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우리치오 폴리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우리치오 폴리니는 1942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태어난 피아니스트이다. 그는 1960년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바흐부터 현대 음악까지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하며 베토벤, 쇼팽 등의 작품 연주로 명성을 떨쳤다. 1960년대 말 국제 무대에 복귀하여 클라우디오 아바도와 협연했으며, 1970년대에는 좌파 음악가로 활동하며 사회, 정치적 활동에도 참여했다. 1996년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3월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피아노 연주자 - 로마노 무솔리니
    로마노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재즈 피아니스트이자 베니토 무솔리니의 아들이며, 앨범 발매와 회고록 출판을 했고, 배우 마리아 시콜로네와 카를라 마리아 푸치니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2006년에 사망했다.
  • 이탈리아의 피아노 연주자 - 가체보
    가체보는 프랑스령 알제리에서 태어나 파리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연구원과 파리 제11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수학자이다.
  • 이탈리아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이탈리아 토리노 출신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루도비코 에이나우디는 음악적, 사회적으로 저명한 가족 배경 속에서 성장하여 클래식 음악 교육을 받고 다양한 음악 분야에서 활동하며 미니멀리즘과 팝 음악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음악 스타일을 구축하고 영화, 드라마 음악 작곡 및 사회 활동 참여를 통해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이탈리아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무치오 클레멘티
    무치오 클레멘티는 이탈리아 출신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음악 교육가, 피아노 제작자로서, 피아노 소나타를 포함한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고전파 음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자 - 스타니슬라프 부닌
    스타니슬라프 부닌은 러시아 출신 피아니스트로,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 후 일본에서 활동하며 센조쿠 학원 음악대학에서 강의했고, 1988년 서독으로 망명하여 2023년 음악 활동을 재개했다.
  •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자 - 조성진 (피아니스트)
    2015년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한 대한민국의 피아니스트 조성진은 세계적인 오케스트라 협연, 유수 공연장 연주, 도이치 그라모폰 음반 발매 등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다양한 작곡가의 곡을 연주하고 역사, 미술 등 예술적 관심사를 음악적 영감으로 삼는다.
마우리치오 폴리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9년의 모습
이름마우리치오 폴리니
로마자 표기Maurizio Pollini
출생일1942년 1월 5일
출생지이탈리아, 밀라노
사망일2024년 3월 23일
사망지이탈리아, 밀라노
학력밀라노 음악원
직업클래식 피아니스트
지휘자
활동 기간1957년 - 2023년
수상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그래미상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아버지지노 폴리니(건축가)
공식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음악 경력
장르클래식 음악
악기피아노
스승카를로 비두소
참고
기타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알프레트 브렌델과 같은 1월 5일 출생. 세 사람은 11년씩 나이 차이가 있음. 미켈란젤리는 1920년, 브렌델은 1931년, 폴리니는 1942년 출생.

2. 생애

마우리치오 폴리니는 밀라노에서 건축가 지노 폴리니의 아들로 태어났다.[77] 어린 시절부터 피아노를 배워 밀라노 음악원을 졸업했으며, 1960년 바르샤바에서 열린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79] 당시 심사위원장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은 "저 아이는 우리 중 누구보다도 피아노를 잘 칠 수 있다"고 극찬했다.[80]

콩쿠르 우승 후 잠시 활동을 중단하며 음악적 경험을 넓히는 시기를 가졌고,[81] 이 기간 동안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에게 사사하기도 했다.[84][83] 1968년 연주 활동을 재개한 이후에는 절친한 지휘자 클라우디오 아바도와 자주 협연하며[86] 세계적인 피아니스트로 자리매김했다. 그의 연주는 탁월한 테크닉과 깊이 있는 분석력, 아름다운 음색으로 높이 평가받았으며, 항상 작곡가의 의도를 충실히 반영하려 노력했다.

폴리니는 사회 문제에도 목소리를 내는 음악가였다. 1972년 베트남 전쟁 중 미국의 폭격에 항의하는 성명을 발표하려 했으며,[https://web.archive.org/web/20240324112120/https://www.giornaledellamusica.it/news/ricordando-maurizio-pollini] 이후에도 라틴 아메리카 독재 정권이나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정부의 문화 정책 등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https://web.archive.org/web/20240324112120/https://www.giornaledellamusica.it/news/ricordando-maurizio-pollini]

또한 현대 음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루이지 노노, 피에르 불레즈 등 동시대 작곡가들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연주하고 소개해왔다. 1995년부터는 고전과 현대를 아우르는 '폴리니 프로젝트'를 기획하여 세계 각지에서 선보였다. 오랜 기간에 걸쳐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전곡 녹음을 진행하여 2014년에 완성했으며, 쇼팽의 야상곡 음반으로 그래미상을 수상하는 등 활발한 음반 활동도 이어갔다.

