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리 헤밍스 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리 헤밍스 벨은 1753년 버지니아에서 태어났으며, 토머스 제퍼슨의 노예였다. 제퍼슨이 프랑스에 머무는 동안 샬러츠빌의 상인 토머스 벨에게 고용되어 그와 동거하며 두 자녀를 낳았고, 1792년 제퍼슨으로부터 벨에게 매각되었다. 벨은 메리와 두 자녀를 비공식적으로 자유롭게 했고, 메리는 벨의 성을 사용하며 남은 생을 함께했다. 메리 헤밍스 벨은 토머스 벨과의 관계 외에도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그 중 일부는 토머스 제퍼슨과의 관계가 의심받기도 한다. 그녀는 샬러츠빌에서 사망했으며, 조셉 포셋의 후손인 윌리엄 먼로 트로터는 저명한 인권 운동가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밍스가 - 샐리 헤밍스
    샐리 헤밍스는 토머스 제퍼슨의 노예이자 첩으로, 제퍼슨과의 관계 및 자녀 출산과 관련된 역사적 논쟁의 중심에 있으며, DNA 검사를 통해 제퍼슨 가문과의 유전적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 헤밍스가 - 이스턴 헤밍스
    샐리 헤밍스의 아들 이스턴 헤밍스는 노예로 태어났으나 토머스 제퍼슨의 유언으로 자유를 얻고 목공 기술과 바이올린 연주자로 활동하며 가정을 꾸렸으며, 도망 노예법을 피해 위스콘신으로 이주 후 성을 제퍼슨으로 바꾸고 백인 사회에 편입, DNA 검사를 통해 토머스 제퍼슨의 혈통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샬러츠빌 출신 - 빌리 캠벨
    빌리 캠벨은 1980년대 후반부터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동한 미국의 배우로, 드라마 《왕조》와 영화 《로켓티어》, 《브람 스토커의 드라큘라》 등에 출연했으며, 드라마 《카디널》로 캐나다 스크린 어워드 남우주연상을 세 차례 수상했고 현재는 노르웨이에 거주하고 있다.
  • 샬러츠빌 출신 - 커밀라 멘데스
    카밀라 멘데스는 1994년생 브라질계 미국인 배우로, 드라마 《리버데일》의 베로니카 로지 역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약하며 제작사 아너 롤을 설립하고 실사 영화 《마스터스 오브 더 유니버스》 출연을 앞두고 있다.
  • 18세기 미국 사람 - 존 애덤스
    존 애덤스는 미국의 제2대 대통령이자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미국 독립 혁명 시기 독립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독립 후에는 외교관,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프랑스와의 준전쟁 해결, 해군 창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8세기 미국 사람 - 제임스 뷰캐넌
    제임스 뷰캐넌은 1791년에 태어나 1857년부터 1861년까지 제15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노예제 문제와 경제 공황을 겪었고 남부의 탈퇴 시도에 미온적으로 대처하여 비판을 받았다.
메리 헤밍스 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메리 헤밍스 벨
출생 이름메리 헤밍스
출생일1753년경
출생지버지니아 찰스 시티 카운티
사망일1834년 이후
사망지버지니아 샬러츠빌
국적미국
직업가정 하인; 자유 가정주부
가족 관계
부모엘리자베스 헤밍스
배우자토머스 벨 (사실혼)
자녀6명
친척조셉 포셋 (아들)

2. 초기 생애

메리는 엘리자베스 "베티" 헤밍스의 딸로 태어났다. 엘리자베스는 영국인 선장 존 헤밍스와 노예 신분이었던 아프리카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인이었다.[26][1] 메리의 아버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노예였을 것으로 추정된다.[26][1] 당시 노예 여성이 낳은 자녀는 어머니의 신분을 따라 노예가 되었다.[4] 메리는 엘리자베스가 낳은 12명의 자녀 중 첫째였다.[2][3]

메리는 1774년 1월 14일까지 존 웨일스의 농장에서 살았다.[3][4] 1773년 존 웨일스가 사망하자, 그의 딸 마사와 사위 토머스 제퍼슨 부부는 웨일스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이 과정에서 메리를 포함한 헤밍스 가족은 1774년 몬티첼로로 오게 되었다.[27][3][4] 제퍼슨은 웨일스로부터 135명의 노예를 상속받아 당시 알버말 카운티에서 두 번째로 큰 노예 소유주가 되었다.[4]

몬티첼로에서 메리는 "가치 있는 가정부"이자 재봉사로 평가받았다.[27][3] 그녀는 어머니와 자매들처럼 마사 제퍼슨과 그녀의 아이들을 돌보고, 바느질, 청소 등 가사 노동을 담당했다. 헤밍스 가족 여성들은 농장 감독관의 직접적인 관리 감독을 받지 않았다.[4]

1779년부터 1781년 사이, 버지니아 주지사가 된 제퍼슨을 따라 메리는 여동생 베티 등 다른 가정 노예들과 함께 윌리엄스버그리치먼드에서 생활했다.[28] 미국 독립 전쟁 중이던 1781년, 리치먼드에 영국군이 침입했을 때 메리는 다른 노예들과 함께 전쟁 포로가 되었으나, 이후 조지 워싱턴 장군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구출되었다.[28]

3. 미국 독립 전쟁

1779년 토머스 제퍼슨이 버지니아 주지사로 선출되자, 메리 헤밍스는 제퍼슨 가족과 함께 주도인 윌리엄스버그로 이주했다.[28][23] 당시 미국 독립 전쟁이 진행 중이었다. 이듬해인 1781년, 제퍼슨은 다시 새로운 수도인 리치먼드로 이사했고, 메리 헤밍스도 동행했다.[28][23]

