡터)
기울기(벡터)는 스칼라장의 특정 지점에서 값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방향과 변화율을 나타내는 벡터로, 함수의 등위면에 수직이며 크기는 해당 방향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스칼라 함수의 각 성분에 대한 편미분으로 구성되며 나블라 연산자로 표현된다. - 미분의 일반화 - 야코비 행렬
야코비 행렬은 열린 집합 U에서 정의된 함수 f의 각 성분 편도함수를 요소로 가지는 행렬이며, 함수가 미분 가능할 때 전미분을 나타내고, n=m일 경우 행렬식은 함수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미분 연산자 - 기울기 (벡터)
기울기(벡터)는 스칼라장의 특정 지점에서 값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방향과 변화율을 나타내는 벡터로, 함수의 등위면에 수직이며 크기는 해당 방향의 변화율을 나타내고, 스칼라 함수의 각 성분에 대한 편미분으로 구성되며 나블라 연산자로 표현된다. - 미분 연산자 - 델 (연산자)
델 연산자는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편미분 연산자를 항으로 하는 벡터로 정의되며, 기울기, 발산, 회전, 라플라시안 등 다양한 연산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전자기학, 유체역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벡터 다발 - 법다발
법다발은 다양체 $M$에 매장된 다양체 $N$의 접다발을 $M$의 접다발로 확장한 몫다발로, 리만 다양체에서는 법선 공간들의 모임으로 정의되며 여법선 다발과 관련이 깊다. - 벡터 다발 - 접다발
접다발은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각 점에 접하는 벡터 공간들을 모아놓은 공간으로, 국소 좌표계를 사용하여 정의되며, 사영 사상을 통해 매끄러운 벡터 다발을 이루고, 다양체의 미분 구조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리 준대수 |
---|
2. 정의
'''리 준대수'''(Lie algebroid) 또는 '''리 대수 준다발'''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들로 구성된다.
-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 정의된 벡터 다발
- 의 매끄러운 단면들의 공간 위에 정의된 리 대수 구조, 즉 리 괄호 연산
- '''닻'''(anchor영어) 또는 '''앵커'''라고 불리는 벡터 다발 사상 . 여기서 은 의 접다발이다.
이 데이터들은 다음의 호환 조건(또는 라이프니츠 규칙)을 만족해야 한다.
:
여기서 은 위에서 정의된 매끄러운 함수들의 공간이며, 는 벡터장 를 따른 함수 의 리 미분을 의미한다. 는 함수 와 단면 의 점별 곱셈을 나타낸다.
리 준대수는 종종 괄호와 앵커가 문맥상 명확할 때 단순히 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일부 문헌에서는 리 준대수를 리 군대수(Lie groupoid)의 "무한소 극한"으로 간주하여 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2. 1. 기본 성질
정의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모든 에 대해, 커널 는 '''등방성 리 대수'''라고 불리는 리 대수이다.
- 커널 는 (반드시 국소적으로 자명하지 않은) 리 대수의 다발로, '''등방성 리 대수 다발'''이라고 불린다.
- 이미지 는 적분 가능한 특이 분포로, 즉, 모든 에 대해 를 만족하는 '''궤도'''라고 불리는 최대의 몰입된 부분 다양체 을 허용한다. 동등하게, 궤도는 '''A-경로'''에 의해 연결된 점들의 집합으로 명시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즉, 와 의 경로 쌍 는 이고 을 만족한다.
- 앵커 맵 는 단면 간의 맵 로 내려가며, 이는 리 대수 준동형사상이다. 즉,
:
모든 에 대해 성립한다.
가 리 대수 준동형사상을 유도한다는 속성은 리 준대수의 원래 정의에서 공리로 채택되었다.[1] 이러한 중복성은 프라딘의 정의 이전에 이미 대수적인 관점에서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3] 훨씬 나중에야 발견되었다.[4][5]
2. 2. 부분 준대수와 아이디얼
리 대수 준다발 의 '''리 부분 준다발'''은 의 벡터 부분다발 이며,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말한다.1. 앵커 사상 를 에 제한한 의 값이 안에 포함된다.
2. 의 단면 중 위에서 의 단면이 되는 것들의 집합 가 전체 단면 공간 의 리 부분 대수를 이룬다.
이때, 는 가 리 대수 준동형이 되도록 하는 유일한 리 대수 준다발 구조를 갖는다. 즉, 포함 사상 는 리 대수 준다발 준동형이다.
