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섬의 문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맨섬의 문장은 맨 섬을 상징하는 문장으로, 1996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 의해 수여되었다. 문장의 기원은 수 세기 동안 맨 섬과 연관된 삼족 문양인 '트리스켈레'에서 비롯되었으며, 1405년 잉글랜드 왕 헨리 4세가 맨 섬을 존 스탠리에게 하사한 것과 관련이 있다. 문장은 붉은색 바탕에 세 개의 갑옷을 입은 다리가 특징이며, 황제관, 송골매와 갈까마귀 지지자, 그리고 라틴어 모토 "Quocunque Jeceris Stabit" ("던지면 어디에든, 서 있을 것이다")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맨섬 - 맨섬 파운드
맨섬 파운드는 맨섬에서 통용되는 통화로, 영국 파운드 스털링과 통화 동맹 관계를 맺고 있으며, 자체 지폐와 동전을 발행하고 영국 파운드 스털링과 함께 사용되며, 영국이 유로화를 채택할 경우 유로화를 채택할 가능성이 있다. - 맨섬 - .im
.im은 맨 섬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 교육 기관, 영리 기업, 정부 기관, 네트워크 운영자, 비영리 단체 등을 위한 다양한 2단계 도메인을 제공한다. - 관 문장 - 통가의 국장
통가의 국장은 금색 테두리의 방패 안에 다윗의 별, 왕관, 비둘기, 세 개의 검을 배치하여 주요 섬, 왕정, 평화와 기독교, 세 왕가를 상징하며, 방패 아래에는 "신과 통가는 나의 유산"이라는 통가어 표어가 적혀 있다. - 관 문장 - 캐나다의 국장
캐나다의 국장은 캐나다의 국가 원수를 상징하는 문장으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프랑스의 역사적 문장과 단풍잎을 포함하며, "바다에서 바다까지"라는 모토와 함께 영국 사자와 스코틀랜드 유니콘이 방패를 받치는 형태로 캐나다 정부에 의해 공식 상징으로 사용되고 법적으로 보호받는다. - 새 문장 - 통가의 국장
통가의 국장은 금색 테두리의 방패 안에 다윗의 별, 왕관, 비둘기, 세 개의 검을 배치하여 주요 섬, 왕정, 평화와 기독교, 세 왕가를 상징하며, 방패 아래에는 "신과 통가는 나의 유산"이라는 통가어 표어가 적혀 있다. - 새 문장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의 문장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의 문장은 세인트크로이, 세인트존, 세인트토마스 세 섬을 묘사하며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정부" 문구, 미국의 국기, 덴마크 국기, 바나나키트, "자부심과 희망으로 하나됨" 모토를 포함하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의 공식 상징이다.
맨섬의 문장 | |
---|---|
개요 | |
![]() | |
사용권자 | 찰스 3세, 맨 섬의 영주 |
채택일 | 1996년 7월 12일 |
문장 구성 | 방패: Gules 바탕에 무릎을 굽히고 허벅지가 합쳐진 세 다리가 갑옷을 입고 있으며, 모두 본연의 색상으로 표현됨. 장식과 박차는 금색. 투구 장식: 제국 왕관 본연의 색상. 지지자: 송골매 (오른쪽)와 까마귀 (왼쪽) 모두 본연의 색상. |
모토 | Quocunque Jeceris Stabit |
모토 (한국어 번역) | 어느 곳에 던져지든 서 있으리라. |
2. 역사
맨섬의 상징인 세 개의 다리가 달린 문장, 즉 트리스켈레스는 수 세기 동안 이 섬과 깊은 연관을 맺어왔다. 이 문장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25] 13세기 후반 문장집들에서 처음으로 맨섬의 상징으로 등장한다.[26] 이는 맨섬의 지배권이 크로반 왕조에서 스코틀랜드 왕에게 넘어간 시기와 일치하며,[11][31] 고대 시칠리아와의 연관성 속에서 채택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0][33] 이전 크로반 왕조 시대에는 배나 사자 문양이 사용되었으며 트리스켈레스는 사용되지 않았다.[11][31] 이후 1405년 잉글랜드의 존 스탠리가 맨섬의 영주가 된 이래[22] 스탠리 가문과 그 후계자인 더비 백작들은 오랫동안 섬을 통치하며 가문 문장에 트리스켈레스를 포함시켜 사용하였다.[22]
2. 1. 기원


삼족도(트리스켈리온) 문양이 언제 맨 섬의 상징이 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25] 이 문장은 캠든 문장집, 헤럴드 문장집(Herald's Roll), 시거 문장집(Segar's Roll), 월포드 문장집(Walford's Roll), Armorial Wijnbergen과 같은 13세기 후반(모두 1270년에서 1300년 사이 작성)의 문장집들에서 맨 섬의 상징으로 소개되어 있다.[26] 각 문장집의 묘사는 다음과 같다.