2. 1. 초기 생애 (1942-1960)

마우리치오 폴리니는 1942년 밀라노에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이탈리아 근대 건축가 지노 폴리니였고, 어머니 레나타 멜로티는 피아니스트이자 가수였으며 이탈리아 조각가 파우스토 멜로티의 여동생이었다.[77][2][3] 아버지 지노 폴리니는 아마추어 바이올리니스트이기도 했다.[1]

폴리니는 다섯 살 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여[78] 일곱 살 때부터 저명한 현지 교사인 카를로 로나티에게 배웠다. 로나티 사망 후에는 그의 제자인 카를로 비두소에게 13세부터 18세까지 피아노를 배웠다.[78][4] 비두소는 폴리니를 밀라노 음악원에서 엄격하게 훈련시켜 콩쿠르를 준비시켰으며, 폴리니는 그곳에서 작곡과 지휘도 공부했다.

그는 15세인 1957년 제네바 국제 음악 콩쿠르에서 2위를 차지했고,[5] 1959년 세레뇨에서 열린 에토레 포졸리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했다.[79][43] 1960년, 18세의 나이로 바르샤바에서 열린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89명의 참가자 중 최연소이자 콩쿠르 역사상 최초의 비슬라브계 우승자가 되었다.[6][79] 그는 “옥타브”, “겨울 바람”, “폭포” 등 어려운 곡들을 연주했다. 당시 심사위원장이었던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은 "저 소년은 우리 중 누구보다도 피아노를 잘 친다"고 극찬하며 그의 우승을 선언했다.[80][7][44]

쇼팽 콩쿠르 우승 후, 폴리니는 음악적 경험을 넓히기 위해 약 1년 동안 연주 활동을 중단했다.[8][81] 이로 인해 그가 은둔 생활을 한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9][81] 이 시기 그는 EMI를 통해 지휘자 폴 클레츠키가 지휘하는 필하모니아 관현악단과 함께 쇼팽 피아노 협주곡 1번과 쇼팽 연습곡을 녹음했다.[82][10] 필하모니아 관현악단으로부터 콘서트 시리즈 제안을 받았을 때, 그는 '자신감의 위기'를 겪었다.[83][11]

1960년대 초, 폴리니는 약 6개월간 피아니스트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에게 사사했다.[12] 미켈란젤리의 지도를 통해 폴리니는 "정교한 테크닉과 감정적 절제"를 습득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나,[84][12] 일부에서는 그의 연주 스타일이 '틀에 박히고 냉정해졌다'거나 '더 건조하고 지적인' 스타일이 되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83][11] 1960년대 초반 동안 폴리니는 연주 활동을 자제하며 학업과 레퍼토리 확장에 집중했다.[85]

2. 2. 공백기 (1960-1968)

1960년 바르샤바에서 열린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하였다.[79] 당시 심사위원장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은 "저 아이는 우리 중 누구보다도 피아노를 잘 칠 수 있다"고 평하며 그의 우승을 선언했다.[80]

콩쿠르 우승 직후, 폴리니는 음악적 경험을 넓히기 위해 연주 활동을 중단했는데, 이로 인해 한동안 은둔하는 것이 아니냐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81] 이 시기 초반에 EMI를 통해 폴란드 지휘자 폴 클레츠키와 필하모니아 관현악단과 함께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 1번연습곡을 녹음했다.[82] 그러나 필하모니아 관현악단으로부터 연주 제의를 받았을 때, EMI 프로듀서 피터 앤드리(Peter Andry)에 따르면 폴리니는 일종의 '자신감의 위기'를 겪었다.[83]

이후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에게 사사했는데, 이를 통해 "정교한 테크닉과 감정적 절제"를 습득했다는 평가[84]와 함께, 연주가 다소 "틀에 박히고 냉정한" 스타일이 되었다는 우려도 동시에 제기되었다.[83] 1960년대 초반, 폴리니는 연주 활동을 줄이고 학업과 레퍼토리 확장에 집중하는 시기를 가졌다.[85]

실제로 그는 콩쿠르 우승 후 약 8년간 국제적인 연주 활동을 자제하고 이탈리아 내에서의 콘서트[45]나 독주회[46] 위주로 활동하며 내실을 다졌다. 이러한 결정의 배경에는 스스로 더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점[47], 그리고 쏟아지는 연주 제의에 대응하기 위해 협주곡 레퍼토리를 늘릴 필요성[48]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연주 기량 연마 외에도 밀라노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기도 했다.[49] 이 공백기는 1968년 연주 활동을 본격적으로 재개하면서 마무리된다.

