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장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장학은 문장의 디자인, 묘사, 기록 및 연구를 다루는 학문이다. 고대부터 개인이나 집단을 나타내는 상징이 사용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기사의 방패에 그려진 식별 문양에서 현대적 의미의 문장이 등장하여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문장은 방패, 투구, 크레스트, 망토, 리스, 서포터, 모토 등으로 구성되며, 금속색, 원색, 모피 무늬를 포함한 팅크처와 차지, 오디너리, 서브오디너리 등의 요소를 활용하여 표현된다. 문장학은 지역별로 다양한 양식으로 발전했으며, 현대에도 개인, 단체, 국가 등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장학 - 토템폴
    토템폴은 북아메리카 태평양 북서부 원주민들이 가계와 문화유산을 나타내는 상징물로, 나무 기둥에 동물, 신화 속 인물 등을 조각하여 부족의 이야기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며 다양한 목적으로 세워졌으나, 문화 동화 정책으로 쇠퇴 후 문화 부흥 운동으로 복원되고 있다.
  • 문장학 - 풍림화산
    풍림화산은 손자병법에 나오는 구절로, 전쟁에서 유연한 태도를 비유하며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처를 강조하는 말로, 다케다 신겐의 군기로 유명하다.
  • 문장 (상징) - 기리몬
    기리몬은 오동나무를 문양화한 일본의 가문 문장으로, 세 개의 꽃차례와 잎으로 구성되며 꽃의 수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있고, 일본 정부 및 역사적 인물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나 국제적 인지도 부족으로 현재는 다른 상징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 문장 (상징) - 의심의 해석학
    의심의 해석학은 텍스트의 숨겨진 의미를 찾아 폭로하는 해석 방식으로, 리쾨르는 믿음의 해석학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제시했으며, 펠스키는 명백한 의미를 회피하는 해석 스타일로 정의하고, 마르크스, 프로이트, 니체 등의 사상과 관련되어 이데올로기 비판에 활용된다.
  • 상징 - 엠블럼
    엠블럼은 개인이나 집단을 나타내는 휘장이나 표식으로, 상징과 기호, 토템, 문장, 이콘, 로고 등과 유사하며, 유럽에서 유행한 그림과 텍스트의 결합체로서 교훈적 의미를 지니고,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된다.
  • 상징 - 검은 고양이
    검은 고양이는 털 색깔이 검은색인 고양이를 통칭하며, 털 색깔, 태비 무늬, 햇빛 노출에 따른 색 변화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여러 문화권에서 행운 또는 불운의 상징으로 여겨지거나 무정부주의 및 노동 운동의 상징, 대중문화 캐릭터로 활용된다.
문장학
개요
리헨스타트의 게르하르트가 편찬한 '문장 총람'의 문장 설명
리헨스타트의 게르하르트가 편찬한 '문장 총람'의 문장 설명
정의문장과 관련된 모든 것, 특히 문장의 디자인, 전시, 설명 및 기록을 다루는 분야이다. 문장학은 또한 기사도와 관련된 모든 것을 포함한다.
어원영어: heraldry (헤럴드리의 유사어)
독일어: Heraldik (헤랄디크)
설명문장학은 단순한 보조 과학이 아니라 역사와 예술의 측면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분야이다. 문장은 개인, 가족, 기업, 국가 등을 식별하는 시각적 상징으로 사용된다.
역사
기원중세 시대의 토너먼트와 전쟁에서 기사를 식별하기 위해 발전했다.
발전시간이 지나면서 문장은 복잡해지고, 특정 규칙과 관습이 생겨났다.
현대현대에도 문장은 여전히 사용되며, 전통과 역사를 상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장의 구성 요소
방패 (Shield)문장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다양한 색상과 문양으로 채워진다.
투구 (Helm)방패 위에 얹혀지며, 기사의 신분을 나타낸다.
크레스트 (Crest)투구 위에 장식되며, 가문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망토 (Mantling)투구에서 늘어져 방패를 감싸는 천으로, 색상은 방패의 주요 색상과 금속색을 따른다.
표어 (Motto)문장 아래에 배치되는 짧은 문구로, 가문의 신념이나 이상을 나타낸다.
지지자 (Supporters)방패 양쪽에 서 있는 동물이나 사람으로, 가문의 역사나 특징을 상징한다.
문장의 규칙
색상 (Tinctures)금속색 (금색, 은색)과 색깔 (빨강, 파랑, 검정, 초록, 보라)로 나뉜다.
문양 (Charges)방패 위에 그려지는 다양한 그림이나 도형으로, 가문의 상징을 나타낸다.
블레이즌 (Blazon)문장을 설명하는 공식적인 언어로, 특정한 용어와 규칙을 따른다.
문장의 종류
개인 문장개인이나 가족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단체 문장기업, 도시, 국가 등을 나타내는 문장이다.
추가 정보문장은 개인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이며, 역사와 전통을 반영한다.