- 캠든 문장집: "L'escu de gules, a(vec) treis jambes armez" (붉은 바탕에 세 개의 무장한 다리)[27]
- 월포드 문장집: 노르만어로 "De goules a(vec) treys gambes armes o(vec) tucte le guisses et chekun cornere seyt une pee" (De gules avec trois jambes armées avec tous les cuisses et chaque un coin soit uniefra; Of gules with three legs in armour with all the thighs and each corner unitedeng; 붉은 바탕에 갑옷을 입고 허벅지가 모두 붙어 있으며 각 모서리가 하나로 합쳐진 세 개의 다리)[28]
- Armorial Wijnbergen: 'Gules, three mailed legs embowed and conjoined at the thighs argent spurred oreng' (붉은 바탕에, 은색 갑옷을 입고 무릎을 굽혔으며 허벅지에서 합쳐지고 금색 박차가 달린 세 개의 다리)[29]
초기 문장은 『헬러 문장집』에도 남아 있다.[30]
1405년, 잉글랜드 국왕 헨리 4세는 존 스탠리(1350년경–1414, KG)에게 맨 섬의 영지를 대세르장티(Grand serjeanty)로서 하사했다. 이는 존 스탠리와 그의 후계자들이 이후 모든 잉글랜드 국왕의 대관식 때마다 송골매 한 쌍을 바치는 조건이었다.[22] 존 스탠리의 후계자는 보즈워스 전투에서의 공로로 더비 백작 작위를 받았다. 이 공식적인 매 증정 의무는 1822년 조지 4세의 대관식까지 계속되었다.[22]
더비 백작인 스탠리 가문은 오늘날에도 가문의 문장에 맨 섬의 문장을 쿼터링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애솔 공작 머레이 가문 또한 스탠리 문장을 분할하여 사용한다.[22] 현행 문장은 과거 맨 섬 봉건 영주 문장에 대한 오그멘테이션이다.[22]
한편, 까마귀는 노르드 신화와 강하게 연관된 새로, 섬의 여러 지명에서도 나타난다.[22]
2. 2. 크로반 왕조
1265년까지 맨섬은 크로반 왕조가 통치하는 제도 왕국의 일부였다. 이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는 1265년에 적통 상속자 없이 사망했고, 맨섬은 알렉산더 3세(1286년 사망)의 소유가 되었다.[11] 1266년, 맨섬과 헤브리디스 제도의 주권은 노르웨이 국왕으로부터 알렉산더 3세(1241년–1286년)에게 공식적으로 이전되었다.[11][31]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 문장 사용은 서유럽보다 약간 늦은 1215년경에 시작되었으며, 크로반 왕조의 군주들은 그들의 문장 또는 인장에 배와 사자 도안을 사용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1][31] 그러나 크로반 왕조가 현재 맨섬의 상징인 삼각 발(트리스켈레스)을 사용했다는 증거는 존재하지 않는다.[11][31] 맨섬의 트리스켈레스는 10세기에 섬에 살았던 바이킹들이 동전에 사용한 매듭 무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12][32] 하지만 이 무늬는 트리스켈레스와는 유사성이 떨어지며, 해당 무늬의 사용 시기와 트리스켈레스의 등장 시기 사이에 약 300년의 간격이 있어 두 상징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낮다고 여겨진다.[11][31]
2. 3. 시칠리아와의 연관성