리 부분 준다발 중에서 밑공간이 원래 공간과 같은 경우, 즉 일 때 이를 '''넓은 부분 준다발'''이라고 부른다.
리 대수의 아이디얼 정의와 유사하게, 리 대수 준다발의 '''아이디얼'''은 넓은 리 부분 준다발 중에서 그 단면 공간 가 의 리 아이디얼이 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이 정의는 아이디얼 가 반드시 앵커 사상의 핵 안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매우 제한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더 유연한 개념인 '''무한소 아이디얼 시스템'''이 도입되었다.[6]
2. 3. 준동형사상
두 리 준대수 와 사이의 '''리 준대수 준동형사상'''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벡터 다발 준동형사상 이다.1. 두 리 준대수는 동일한 기저 다양체 을 가진다.
2. 는 리 괄호 연산을 보존한다. 즉, 의 모든 단면 에 대해 가 성립한다.
3. 는 앵커 사상과 호환된다. 즉, 이다.
만약 두 리 준대수가 서로 다른 기저 다양체를 가질 경우에도 준동형사상을 정의할 수 있지만, 리 괄호와의 호환성 조건은 더 복잡해진다.[7] 리 준대수 준동형사상의 동등한 정의는, 준동형사상 의 그래프가 곱 리 준대수 의 부분 준대수(subalgebroid)가 되는 것이다.[8]
리 준대수들과 그 사이의 준동형사상들은 하나의 범주를 형성한다.
3. 예시
리 준대수는 다양한 수학적 구조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개념이다. 몇 가지 기본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모든 유한 차원 실수 리 대수는 한원소 공간 위의 리 준대수로 볼 수 있다.
- 매끄러운 다양체 의 접다발 은 자연스러운 리 준대수 구조를 가진다. 이때 닻 사상은 항등 함수이고, 리 괄호는 벡터장의 리 미분으로 정의된다.
- 푸아송 다양체 의 코탄젠트 다발 은 푸아송 리 준대수(Poisson Lie algebroid영어)라는 리 준대수 구조를 가진다.
- 매끄러운 주다발에는 '''아티야 리 준대수'''라는 표준적인 리 준대수가 대응된다.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리 준대수가 존재하며, 구체적인 정의와 추가적인 예시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1. 자명한 경우와 극단적인 경우
모든 유한 차원 실수 리 대수는 한원소 공간 위의 리 준대수로 간주할 수 있다.또한, 임의의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영 벡터 다발 은 영(0) 괄호 연산과 영(0) 앵커 사상을 부여하여 리 준대수로 만들 수 있다.
반대로, 하나의 점 위에 정의된 리 준대수 는 일반적인 리 대수의 개념과 동일하다.
3. 2. 미분기하학에서의 예시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서, 접다발 에 항등 함수 를 닻 사상으로, 리 미분 를 리 괄호로 부여하면, 이는 리 준대수를 이룬다.보다 일반적으로, 의 적분 가능 부분 다발, 즉 를 만족하는 부분 벡터 다발 은 위 리 준대수의 부분 리 준대수를 형성한다.
임의의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임의의 매끄러운 벡터 다발 에 대하여, 닻 사상과 리 괄호를 모두 0으로 정의하면 (, ), 이는 자명하게 리 준대수를 이룬다. 이는 아벨 리 대수의 개념을 일반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푸아송 다양체 가 주어졌다고 하자. 푸아송 괄호 는 항상
:
를 만족하는 (2,0)차 반대칭 텐서장 를 정의한다. 이때, 코탄젠트 다발 위에 다음과 같이 닻 사상 와 리 괄호 를 정의하면 리 준대수가 된다.
:
:
이를 푸아송 리 준대수(Poisson Lie algebroid영어)라고 한다.
다음은 미분기하학에서 나타나는 리 준대수의 다른 예시들이다.
- 엽층 대수: 엽층 구조 가 에 주어지면, 연관된 부분 다발 은 접다발의 리 준대수 구조로부터 유도된 괄호와 닻 사상을 가지며, 이를 엽층 대수라고 한다.
- 작용 대수: 다양체 에 대한 리 대수 의 작용이 주어지면, 자명한 벡터 다발 위에 리 준대수 구조를 줄 수 있다. 여기서 닻 사상은 주어진 리 대수 작용으로 정의되고, 리 괄호는 의 리 괄호와 라이프니츠 규칙을 통해 유일하게 결정된다. 이를 작용 대수라고 한다.