2. 3. 국제 무대 복귀 및 활동 (1968-2024)

1968년 국제 무대에 복귀한 폴리니는 가장 친한 친구 중 한 명인 클라우디오 아바도와 협연하며 활동을 재개했다.[86] 그의 미국 데뷔는 1968년 뉴욕 카네기 홀에서 이루어졌다.[16][17] 같은 해, 밀라노 가문 출신의 피아니스트 마리아 엘리사베타 마르쪼토(마릴리사)와 결혼했다.[32] 그의 탁월한 기술, 곡마다 음색이 변하는 분석력, 그리고 아름다운 음색은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다.[86] 악보에 충실하며 작곡가가 의도한 음악에 접근하려는 자세를 중요하게 여겼다.

1971년부터는 도이체 그라모폰에서 음반을 발매하기 시작하여 여러 국제적인 음반상을 수상했다.[50] 1974년에는 처음으로 일본 순회 공연을 가졌다.[18] 쇼팽 전문가로만 인식되는 것을 의식적으로 피했으며,[19] 실제로 1970년대 그의 음반 목록은 모차르트부터 루이지 노노까지 다양했다.[19] 이후 바흐도 레퍼토리에 추가했다.

1975년 폴리니


1960년대와 1970년대 폴리니는 좌파 성향의 음악가로 활발히 활동했다. 클라우디오 아바도, 루이지 노노와의 협업은 그들의 공통된 정치적 이상에 영향을 받았다.[20] 그는 자코모 만조니와도 음악적, 정치적으로 교류했다. 칠레 혁명 좌파 운동 지도자 루시아노 크루스의 죽음을 추모하는 노노의 작품 ''Como una ola de fuerza y luz'' (1972) 작업에 참여했으며, 밀라노 라 스칼라에서 아바도와 함께 학생과 노동자를 위한 콘서트를 열어 예술의 대중화에 힘썼다.[9] 두 사람은 러셀 재판을 위한 연주회에도 참여했다. 1972년 밀라노 콘서트에서는 베트남 전쟁 중 미국의 라인배커 II 작전 당시 하노이하이퐁 폭격에 반대하는 성명을 낭독하려다 청중의 소란과 경찰의 개입으로 중단되는 사건을 겪기도 했다. 폴리니는 당시 납의 시대 상황에 대해 "긴장감이 감돌았고 파시스트 쿠데타 가능성마저 거론되던 시기"였다고 회상하며, 클라우디오 아바도, 루이지 노노 등 여러 이탈리아 음악가들이 서명한 성명서였다고 밝혔다.[14] 그는 라틴 아메리카의 독재 정권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후일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정부의 문화 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https://web.archive.org/web/20240324112120/https://www.giornaledellamusica.it/news/ricordando-maurizio-pollini] 그는 카를 뵘과 같은 인물들과 작업할 때처럼 정치와 음악 활동을 분리하기도 했다.[21]

폴리니는 "현대 음악이 건축이나 회화처럼 생활의 일부가 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루이지 노노, 피에르 불레즈 등 20세기 이후 작곡가들의 작품 연주에도 적극적이었다. 노노는 1974년부터 1976년 사이 폴리니를 위해 ''... sofferte onde serene ...''를 작곡했다. 이 곡은 가족과 친구들의 죽음을 애도하는 명상적인 독주곡으로, 폴리니는 자신의 오픈릴 테이프 녹음과 함께 연주했다. 노노는 이 작품을 통해 피아노의 음량 포락선("때때로 저는 어택을 잘라내어 소리가 시간이 없는 공명으로 나타나도록 합니다")과 베네치아의 소리("종소리가 끊임없이 들리는 곳")를 탐구하고자 했으며, 폴리니의 섬세한 터치("그의 터치의 특정한 뉘앙스")를 증폭하고 투영하려 했다. 그들은 음향 엔지니어 마리노 주케리와 함께 밀라노 RAI 스튜디오의 녹음실에서 사흘 동안 함께 작업했다. 이 곡은 폴리니의 주요 레퍼토리로 남았다. 그는 1970년대에 불레즈의 제2 피아노 소나타를 연주했으며, 1977년에는 뉴욕 필하모닉과 함께 불레즈 지휘로 바르토크의 제2 협주곡을 연주하여 극찬을 받았다.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등을 연주할 때는 직접 지휘를 맡기도 했다.[21] 1981년 페자로의 로시니 극장에서 열린 로시니 오페라 페스티벌에서는 로시니의 ''호수의 여인''을 새로운 비판적 교정본으로 지휘하여 로시니 부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지휘는 로시니의 관현악 편곡, 주제 전개, 그리고 화성에 대한 통찰력으로 호평받았으나, 다소 유연성 없는 해석과 빠른 템포는 비판받기도 했다. 특히 정교한 꾸밈음이 있는 종지 부분에서 벨칸토의 특징인 더 많은 꾸밈음루바토를 허용하도록 설득받기도 했다. 그는 마지막 론도 "Tanti affetti in tal momento"에서만 로시니가 특정 가수를 위해 준비한 세 개의 오시아를 따르는 것을 허용했다. 1983년에는 카티아 리치아렐리, 루치아 발렌티니 테라니, 사무엘 레이미 등과 함께 이 작품을 다시 지휘하고 소니에서 녹음했다. 이 공연에서는 그의 친구 가에 아울렌티연출가를 맡고 무대 디자인을 했다.