2. 역사

문장학은 문장을 통해 귀족이나 왕족 등 지배 계급의 계통을 밝히고, 각국 문장의 유사성을 통해 노르만 정복 같은 타민족 침략이나 대항해 시대 이후 식민지 지배 등 국가 간의 역사적 연관성을 밝히는 학문이다. 역사학과 통하며, 문학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등에서는 문장학 수료 시 문학 석사(Master of Arts, MA) 학위가 수여된다.[134]

문장은 개인과 그 가계를 나타내며, 문장 체계화를 통해 문장, 가계, 개인의 역사를 알 수 있다. 토지 지배자의 문장이 지방 문장에 사용되면서 지역의 역사적 성립 과정과 문장학적 규칙을 알 수 있게 한다. 클럽, 군대, 대학교 등도 후원자 등을 반영한 문장을 사용하며, 이 역시 문장학에 기반한다.

고대 전사들은 방패를 문양과 신화 그림으로 장식했다. 투구에 가려진 전사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로마 제국 군대는 부대별 특징적인 방패 문양으로 식별되었다. 이는 개인이나 가족이 아닌 부대와 관련되었다는 점에서 중세, 현대 문장과 차이가 있다.[134]

바유 태피스트리의 일부. 문장이 체계화되기 전 문양을 그린 방패를 든 병사 3명이 묘사되어 있다.


잉글랜드 노르만 정복 시점에는 현대적 문장학이 발전하지 않았다. 바유 태피스트리에는 기사들이 방패를 들고 있지만, 세습 문장 체계는 없었다. 근대 문장 체계는 12세기 중반까지 표준화되지 않았다.[135] 이후 유럽 전역에서 대향사(기사 다음 지위)의 자식에게 문장이 계승되었다. 1135년~1155년 잉글랜드, 프랑스,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에서 씰(인장)이 문장 도안으로 채택되었다.[136] 잉글랜드에서는 장남과 다른 남자를 구별하기 위해 케이던시 사용이 15세기 문장관 존 라이스에 의해 제도화, 표준화되었다.

중세 후기~르네상스 시대 문장학은 문장관에 의해 관리되는 발달된 규율이 되었다. 마상 창 시합 사용이 사라진 후, 문서는 봉랍에 찍히거나 묘에 새겨지고, 깃발로 게양되는 등 개인 식별 용도로 널리 사용되었다. 최초의 문장 법률학 저서는 파도바 대학교 법학 교수 바르톨루스 데 사소페라토가 1350년대 저술한 ''De Insigniis et Armiis''이다.[137]

문장은 종이, 목판, 자수, 에나멜, 석세공, 스테인드글라스 등 다양한 매체로 그려졌다. 빠른 식별을 위해 7가지 기본 색상만 사용했으며,[138] 필드에 대한 차지의 크기나 배치로 명확한 구분을 하지 않았다.[139] 문장과 부속품은 문장 기술(브레이즌)이라는 간결한 은어로 기술되며,[140] 이는 엄격히 준수되는 표준이다.

문장 요소의 특정 의미에 대한 논의는 근거가 없다. 초대 대향사가 특정 의미를 부여했을 수 있지만, 대대로 유지되지 않는다. 이름 말장난 외에 차지에 담긴 의미를 찾는 것은 어렵다.