- 아티야 대수: 다양체 '''' 위에 정의된 주 -다발 ''''가 주어지면, 는 리 준대수를 이루며, 이를 아티야 대수라고 한다. 이는 다음 짧은 완전열을 만족한다.
- :
: 아티야 대수의 단면 공간은 '''' 위의 ''''-불변 벡터장들의 리 대수와 동형이다. 핵 는 수반 다발 와 동형이며, 위 완전열의 오른쪽 분할은 '''' 위의 주 접속에 해당한다.
- 일반 선형 대수: 벡터 다발 이 주어지면, 의 미분 연산자들로 구성된 리 준대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또는 로 표기된다. 단면은 의 미분, 즉 에 대해 라이프니츠 규칙 를 만족하는 1차 미분 연산자 이다. 여기서 는 위의 벡터장이다. 닻 사상은 로 주어지고, 리 괄호는 미분 연산자들의 교환자로 정의된다.
- 코탄젠트 대수: 푸아송 다양체 가 주어지면, 코탄젠트 다발 은 다음과 같은 리 괄호와 닻 사상을 갖는 리 준대수를 이룬다.
::닻 사상:
::리 괄호:
- 닫힌 2-형식으로 정의된 리 준대수: 닫힌 2-형식 가 주어지면, 벡터 다발 위에 리 준대수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닻 사상은 첫 번째 성분으로의 사영이고, 리 괄호는 다음과 같다.
::
: 이 괄호는 임의의 2-형식 에 대해 정의될 수 있지만, 가 야코비 항등식을 만족하여 리 준대수가 되는 것은 가 닫힌 형식일 때뿐이다.
3. 3. 다른 리 준대수로부터의 구성
- 임의의 리 대수 올다발 이 주어지면, 앵커의 접다발과 의 미분을 고려하여 얻어지는 접선 대수 올다발이라고 하는 리 대수 올다발 이 존재한다.
- 임의의 리 대수 올다발 이 주어지면, 리 괄호가 로 고유하게 정의되고 앵커가 인 의 k-제트 다발을 고려하여 얻어지는 k-제트 대수 올다발이라고 하는 리 대수 올다발 이 존재한다.
- 두 개의 리 대수 올다발 과 가 주어지면, 이들의 직접 곱은 앵커가 이고 가 리 대수 준동형사상인 고유한 리 대수 올다발 이다.
- 리 대수 올다발 와 그 미분이 앵커 사상 과 횡단하는 사상 이 주어지면(예를 들어, 가 전사 서브머전이면 충분하다), 당겨올 대수 올다발은 가 당겨올 벡터 다발이고 가 첫 번째 성분에 대한 투영인, 가 리 대수 올다발 사상인 고유한 리 대수 올다발 이다.
4. 리 준대수의 중요한 부류
리 준대수는 그 구조, 특히 앵커 사상 ρ: A → TM의 성질에 따라 여러 중요한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앵커 사상은 리 준대수 A의 구조를 바탕이 되는 다양체 M의 기하학적 구조(TM은 M의 접다발)와 연결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주요 부류들은 다음과 같다.
- '''완전 비전이적 리 준대수''': 앵커 사상이 모든 점에서 0인 경우(ρ = 0)이다. 이는 리 준대수가 바탕 다양체의 접벡터 공간 구조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리 대수 다발의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 '''전이적 리 준대수''': 앵커 사상이 전사 사상인 경우이다. 즉, 앵커 사상을 통해 리 준대수 A의 원소가 바탕 다양체 M의 모든 접벡터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 경우 리 준대수는 바탕 다양체 위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성질을 가지며, 아티야 준대수가 대표적인 예이다.
- '''정칙 리 준대수''': 앵커 사상의 계수(rank)가 바탕 다양체 M의 모든 점에서 일정한 값을 갖는 경우이다. 이는 앵커 사상이 만드는 상(image)이 바탕 다양체 위에 정칙적인 엽층 구조를 정의하게 한다.
이러한 분류는 리 준대수의 기하학적, 대수적 성질을 이해하고 응용하는 데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각 부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완전 비전이적 리 준대수
리 준대수 올다발 에서 벡터 다발 사상인 앵커 사상 이 영 사상일 때, 즉 모든 의 단면 에 대해 (여기서 은 위의 벡터장들의 공간)일 때, 이 리 준대수를 '''완전 비전이적'''(totally intransitive)이라고 한다.이 정의는 리 대수 다발의 개념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모든 리 대수 다발은 정의에 따라 앵커 사상이 0이므로, 항상 완전 비전이적 리 준대수가 된다. 역으로, 완전 비전이적 리 준대수는 그 구조상 필연적으로 리 대수 다발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가 완전 비전이적이면, 이는 자신의 등방 리 대수 다발과 일치해야 한다.