1983년 뉴욕과 베니스 현대음악제에서 베베른 탄생 100주년 기념 공연에서는 그의 피아노 변주곡을 연주했고,[22] 1985년 바흐 탄생 300주년에는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제1권을 연주했으며, 이는 2009년에 녹음으로 발매되었다.[23] 1987년에는 뉴욕에서 아바도가 지휘하는 비엔나 필하모닉과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전곡을 연주하고 비엔나 필하모닉 명예 반지를 받았다.[24][25]

1993년부터 1994년까지 베를린과 뮌헨에서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 연주회를 처음 열었으며, 이후 뉴욕, 라 스칼라, 런던, 파리, 비엔나 등에서도 같은 시리즈를 이어갔다.[24] 2014년 베토벤 소나타 op. 31, 49 음반(도이체 그라모폰) 발매로 1975년부터 시작된 베토벤 소나타 전집 녹음을 완성했다.

2009년 파리에서 피에르 불레즈와 함께한 폴리니


1994년 10월에는 제1회 움베르토 미켈리 국제 피아노 콩쿠르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피에르 불레즈에게 피아노 독주곡을 위촉했다.[53] 1995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는 자신의 기획으로 고전 작품과 현대 음악을 함께 선보이는 '폴리니 프로젝트'(Progetto Pollini)를 시작했다.[54] 이 프로젝트는 카네기 홀(2000-2001, '퍼스펙티브: 마우리치오 폴리니'), 런던 로열 페스티벌홀(2010-2011, 바흐부터 불레즈, 슈토크하우젠까지 5회 콘서트 시리즈, 앙코르로 쇤베르크의 여섯 개의 작은 피아노 소품 포함), 도쿄(2002, 2005) 등 세계 여러 도시에서 이어졌다.[55] 그는 경력 전반에 걸쳐 대중적 인기가 적은 현대 작품들을 꾸준히 소개해왔으며,[26]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상금 등으로 이러한 프로젝트를 지원했다.[21] 살바토레 샤리노에게 불레즈 지휘, 폴리니 독주를 위한 Recitativo nell'ombra|레치타티보 넬롬브라it를 위촉[56]한 이후로는 현대 음악 연주 빈도가 줄어들었다.

2007년 발매한 쇼팽 야상곡 음반은 그래미상 기악 부문을 포함해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2010년에는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정부의 헌법 개정 시도에 반대하는 콘서트를 열고 저렴한 학생 할인 티켓을 제공하는 등 정치적 입장을 계속 표명했다.[26][27]

2012년 3월 건강 문제로 미국 공연을 취소하는 등[28] 말년에는 건강 악화로 공연 취소가 잦았다.[57] 그럼에도 2014년에는 중앙 유럽 순회공연을 하고 잘츠부르크 페스티벌과 라인가우 음악제 등에서 연주했으며,[29] 라인가우 음악제에서는 쇼팽의 전주곡과 드뷔시의 전주곡 제1권을 비스바덴 쿠어하우스에서 데뷔 연주했다.[30] 2022년 80세 생일 기념 리사이틀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31] 2023년 6월 23일 독주회에서는 앙코르 없이 공연을 마쳤고,[58] 같은 해 10월 30일 피아노 독주회가 그의 마지막 공식 연주가 되었다.[60][61]

2024년 3월 23일 아침, 이탈리아 밀라노 자택에서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3][62][42] 그의 아들 다니엘레 폴리니 역시 피아니스트 겸 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34]

3. 음악적 특징 및 평가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에게 사사하면서 그의 영향으로 "정교한 테크닉과 감정적 절제"를 습득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나,[84] 동시에 일각에서는 연주가 "틀에 박히고 냉정해졌다"는 우려도 있었다.[83] 1960년대 초반에는 연주 활동을 자제하며 레퍼토리를 넓히는 데 집중했다.[85]

1968년 활동을 재개한 후, 절친한 지휘자 클라우디오 아바도와의 협연 등을 통해 명성을 얻었다. 그의 연주는 탁월한 기교, 곡의 구조를 꿰뚫는 분석력, 그리고 무엇보다 아름다운 음색으로 세계적인 찬사를 받았다.[86] 젊은 시절의 명민함을 넘어 원숙한 피아니즘으로 발전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스스로 "작곡가가 의도한 음악에 어떻게 다가갈 것인가"를 깊이 고민하며 악보에 충실한 해석을 추구했다.

