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잔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잔산은 중국의 군벌이자 항일 투쟁의 영웅으로, 만주 사변 발발 후 장쉐량에 의해 헤이룽장성 정부 주석 대리로 임명되어 일본군에 저항했다. 그는 일본군에 투항하는 듯했으나, 이후 탈출하여 항일 연군을 조직, 게릴라전을 전개했다. 이후 소련으로 탈출했다가 중국으로 돌아와 항일 투쟁을 이어갔으며, 중일 전쟁 시기에는 '동양의 나폴레옹'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 초청되었으나, 1950년 베이징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핑시 출신 - 무솽솽
  • 쓰핑시 출신 - 조코암
    조코암은 중국 지린성 쓰핑시 출신의 가수로, 2014년 〈100원도 안 줘〉로 유명세를 얻어 앨범을 발매하고 솔로 콘서트를 개최하며 음악 활동을 이어갔다.
  • 후이족 사람 - 마귀 (명나라)
    마귀는 회회국 왕족 출신으로 닝샤의 난을 진압하고 정유재란 때 조선에 파견되어 울산성 전투에 참여했으며, 요동 총병관을 역임했고, 그의 후손은 한국 상곡 마씨의 시조가 되었다.
  • 후이족 사람 - 우레이
    우레이는 중국의 축구 선수로, 공격수로 활약하며 중국 슈퍼리그 역대 최다 득점자이고, RCD 에스파뇰에서 스페인 리그에 진출했으며 중국 국가대표팀 선수로 32골을 기록했다.
  • 중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중국의 제2차 세계 대전 관련자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마잔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잔산 장군
본명마잔산 (馬占山)
출생일1885년 11월 30일
출생지화이더(공주령시), 길림성, 청나라
사망일1950년 11월 29일
사망지베이징시, 중화인민공화국
별칭마잔산
친척마즈웨이(馬志偉) (손자)
경력
소속 정당중국 국민당
군사 경력
복무 기간1913년–1950년
최종 계급대장
소속 군대[[파일:十九星旗.svg|22px]] 동북군
[[파일:War Ensign of Manchukuo.svg|22px]] 만주국군 (1932년)
동북항일구국군
[[파일:Flag of the Republic of China Army.svg|22px]] 국민혁명군
주요 참전만주사변
9.18 사변
중일 전쟁
만주국 토벌
국공 내전
관직
임기 시작1932년 3월 9일
임기 종료1932년 4월 7일
전임직책 신설
후임장징후이
임기 시작1940년
임기 종료1945년
후임한준제(韓駿傑)
임기 시작1931년 10월 20일
임기 종료1933년
전임완푸린

2. 생애

지린성 궁주링시 출신으로, 젊은 시절 마적 활동을 하기도 했으나 우쥔성에게 발탁되어 군인의 길을 걸었다.[40] 1911년 연대장, 1925년 여단장으로 진급했다.[26]

1931년 만주 사변 발발 후 헤이룽장성 주석 대리로 임명되어 치치하얼 방어를 지휘하며 일본 관동군에 맞서 싸웠다.[26][27] 이 저항은 그를 항일 영웅으로 부각시켰으나, 전력의 열세로 후퇴했다.[28]

1932년 초, 일본 측의 회유와 압력으로[30] 만주국 건국에 참여하여 헤이룽장성 성장과 군정부 부장을 맡았다.[29][31][34] 그러나 약 한 달 만인 4월, 만주국을 탈출하여[35] 둥베이 구국 항일 연군을 조직하고 항일 투쟁을 재개했다.[36] 능숙한 게릴라 전술로 일본군에게 '동양의 나폴레옹'으로 불리기도 했다.

1933년 군사적 열세로 소련으로 망명했다가 유럽을 거쳐 귀국했으나, 장제스의 소극적인 태도로 톈진에 머물렀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 후 둥베이 팅진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산시성 등지에서 팔로군과 협력하며 항일 투쟁을 이어갔다.