가장 기본적인 완전 비전이적 리 준대수의 예시는 임의의 매끄러운 다양체 위의 임의의 매끄러운 벡터 다발 위에 앵커 사상 과 리 괄호 (즉, 모든 단면 에 대해 )을 부여하는 경우이다. 이 구조는 각 올 가 아벨 리 대수인 리 대수 다발에 해당하며, 자명하게 완전 비전이적 리 준대수의 조건을 만족시킨다.
4. 2. 전이적 리 준대수
리 준대수는 닻 사상 이 전사일 때 '''전이적'''(transitive)이라고 한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중요한 성질들이 성립한다.- 다음과 같은 벡터 다발의 짧은 완전열이 존재한다.
:
여기서 는 등방성 리 대수 다발이다.
- 닻 사상 의 오른쪽 분할(right splitting), 즉 을 만족하는 매끄러운 벡터 다발 사상 는 등방성 리 대수 다발 에 대한 주 다발 접속을 정의한다.
- 등방성 다발 는 국소적으로 자명하다. 즉, 리 대수의 다발로서 국소적으로 곱공간과 동형이다.
- 임의의 매끄러운 함수 에 대해, 리 준대수 의 당김 가 존재한다.
전이적 리 준대수의 대표적인 예는 아티야 준대수이다. 구체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접선 준대수 은 닻 사상이 항등 사상이므로 자명하게 전이적이다. 이는 사실 항등 사상 을 주 다발로 보고, 자명한 구조 군 에 대한 아티야 준대수로 해석할 수 있다.
- 리 대수 는 한 점 위의 리 준대수로 볼 수 있으며, 이므로 닻 사상은 영 사상이다. 만약 이면 이므로, 닻 사상 은 전사 사상이 되어 자명하게 전이적이다. 이는 를 적분하는 리 군 에 대한 주 -다발 의 아티야 준대수로 볼 수 있다.
- 벡터 다발 의 미분 연산자들로 구성된 일반 선형 준대수 는 전이적이다. 이는 의 틀 다발 의 아티야 준대수이다.
아티야 준대수와 유사하게, 임의의 전이적 리 준대수는 때때로 '''추상 아티야 열'''(abstract Atiyah sequence)이라고 불리며, 그 등방성 리 대수 다발 는 '''수반 다발'''(adjoint bundle)이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모든 전이적 리 준대수가 아티야 준대수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전이적 리 준대수의 당김은 여전히 전이적이다.
- 푸아송 다양체 와 관련된 여접선 준대수 은 푸아송 구조 가 비퇴화(non-degenerate), 즉 심플렉틱 구조일 때 전이적이다. 이 경우 닻 사상은 이다.
- 닫힌 2-형식 으로 정의된 리 준대수 (특정 조건 하에 정의됨)는 전이적이다.
이러한 예시들은 리 준대수의 적분 이론에서 중요하다. 모든 아티야 준대수는 게이지 군 준환(gauge groupoid)으로 적분 가능하지만, 모든 전이적 리 준대수가 적분 가능한 것은 아니다.
4. 3. 정칙 리 준대수
리 준대수는 앵커 사상(anchor map) 의 계수가 일정할 때 '''정칙'''(regular)이라고 한다. 여기서 는 미분 다양체 위의 벡터 다발이고, 은 의 접다발이다.정칙 리 준대수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진다.
- 앵커 사상 의 상(image)은 에 정칙 엽층 구조(foliation)를 정의한다.
- 각 잎(leaf) 에 대한 의 제한 는 추이적 리 준대수(transitive Lie algebroid)이다.
정칙 리 준대수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모든 추이적 리 준대수는 앵커 사상의 계수가 최대로 일정하므로 정칙이다.
- 모든 완전 비추이적 리 준대수(totally intransitive Lie algebroid)는 앵커 사상의 계수가 0으로 일정하므로 정칙이다.
- 엽층 구조에 대응하는 리 준대수는 항상 정칙이다.
- 푸아송 다양체 에 관련된 코탄젠트 다발 위의 리 준대수는 푸아송 구조 가 정칙일 때, 즉 의 계수가 일정할 때만 정칙이다.
5. 추가적인 관련 개념
'''리 대수 준다발'''(Lie algebroideng)은 다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 수학적 구조 이다.