쇼팽 전문가라는 이미지에 갇히는 것을 경계하여 1970년대에는 의식적으로 레퍼토리를 확장했다.[19] 모차르트부터 노노까지 폭넓은 시대의 작곡가들을 다루었으며, 이후 바흐까지 레퍼토리에 추가했다. 그는 "건축이나 회화와 달리 현대 음악은 아직 대중의 삶에 깊이 스며들지 못했다. 특히 젊은 세대가 음악에 관심을 갖도록 이끌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루이지 노노, 불레즈 등 동시대 작곡가들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연주했다. 1993년에는 베토벤피아노 소나타 전곡을 연주했으며, 1995년에는 직접 기획한 '폴리니 프로젝트'를 통해 고전과 현대를 아우르는 독창적인 프로그램을 선보여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바흐부터 현대 작곡가까지 아우르는 방대한 레퍼토리와 기술적 완벽함으로 '시대를 초월하는 올라운더', '미스터 퍼펙트'[64]라는 찬사를 받았다.[63] 그의 주요 녹음은 도이치 그라모폰(DG) 레이블을 통해 발매되었는데, 1971년 녹음한 스트라빈스키의 《페트루슈카》 세 개의 악장과 프로코피예프의 피아노 소나타 7번은 20세기 피아노 음악의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는다.[21][35] 쇼팽 연습곡 전곡(1972),[21][35]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1975년 녹음 시작, 2014년 완성)[36][66], 바흐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제1권(2009)[23] 등도 그의 대표적인 녹음이다. 주로 독주곡과 협주곡 녹음에 집중했으며, 실내악 녹음은 거의 남기지 않았다.[65]

폴리니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좌파 성향의 지식인으로서 활발히 활동했으며, 이러한 신념은 그의 음악 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클라우디오 아바도, 루이지 노노와의 협업은 이러한 공통된 이상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20] 그는 또한 자코모 만조니와 Luigi Pestalozza와도 음악적, 정치적으로 교류했다. 그는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에서 학생과 노동자들을 위한 콘서트를 열어 예술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했으며,[9] 러셀 재판을 위한 연주회에도 참여했다. 1972년 밀라노 콘서트에서는 미국의 북베트남 폭격에 항의하는 성명을 낭독하려다 청중의 소란과 경찰의 개입으로 공연이 중단되는 사건을 겪기도 했다.[14] 또한 라틴 아메리카의 독재 정권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후일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정부의 문화 정책에 대해서도 강경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는 등 사회 참여적인 면모를 보였다. 다만, 카를 뵘과 같은 음악가들과 협연하는 등 정치적 입장과 별개로 음악 활동을 이어가기도 했다.[21]

피아니스트로서뿐만 아니라 지휘자로서도 활동했는데, 특히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을 직접 지휘하며 연주했다.[21] 1981년 페사로에서 열린 로시니 오페라 페스티벌에서는 로시니의 오페라 《호수의 여인》을 새로운 비평판에 근거하여 지휘하여 로시니 부흥 운동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로시니 음악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으로 호평받았지만, 다소 엄격하고 유연성이 부족한 해석과 빠른 템포 설정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후 소니 레이블에서 발매된 녹음에서는 이러한 접근법을 다소 완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4. 사회, 정치적 활동



마우리치오 폴리니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좌파 성향의 음악가로 활발히 활동했다. 그는 절친한 친구이자 지휘자인 클라우디오 아바도, 작곡가 루이지 노노와 정치적, 사회적 이상을 공유하며 협력했다.[20] 이들은 이탈리아 공산당원이었던 노노와 깊은 친분을 유지하며[72] 음악과 사회 참여를 결합하고자 노력했다. 폴리니는 작곡가 자코모 만조니 및 루이지 페스탈로차와도 음악적, 정치적으로 교류했다.

폴리니는 노노와 함께 칠레의 혁명 좌파 운동 지도자 루치아노 크루즈의 죽음을 애도하는 작품 ''Como una ola de fuerza y luz'' (1972) 작업에 참여했다. 또한 아바도와 함께 밀라노의 라 스칼라 극장에서 학생과 노동자들을 위한 콘서트를 열어, 예술이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신념을 실천하며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했다.[9] 두 사람은 베트남 전쟁에서의 전쟁 범죄를 고발하기 위해 열린 러셀 재판을 지지하는 연주회를 열기도 했다.