제2차 국공 내전 시기에는 국민혁명군 측 직책을 맡기도 했으나,[37][38] 베이핑 함락 시 공산군과의 평화 협상에 참여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1950년 베이징에서 병사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마잔산은 1885년 지린성 궁주링시의 가난한 목양(양치기) 집안에서 태어났다.[40][4] 일부 서방 자료에서는 1887년 랴오닝성 출생설을 제기하기도 하지만,[41][5] 대부분의 자료는 1885년생으로 본다.[42][1] 그는 만주족 혈통이었다.[6][7][8][9][10]

20세에 화이더현의 보안원이 되었으며,[40][4] 뛰어난 사격술과 승마술로 명성을 얻었다. 영국 외교 문서는 그를 정규 훈련을 받지 않은 군인으로 묘사하면서도 사격과 승마의 달인이라고 평가했다.[11] 그의 재능은 군벌 우준성의 눈에 띄어 1908년 제4보안경비대대 경비 감시관으로 발탁되었다.[4] 일부 기록에는 그가 젊은 시절 마적 활동을 했다는 내용도 있다.

1911년에는 연대장이 되었고,[26] 1913년에는 중화민국 육군 중앙 기병군 제2여단 제3연대 제3중대 소령 겸 중대장으로 임명되었다. 1920년에는 대령으로 진급하여 계속해서 우준성 휘하에서 활동했다. 이후 장쭤린이 이끄는 동북군에 합류하여 제17기병사단 제5기병여단 여단장(1925년경[26]), 헤이룽장성 육군 제3보병여단 여단장 등을 역임했다.

1928년 장쭤린이 사망한 후, 마잔산은 헤이룽장성의 범죄 소탕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헤이룽장성 기병대 총사령관이 되었다.

2. 2. 만주사변과 항일 투쟁

눈강 철교에서의 전투(1931년)


1931년 9월 만주 사변이 발발했을 당시, 헤이룽장성 성장 완푸린은 베이징에 머물고 있어 성을 지킬 지휘관이 부재한 상황이었다. 랴오닝성지린성이 일본 관동군에 의해 침공당하자, 장쉐량은 난징의 국민 정부에 지시를 요청했고, 10월 10일 마잔산을 헤이룽장성 성장 겸 군사령관 대리로 임명했다. 마잔산은 10월 19일 성도 치치하얼에 도착하여 다음 날 취임식을 가졌다. 그는 즉시 군사 회의를 소집하여 항복론자들의 주장을 물리치고 직접 방어 진지를 시찰하며 "나는 성 주석으로 임명되었으며, 성을 지킬 책임이 있다. 결코 항복하는 장군이 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마잔산은 눈 강의 철교를 파괴하여 관동군과 이에 협력한 장하이펑 군의 침공을 저지하려 했다.[26][27] 일본군은 내전 중 파괴되었던 눈강 철교의 수리를 반복해서 요구했으나 마잔산은 이를 거부했다. 결국 일본은 수리반과 800명의 호위 병력을 보냈고, 인근에 주둔 중이던 2,500명의 중국군과 충돌하여 눈 강 다리 전투가 벌어졌다. 양측은 서로 상대방이 먼저 발포했다고 주장했으며, 이 전투는 장차오 전역의 시작이 되었다. 11월 초, 눈강 철교 북쪽 다싱역 부근에서 양측 군대가 충돌했고, 중순에는 관동군이 치치하얼 이북으로의 철수를 요구했으나 마잔산은 거절하며 소규모 교전을 이어갔다.[28]