- 다양체 위의 벡터 다발
- 의 단면(section)들의 공간 위에 정의된 리 괄호 연산
- 벡터 다발 사상 . 여기서 은 의 접다발이며, 이 사상 를 '''앵커'''(anchor)라고 부른다.
이 세 요소는 다음 라이프니츠 규칙(Leibniz rule)을 만족해야 한다.
:
여기서 는 의 단면들이고, 는 위의 매끄러운 함수이다. 는 벡터장 를 따라 함수 를 미분한 것을 의미한다. 즉, 이다. 는 함수 와 단면 를 점별로 곱한 것이다.
리 대수 준다발은 종종 괄호 와 앵커 가 문맥상 명확할 때 간단히 ''''으로 표기된다. 일부 문헌에서는 리 군다발(Lie groupoid)의 "극한" 개념과 연관지어 ''''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이는 리 군다발에서 원점(source)과 대상(target) 사상이 "무한소"로 가까워지는 상황을 나타낸다.
5. 1. 작용
리 대수 준다발 은 매끄러운 다양체 위에 매끄러운 사상 을 따라서 작용할 수 있다. 이 작용은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리 대수 준동형사상 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는 의 단면들의 공간이고, 는 위의 벡터장들의 리 대수이다.모든 점 , 단면 , 그리고 함수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해야 한다:
:
:
여기서 는 의 미분이고, 는 리 대수 준다발 의 앵커 사상이다. 첫 번째 조건은 작용 가 앵커 사상 와 호환되어야 함을 의미하고, 두 번째 조건은 작용 가 -선형임을 의미한다.
만약 가 일반적인 리 대수 이고 이 하나의 점으로 이루어진 공간 이라면, 앵커 사상 과 사상 는 모두 자명하다. 이 경우, 위의 두 조건은 아무런 제약을 주지 않으며, 따라서 이 정의는 다양체 에 대한 리 대수 의 표준적인 작용 개념으로 환원된다.
5. 2. 접속
리 대수 준다발 이 주어졌을 때, 벡터 다발 위의 A-접속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사상 를 의미한다.여기서 는 리 대수 준다발 의 단면(section)들의 공간이고, 는 벡터 다발 의 단면들의 공간이다. 이 사상 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1. -쌍선형성: 는 실수체 위에서 두 변수 와 각각에 대해 선형이다.
2. 첫 번째 인수에 대한 -선형성: 임의의 매끄러운 함수 에 대해 를 만족한다.
3. 라이프니츠 규칙: 임의의 , , 에 대해 다음 규칙을 만족한다.
여기서 는 리 대수 준다발의 앵커 사상 에 의해 결정되는 벡터장 에 대한 리 미분을 나타낸다. 즉, 함수 를 벡터장 방향으로 미분한 값에 단면 를 곱한 항이 추가된다.
A-접속 가 주어졌을 때, 이 접속의 곡률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사상이다.
여기서 는 의 단면을 의 단면으로 보내는 선형 사상들의 공간이며, 는 리 대수 준다발 의 단면 공간 에 정의된 리 괄호이다. 곡률 는 -쌍선형 사상이다. 만약 곡률이 이면, 즉 모든 에 대해 이 성립하면, 그 접속 는 평탄하다고 한다.
특별히 리 대수 준다발이 접다발 인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 경우, A-접속의 개념은 벡터 다발 위의 접속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와 일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곡률과 평탄성의 개념 역시 벡터 다발 이론에서 통용되는 곡률 및 평탄성의 개념과 동일해진다.
5. 3. 표현
리 준대수 의 표현은 벡터 다발 에 평탄한 A-접속 가 주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는 리 준대수 준동형사상 와 동일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는 벡터 다발 의 자기 사상으로 이루어진 일반 선형 리 대수를 나타낸다.리 준대수 의 표현들의 동형류 집합 는 벡터 다발의 직합과 텐서 곱 연산을 통해 자연스러운 반환 구조를 가진다.
리 준대수 표현의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리 대수 를 점으로 사상하는 가장 간단한 리 준대수 의 경우, A-접속은 선형 사상 가 된다. 이때 평탄 조건은 이 사상이 리 대수 준동형사상이 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이는 리 대수 표현의 표준적인 정의와 일치한다.
- 리 대수 와 다양체 의 곱으로 주어지는 리 준대수 를 생각해보자. 만약 가 리 대수 의 표현이라면, 자명한 벡터 다발 은 자연스럽게 의 표현 구조를 가진다.