1972년 밀라노에서 열린 콘서트 도중, 폴리니는 미국의 북베트남 폭격(라인배커 2 작전)에 반대하는 항의문을 낭독하려 시도하여 큰 파문을 일으켰다. 이 성명서에는 아바도, 노노, 만조니, 이탈리아 4중주단, 고프레도 페트라시, 루이지 달라피콜라 등 여러 이탈리아 음악가들이 서명했다. 폴리니는 당시 상황에 대해 "베트남이라는 단어가 들리자마자 청중은 일종의 집단적 흥분 상태에 빠져들었고 공연을 계속할 수 없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성명서 낭독을 여러 차례 시도했으나 소란과 경찰의 개입으로 중단되었고, 결국 피아노 뚜껑을 닫고 공연을 마쳐야 했다.[14] 그의 이러한 행동은 당시 납의 세월이라 불리던 이탈리아의 긴장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14]

이후에도 폴리니는 라틴 아메리카의 독재 정권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비교적 최근에는 음악과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평가받는 실비오 베를루스코니와 그의 정부에 대해서도 강경한 입장을 취하는 등 사회 문제에 대한 목소리를 꾸준히 내왔다.[https://web.archive.org/web/20240324112120/https://www.giornaledellamusica.it/news/ricordando-maurizio-pollini] 2010년에는 베를루스코니 총리에 반대하는 발언을 하고,[26] 그가 추진하던 헌법 개정에 반대하는 콘서트를 열기도 했다. 이 콘서트에서는 학생들이 저렴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할인 티켓을 제공했다.[27]

폴리니는 "건축과 회화 등과 달리 현대 음악은 생활의 일부가 되어 있지 않다. 특히 젊은 세대에게 음악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신념을 바탕으로 그는 루이지 노노, 피에르 불레즈,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등 20세기 이후 현대 클래식 음악 작곡가들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연주하고 알리는 데 힘썼다.[26] 1995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에서 시작된 '프로제토 폴리니(Progetto Pollini)'는 고전 작품과 현대 음악을 나란히 배치하는 독특한 구성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는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상금을 이러한 프로젝트 지원에 사용하기도 했다.[21] 런던 로열 페스티벌 홀(2010-2011)에서 열린 '프로젝트 폴리니'에서는 바흐부터 불레즈, 슈토크하우젠에 이르는 5개의 콘서트로 구성된 시리즈를 선보였다.

때로는 정치적 신념과 음악 활동을 분리하기도 했는데, 예를 들어 나치 부역 논란이 있는 지휘자 카를 뵘과 협연하기도 했다.[21] 그는 좌파와의 정치적 연대를 이어갔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일부 이탈리아 좌파의 전술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5. 수상 경력

마우리치오 폴리니는 다수의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하며 음악적 업적을 인정받았다. 특히 1960년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역대 최연소로 우승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16] 그는 그래미상을 두 차례 수상했으며(1979년, 2007년),[16]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1996년), 다카마쓰노미야 전하기념 세계문화상(2010년) 등 저명한 상을 받았다.[16][18][39] 또한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2012년)에 헌액되기도 했다.[40]

주요 수상 및 서훈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수상 내역비고
1957년제네바 국제 음악 콩쿠르 피아노 부문2위
1958년제네바 국제 음악 콩쿠르2위 (1위 없음)
1959년포촐리 국제 피아노 콩쿠르우승
1960년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우승 (역대 최연소)
1979년제22회 그래미상최우수 클래식 연주 - 기악 솔로 (오케스트라 협연)
1996년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16]
2000년이탈리아 공화국 공로훈장대십자 기사 (Cavaliere di gran croce)
2001년디아파종 도르베토벤디아벨리 변주곡》 음반 (도이치 그라모폰)
2004년문화예술 공로 금메달이탈리아 정부 수여
2007년제49회 그래미상최우수 클래식 연주 - 기악 솔로 (오케스트라 제외) (쇼팽녹턴》 음반, 도이치 그라모폰)[16]
2010년다카마쓰노미야 전하기념 세계문화상[16][18][39]
2012년그라모폰 명예의 전당헌액[40]