군사 기술 변화로 플레이트 아머가 쇠퇴하며 문장학은 본래 기능에서 분리되었다. 그림 속 "종이 문장" 발전으로 디자인과 방패는 명확성을 잃고 정교해졌다. 20세기에는 장식 없는 문장에 대한 취향으로 초기 문장학의 단순한 스타일이 다시 유행했다.

2. 1. 고대 사회의 상징

수천 년 동안 개인이나 집단을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상징이 사용되어 왔다. 이집트 미술에서 개인과 지역을 묘사한 가장 초기의 표현은 다양한 신의 이미지나 상징으로 장식된 깃발을 사용했으며, 왕의 이름은 왕의 궁전을 나타내는 세레크 위에 나타났다. 세레크는 일반적으로 왕이 현신으로 여겨지는 신 호루스를 나타내는 매로 장식되었다.[4] 비슷한 문장과 장치는 같은 시대의 고대 메소포타미아 미술에서도 발견되며, 그리핀과 같은 문장의 기원도 찾을 수 있다.[4] 성경의 ''민수기''는 이스라엘 백성이 이러한 상징 아래 모여 족보를 선포하라는 명령을 받은 깃발과 기호를 언급하고 있다.[10] 그리스와 라틴 작가들은 다양한 영웅들의 방패와 상징을 자주 묘사했으며,[11] 로마 군대의 부대는 때때로 방패에 뚜렷한 표식을 하여 식별되었다.[12]

2. 2. 중세 문장의 등장

현대적 의미의 문장은 11세기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12세기 중반에 이르러 유럽 전역의 귀족 가문에서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초기 문장은 단순한 형태와 제한된 색상을 사용하여 멀리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다.

앙주의 조프루아 백작의 무덤에서 나온 에나멜 장식


1066년 노르만 잉글랜드 침공을 묘사한 바이에 시의 태피스트리에는 다양한 모양과 디자인의 방패가 묘사되어 있지만, 동일한 문장을 반복 사용하는 경우는 없었고, 후손들이 태피스트리에 묘사된 문장과 유사한 문장을 사용한 사례도 알려져 있지 않다.[16][17] 12세기 초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의 궁정에 있던 프랑스 기사들의 기록에도 문장학적 디자인이 없는 광택 처리된 금속 방패가 묘사되어 있다.[18] 1109년의 스페인 필사본에도 평범하고 장식된 방패가 모두 묘사되어 있지만, 문장학적인 것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18]

십자군 원정은 유럽 각지의 군대가 한 곳에 모이는 계기가 되어 문장의 확산에 기여하였다. 문장관이라는 직업이 생겨나 문장의 설계, 설명, 기록, 분쟁 조정 등을 담당하게 되었다.[31] 13세기 후반에는 군주가 고용한 특정 문장관에게 '문장관장'이라는 칭호가 주어졌다.[31]

타바드를 입은 두 명의 문장관보


초창기에는 문장을 소유자가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14세기 중반에 이르러 특정 문장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은 단 한 명뿐이라는 원칙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다. 문장 소유권을 둘러싼 분쟁으로 인해 문장 사용을 규제하는 문장 권위가 확립되었다. 문장법에 관한 최초의 저작인 ''De Insigniis et Armis''는 1350년경 바르톨루스 데 사소페라토가 저술했다.[32][33]

2. 3. 근대 이후의 발전

15세기 이후 화기의 발달로 갑옷과 마상 창 시합이 쇠퇴하면서 문장은 군사적 목적보다는 장식적, 상징적 목적으로 사용되었다.[42] 19세기에는 문장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초기 문장의 단순한 디자인이 재조명되었다.[42][43] 현대에도 문장은 개인, 가문, 단체, 국가 등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영국(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및 캐나다에서는 문장원을 두어 문장을 관리하고 새로운 문장을 수여하고 있다.

문장학은 학문으로서, 문장에서 얻을 수 있는 지견을 통해 귀족이나 왕족 등 지배 계급의 계통을 밝힌다. 또한 각국 문장의 유사성 등을 통해 노르만 정복을 비롯한 타민족 침략이나 대항해 시대 이후의 식민지 지배 등 국가 간의 역사적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 가능하다.

