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매개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개체는 질병을 옮기는 역할을 하는 생물체로, 절지동물, 식물, 균류, 포유류 등이 해당된다. 절지동물 매개체에는 모기, 파리, 진드기 등이 있으며, 이들은 말라리아, 뎅기열, 라임병 등 다양한 질병을 전파한다. 식물과 균류는 특정 바이러스를, 포유류는 광견병과 같은 질병을 매개한다. 인간의 활동, 특히 토지 이용 변화, 무역 세계화, 기후 변화 등은 매개체 전염 질병의 확산을 가속화하며, 세계 보건 기구는 통합 매개체 관리(IVM)를 통해 질병 관리와 환경 보호를 동시에 추구한다. 한국 역시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 매개체 전염 질병의 위험에 직면해 있으며, 기후 변화와 해외여행 증가로 새로운 질병 유입의 위험도 커지고 있어, 매개체 감시 강화와 국민 인식 제고가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생충학 - 모기
    모기는 파리목 모기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전 세계에 3,600종 이상이 있으며, 일부 종은 말라리아, 뎅기열, 황열병과 같은 질병을 매개하여 인간에게 해로운 존재이지만, 다양한 생태계 역할을 수행한다.
  • 기생충학 - 숙주
    숙주는 공생 관계에서 다른 유기체에게 서식지나 영양을 제공하는 유기체로서, 기생, 상리공생, 공생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기생충의 생활사 단계에 따라 1차, 2차, 중간 숙주 등으로 분류된다.
  • 역학 (의학) - 사망률
    사망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사망자 수를 인구 집단 크기로 나눈 비율로, 인구 집단의 건강 상태와 사회 경제적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역학 연구, 세계 보건 동향 분석 등에 활용된다.
  • 역학 (의학) - 감염
    감염은 병원체가 숙주 체내에 침입하여 증식하는 현상으로, 점막이나 상처를 통해 집락화하며, 면역이 약화된 숙주는 기회 감염에 취약하고, 전염병, 유행, 팬데믹, 엔데믹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감염 사슬을 이해하고 차단하는 것이 예방에 중요하다.
매개체
정의
설명감염성 병원체를 다른 살아있는 유기체로 옮기는 매개체
유형
생물학적 매개체병원체가 매개체 내에서 번식하거나 발달함
예시: 말라리아 모기
기계적 매개체병원체를 운반하지만 병원체 발달에 필요하지 않음
예시: 파리
질병
매개체 매개 질병말라리아
뎅기열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지카 바이러스
치쿤구니야열
황열
림프사상충증
일본뇌염
회귀열
샤가스병
리슈마니아증
주혈흡충증
바베시아증
에를리키아증
라임병
록키산 홍반열
아프리카 수면병
한타바이러스 폐증후군
출혈열 (예: 크리미안 콩고 출혈열)

2. 절지동물 매개체

절지동물은 질병을 옮기는 주요 매개체 그룹을 형성하며, 여기에는 모기, 파리, 샌드플라이, 이, 벼룩, 빈대, 진드기 등이 포함된다. 이들 중 상당수는 생애의 일부 또는 모든 단계에서 피를 먹고 사는 흡혈동물이다.[6][7] 절지동물 매개체가 흡혈을 할 때, 병원체가 숙주의 혈류로 침입하여 질병을 전파하게 된다.[6][7] 병원체가 숙주에게 전달되는 구체적인 방식은 매개체 종류에 따라 다양하다.[8][9][10][11][12][13]

2. 1. 모기

모기는 말라리아, 사상충증, 일본뇌염, 뎅기열, 황열병 등 다양한 질병을 옮기는 대표적인 절지동물 매개체이다.[6][7] 흡혈동물인 모기는 사람이나 동물의 피를 빠는 과정에서 병원체를 숙주에게 전파한다.

특히 ''Anopheles'' 속 모기는 말라리아, 사상충증, 그리고 다양한 절지동물 매개 바이러스(arbovirus)의 주요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8][9] 이 모기는 섬세한 입(구기)을 피부 아래로 삽입하여 숙주의 혈액을 직접 빨아먹는다. 모기가 옮기는 기생충은 일반적으로 모기의 타액선(침샘)에 위치하며, 모기가 피를 빨 때 침과 함께 숙주의 혈류로 직접 들어가게 된다.[8][9] 이 외에도 모기는 일본뇌염, 뎅기열, 황열병 등 여러 심각한 질병을 매개한다.

2. 2. 파리

흡혈파리(샌드플라이)와 먹파리는 특정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이다. 이들은 숙주의 피부에 상처를 내어 흘러나온 혈액 웅덩이에서 피를 빨아먹는 방식(pool feeding)으로 흡혈한다.[8][9]

흡혈파리는 리슈만 편모충증을 일으키는 ''Leishmania'' 기생충을 옮기며, 이 기생충은 흡혈파리의 침을 통해 숙주에게 감염된다. 먹파리사상충증(회선사상충증)을 유발하는 ''Onchocerca'' 기생충의 매개체로, 이 기생충은 먹파리가 피를 빠는 동안 곤충의 머리 부분에서 나와 혈액 웅덩이로 이동하여 숙주를 감염시킨다.[8][9] 또한 아프리카에서는 체체파리가 수면병(아프리카 트리파노소마증)을 옮기는 주요 매개체이다.