- 다양체 의 접다발로 정의되는 접선 준대수 의 표현은 평탄한 접속이 주어진 벡터 다발과 같다.
- 모든 리 준대수 는 의 최고차 외대수 거듭제곱과 의 최고차 외대수 거듭제곱의 텐서 곱으로 정의되는 선다발 위에 자연스러운 표현을 가진다. 이 표현과 관련된 코호몰로지 군 의 특정 원소를 리 준대수의 모듈러 클래스라고 부른다.[9] 특히, 푸아송 다양체 에 대응하는 공변접 준대수 의 경우, 이 모듈러 클래스는 푸아송 구조 의 모듈러 클래스와 일치한다.[10]
리 군이 자신의 리 대수에 대해 수반 표현을 가지는 것과 달리, 임의의 리 군로이드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리 준대수에 대한 정규적인 표현을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호모토피까지 고려하는 더 일반적인 표현 개념을 도입하면 이러한 표현을 정의할 수 있다.
5. 4. 리 준대수 코호몰로지
리 준대수 와 그 표현 가 주어졌다고 하자. 벡터 다발의 값을 가지는 위의 -미분 형식들의 공간을 로 표기한다. 이때 다음과 같은 코쥘(Koszul) 형식의 미분 연산자 를 정의할 수 있다.6. 리 군-리 대수 대응
리 군에 대응하는 리 대수를 찾는 일반적인 방법은 리 군체와 리 준대수의 관계로 확장될 수 있다. 모든 리 군체
먼저, 리 준대수의 기반이 되는 벡터 다발
다음으로, 벡터 다발
마지막으로, 앵커 사상
이 구성은 대칭적이다. 즉, 출발점 사상과 목표점 사상의 역할을 바꾸고, 오른쪽 불변 벡터장 대신 왼쪽 불변 벡터장을 사용해도 유사한 리 준대수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두 리 준대수 사이의 동형 사상은 군체의 역원 사상(inverse map)
리 준대수의 단면
이 흐름 개념을 사용하여, 리 군 이론의 지수 사상과 유사한 사상을 리 준대수에서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6. 1. 리 함자
리 군이러한 대응 관계는 리 군과 그 준동형 사상들의 범주에서, 리 대수와 그 준동형 사상들의 범주로 가는 함자를 정의한다. 이 함자를 '''리 함자'''라고 부른다.
6. 2. 군체에서 준대수로 유도되는 구조와 성질
리 군체- 등방 대수 ''
\mathfrak{g}_x(A) ''는 등방 군 ''G_x ''의 리 대수이다. - ''
G ''의 궤도는 ''A ''의 궤도와 일치한다. - ''
G ''가 전이적이고 사상 ''(s,t): G \to M \times M ''이 침강사상인 것은 ''A ''가 전이적이라는 것과 동치이다. - ''
G ''가 올다발 ''P \to M ''에 작용할 때 (m: G \times_M P \to P ), 이는 ''A ''의 무한소 작용(''infinitesimal action'')a: \Gamma(A) \to \mathfrak{X}(P) 를 유도한다. 이 작용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a(\alpha)_p := d_{1_{\mu(p)}} m (\cdot, p) (\alpha_{\mu(p)}) = d_{(1_{\mu(p)},p)} m (\alpha_{\mu(p)},0) . - 벡터 다발 ''
E \to M ''에 대한 ''G ''의 표현은 ''A ''의 표현 ''\nabla ''를 유도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nabla_\alpha \sigma (x):= \frac{d}{d \epsilon}_{\mid \epsilon=0} \Big(\phi^\epsilon_\alpha(x) \Big)^{-1} \cdot \sigma \Big (t (\phi^\epsilon_\alpha(x) )\Big) . 또한, 함자\mathrm{Rep}(G) \to \mathrm{Rep}(A) 가 존재하며, ''G ''가 원점 단일 연결(source simply connected)이면 이는 동형 사상이 된다. - 반 에스트 사상(''van Est map'')
VE^k: H_d^k(G,E) \to H^k(A,E) 이 존재한다. 이는 ''E ''-계수를 갖는 ''G ''의 미분 가능 코호몰로지에서 ''E ''-계수를 갖는 ''A ''의 코호몰로지로 가는 사상이다. 만약 ''G ''의 ''s ''-올(fiber)이 호몰로지적으로 ''n ''-연결되어 있다면, 반 에스트 사상은 ''k \leq n ''에 대해 동형사상이고, ''k = n+1 ''에 대해 단사 사상이다.[11]
6. 3. 예시
- 리 군
G \rightrightarrows \{*\} 의 리 준대수는 해당 리 군의 리 대수\mathfrak{g} \to \{*\} 이다. - 다양체
M 위의 쌍 군체M\times M \rightrightarrows M 와 기본 군체\Pi_1(M) \rightrightarrows M 의 리 준대수는 접다발TM \to M 이다. - 다양체
M 위의 단위 군체u(M) \rightrightarrows M 의 리 준대수는 영 벡터 다발M \times \{0\} \to M 이다. - 리 군 다발