3. 문장의 구성 요소

문장은 방패, 투구, 크레스트(투구 장식), 망토, 리스, 서포터(방패 지지자), 모토(일반적으로 두루마리에 표시된 좌우명이나 가훈과 같은 것. 라틴어로 쓰는 것이 일반적) 등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79]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방패와 그 위에 그려진 무늬이며, 이를 코트 오브 암스(Coat of Arms)라고 부른다. 그 외의 요소는 장식적인 것으로, 그려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문장은 중세 기사들이 방패에 그리던 식별용 문양에서 유래했다.[79] 전장에 나가지 않는 여성은 방패 모양이 아닌 마름모꼴 로젠지를 사용하고, 크레스트 대신 다른 장식품을 사용하는 것이 전통이었지만, 근대에는 남녀 평등 의식이 높아져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3. 1. 방패 (Shield, Escutcheon)

문장의 핵심 요소는 에스커천이라고 불리는 방패이다.[141] 일반적으로 문장에서 사용되는 방패의 형태는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는다. 문장 예술에서 사용되는 방패 형태의 유행은 대략 수세기에 걸쳐 변화했다. 특정 방패 형태가 문장 설명에서 지정되기도 하는데, 이는 대부분 누나부트 준주 문장[142]과 구 보푸타츠와나 공화국[143]과 같이 비유럽적인 배경에서 발생한다. 노스다코타주가 더욱 변형된 사례로 꼽히고,[144] 코네티컷주로코코 양식의 방패를 지정한다.[145]

전통적으로 여성은 전쟁터에 나가지 않았기 때문에 방패를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 그들의 문장은 예각 중 하나에 서 있는 로즈지라고 불리는 마름모로 표시되었다. 일부 문장원은 예외를 두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세계 대부분에서 유효하게 유지된다.[146] 캐나다에서는 여성에 대한 방패 위에 문장을 가질 수 없다는 규제가 철폐되었다. 비전투원인 성직자는 자신의 문장을 위해 카르투슈나 오벌과 마찬가지로 로즈지를 이용했다.

3. 2. 팅크처 (Tincture)

문장은 전장에서 멀리서도 식별할 수 있도록 제한된 색으로 표현된다. 문장학에서의 색을 '''팅크처'''(tinctures)라고 하며, 크게 금속색(Metals), 원색(Colours), 모피 무늬(Furs)의 3가지 종류가 있다. 금속색에는 오어(금색)와 아젠트(은색)의 2색, 원색에는 아쥐르(청색), 귈즈(적색), 퍼플(자색), 버트(녹색), 세이블(흑색)의 5색, 모피 무늬에는 아민(흰담비), 베어(다람쥐)의 2색이 있다. 모피 무늬는 2가지 색의 원색 팅크처를 사용하여 표현하지만, 문장학상으로는 1색으로 취급된다. 기본은 이 9색이지만, 시대가 지나면서 지역에 따라 원색 팅크처에 몇몇 색이 추가되기도 한다.

에칭과 같은 고전적인 인쇄 기법으로 새까맣게 칠하는 것이 어렵거나, 동전의 각인처럼 착색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각 색을 흑백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른 무늬로 대체하는 다양한 기법이 고안되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페트라 상크타의 방식(System of Petra Sancta)"이라고 불리는 방법이며, 각 팅크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아민과 베어는 사용된 팅크처에 따라 각 원색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현한다.