13세기 후반 맨 섬에서 트리스켈레스 문양이 등장한 것은 1265년 크로반에서 스코틀랜드 왕으로 맨 섬의 지배권이 넘어간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 상징은 고대부터 세 개의 곶으로 유명했던 시칠리아 섬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문장학이 정립되기 이전인 기원전 7세기부터 사용된 증거가 있다.[33] 실제로 시칠리아 섬의 고대 그리스어 이름은 섬의 삼각형 모양을 반영하여 "세 개의 모서리"를 뜻하는 '트리나크리아'였으며, 이는 트리케트라와도 관련된다.[34][35]

1250년, 호엔슈타우펜 왕가 출신으로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시칠리아 왕이었던 프리드리히 2세가 52년간의 시칠리아 통치 끝에 사망했다.[36] 그의 어머니는 콘스탄체 여왕이었고, 아버지는 하인리히 6세였다. 13세기 시칠리아에서 트리스켈레스가 사용되었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부족하지만, 당시 오스트리아의 건축물에서 발견되는 트리스켈레스 문양은 프리드리히 2세가 시칠리아와의 연관성 속에서 개인적인 상징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7]
프리드리히 2세 사망 4년 후, 교황은 시칠리아 왕위를 잉글랜드 국왕 헨리 3세(1272년 사망)의 둘째 아들인 에드먼드 크라우치백(1296년 사망)에게 넘겨주었다.[38] 이후 약 10년간 에드먼드는 명목상 '시칠리아 왕'으로 불렸다.[36] 헨리 3세는 아들의 왕위를 위해 상당한 정치적, 재정적 투자를 했으며, 이 과정에서 무리하게 세금을 징수하려다 잉글랜드 귀족들의 큰 반발을 사기도 했다.
당시 스코틀랜드의 알렉산더 3세 국왕의 아내는 헨리 3세의 딸인 잉글랜드의 마가렛(1275년 사망)이었다.[39] 이러한 스코틀랜드 왕가와 시칠리아 왕위를 주장하던 잉글랜드 왕가 사이의 가족 관계가, 스코틀랜드가 맨 섬을 차지한 후 시칠리아의 상징인 트리스켈레스를 맨 섬의 새로운 문장으로 도입하게 된 배경이 되었을 수 있다. 만약 그렇다면, 이는 맨 섬의 정권 교체를 상징적으로 강화하려는 의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40]
3. 구성 요소
현재 사용되는 맨섬의 문장은 1996년 7월 12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수여하였고[3], 2022년 9월 10일 찰스 3세 국왕에 의해 다시 확인되었다.[23][24] 이 문장은 과거 맨 섬의 봉건 영주가 사용하던 고대 문장을 계승한 오그멘테이션이다.[2][22]
문장은 다음과 같은 주요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 방패: 공식적인 문장 설명은 "''적색 바탕에 무릎을 굽히고 허벅지에서 합쳐진 갑옷을 입은 세 개의 다리(트리스켈리온), 모두 고유하며 금색으로 장식되고 박차를 가했다''"이다.[3][23] 이 독특한 세 다리 문양은 13세기 후반의 여러 문장집에서 맨 섬의 상징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5][6][25][26]
- 크레스트: 자연색의 제국 왕관이다.[3][23]
- 지지자: 문장의 양옆을 지지하는 형상으로, 오른쪽(덱스터)에는 자연색의 송골매가, 왼쪽(시니스터)에는 자연색의 까마귀(또는 갈까마귀)가 배치되어 있다.[3][23][24] 송골매는 15세기 존 스탠리 경 이후 맨 섬 영주가 잉글랜드 국왕의 대관식 때마다 바치던 봉납물과 관련이 있으며[22], 까마귀는 섬의 북유럽 신화적 연관성과 지역 지명 등에서 그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22]
- 모토: 라틴어 Quocunque Jeceris Stabit|쿠오쿵퀘 예케리스 스타비트la이다.[3][23] 이는 "어디에 던지든, 그것은 서 있을 것이다" 또는 "어느 쪽으로 던지든, 그것은 서 있을 것이다"라는 의미로[4][24], 세 다리 문양이 어떤 방향으로 놓여도 안정적으로 서 있는 모습을 상징한다. 이 모토는 1668년 맨 섬의 통화에 처음 기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4][24]