비록 일본군의 전차포병 등 우세한 화력에 밀려 11월 18일 치치하얼에서 철수해야 했지만, 마잔산의 저항은 중국 및 국제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되며 그를 일본에 맞선 국민적 영웅으로 만들었다.[12][13] 그의 항전은 딩차오 등 다른 지휘관들이 하얼빈 등지에서 저항을 이어가도록 고무했으며, 많은 중국인이 그의 군대에 자원하거나 지원하도록 만들었다. 마잔산은 일본의 침략에 맞서 도움을 요청하는 전보를 국제 연맹에도 보냈고[14], 미국 거주 중국인들은 전투 자금으로 2000USD를 보내기도 했다.[15]

그러나 제2차 와카쓰키 내각은 관동군의 치치하얼 침공이 국제 여론을 악화시킬 것을 우려했음에도 불구하고, 관동군은 결국 치치하얼을 점령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마잔산은 후퇴했고, 11월 하순에는 관동군의 지원을 받은 장징후이가 헤이룽장성에 새로운 정권 수립을 선언했다.[28] 2만 명의 병력을 이끌던 마잔산은 계속 저항을 이어나갔다.[29]

1931년 12월 7일, 관동군 참모 이타가키 세이시로는 마잔산을 직접 찾아가 새로운 만주국헤이룽장성 성장 자리를 제안하며 회유했다. 결국 마잔산은 셰제스의 설득 등을 받아들여 만주국 수립 움직임에 참여하게 되었다.[30] 1932년 2월 5일 하얼빈이 함락되자 만주국 수립은 가속화되었고, 2월 7일 마잔산은 관동군에 귀순했다.[29][31] 2월 16일, 그는 펑톈(현재의 선양시)에서 장징후이(헤이룽장성 성장), 창스이(펑톈성 성장), 시치아(지린성 성장)와 함께 4거두 회담(건국 회의)에 참여했다.[29][31] 다음 날인 17일, 장징후이를 위원장으로 하는 둥베이 최고 행정위원회가 발족했고 마잔산도 위원으로 참여했으며, 18일에는 동북 지방이 국민 정부로부터 이탈함을 선언했다.[29][32][33] 3월 1일 만주국이 건국되자, 마잔산은 헤이룽장성 성장직과 함께 3월 9일 만주국 군정부 부장직을 겸임하게 되었다.[34]

그러나 만주국에 참여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4월 1일, 마잔산은 헤이허를 비밀리에 탈출하여[35] 라디오 방송을 통해 동북 전역에 항일 투쟁을 호소하며 둥베이 구국 항일 연군을 조직했다.[36] 그는 마적 시절의 경험을 살린 교묘한 게릴라 전술로 일본군을 괴롭혔고, 일본군 사이에서 '동양의 나폴레옹'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하지만 군사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1933년 소련으로 망명했다. 이후 유럽을 거쳐 중국으로 돌아와 장제스에게 항전을 건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군사위원회 위원이라는 명목상의 직책만 받은 채 톈진조계에 머물렀다.

1936년 시안 사건이 발생하자 장쉐량과 양후청을 지지했으며,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으로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둥베이 팅진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어 산시성 일대에서 팔로군과 협력하며 항일 투쟁을 지속했다.

제2차 국공 내전 시기인 1948년 8월에는 둥베이 '초비' 총사령부 부총사령 겸 쑹베이 수이징 총사령,[37] 9월에는 둥베이 '초비' 총사령부 정무위원회 위원을 맡았다.[38] 이후 병으로 쓰러져 베이핑에서 지내던 중, 중국 인민 해방군이 베이핑을 포위하자 푸쭤이의 지시로 덩바오산과 함께 공산군과의 평화 협상에 참여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인 1950년, 중국 인민 정치 협상 회의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 병세 악화로 회의에 참석하지 못하고 베이징에서 6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3. 만주국 협력과 배신