2. 3. 진드기

라임병을 옮기는 참진드기의 일종(''Ixodes scapularis'').


진드기모기, 파리, 이, 벼룩 등과 함께 질병을 옮기는 주요 절지동물 매개체 그룹에 속한다. 이들 중 다수는 생애 주기 동안 피를 빨아먹는 흡혈동물이며, 이 과정에서 병원체를 숙주에게 옮길 수 있다.

진드기류는 특히 라임병, 쯔쯔가무시병과 같은 질병의 주요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 보이는 참진드기류(''Ixodes scapularis'')는 라임병의 병원체를 옮기는 대표적인 종류이다.

2. 4. 기타 절지동물

침노린재아과(Triatomine bugs)에 속하는 곤충들은 샤가스병을 일으키는 트리파노소마인 ''Trypanosoma cruzi''를 옮기는 역할을 한다. 이 곤충들은 흡혈하는 동안 배설하는데, 이 배설물 속에 기생충이 들어있다. 사람이 벌레에 물린 부위를 긁거나 만지면, 배설물 속 기생충이 상처를 통해 몸 안으로 들어가 감염된다.[10][11][12][13]

여러 종류의 총채벌레는 20가지가 넘는 바이러스, 특히 토스포바이러스를 옮기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다양한 식물 질병을 유발한다.[14][15]

3. 식물 및 균류 매개체

일부 식물과 곰팡이는 다양한 병원체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중요한 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많은 식물 해충이나 병원균은 다른 식물, 종종 잡초를 은신처나 중간 단계의 매개체로 이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줄기 녹병을 일으키는 곰팡이인 ''Puccinia graminis''는 ''Berberis'' 및 관련 속 식물을 대체 숙주로 삼아 곡물 감염 주기를 이어간다.[17]

이 외에도 특정 곰팡이가 식물 바이러스를 옮기거나[16], ''Cuscuta'' 및 ''Cassytha''와 같은 기생 식물이 식물 사이를 얽히면서 파이토플라스마나 바이러스 질병을 전달하는 경우도 확인되었다.[18][16]

3. 1. 곰팡이

일부 곰팡이는 다양한 식물 병원체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추 큰맥병은 오랫동안 취사상균류에 속하는 곰팡이인 ''Olpidium brassicae''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나중에 이 병의 원인이 식물 바이러스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바이러스는 ''Olpidium brassicae''의 유주자를 통해 전파되며, 곰팡이의 휴면 포자 안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이후, 다른 많은 취사상균류 곰팡이들도 식물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6]

3. 2. 기생 식물

''Cuscuta'' 및 ''Cassytha''와 같은 기생 식물은 한 식물에서 다른 식물로 얽히면서 식물 간에 파이토플라스마 및 바이러스 질병을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8][16]

4. 포유류 매개체

다양한 포유류가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대표적으로 광견병은 감염된 동물의 타액이나 뇌 조직을 통해 전파되며,[19] , 박쥐를 포함한 여러 포유류가 이를 옮길 수 있다.[19] 또한 와 같은 설치류도 신증후출혈열, 페스트 등의 질병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

4. 1. 개

광견병은 감염된 동물의 타액이나 뇌 조직에 노출되어 전파된다.[19] 모든 온혈 동물이 광견병을 옮길 수 있지만, 스컹크, 너구리, 박쥐와 함께 가장 흔한 매개체 중 하나이다.[19] 를 포함한 많은 포유류광견병의 매개체 역할을 한다.

4. 2. 박쥐

박쥐광견병을 옮길 수 있는 대표적인 포유류 중 하나이다.[19] 광견병은 주로 감염된 동물의 타액이나 뇌 조직을 통해 전파되며, , 스컹크, 너구리 등 여러 온혈 동물이 매개체가 될 수 있지만, 박쥐 역시 흔한 매개체로 꼽힌다.[19]

4. 3. 기타 포유류

스컹크너구리 등 일부 포유류는 광견병을 옮길 수 있다.[19] 또한 는 신증후출혈열과 페스트와 같은 질병의 주요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

5. 매개체 전염 질병과 인간 활동

이 그림은 플라비바이러스가 모기에 의해 웨스트 나일열 및 뎅기열에서 어떻게 운반되는지 보여준다. 모기는 질병 매개체로 간주된다.


2014년 초까지 발표된 여러 연구는 인간의 활동이 매개체를 통해 전염되는 동물원성 질병의 확산을 부추기고 있다고 경고한다. 의학 저널 ''The Lancet''에 실린 논문들은 급격한 토지 이용 변화, 무역 세계화, 기후 변화 그리고 사회적 격변 등이 전 세계적으로 동물원성 질병의 재발을 초래하는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20] 이러한 매개체 전염 질병의 발생률은 질병을 일으키는 동물, 매개체, 그리고 인간 활동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21]

한편, 인간 자체가 매개체 역할을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는 사람이 손을 통해 식물 간에 바이러스를 물리적으로 옮길 수 있다.