참조

[1] 뉴스 null The Times Register 2024-03-25
[2] 뉴스 null The Times Register 2024-03-25
[3] 웹사이트 Maurizio Pollini at 70: International Superstar of the Piano http://www.abc.net.a[...] ABC Classic FM 2013-01-29
[4] 서적 Music in the 20th century, Volume 2 https://archive.org/[...] M E Sharpe Reference
[5] 뉴스 null The Times Register 2024-03-25
[6] 뉴스 null The Times Register 2024-03-25
[7] 뉴스 Maurizio Pollini: ice-man of the ivories https://www.telegrap[...] 2010-09-14
[8] 서적 The Great Pianists: From Mozart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9] 뉴스 Maurizio Pollini: a life in music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1-01-01
[10] 서적 Current Biography Yearbook, Volume 41 H. W. Wilson
[11] 서적 Inside the Recording Studio: Working with Callas, Rostropovich, Domingo, and the Classical Elite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2] 서적 Classical Music: Third Ear: The Essential Listening Companion https://books.google[...] Backbeat Books
[13] 서적 The Great Pianists from Mozart to the Present
[14] 영상매체 A Trail on the Water https://www.naxos.co[...] TDK 2001
[15] 서적 88 notes pour piano solo Neva Editions
[16] 백과사전 Maurizio Pollini https://www.britanni[...] 2024
[17] 뉴스 null The Times Register 2024-03-25
[18] 뉴스 Piano great Maurizio Pollini dies at 82 https://www3.nhk.or.[...] NHK 2024-03-24
[19] 뉴스 Pollini — The Prodigy Has Reached Maturity https://www.nytimes.[...] 1977-03-13
[20] 참고문헌 null
[21] 뉴스 Maurizio Pollini: a life in music https://www.faz.net/[...] 2024-01-23
[22] 참고문헌 null
[23] 웹사이트 Maurizio Pollini – The Well-Tempered Clavier (Book I) https://www.classica[...] 2010-05
[24] 웹사이트 Der junge Ludwig https://www.deutsche[...] Deutsche Grammophon 2007
[25] 뉴스 Concert: Abbado Leads Vienna Philharmonic https://www.nytimes.[...] 1987-03-08
[26] 뉴스 Maurizio Pollini: A life in music https://www.theguard[...] 2011-01
[27] 뉴스 Maurizio Pollini: a life in music https://www.faz.net/[...] 2024-01-23
[28] 웹사이트 Chicago Symphony Orchestra Tickets & Events https://archive.toda[...]
[29] 웹사이트 Pollini, Maurizio https://web.archive.[...] Deutsche Grammophon
[30] 뉴스 Spannender Abend mit Chopin-Virtuose http://www.allgemein[...] 2014-08-08
[31] 뉴스 null The Times Register 2024-03-25
[32] 뉴스 null The Times Register 2024-03-25
[33] 웹사이트 Addio a Maurizio Pollini https://www.giornale[...]
[34] 잡지 The Panoramic Pianist http://www.newyorker[...] 2000-04-03
[35] 서적 A Dictionary for the Modern Pianis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11-10
[36] 웹사이트 Beethoven Complete Piano Sonatas / Pollini https://www.deutsche[...] Deutsche Grammophon 2014-00-00
[37] 뉴스 The Player https://www.theguard[...] 2002-02-22
[38] 웹사이트 Pollini Complete Recordings https://www.deutsche[...] Deutsche Grammophon 2016-00-00
[39] 뉴스 Actress Loren among Japan art prize winners https://www.google.c[...] 2010-09-14
[40] 웹사이트 Maurizio Pollini (pianist) http://www.gramophon[...] Gramophone
[41] 서적 ピアニストガイド 青弓社 2006-02-10
[42] 뉴스 マウリツィオ・ポリーニさん死去 世界最高峰の伊ピアニスト、82歳 https://www.jiji.com[...] 2024-03-24
[43] 웹사이트 ferrucio-busoni-international-piano-competition https://www.salineac[...] www.salineacademy.com
[44] 뉴스 Acclaimed Italian pianist Maurizio Pollini dies at age 82 https://abcnews.go.c[...] abc news 2024-03-24
[45] 웹사이트 PROKOFIEV Piano Concerto No.3 M.Pollini, RAI Torino, H.Albert、1967 https://www.dailymot[...] www.dailymotion.com
[46] 서적 ショパンを弾く 春秋社 2009-00-00
[47] 웹사이트 Gli 80 anni di Maurizio Pollini http://www.classicvo[...] www.classicvoice.com 2022-01-04
[48] 서적 The Great Pianists: From Mozart to the Present Simon & Schuster 1987-00-00