1931년 9월 만주 사변이 발발하자, 장쉐량은 마잔산을 헤이룽장성 정부 주석 대리로 임명했다. 마잔산은 10월 중순 눈강철교를 파괴하고 치치하얼에서 관동군과 이에 협력한 장하이펑 군대의 침공을 막으려 했다.[26][27] 11월 초, 관동군과 마잔산 군은 눈강 철교 북쪽 다싱역 부근에서 충돌했으며, 중순에는 관동군이 치치하얼 이북으로의 철수를 요구했으나 마잔산은 이를 거부하고 소규모 교전을 이어갔다.[28] 당시 일본의 제2차 와카쓰키 내각은 관동군의 치치하얼 침공이 국제 여론을 악화시킬 것을 우려하여 내각총사직까지 시사했지만, 관동군은 결국 치치하얼을 침공했다. 격렬한 전투 끝에 마잔산은 치치하얼을 포기했으나, 관동군은 소부대만 남기고 철수했다. 이후 11월 하순, 하얼빈에 있던 장징후이가 관동군의 지원을 받아 헤이룽장성에 새로운 정권을 수립하겠다고 선언했다.[28] 2만 명의 병력을 이끌던 마잔산은 명망이 높았으며 끝까지 저항을 계속했다.[29]

만주 침략에 저항한 명성과 영웅적인 노력으로 인해, 마잔산은 겐지 도이하라 대령으로부터 신생 만주국군에 투항하는 대가로 300만달러 상당의 금화를 제안받았다.[16] 또한 1931년 12월 7일, 관동군 참모 이타가키 세이시로는 마잔산의 본거지를 찾아가 새로운 만주국의 헤이룽장성 성장 자리를 약속하며 설득했다.[30] 마잔산은 셰제스의 설득에도 응하는 형태로[30] 투항에 동의하고, 지방 주민들을 새 정부에 화해시키기 위해 순회하겠다고 제안했다. 1932년 1월 선양으로 가서 괴뢰 국가 만주국 건국 회의에 참석했으나, 당시 병을 앓고 있어 만주국 독립 선언 서명은 피했다. 2월 5일 하얼빈이 함락되면서 만주국 수립 움직임이 빨라졌고, 2월 7일 마잔산은 관동군에 귀순했다.[29][31] 2월 16일, 일본 군용기로 펑톈(현재의 선양시)에 도착하여 장징후이(헤이룽장 성장), 창스이(펑톈성 성장), 시치아(지린성 성장)와 함께 4거두 회담(건국 회의)에 참여했다.[29][31] 다음 날인 17일 둥베이 최고 행정위원회가 발족했고 마잔산도 위원이 되었으며, 18일 위원회는 동북 지방이 국민 정부로부터 이탈함을 선언했다.[29][32][33] 3월 1일 만주국이 건국되었고, 마잔산은 헤이룽장성 성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같은 해 3월 9일 푸이의 만주국 섭정 취임식에 참석했으며, 만주국 군정부장 겸 육군 장관을 겸임하게 되었다.[34] 그러나 일본은 마잔산을 완전히 신뢰하지 않았고, 그는 모든 성 관련 문제에 대해 일본인 고문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마잔산은 "투항" 이후 일본에 반기를 들기로 비밀리에 결정하고, 일본으로부터 받은 막대한 자금을 사용하여 자신의 새로운 의용군을 양성하고 재무장했다.[17] 그는 비밀리에 무기와 탄약을 병기창에서 빼돌렸고, 병사들의 아내와 가족들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켰다. 1932년 4월 1일, 그는 검열을 위해 치치하얼에서 병력을 이끌고 나왔으나[18], 4월 7일 헤이허에서 헤이룽장성 정부의 재건과 만주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하고 라디오를 통해 동북 전역에 항전을 호소했다.[35][36] 마잔산은 5월 초 병력을 9개 여단으로 재편성하고, 부시, 간난, 커산, 커둥 등지에 11개의 의용군을 추가로 창설했다. 이 부대는 "동북 항일 구국군"으로 불렸으며, 마잔산은 스스로 명목상 사령관을 맡아 다른 항일 의용군까지 흡수하여 최대 약 30만 명의 병력을 지휘했다.