  • 오어: 점
  • 아젠트: 무지
  • 아쥐르: 가로 줄무늬
  • 귈즈: 세로 줄무늬
  • 퍼플: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의 사선 줄무늬
  • 버트: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의 사선 줄무늬
  • 세이블: 격자 무늬

3. 3. 차지 (Charge)

방패 위에 그려지는 모든 문양을 차지라고 하며, 오디너리와 서브오디너리로 구분된다. 오디너리는 십자가, 가로줄, 세로줄, 꺾쇠 등 기하학적인 도형이고, 서브오디너리는 오디너리보다 복잡한 기하학적 도형이다. 그 외에 동물, 식물, 십자가 등 다양한 형상이 차지로 사용될 수 있다.[77][78]

3. 4. 기타 요소

영어에서 "crest"라는 단어는 문장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흔히 쓰이지만, 엄밀히 말하면 크레스트는 전체 문장 구성 요소 중 하나일 뿐이다. 크레스트는 방패 위에 놓인 투구 위에 위치한다.[89] 현대의 크레스트는 기사들이 식별을 위해 투구 위에 놓았던 3차원 장식에서 유래했다. 대부분의 문장 전통에서 여성은 크레스트를 사용하지 않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이 전통이 완화되기도 한다. 크레스트는 보통 꼬인 천으로 만든 토르스 위에 놓이거나, 때로는 소관 안에 위치하기도 한다.

투구와 크레스트가 함께 사용될 때는 망토가 함께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망토는 원래 투구를 햇빛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착용했던 천이었으나, 오늘날에는 투구에서 늘어진 양식화된 망토 형태로 표현된다.[89] 일반적으로 영국 문장학에서 망토의 바깥쪽은 방패의 주된 색상, 안쪽은 주된 금속으로 표현되지만, 영국 귀족은 지위나 문장 색상에 관계없이 빨강/흰색(Gules doubled Argent)을 사용한다.

성직자는 교회 문장학 전통에 따라 투구나 크레스트 대신, 계급을 나타내는 갈레로라는 모자나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문장에서처럼 미터를 사용하기도 한다.

문장 휘장의 모토는 문장 소유자나 단체의 동기나 의도를 설명하는 구절이나 단어의 모음이다. 모토는 가문의 이름을 이용한 말장난 형태를 띨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방패 아래 두루마리에 표시된다. 스코틀랜드 문장학에서는 모토가 문장 설명의 일부로 부여되며, 문장(crest) 위에 표시되고 임의로 변경할 수 없다.

서포터는 사람이나 동물 형상, 드물게는 무생물 물체로, 문장 양쪽에 배치되어 방패를 지지하는 것처럼 표현된다. 많은 전통에서 서포터는 특정 사회 계급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되지만, 유럽 대륙에서는 제한이 덜한 경우가 많다.[90]

문장 사용자가 남작, 세습 기사 또는 그 이상의 직함을 가지고 있다면, 방패 위에 관을 표시할 수 있다. 영국에서는 방패와 투구 사이에 표시되지만, 유럽 대륙에서는 문장 위에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준남작이나 기사단의 휘장은 방패를 둘러싼 목걸이 또는 띠 형태로 문장에 추가될 수 있다. 기사와 그의 아내의 문장이 함께 표시될 때, 기사단의 휘장은 남편의 문장만을 둘러싸고, 아내의 문장은 잎으로 장식된 화환으로 둘러싸는 것이 관례이다.[91]

문장은 방패, 투구, 크레스트, 망토, 리스, 서포터, 모토, 관, 기사단장(훈장) 등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이 중 방패와 거기에 그려진 무늬가 가장 중요하며, 이를 코트 오브 암스(Coat of Arms)라고 부른다. 그 외의 요소는 장식 요소이며, 그려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4. 문장의 원칙

문장은 명확하고 간결하게 표현되어야 하며, 멀리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문장학에서 팅크처 사용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으며, 금속색 위에 금속색, 원색 위에 원색을 겹쳐 사용할 수 없다. (예외: 예루살렘 왕국의 문장) 같은 가문 내에서 문장을 구별하기 위해 케이던시 마크(Cadency marks)를 사용하기도 한다.[80]

5. 지역별 양식

문장학은 서유럽 전역에서 거의 동시에 등장했으며, 초기 문장 스타일은 국가별로 매우 유사했다.[93]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독일-북유럽, 갈로-영국, 라틴, 동양의 네 가지 광범위한 스타일로 분화되었다.[94] 20세기에는 남아프리카 및 캐나다와 같은 새로운 국가적 문장 전통도 등장했다.[95]

