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안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안교는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를 수원 화산으로 옮긴 후 능행길의 교통 편의를 위해 1795년에 축조된 돌다리이다. 서울에서 수원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며, 안양의 삼막천을 건너기 위해 세워졌다. 《만안교비》를 통해 축조 유래와 정조가 직접 다리 이름을 지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물길 변경과 도로 확장으로 인해 훼손되었으나, 1980년 국도 확장 공사 시 현재 위치로 이전 복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양시의 문화유산 - 구 서이면사무소
    구 서이면사무소는 일제강점기 과천군 서이면의 행정 중심지로 건립되어 수탈 정책을 집행하며 민중에게 고통을 주었고, 안양면사무소로 명칭 변경 후 안양읍사무소로 사용되다 매각되었으나 안양시가 매입하여 복원 후 박물관 분관으로 활용 중이며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지만 친일 행적 관련 논란이 있다.
  • 안양시의 문화유산 - 안양 석수동 마애종
    안양 석수동 마애종은 사각형 결구, 쇠사슬 연결 종, 음통 종뉴가 특징인 마애종으로, 청동 종과 유사한 표현과 균형 잡힌 배치로 안정감을 주어 고려 시대 불교 문화와 예술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 화석정
    화석정은 1443년 이이의 5대 조부 이명신이 건립하고 이숙함이 이름을 지었으며, 임진왜란과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었으나 여러 차례 복원된 정자이다.
  • 경기도의 유형문화재 - 삼봉집
    삼봉집은 조선 초 정도전의 문집으로, 그의 사상과 정치 철학, 문학적 재능을 보여주는 다양한 형태의 글과 《조선경국전》 등을 담고 있으며, 그의 정치, 경제, 철학 사상이 담긴 삼봉집 목판은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경기도의 교량 - 방화대교
    방화대교는 2000년 11월 21일 개통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일부이자 한강의 26번째 다리이다.
  • 경기도의 교량 - 미사대교
    미사대교는 서울양양고속도로의 일부로, 한강을 가로질러 하남시와 남양주시를 연결하며, 2009년 개통되어 수도권 동부 지역의 교통망 확충에 기여한다.
만안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만안교
이름만안교
한자 표기萬安橋
위치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679번지
문화재 지정 정보
국가대한민국
소속경기도
유형유형문화재
지정 번호38
지정일1973년 7월 10일
역사 정보
시대조선
웹사이트
문화재청만안교 문화재청 홈페이지

2. 축조

1789년(정조 13년)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화산(오늘날의 수원시)으로 옮겨 현륭원이라 하였다.[4] 이후 정조는 해마다 능행에 나섰다. 정기적으로 능행길에 오르면서 정조는 서울과 수원을 잇는 교통을 정비하게 되었다. 나룻배로 한강을 건너는 것이 불편하자 배다리를 띄우게 하였고[5] 수원에 이르는 길도 새로 닦도록 하였다. 원래 서울에서 수원으로 가는 길은 한강을 넘어 노량진에 닿은 뒤 과천을 지나 남태령을 넘어 인덕원을 지났다. 남태령을 넘는 길이 험했기 때문에 정조는 수원 화성까지 능행에 편리함을 도모하고자 새롭게 길을 닦았는데 이 길이 시흥대로의 시초이다.[6] 항간에서는 사도세자의 죽음에 연루된 김약로의 무덤이 남태령에 있기 때문에 이를 피하고자 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7] 새 길은 금천을 지나 안양의 삼막천을 건너 수원에 이르는 길이었고, 이때 삼막천을 건널 다리로 만안교를 축조하게 되었다.[6]

1793년(정조 17년) 정조는 수원의 현륭원에 나아가 작헌례를 하면서[8] 처음으로 새로 닦은 길을 지나게 되었다. 만안교 자리에 처음 놓인 다리는 나무로 된 것이었다. 나무 다리가 불편하여 경기도 관찰사 서용보가 돌다리를 놓고자 하였으나 윤허를 받지 못하였다. 1795년(정조 19년) 경기도 관찰사 서유방은 돌다리를 만들라는 어명을 받고 3개월에 걸쳐 만안교를 축조하였다. 만안교는 아치를 사용한 홍예교(虹蜺橋)로 다리 밑에는 박석을 깔아 물의 흐름이 거세도 다리가 상하는 일이 없도록 하였고, 다리 기둥의 끝도 물의 흐름에 따른 마찰을 줄이도록 마름모꼴로 하였다. 위로는 장대석(長臺石)을 깔아 사람과 짐이 지나다니는 길을 만들었다.[9]

3. 기록

여지도서》에는 안양교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어, 예전부터 다리가 놓여 있던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금천현 항목에는 "만안교는 남쪽 10리 안양천에서 수원으로 통하는 대로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7]

만안교 앞에는 축조 당시 세운 《만안교비》가 있다. 비 뒷면에는 축조 담당자였던 경기도 관찰사 서유방이 글을 짓고 조윤형이 글씨를 쓴 축조 유래인 〈음기〉가 쓰여 있다. 비 앞면에는 유한지 예서 기원첩을 남긴 조선 후기 문필가 유한지가 예서 대자로 쓴 만안교라는 다리 이름이 새겨져 있다. 비 측면에는 다리 축조에 관여한 관리 이름들이 적혀 있다.[10]

4. 변형

일제강점기 안양천의 물길을 바로잡는 직강화 공사로 인해 만안교 아래로는 더 이상 물이 흐르지 않게 되었다.[12] 도로 공사와 도시화 과정에서 만안교는 훼손되었으며, 1972년 기록에는 만안교의 상당 부분이 땅에 묻혀 있었다고 한다.[12] 원래 만안교가 있던 위치는 안양예술공원 지하차도 입구 교차로에서 서울 방향으로 약 20미터 지점(현재의 영화아파트 자리)이었으나, 1980년 국도 제1호선 확장 공사 때 이전 및 복원되었다.[12] 정조가 능행길에 하루 묵어가기 위해 설치했던 안양 행궁은 현재 사라지고 표지석만 남아있다.[12]

참조

[1] 웹사이트 만안교 http://www.heritage.[...] 문화재청
[2] 웹사이트 만안교 http://gjicp.ggcf.kr[...] 경기문화재 연구소
[3] 웹사이트 만안구 http://manan.anyang.[...] 만안구청
[4] 문헌 어제장헌대왕지문 http://sillok.histor[...] 정조실록 1789-10-07
[5] 문헌 한강을 건너기에 편한 배다리에 관한 어제 《주교지남(舟橋指南)》의 내용 http://sillok.histor[...] 정조실록 1790-07-01
[6] 웹사이트 시흥대로 http://www.k-heritag[...] 문화재청 해리티지채널 2018-06-12
[7] 간행물 옛다리를 찾아서 - 안양 만안교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04-09
[8] 문헌 현릉원에 나아가 작헌례를 하고 수원 행궁에 머무르다. http://sillok.histor[...] 정조실록 1793-01-13
[9] 뉴스 수백 년 오롯이 간직한 정조 효심과 동행하다 http://www.sjbnews.c[...] 새전북신문 2015-06-03
[10] 웹사이트 만안교비 http://gsm.nricp.go.[...]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11] 웹사이트 유한지 예서 기원첩 http://www.heritage.[...] 문화재청
[12] 웹사이트 1980년 만안교 해체 이전 복원 공사 현장 http://anyangbank.ti[...] 안양지역시민연대/안양지역정보뱅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