마잔산 휘하 부대는 주요 도로에서 매복 작전을 펼치며 여러 전투에서 만주국군과 일본군에게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이에 관동군은 "마잔산 토벌 작전"을 개시하여 일본군과 만주국군으로 구성된 대규모 혼성 부대를 투입해 마잔산 군대를 포위하고 섬멸하려 했다. 이전 전투로 심각하게 소모되었음에도 마잔산 군대는 만주국군의 태만 덕분에 포위망을 탈출했다. 9월, 마잔산은 룽먼 현에서 수빙원의 헤이룽장 구국군과 합류했다. 그러나 이어진 "수빙원 토벌 작전"에서 3만 명의 일본-만주국 연합군은 12월에 마잔산과 수빙원을 국경 너머 소련으로 몰아냈다. 그의 병력 대부분은 이후 러허로 이동했다.

소련으로 탈출한 후에도 마잔산은 유럽을 거쳐 중국으로 돌아왔고, 장제스에게 항전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으나 실권은 없었고, 톈진조계에 머물렀다. 1936년 시안 사건이 발생하자 장쉐량과 양후청을 지지했으며,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 이후에는 둥베이 팅진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어 산시성에서 팔로군과 협력하며 항일 투쟁을 이어갔다.

소련 망명 이전, 마잔산은 약 3,500명의 게릴라 부대를 이끌고 만주국 금고 습격, 수도 창춘 공격, 비행장에서 일본 항공기 6대 납치 등 과감한 작전을 감행했다.[19] 마적 시절의 경험을 살린 교묘한 게릴라 전술로 일본군을 괴롭혔으며, 일본군 장병들로부터 동양의 나폴레옹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일본은 마잔산에게 큰 골칫거리였으며, 그의 장비와 말을 노획했을 때 그가 죽었다고 판단하고 이를 천황에게 바치기까지 했다. 그러나 마잔산이 살아남아 탈출했다는 사실에 일본은 격분했다.[14] 당시 《차이나 먼슬리 리뷰》는 "일본 전신이 마잔산 장군이 죽었다고 반복적이고 끈질기게 주장하는 것은 코미디에 가깝다"고 보도할 정도였다.[20] 일본은 수개월에 걸쳐 마잔산이 사망했다는 다양한 주장을 끊임없이 만들어냈다.[21]

마잔산이 탈출한 후에도 그의 부하들은 일본 점령군에 대한 저항을 계속했다. 그들은 일본인과 한국인 350명을 인질로 잡고 몇 주 동안 억류했으며, 영국 장군의 아들이나 미국인 간부의 아내와 같은 외국인들을 납치하기도 했다.[22]

2. 4. 지속적인 항일 투쟁과 중일전쟁

1933년 6월, 소련,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을 거쳐 중국으로 돌아왔다.[23] 귀국 후 장제스에게 일본군과 싸울 군대를 요청했지만 지원을 받지 못하고 군사위원회 위원이라는 명목상의 직책만 받았다. 결국 1936년 10월까지 톈진조계에 머물렀다.

1936년 시안 사건이 발생했을 때 시안에 있었던 마잔산은 장쉐량에게 국가가 어려운 시기이니 장제스를 해치지 말라고 조언했으며, 장쉐량과 양후청이 발표한 "현재 정치 상황 선언"에도 서명했다. 장쉐량은 마잔산을 "대일 원조 쑤이위안 기병군" 사령관으로 임명했지만, 장쉐량이 장제스에게 구금되면서 이 부대는 곧 해산되었다.