3. 1. 방패
방패의 공식적인 문장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적색 바탕에 무릎을 굽히고 허벅지에서 합쳐진 갑옷을 입은 세 개의 다리, 모두 고유하며 금색으로 장식되고 박차를 가했다.''[3] 이 문장은 1996년 7월 12일, 당시 맨 섬의 군주였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에 의해 공식 수여된 것이다.[2] 현행 국장은 맨 섬의 봉건 영주가 사용하던 고대 문장을 계승한 것이다.[22]세 개의 다리가 이어진 삼족보행(triskeles) 문양이 언제 처음 맨 섬의 상징으로 채택되었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5][25] 그러나 이 문양은 13세기 후반에 제작된 여러 문장집에서 맨 섬과 관련된 상징으로 등장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캠던 문장집, 헤럴드 문장집, 세가 문장집, 왈포드 문장집, 그리고 빈베르헨 문장집 등이 있으며, 이들 모두 1270년에서 1300년 사이에 만들어졌다.[6][26]
각 문장집에 묘사된 방패의 모습은 약간씩 차이가 있다.
- ''캠던 문장집''에는 "붉은색 방패에 갑옷을 입은 세 다리"(L'escu de gules, a(vec) treis jambes armezfra)라고 기록되어 있다.[7][27]
- ''왈포드 문장집''에는 노르만어로 "갑옷을 입고 모든 넓적다리와 각 모서리가 하나로 합쳐진 세 다리가 있는 붉은색"(De goules a(vec) treys gambes armes o(vec) tucte le guisses et chekun cornere seyt une peefra)이라고 묘사되어 있다.[8][28]
- ''빈베르헨 문장집''에는 "붉은색 바탕에 갑옷을 입고 무릎을 굽힌 세 개의 은색 다리가 허벅지에서 연결되어 있고, 금색 박차를 달았다"(Gules, three mailed legs embowed and conjoined at the thighs argent spurred oreng)고 묘사되어 있다.[9][29]
- 14세기 후반의 ''겔레 문장집''에도 초기 형태의 맨 섬 문장이 보존되어 있다.[10][30]
삼족보행 문양은 수 세기 동안 맨 섬과 깊은 관련을 맺어왔다. 1405년, 잉글랜드의 헨리 4세 국왕은 가터 훈장 기사였던 존 스탠리(약 1350년–1414년)에게 맨 섬의 소유권을 부여했다. 그는 자신과 후대의 국왕 대관식 때마다 매 두 마리를 바치는 조건으로 섬을 받았다. 이 매 봉납은 1822년 조지 4세의 대관식 때까지 이어졌다. 존 스탠리의 후손들은 보즈워스 전투에서의 공으로 더비 백작 작위를 받았으며, 더비 백작 스탠리 가문은 오늘날까지도 자신들의 문장에 맨 섬의 문장(삼족보행 방패)을 쿼터링하여 사용하고 있다. 스탠리 가문의 문장을 쿼터링하는 애솔 공작 역시 마찬가지이다.[22]
3. 2. 문장 윗부분 장식 (크레스트)
크레스트는 자연색의 황제관이다.3. 3. 문장 지지자
문장의 지지자는 오른쪽 지지자는 자연색의 송골매이고, 왼쪽 지지자는 자연색의 까마귀이다.[23][24]송골매는 맨 섬의 역사와 깊은 관련이 있다. 1405년, 잉글랜드 국왕 헨리 4세는 가터 훈장 기사였던 존 스탠리(1350년경~1414년)에게 맨 섬의 토지 보유권을 부여하면서, 자신과 후대 국왕의 대관식 때마다 송골매 두 마리를 바치도록 하는 조건을 달았다. 이 전통은 1822년 조지 4세의 대관식 때까지 이어졌다. 존 스탠리의 후손인 더비 백작 스탠리 가문은 오늘날에도 자신들의 문장에 맨 섬의 문장을 쿼터링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스탠리 가문의 문장을 쿼터링하는 애솔 공작 역시 마찬가지이다.