5. 1. 매개체 전염 동물원성 질병의 예



매개체 전염 동물원성 질병은 본래 야생동물에게 있던 병원체가 모기진드기 같은 매개체를 통해 사람에게 옮겨져 발생하는 질병을 의미한다.[20] 2014년 발표된 연구들은 인간의 활동이 이러한 질병의 확산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급격한 토지 이용 변화, 무역 세계화, 기후 변화, 사회적 혼란 등이 전 세계적으로 동물원성 질병의 재출현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20]

대표적인 매개체 전염 동물원성 질병의 예는 다음과 같다.[21]

  • 라임병: 주로 참진드기류에 의해 전파된다.
  • 페스트: 벼룩을 통해 주로 전파되며, 역사적으로 큰 피해를 남겼다.
  • 웨스트 나일열: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이러한 질병의 발생 빈도는 병을 일으키는 동물, 매개체, 그리고 인간 활동 등 여러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21]

6. 매개체 전염 질병 관리 및 예방

공중 보건 기관은 다양한 질병 매개체에 대해 사람들을 교육한다. 런던 위생 열대 의학 대학원에 있는 이 작품은 10가지 동물 매개체를 보여준다.


세계 보건 기구(WHO)는 매개체 매개 질병의 관리 및 예방을 위해 "통합 매개체 관리(IVM)"를 강조한다.[22] 이는 건강과 환경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둘 모두에 이점을 최적화하는 접근 방식이다.[23]

2014년 4월, WHO는 매개체 매개 질환에 대해 사람들을 교육하기 위해 "작은 물림, 큰 위협"이라는 캠페인을 시작했다. WHO는 매개체 매개 질환이 적절한 수준의 위생 시설, 식수 및 주택이 없는 지역에 거주하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24] 전 세계 인구의 80% 이상이 최소한 하나의 매개체 매개 질병의 위협을 받는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된다.[25][26]

참조

[1] 웹사이트 Vector-borne diseases https://www.who.int/[...]
[2] 웹사이트 Vector http://wordnetweb.pr[...] Princeton University 2014-04-07
[3] 서적 A Dictionary of Epidemi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The Legacy of Sir Ronald Ross: From Malaria Research to Multifaceted Achievements https://pmc.ncbi.nlm[...] 2024-11-22
[5] 웹사이트 CDC - Malaria - About Malaria - History - Ross and the Discovery that Mosquitoes Transmit Malaria Parasites https://www.cdc.gov/[...] 2020-10-23
[6]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Animal Parasites http://plpnemweb.ucd[...] 2016-02-25
[7] 학술지 Classification of Human Parasites, Vectors, and Similar Organisms 1999-08-15
[8] 웹사이트 8.20D: Arthropods as Vectors https://bio.libretex[...] 2017-06-23
[9] 웹사이트 PEOI Foundations of Public Health https://www.peoi.org[...]
[10] 웹사이트 CDC - Chagas Disease - Detailed Fact Sheet https://www.cdc.gov/[...] 2022-04-11
[11] 웹사이트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from Mayo Clinic - Mayo Clinic https://www.mayoclin[...]
[12] 웹사이트 CDC - Chagas Disease - General Information https://www.cdc.gov/[...] 2022-04-13
[13] 웹사이트 Chagas disease https://www.who.int/[...]
[14] 웹사이트 Thripidae - an overview |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15] 웹사이트 Thysanoptera - an overview | ScienceDirect Topics https://www.scienced[...]
[16] 서적 Fundamentals of Plant Pathology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Education
[17] 서적 Evolutionary Biology of Parasite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간행물 Comparison of two parasitic vines: Dodder (Cuscuta) and Woe vine(Cassytha) Florida Dept Agric & Consumer Services. Division of Plant Industry. 1996-01
[19] 웹사이트 Raccoons and public health https://www.humaneso[...] 2022-04-01
[20] 뉴스 Lancet addresses emerging infectious vector-borne diseases http://vaccinenewsda[...] 2012-12-05
[21] 뉴스 Emerging vector-borne diseases create new public health challenges https://www.scienced[...] 2012-11-30
[22] 웹사이트 Handbook for Integrated Vector Management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12-03
[23] 웹사이트 Vector-borne diseas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04-07
[24] 뉴스 WHO focuses on vector-borne diseases for World Health Day 2014 http://vaccinenewsda[...] 2014-04-07
[25] 웹사이트 Vector-borne diseases https://www.who.int/[...] 2023-03-31
[26] 학술지 Finding a Husband: Using Explainable AI to Define Male Mosquito Flight Differences 2023-03-21
[27] 웹인용 Vector http://wordnetweb.pr[...] 프린스턴 대학교 2016-01-26
[28] 서적 http://books.google.[...]
[2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