1937년 루거우차오 사건으로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마잔산은 동북 진격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어 랴오닝, 지린, 헤이룽장, 러허 등 동북 4개 성의 항일 투쟁을 지휘하게 되었다. 같은 해 8월 다퉁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군대를 이끌고 차하얼, 수이위안, 다퉁, 산시 등지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다. 특히 푸쭤이의 부대와 협력하여 수이위안 방어전과 인산 전쟁 등에 참여하며 항일 전선에서 활약했다. 마잔산은 마적 시절의 경험을 살린 교묘한 게릴라 전술로 일본군에게 '동양의 나폴레옹'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마잔산은 국민당 정부의 소극적인 항일 정책에 비판적이었고, 항일 노선에 있어서는 중국 공산당과 뜻을 같이했다. 1939년에는 옌안을 직접 방문하여 팔로군과의 협력을 모색했으며, 1940년 8월에는 중국 공산당에 의해 헤이룽장성 임시 정부 주석으로 임명되어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이 직함을 비밀리에 유지했다.[25]

3. 만년과 사망

일본의 패전 후, 국민당 정부는 마잔산을 동북 부보안사령관으로 임명했다. 그는 선양에서 취임했지만, 반년 후 병을 이유로 베이징 자택으로 은퇴했다. 1948년 8월 5일에는 둥베이 토벌 총사령부 부총사령 겸 쑹베이 수이징 총사령으로 임명되었고[37], 같은 해 9월 6일에는 둥베이 토벌 총사령부 정무위원회 위원이 되었다.[38]

이후 병으로 쓰러져 베이핑에 머물렀다. 국공 내전 말기, 중국 인민 해방군이 베이핑을 포위했을 때, 그는 푸쭤이의 요청으로 덩바오산과 함께 해방군과의 평화 협상에 참여했다. 이 과정에서 푸쭤이 장군을 설득하여 베이핑이 공산당에 평화적으로 넘어가도록 기여했으며[26], 이후 1949년 1월 공산당으로 전향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인 1950년 6월, 마오쩌둥 주석은 그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으로 초청했지만, 병세로 인해 참석하지 못했다. 결국 같은 해 11월 29일 베이징에서 6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4. 평가