5. 1. 독일-북유럽 양식

독일, 북유럽 국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체코 및 북부 스위스의 문장은 시간이 지나도 거의 변하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전통에서는 차이의 표시 및 문장학적인 모피가 매우 드물다.[97] 독일-북유럽 문장학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 중 하나는 문장 장식의 처리 방식인데, 방패와 문장 장식에 동일한 디자인이 반복되는 경우가 많고, 여러 개의 문장 장식을 사용하기도 한다.[98] 문장 장식은 영국 문장학에서처럼 별도로 사용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가문의 여러 분파 간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표시로 사용될 수 있다.[99] 토르스는 선택 사항이다.[100] 복합 방패(또는 함께 표시된 두 개의 방패) 문양은 문장학적 예의에 따라 일반적으로 중앙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101]

5. 2. 갈로-영국 양식

케이던시 마크를 사용하여 동일 가문 내에서 문장을 구별하는 것은 갈로-영국 문장학의 특징이다.[97] 스코틀랜드에서는 보더를 가장 중요한 케이던시 마크로 사용하며, 작은 브리주어는 매우 작은 역할을 한다. 케이던시 마크는 스코틀랜드에서 의무적으로 사용되며, 동시에 두 사람이 동일한 문장을 소유할 수 없다. 문장학적 모피가 사용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97] 영국에서는 이 스타일이 여전히 왕실 문장관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105]

5. 3. 라틴 양식

라틴어를 사용하는 국가, 즉 남부 프랑스, 안도라, 스페인, 이탈리아의 문장학은 투구 장식을 사용하지 않고 독특한 모양의 방패가 특징이다(갈로-브리튼 스타일을 사용하는 북부 프랑스, 문장(crests)을 사용하는 포르투갈, 동유럽 스타일을 사용하는 루마니아는 제외).[97] 포르투갈스페인 문장학은 이베리아 문장학의 더 큰 전통을 형성하며, 방패에 문구를 새겨 넣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영국 문장학에서는 일반적으로 피하는 관행이다. 라틴 문장학은 남성 및 여성 계통을 통한 문장 상속으로 인해 분할 문장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탈리아 문장학은 로마 가톨릭 교회가 지배하며, 교회와 관련된 내용을 담은 많은 방패와 장식이 특징이다.[107]

나무는 라틴 문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문장이다. 문구가 새겨진 테두리를 포함하여 테두리를 사용하는 경우는 스페인에서 자주 볼 수 있다.

5. 4. 동유럽 양식

동유럽 문장학은 알바니아, 벨라루스,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헝가리, 리투아니아,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우크라이나에서 발전된 전통이다. 동유럽의 문장은 뚜렷한 영토적, 씨족 체계가 특징인데, 종종 가족 관계와 상관없이 마을 전체나 군사 집단에게 동일한 문장이 수여되었다. 폴란드에서는 약 600개의 서로 관련 없는 가문이 동일한 야스트렘비에츠 문장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승 표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방패는 일반적으로 단 하나의 문장만으로 매우 단순하다. 많은 문장 방패는 고대 가문 표지에서 유래되었다. 헝가리 개인 문장의 최소 15%는 투르크인의 머리를 잘라낸 모습을 띠고 있는데, 이는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을 언급하는 것이다.[84]

6. 현대의 문장

오늘날에도 기관, 회사, 개인들은 자신들의 시각적 식별 수단으로 문장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120][121][122][123] 현대 문장 사용자들은 문장을 사용하여 조상 및 개인 유산뿐만 아니라 직업, 학문, 시민, 국가적 자부심을 표현한다.[127] 현대 문장학에서는 계급적 식별은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정체성 표현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된다.[128]

문장학은 학계, 정부, 길드, 전문직 협회, 종교 기관, 군대에서 풍부한 전통을 바탕으로 계속 발전하고 있다. 국가와 그 하위 부서(주, 지방, 군, 도시 등)는 시민 문장학의 전통을 계속 발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기관 중 다수는 현대적 대상을 나타내는 문장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미국 육군 문장 연구소에서 발행하는 일부 문장 기호에는 총, 비행기 또는 기관차와 같은 기호가 포함되어 있다. 일부 과학 기관은 원자 또는 특정 과학 기기와 같은 현대 과학의 기호를 통합한다. 영국 원자력청의 문장은 원자력의 활용을 묘사하기 위해 전통적인 문장 기호를 사용한다.[129] 특정 산업과의 강력한 연관성을 가진 지역은 관련 기호를 통합할 수 있다. 스웨덴의 스테눙순 시의 문장은 탄화수소 분자를 통합하여 해당 지역의 석유 화학 산업의 역사적 중요성을 암시한다.