[49] 웹사이트 gli-80-anni-di-maurizio-pollini http://www.classicvo[...] www.classicvoice.com
[50] 웹사이트 英独仏で受賞!歴史を変えたポリーニの金字塔ベートーヴェン後期ピアノ・ソナタ集(1975-77年) https://compass-of-m[...] compass-of-music.com 2022-06-09
[51] 웹사이트 【追悼】ピアニスト マウリツィオ・ポリーニ 82歳 https://tower.jp/art[...] tower.jp 2024-03-29
[52] 웹사이트 マウリツィオ・ポリーニの訃報に寄せて(その2)日本公演の記録 https://www.kajimoto[...] www.kajimotomusic.com 2024-03-27
[53] 웹사이트 II. … écrit pour le concours Umberto Micheli à Milan https://books.opened[...] books.openedition.org
[54] 웹사이트 ポリーニ・プロジェクト http://www.kajimotom[...] www.kajimotomusic.com
[55] 웹사이트 ポリーニ ピアノ・リサイタル https://www.suntory.[...] www.suntory.co.jp
[56] 웹사이트 Recitativo oscuro (1999) https://brahms.ircam[...] brahms.ircam.fr
[57] 웹사이트 Maurizio Pollini – the end? https://theotherclas[...] theotherclassicalmusics.org 2023-06-26
[58] 웹사이트 スケジュール2023 http://polliniamo.st[...] polliniamo.starfree.jp
[59] 웹사이트 MAURIZIO POLLINI 20 October 2024 https://www.teatroal[...] www.teatroallascala.org
[60] 웹사이트 2023年10月30日のピアノリサイタル http://polliniamo.st[...] polliniamo.starfree.jp
[61] 웹사이트 Klavierrezital: Maurizio Pollini https://tonhalle-orc[...] tonhalle-orchester.org
[62] 웹사이트 Addio a Maurizio Pollini https://www.giornale[...] 2024-03-23
[63] 웹사이트 マウリツィオ・ポリーニ・ピアノ・リサイタル https://web.archive.[...] www.kajimotomusic.com
[64] 웹사이트 maurizio-pollini-the-best-of-maurizio-pollini https://www.udiscove[...] www.udiscovermusic.jp 2022-01-06
[65] 웹사이트 Spotlight: Pollini Takes on a New Role; Runnicles Triumphs and Travels; Big Lucy Convalesces https://playbill.com[...] playbill.com 2006-08-25
[66] 웹사이트 マウリツィオ・ポリーニ https://www.ongakuno[...] www.ongakunotomo.co.jp
[67] 웹사이트 インタビュー https://www.youtube.[...] www.youtube.com 2023-06-14
[68] 웹사이트 一般的にポピュラー音楽はイマジネーションが貧弱と思います https://www.youtube.[...] www.youtube.com
[69] 웹사이트 Claudio Abbado, Maurizio Pollini and Anna Prohaska in conversation (2011) https://www.youtube.[...] www.youtube.com
[70] 웹사이트 アナログ教育 1998年07月05日(日)午後09:00 〜 午後09:30の番組末尾 https://www.nhk.or.j[...] NHK 1998-07-05
[71] 웹사이트 a dos grandes amigos: el director Claudio Abbado y el compositor Luigi Nono. https://elpais.com/c[...] www.classical.net 2023-03-23
[72] 웹사이트 アバド、ノーノ、そしてポリーニ https://encrypted-tb[...] encrypted-tbn0.gstatic.com
[73] 웹사이트 M・ポリーニも東京文化会館でのリサイタルの折、金屏風を立てていました。1995年です。 http://nozomu1223.bl[...] nozomu1223.blog.fc2.com
[74] 웹사이트 豪華な顔ぶれの会食 https://www.kurahen.[...] www.kurahen.com
[75] 웹사이트 The Last Three Piano Sonatas https://www.deutsche[...] DG 2020-05-18
[76] 웹사이트 The Late Sonatas https://www.deutsche[...] www.deutschegrammophon.com 2022-12-02
[77] 웹인용 Maurizio Pollini at 70: International Superstar of the Piano http://www.abc.net.a[...] ABC Classic FM 2013-01-29
[78] 서적 Music in the 20th century, Volume 2 https://archive.org/[...] M E Sharpe Reference
[79] 웹인용 Episode 62: Great Chopinists: Maurizio Pollini http://worldofopera.[...] WDAV Classical Public Radio 2013-01-29
[80] 뉴스 Maurizio Pollini: ice-man of the ivories https://www.telegrap[...] 2010-09-14
[81] 웹인용 Maurizio Pollini: A life in music https://www.theguard[...] 2011-01
[82] 서적 Current Biography Yearbook, Volume 41 H. W. Wilson
[83] 서적 Inside the Recording Studio: Working with Callas, Rostropovich, Domingo, and the Classical Elite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84] 서적 Classical Music: Third Ear: The Essential Listening Companion https://books.google[...] Backbeat Books
[85] 서적 The Great Pianists: From Mozart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86] 서적 88 notes pour piano solo Neva Edi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