G \rightrightarrows M 의 리 준대수는 대응하는 리 대수 다발A \to M 이다. - 리 군
G 가 다양체M 에 작용할 때 정의되는 작용 군체G\times M \rightrightarrows M 의 리 준대수는 작용 준대수\mathfrak{g} \times M \to M 이다. 여기서\mathfrak{g} 는G 의 리 대수이다. - 주다발
P \to M 에 대한 게이지 군체(P \times P)/G \rightrightarrows M 의 리 준대수는 아티야 준대수TP/G \to M 이다. - 벡터 다발
E \to M 위의 일반 선형 군체GL(E) \rightrightarrows M 의 리 준대수는 일반 선형 리 대수 다발\mathfrak{gl}(E) \to M 이다. - 엽층
\mathcal{F} 의 홀로노미 군체\mathrm{Hol}(\mathcal{F}) \rightrightarrows M 와 모노드로미 군체\Pi_1(\mathcal{F}) \rightrightarrows M 의 리 준대수는 엽층\mathcal{F} \to M 자체이다. - 리 군
G 의 접다발TG 로 구성된 접선 군체TG \rightrightarrows TM 의 리 준대수는G 의 리 대수A = \mathrm{Lie}(G) 의 접다발인TA \to TM 이다. - 리 군 다발
G \rightrightarrows M 의k -제트로 구성된 제트 군체J^k G \rightrightarrows M 의 리 준대수는 대응하는 리 대수 다발A = \mathrm{Lie}(G) 의k -제트 다발인J^k A \to M 이다.
7. 리 준대수의 적분
리 준대수를 '적분'한다는 것은 해당 리 준대수가 어떤 리 군군
고전적인 리 대수의 경우, 리 제3정리에 의해 모든 유한 차원 리 대수는 연결 단순 연결 리 군으로 적분될 수 있다. 그러나 리 준대수의 경우에는 상황이 다르다. 모든 리 준대수가 리 군군으로 적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15] 이는 리 준대수 이론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리 준대수의 적분 가능성에 대한 조건과 장애물은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으며, 크라이닉과 페르난데스는 적분 가능성을 판별하는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했다.[17] 이는 '모노드로미 군'과 같은 개념과 관련되며, 특정 조건(예: 모노드로미 군의 이산성)을 만족해야 적분이 가능하다.
어떤 종류의 리 준대수는 항상 적분 가능하지만(예: 리 대수, 주 다발의 Atiyah algebroid|아티야 준대수eng, foliation algebroid|엽층 준대수eng 등[21][12]), 특정 기하학적 구조에서 유도되는 리 준대수는 적분이 불가능한 경우도 존재한다.[17] 적분 가능 여부는 리 준대수의 구조와 그것이 정의된 다양체의 위상적 성질에 따라 달라진다.
7. 1. 리 정리
리 준대수는 어떤 리 군군만약A 가 적분 가능한 리 준대수라면,A 를 적분하는 유일한(동형까지)s -단순 연결 리 군군G 가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적분 가능한 리 준대수 사이의 사상
만약F: \mathrm{Lie}(G_1) \to \mathrm{Lie}(G_2) 가 적분 가능한 리 준대수의 사상이고,G_1 이s -단순 연결이라면,F 를 적분하는 유일한 리 군군의 사상\phi: G_1 \to G_2 가 존재한다.
특히,
반면에, 고전적인 '''리 제3정리'''의 리 준대수 버전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모든 리 준대수가 리 군군으로 적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프라디네스(Pradines)는 그러한 명제가 성립한다고 주장했지만,[14] 적분 불가능한 리 준대수의 첫 번째 명시적 예시는 엽층 이론 등에서 비롯되어 몇 년 후에 나타났다.[15] 추이적인 경우에 대한 완전한 해를 포함한 여러 부분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16] 임의의 리 준대수가 적분 가능한지에 대한 일반적인 장애물은 2003년에 크라이닉(Marius Crainic)과 페르난데스(Rui Loja Fernandes)에 의해서야 발견되었다.[17] 더 일반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 모든 리 준대수는 스태키(stacky) 리 군군으로 적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18][19]
7. 2. Ševera-Weinstein 군체
임의의 리 대수실제로,
따라서, 리 대수
리 대수는 그 모노드로미 군이 균일하게 이산적(uniformly discrete)일 때만 적분 가능하다.