붉은 기관차가 있는 군대 문장


문장 당국이 있는 국가의 문장학은 일반적으로 문장 권리를 부여하고 문장 소유를 인정하며 오용으로부터 보호하는 법률에 의해 계속 규제된다. 문장 당국이 없는 국가는 일반적으로 문장을 로고와 유사한 창작물로 취급하며,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를 제공한다.

문장은 개인을 특정하는 동시에, 그 개인이 속한 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문장을 체계화함으로써, 그 문장, 그 가계, 그 개인에 얽힌 역사를 알 수 있다. 또한, 그 토지를 지배했던 권력자의 문장 전부 또는 일부가 현재의 주, 군, 시 등의 지방 문장에도 사용되면서, 그 지방의 역사적인 성립 과정과 지역 특유의 공통점에서 문장학적 로컬 룰을 알 수 있다. 특정 클럽, 군대, 대학교 등이 그 출자나 역사, 후원자 등을 반영한 문장을 갖는 경우도 있는데, 이들 역시 모두 문장학에 기반한 체계에 따라 만들어진다.

참조

[1] 서적
[2] 서적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C. & G. Merriam Company
[3] 서적
[4] 서적
[5] 서적 An Heraldic Alphabet Macdonald
[6] 서적
[7] 서적
[8] 서적 Simple Heraldry Thomas Nelson
[9] 서적
[10] 서적 Book of Numbers
[11] 서적
[12] 문서 Notitia Dignitatum
[13] 논문 Pre-heraldry on the Sangerhausen Disc https://www.academia[...] 2003-00-00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Monumental Effigies of Great Britain
[24] 서적 https://books.google[...]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웹사이트 De Insigniis et Armis http://www.heraldica[...]
[33] 간행물 The Law of Arms in England 1953-03-00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Shield and Crest: An Account of the Art and Science of Heraldry MacGibbon & Kee
[37] harvp
[38] harvp
[39] 웹사이트 College of Arms official website http://www.college-o[...] 2016-03-03
[40] harvp
[41] harvp
[42] harvp
[43] harvp
[44] 학술지 Heraldry on American Patriotic Postcards https://www.academia[...] 2018-00-00
[45] 학술지 Heraldry on German Patriotic Postcards https://www.academia[...] 2019-00-00
[46] 학술지 Heraldry on German Notgeld https://www.academia[...] 2010-00-00
[47] harvp
[48] harvp
[49] harvp
[50] harvp
[51] 서적 The Elements of Heraldry Weathervane Books
[52] 웹사이트 About the Flag and Coat of Arms http://www.gov.nu.ca[...] 2006-10-19
[53] 웹사이트 South African Civic Heraldry-Bophuthatswana http://www.ngw.nl/in[...] Ralf Hartemink, The Netherlands 2006-10-19
[54] 웹사이트 US Heraldic Registry http://usheraldicreg[...] US Heraldic Registry 2012-06-19
[55] 웹사이트 American Heraldry Society - Arms of Connecticut http://americanheral[...] Americanheraldry.org 2012-06-19
[56] harvp
[57] harvp
[58] harvp
[59] harvp
[60] harvp
[61] harvp
[62] harvp
[63] harvp
[64] harvp
[65] harvp
[66] harvp
[67] harvp
[68] harvp
[69] harvp
[70] harvp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Or and Argent Gerrards Cross, Buckingham
[79] 서적
[80] 서적 Basic Heraldry W.W. Norton & Company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Simple Heraldry, Cheerfully Illustrated Thomas Nelson and Sons
[87] 서적
[88] 서적 Heraldry Past to Present Versus Aureus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Shield and Crest MacGibbon & Kee
[92] 웹사이트 Differencing a.k.a. Cadency http://www.baronage.[...] Baronage.co.uk 2012-06-19
[93] 간행물 Did National Heraldry Exist? 1976-03-01
[94] 서적
[95] 서적 Beddoe's Canadian Heraldry Mika Publishing Company
