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닝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닝카어는 기니 중앙 고원에서 사용되며 기니의 모든 방언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이다. 자음 체계는 양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양순연구개음을 포함하며, 모음은 /i e ɛ a ɔ o u/로, 장모음, 단모음, 구강 모음, 비강 모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 마닝카어는 "높음", "낮음", "상승", "하강"의 4가지 성조를 가지며, 성조는 문법적 기능을 한다. 마닝카어는 로마자를 공식 표기법으로 사용하며, 과거에는 기니 언어 알파벳을 사용했고, N'Ko 문자도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에라리온의 언어 - 크리오
    크리오는 시에라리온의 공용어이자 크리올족의 모국어인 크레올어로, 영어 기반 피진 언어에서 비롯되어 해방 노예들의 언어와 융합 발전했으며,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되고 독자적인 문법 구조와 어휘 체계를 갖춘 언어이다.
  • 시에라리온의 언어 - 영어
    영어는 앵글로색슨족의 언어에서 유래하여 잉글랜드에서 발전한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대영제국과 미국의 영향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라이베리아의 언어 - 크루멘어
    크루멘어는 코트디부아르에서 사용되며 테포, 프예, 플라포의 세 가지 방언으로 나뉘고, 플라포 방언은 사멸 위기에 놓여 있으며 코트디부아르 실용 철자법을 따른다.
  • 라이베리아의 언어 - 그레보어
    그레보어는 라이베리아와 코트디부아르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집합으로, 구강 및 비모음 체계를 갖추고 혀의 위치와 높이에 따라 세분화된 모음 구조를 가지며, 버클리빌, 중부, Gboloo, 북부, 남부 그레보어의 다섯 하위 언어와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
  • 기니의 언어 - 만딩카어
    만딩카어는 서부 만데어군에 속하는 만데어족 언어로,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를 사용하며, 5모음 체계와 고저 성조를 가지지만 지역에 따라 높낮이 강세 체계로 변화하기도 한다.
  • 기니의 언어 - 바디아라어
    바디아라어는 바다라어, 바디안어, 바드자라어, 바디아랑케어, 파자데어, 파자딩카어, 골라어, 비골라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언어이다.
마닝카어
개요
다른 이름말링케어, 말린카어
사용 국가기니, 말리, 라이베리아, 세네갈, 시에라리온, 코트디부아르
공용어 지정 국가기니, 말리
사용자약 460만 명 (2012-2021년 추정)
민족만딩카족
언어 분류
어족니제르콩고어족 추정
어파만데어파
하위 분류서부 만데어군, 만딩어, 동부 만딩어
방언
하위 방언코냥카어
동부 마닝카카어
상카라 마닝카카어
마냐어 (라이베리아)
워제나카어 (오디엔네 줄라)
워로두구어
코로어 (코로 줄라)
코야가어 (코야가 줄라)
마후어 (마우카칸)
문자 체계
문자은코 문자, 라틴 문자
언어 코드
ISO 639-2man
Glottologmane1267 (Manenkan), mani1303 (Maninka–Mori)
ELP4375 (코로어)

2. 음운론

마닝카어는 특히 기니 중앙 고원의 우달라 방언을 중심으로 다양한 음소를 가진다.[1] 이 방언은 기니의 모든 방언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다. 마닝카어의 모음은 /i e ɛ a ɔ o u/ 7가지이며, 각각 장모음/단모음, 구강 모음/비강 모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 성조는 고성, 저성, 상승조, 하강조의 4가지가 있다.[1]

2. 1. 자음

마닝카어의 자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마닝카어 자음
colspan="2" |양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양순연구개음
비음
파열음~~
마찰음
접근음


  • /d/는 보통 모음 사이에서 탄음 [ɾ]로 변한다.
  • /c/ (ty|티프랑스어)는 종종 모음 /i/ 또는 /ɛ/ 앞에서 /k/가 된다.
  • /g/와 양순연구개음 /g͡b/ 사이에는 지역적 차이가 있다.
  • /h/는 주로 아랍어 차용어에서 나타나며, 안정적으로 사용된다.
  • /p/는 프랑스어영어 차용어에서 나타나며, 안정화되는 과정에 있다.


몇몇 유성 자음은 비모음 뒤에서 비음이 된다. /b/는 /m/이 되고, /j/는 /ɲ/가 되며, /l/은 /n/이 된다. 예를 들어, 구두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복수를 ''-lu''로 취하고, 비모음으로 끝나는 명사는 ''-nu''를 취한다. 그러나 /d/는 /nde/ "나"와 같이 구두음으로 유지된다.

2. 2. 모음

마닝카어의 모음 음질은 /i e ɛ a ɔ o u/이다. 모든 모음은 장모음 또는 단모음, 구강 모음 또는 비강 모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 /iː eː ɛː aː ɔː oː uː/와 /ĩ ẽ ɛ̃ ã ɔ̃ õ ũ/ (아마도 모든 비강 모음은 장모음일 것이다.) 비강 모음은 일부 뒤따르는 자음을 비음화시킨다.[1]

마닝카어의 모음
전설중설후설
좁은 모음iu
반닫힌 모음eo
반열린 모음ɛɔ
열린 모음a


2. 3. 성조

마닝카어에는 고성, 저성, 상승조, 하강조의 4가지 성조가 있다.

정해성을 나타내는 표지는 하강 부동 성조이다.

  • kɔ̀nɔ̀|코노man '새' (LL), kɔ̀nɔ᷈|코노man '그 새' (LLHL)
  • kɔ́nɔ̀|코노man '배' (HL), kɔ́nɔ᷈|코노man '그 배' (HLHL)

3. 표기

마닝카어는 공식적인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한다. 과거에는 '기니 언어 알파벳'이라는 로마자 기반 표기법이 사용되었다. N'Ko 문자 또한 널리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Parlons Malinké 1999
[2] 문서 ニジェール・コンゴ語族の一派とする説あり
[3] 간행물 Ethnologue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