마잔산은 만주 사변 초기 헤이룽장성 주석 대리로서 눈강 철교를 파괴하고 치치하얼에서 관동군의 침공에 맞서 싸우며 항일 의지를 보여줬다[26][27][28]. 비록 관동군의 압력으로 잠시 만주국에 참여하여 헤이룽장성 성장과 군정부장을 맡기도 했지만[29][31][32][33][34], 한 달도 되지 않아 탈출하여 항일 투쟁을 다시 시작했다[35][36]. 그는 둥베이 구국 항일 연군을 조직하고 소련 망명과 유럽 경유 후 중국으로 돌아와 장제스에게 항전을 요구했으며, 시안 사건에서는 장쉐량 등을 지지했다. 루거우차오 사건 이후 둥베이 팅진군 총사령관으로서 산시성에서 팔로군과 협력하며 항일 투쟁을 계속했다. 특히 마적 시절의 경험을 살린 교묘한 게릴라 전술로 일본군에게 큰 위협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일본군 장병들로부터 동양의 나폴레옹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그의 행보는 복잡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싸운 항일 지도자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Generals of World War II Generals from China Ma Zhanshan http://www.generals.[...] 2010-10-31
[2] 서적 Government and politics in Kuomintang China, 1927–1937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06-28
[3] 웹사이트 Index Ma-Mam http://rulers.org/in[...]
[4] 서적 Inside Asia - 1942 War Edition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10-06-28
[5] 서적 British documents on foreign affairs: reports and papers from the Foreign Office confidential print. From 1946 through 1950. Asia, Volume 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ublications of America 2010-06-28
[6] 웹사이트 The Other Side of Ma Zhanshan during Second Sino-Japanese War http://news.china.co[...] China Internet Information Center 2017-11-27
[7] 웹사이트 Ma Zhiwei http://www.qhszx.gov[...] Chinese People's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2017-11-27
[8] 웹사이트 Ma Zhiwei http://www.minge.gov[...] The Revolutionary Committee of Chinese Kuomintang 2017-11-27
[9] 웹사이트 Ma Zhiwei at Ma Zhanshan's Ceremony http://www.tjminge.o[...] The Revolutionary Committee of Chinese Kuomintang of Tianjin 2017-11-27
[10] 서적 The Dictionary of Chinese Higher Level-Leaders (中国党政军高级领导人词典) https://books.google[...] Wen Wei Publishing Company 2017-11-27
[11] 서적 British documents on foreign affairs--reports and papers from the Foreign Office confidential print: From 1940 through 1945.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ublications of America 2011-06-06
[12] 서적 Contemporary Japan: a review of Far Eastern affairs, Volume 7 https://www.google.c[...] The Foreign Affairs Association of Japan. 2010-06-28
[13] 서적 Contemporary Japan: a review of Far Eastern affairs, Volume 7 https://books.google[...] The Foreign Affairs Association of Japan. 2010-06-28
[14] 서적 Inside Asia - 1942 War Edition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10-06-28
[15] 뉴스 CHINA-JAPAN: Hero Ma http://www.time.com/[...] 2010-12-12
[16] 뉴스 JAPAN-CHINA: Heaven-Sent Army http://www.time.com/[...] 2010-12-12
[17] 서적 Who's who in China, 1918-1950: 1931-1950 https://books.google[...] Chinese Materials Center 2011-06-06
[18] 서적 The China monthly review, Volumes 82-83 https://books.google[...] J.W. Powell 2011-06-07
[19] 서적 Chiang Kai Shek: China's Generalissimo and the Nation He Lost https://books.google[...] Carroll & Graf Publishers 2010-12-28
[20] 서적 The China monthly review, Volume 61 https://books.google[...] FJ.W. Powell 2011-06-01
[21] 서적 The China monthly review, Volume 61 https://books.google[...] FJ.W. Powell 2011-06-01
[22] 서적 Chiang Kai Shek: China's Generalissimo and the Nation He Lost https://books.google[...] Carroll & Graf Publishers 2010-12-28
[23] 뉴스 SINO REFUGEE PARTY ARRIVES IN GERMANY https://news.google.[...] 2010-12-12
[24] 서적 A history of the Far East https://books.google[...] Longmans, Green 2010-06-28
[25] 서적 British documents on foreign affairs: reports and papers from the Foreign Office confidential print. From 1946 through 1950. Asia, Volume 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ublications of America 2011-06-06
[26] 문서 川田(2010)p.170
[27] 문서 川田(2010)p.170
[28] 문서 川田(2010)pp.172-174
[29] 문서 『1億人の昭和史1』(1975)pp.147-153
[30] 문서 韓雲階
[31] 문서 NHK『日本の選択7』(1995)pp.126-127
[32] 문서 『1億人の昭和史1』(1975)p.147
[33] 문서 NHK『日本の選択7』(1995)pp.126-127
[34] 문서 NHK『日本の選択7』(1995)p.124
[35] 문서 裏切りの原因は満洲国内で何の恩賞も無かったため憤慨したためだとされる
[36] 문서 리튼조사단은 마전산과의 면담을 원했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37] 웹사이트 總統府広報第67号(民国37年8月5日) http://twinfo.ncl.ed[...] 政府広報資訊網 2017-10-07
[38] 웹사이트 總統府広報第93号(民国37年9月6日) http://twinfo.ncl.ed[...] 政府広報資訊網 2017-10-07
[39] 웹사이트 Index Ma-Mam http://rulers.org/in[...]
[40] 서적 Inside Asia - 1942 War Edition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10-06-28
[41] 서적 British documents on foreign affairs: reports and papers from the Foreign Office confidential print. From 1946 through 1950. Asia, Volume 1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ublications of America 2010-06-28
[42] 웹사이트 The Generals of World War II Generals from China Ma Zhanshan http://www.generals.[...] 2010-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