[96] 서적 Suomen kuntavaakunat. Kommunvapnen i Finland Karttakeskus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Familiewapens, oud en nieuw. Een inleiding tot de Familieheraldiek Centraal Bureau voor Genealogie
[103] 웹사이트 Theodore Roosevelt and Franklin Delano Roosevelt, 26th and 32nd P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https://www.american[...]
[104] 서적 Heraldiek in Suid-Afrika Balkema
[105] 서적 Heraldry of the World Blandford Press
[106] 논문
[107] 논문
[108] 논문
[109] 논문
[110] 웹사이트 Aincent Greek Shields Struck Fear Into Enemy https://greekreporte[...] 2022-05-06
[111] 서적 日本の家紋大全 梧桐書院
[112] 웹사이트 listed here https://x181.secure.[...]
[113] 논문
[114] 서적 Alverdens heraldik i farver Politikens Forlag 1972
[115] 서적 Heraldik Orbis
[116] 서적 Pre-modern Russia and Its World: Essays in Honor of Thomas S. Noonan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16-06-13
[117] 간행물 ТАМГА (к функции знака) Историко-археологический альманах, No 7, Армавир
[118] 서적 Indo-Parthians and the Rise of Sasanians Tahouri Publishers, Tehran
[119] 간행물 Multiple Identification Alternatives for Two Sassanid Equestrians on Fīrūzābād I Relief: A Heraldic Approach Tarikh Negar Monthly, Tehran
[120] 학술지 Cigar box heraldry https://www.academia[...] 2014
[121] 학술지 Heraldry on Crate Labels https://www.academia[...] 2015
[122] 학술지 Elvis Presley's Coat of Arms https://www.academia[...] 2018
[123] 학술지 Postcard from the Supreme Court, London https://www.academia[...] 2012
[124] 웹사이트 College of Arms newsletter & Chief Herald of Ireland's webpage http://college-of-ar[...]
[125] 웹사이트 Public Register of Arms, Flags and Badges of Canada http://reg.gg.ca/her[...]
[126] 서적 Heraldry of South African families: coats of arms/crests/ancestry Balkema, Cape Town
[127] 학술지 Gathering the clans in California https://www.academia[...] 2018
[128] 논문
[129] 서적 Heraldic Design: A Handbook for Students https://books.google[...] Genealogical Publishing Com 1976-01-01
[130] 서적 A Dictionary of Heraldry Harmony Books, New York
[131] 서적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Thomas Nelson
[132] 서적 Simple Heraldry Thomas Nelson
[133] 서적 An Heraldic Alphabet Macdonald, London
[134] 문서 Notitia Dignitatum Bodleian Library
[135] 서적 Origins of Heraldry Procter Press, London
[136] 서적 The Oxford Guide to Heraldr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37] 학술지 The Law of Arms in England
[138] 서적 A Humorous Guide to Heraldry Black Knight Books, Boston
[139] 서적 Debrett's Guide to Heraldry and Regalia Headline Books, London
[140] 서적 A Complete Guide to Heraldry Grammercy Books, New York
[141] 서적 The Elements of Heraldry Weathervane Books 1968
[142] 웹사이트 About the Flag and Coat of Arms http://www.gov.nu.ca[...] Government of Nunavut 2006-10-19
[143] 웹사이트 South African Civic Heraldry-Bophuthatswana http://www.ngw.nl/in[...] 2006-10-19
[144] 웹사이트 US Heraldic Registry http://usheraldicreg[...]
[145] 웹사이트 Arms of Connecticut http://americanheral[...]
[146] 서적 The Complete Book of Heraldry Hermes House 2003
[147] 문서 Appendix I. koro-
[148] 서적 An Heraldic Alphabet Macdonald 197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