이러한 진술은 리 대수가 추이적(transitive)인 경우 더 간단해진다.
추이적인 리 대수는 그 모노드로미 군이 이산적(discrete)일 때만 적분 가능하다.
위의 결과는 또한 모든 리 대수가 '국소' 리 군체(local Lie groupoid, 대략적으로 말하면 곱셈 연산이 항등원 근방에서만 정의되는 리 군체)로는 적분을 허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7. 3. 적분 가능한 예시
- 리 대수는 리 제3정리에 따라 항상 적분 가능하다.
- 주 다발의 Atiyah algebroid|아티야 준대수eng는 항상 적분 가능하며, 해당 주 다발의 게이지 군체로 적분된다.
- 주입적 앵커(injective anchor)를 갖는 리 준대수는 항상 적분 가능하다. 이는 엽층 준대수(foliation algebroid)를 포함하며, 프로베니우스 정리와 관련된다.
- 리 대수 다발은 항상 적분 가능하다.[21]
- action Lie algebroid|작용 리 준대수eng는 항상 적분 가능하다. 다만, 그 적분이 반드시 action Lie groupoid|작용 리 군체eng인 것은 아니다.[22]
- 적분 가능한 리 준대수의 임의의 Lie subalgebroid|리 부분 준대수eng 역시 적분 가능하다.[12]
7. 4. 적분 불가능한 예시
닫힌 2-형식여기서
리 준대수
만약
8. 역사
참조
[1]
논문
Théorie de Lie pour les groupoïdes dif́férentiables. Calcul différentiel dans la caté́gorie des groupoïdes infinitésimaux
https://gallica.bnf.[...]
1967
[2]
arXiv
On the integration of transitive Lie algebroids
2021-05-08
[3]
논문
Pseudo-algèbres de Lie
1953
[4]
논문
Poisson-Nijenhuis structures
http://www.numdam.or[...]
1990
[5]
논문
Quasi-derivations and QD-algebroids
https://www.scienced[...]
2003-12-01
[6]
논문
Foliated groupoids and infinitesimal ideal systems
2014-10-01
[7]
서적
General Theory of Lie Groupoids and Lie Algebroid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8]
간행물
Lie groupoids and Lie algebroids
http://www.math.toro[...]
Eckhard Meinrenken
2017
[9]
논문
Transverse measures, the modular class and a cohomology pairing for Lie algebroids
https://doi.org/10.1[...]
1999-12-01
[10]
논문
The modular automorphism group of a Poisson manifold
https://linkinghub.e[...]
1997
[11]
논문
Differentiable and algebroid cohomology, Van Est isomorphisms, and characteristic classes
https://www.ems-ph.o[...]
2003-12-31
[12]
논문
On integrability of infinitesimal actions
http://muse.jhu.edu/[...]
2002
[13]
논문
Integration of Lie bialgebroids
https://www.scienced[...]
2000-05-01
[14]
논문
Troisieme théorème de Lie pour les groupoides différentiables
https://gallica.bnf.[...]
1968
[15]
논문
Suites d'Atiyah et feuilletages transversalement complets
1985
[16]
서적
Lie Groupoids and Lie Algebroids in Differential Geometr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7]
논문
Integrability of Lie brackets
2003
[18]
논문
Integrating Lie algebroids via stacks
2006
[19]
arXiv
Lie II theorem for Lie algebroids via stacky Lie groupoids
2006
[20]
논문
Some title containing the words “homotopy” and “symplectic”, e.g. this one
https://math.uni.lu/[...]
University of Luxembourg
2005
[21]
논문
Espaces fibrés en algèbres de Lie et en groupes
https://doi.org/10.1[...]
1966-06-01
[22]
논문
Groupoïde d'holonomie et géométrie globale
https://www.scienced[...]
1997-01-01
[23]
저널
https://www.ams.org/[...]
1996
[24]
서적
https://archive.org/[...]
1987
[25]
서적
2005
[26]
저널
2002
[27]
저널
19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