까마귀는 북유럽 신화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맨 섬 내 여러 지명에서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22]
3. 4. 모토
맨섬 문장의 라틴어 모토는 ''Quocunque Jeceris Stabit''이다.[3][23] 이는 "어디에 던지든, 그것은 서 있을 것이다" 또는 "어느 쪽으로 던지든, 그것은 서 있을 것이다"라는 의미이다.[4][24] 이 모토는 문장의 중심 요소인 세 개의 다리(트리스켈리온)가 어떤 방향으로 던져지더라도 항상 땅에 발을 딛고 서게 되는 이론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이 모토는 1668년 맨 섬의 통화에 처음 사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4][24]참조
[1]
서적
The book of public arms: a complete encyclopæeia of all royal, territorial, municipal, corporate, official, and impersonal arms
https://archive.org/[...]
1915
[2]
문서
"Island Facts" (n.d.)
[3]
문서
Island Facts (n.d.)
[4]
문서
Kinvig (1975) pp. 91–92
[5]
문서
Wilson (2000) p. 35
[6]
문서
Broderick (2015) p. 1; McAndrew (2006) p. 65; Wilson (2000) p. 36
[7]
문서
Greenstreet (1882) p. 312
[8]
문서
McAndrew (2006) p. 65
[9]
문서
Broderick (2015) p. 1 n. 2
[10]
문서
Broderick (2015) p. 1
[11]
문서
Wilson (2000) p. 36
[12]
문서
McAndrew (2006) p. 65; Wilson (2000) p. 36
[13]
문서
Wilson (2000) pp. 35, 51, 56
[14]
서적
Cassell's Latin Dictionary
1928
[15]
웹사이트
"Sicilian Culture: The Folklore, Legends & Traditions: Trinacria."
2014-11-09
[16]
문서
Wilson (2000) p. 37
[17]
문서
Wilson (2000) pp. 37–38
[18]
문서
Ridgeway (2010); Lloyd (2008); Wilson (2000) p. 37
[19]
문서
Reid (2011)
[20]
문서
Wilson (2000) pp. 36–37; Newton (1885)
[21]
서적
The book of public arms: a complete encyclopæeia of all royal, territorial, municipal, corporate, official, and impersonal arms
https://archive.org/[...]
1915
[22]
문서
"Island Facts" (n.d.)
[23]
문서
Island Facts (n.d.)
[24]
문서
Kinvig (1975) pp. 91–92
[25]
문서
Wilson (2000) p. 35
[26]
문서
Broderick (2015) p. 1; McAndrew (2006) p. 65; Wilson (2000) p. 36
[27]
문서
Greenstreet (1882) p. 312
[28]
문서
McAndrew (2006) p. 65
[29]
문서
Broderick (2015) p. 1 n. 2
[30]
문서
Broderick (2015) p. 1
[31]
문서
Wilson (2000) p. 36
[32]
문서
McAndrew (2006) p. 65; Wilson (2000) p. 36
[33]
문서
Wilson (2000) pp. 35, 51, 56
[34]
서적
Cassell's Latin Dictionary
1928
[35]
웹사이트
"Sicilian Culture: The Folklore, Legends & Traditions: Trinacria."
2014-11-09
[36]
문서
Wilson (2000) p. 37
[37]
문서
Wilson (2000) pp. 37–38
[38]
문서
Ridgeway (2010); Lloyd (2008); Wilson (2000) p. 37
[39]
문서
Reid (2011)
[40]
문서
Wilson (2000) pp. 36–37; Newton (18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