같은 해, 베네딕트 아놀드가 이끄는 영국군이 제퍼슨을 잡기 위해 리치먼드를 급습했을 때, 메리 헤밍스는 동생 베티를 포함한 다른 노예들과 함께 영국군의 포로가 되었다.[28][23] 1781년 요크타운 포위전 이후, 메리 헤밍스는 영국군으로부터 풀려나 다시 제퍼슨의 노예 신분으로 돌아갔다.[23]

2007년, 미국 혁명의 딸들(Daughters of the American Revolution, DAR)은 메리 헤밍스가 독립 전쟁 중 포로로 잡혔던 경력을 인정하여 '혁명의 애국자'로 지정했다.[46][24] 이 결정으로 메리 헤밍스의 여성 후손들은 자동으로 DAR에 가입할 자격을 얻게 되었다. 그녀는 이러한 명예를 받은 최초의 몬티첼로 노예였다.[46][24]

4. 토머스 벨과의 관계와 자유

제퍼슨프랑스 주재 미국 공사로 파리에 머무는 동안, 그의 감독관은 메리 헤밍스와 그녀의 어린 두 자녀를 샬러츠빌의 상인 토머스 벨에게 고용 형태로 보냈다.[29] 메리는 토머스 벨과 사실상의 부부 관계를 맺고 두 자녀를 낳았다.[29]


  • 로버트 워싱턴 벨 (1834년 사망)
  • 사라 제퍼슨 벨 (1785년경 출생 - 1840년 이후 사망): 샐리라고도 불렸으며, 1802년 음악가 제시 스콧과 결혼했다. 스콧은 버지니아 전역에서 아들들과 함께 공연했으며,[3][14] 1827년에는 메리의 손자인 조셉 포셋이 아내 에디스 포셋과 두 자녀를 사들여 함께 자유롭게 살 수 있도록 도왔다.[15]


1792년, 제퍼슨이 미국으로 돌아온 후 메리는 자신과 어린 두 자녀를 벨에게 팔아달라고 요청했다. 제퍼슨은 "메리를 그녀의 소원대로, 그녀가 선택한 어린 자녀들과 함께 처리하라"고 지시하며 이 요청을 수락했다.[30] 벨은 그 해에 메리와 두 자녀를 사들인 뒤 비공식적으로 해방시켰고, 아이들을 자신의 자녀로 인정했다.[16][17] 이로써 메리 헤밍스는 어머니 베티 헤밍스의 자녀 중 처음으로 자유를 얻게 되었다.[19] 메리는 이후 벨의 성을 사용했다.[18] 하지만 이 과정에서 제퍼슨은 메리의 더 나이가 많은 자녀인 12세의 조셉 포셋과 9세의 베치는 몬티첼로에 남겨두어 가족이 헤어지게 되었다. 이들은 아마도 몬티첼로에 남은 고모와 할머니의 보살핌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6][17]

토머스 벨과 메리 헤밍스 벨은 남은 생을 함께 살았으며, 토머스 벨은 제퍼슨과 좋은 친구 관계를 유지했다. 1800년 토머스 벨이 사망했을 때, 그는 유언을 통해 메리와 두 자녀에게 상당한 재산을 남겼으며, 유언장에서 그들을 자유인으로 명시했다. 상속 재산에는 샬러츠빌 메인 스트리트의 부지도 포함되어 있었다. 벨은 이웃과 친구들에게 유언 집행을 맡겼고, 그들은 충실히 이행했다.[20]

메리 헤밍스 벨은 샬러츠빌 메인 스트리트의 집에서 거주하며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누렸다.[3] 자유의 몸이 된 이후에도 메리는 몬티첼로에 노예 신분으로 남아있는 가족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그녀는 자신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자녀들과 다른 노예 가족들에게 옷이나 개인 물품 등 당시 노예들이 쉽게 얻을 수 없는 것들을 제공하며 도움을 주었다.[29][21] 그녀의 손자 피터 포셋은 훗날 어린 시절을 회상하며, 자유인이었던 할머니 메리가 자신에게 푸른색 난케인 천으로 만든 옷과 빨간 가죽 모자, 신발을 선물했는데, 이는 밭에서 일하는 다른 노예 아이들의 옷차림과 비교했을 때 매우 훌륭한 것이었다고 말했다.[22]

1827년 몬티첼로의 노예들이 경매를 통해 흩어질 위기에 처하자, 메리는 자신의 경제적 지위를 이용해 아들 조셉 포셋이 그의 아내와 자녀들의 자유를 살 수 있도록 도왔다.[29][31] 메리는 1834년 이후 버지니아 샬러츠빌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사망 연도와 무덤의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다.

5. 가족 관계와 노예 자녀들

메리 헤밍스는 물라토 노예 엘리자베스 헤밍스 (Elizabeth "Betty" Hemings)의 딸로, 아버지는 신원 미상의 노예로 추정된다. 어머니 엘리자베스는 영국인 선장 존 헤밍스와 아프리카 출신 노예 여성 사이의 딸이었다.[26] 메리는 1774년, 존 웨일스의 사위인 토머스 제퍼슨에게 상속되면서 가족과 함께 몬티첼로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가정부로 일했다.[27]

메리는 토머스 벨 (Thomas Bell)을 만나기 전에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 대니얼 팔리 (Daniel Farley, 1772년–1837년): 제퍼슨이 자신의 여동생에게 주었다.[32][5]
  • 몰리 헤밍스 (Molly Hemings, 1777년–1790년 이후): 제퍼슨이 딸 마사에게 결혼 선물로 주었다.[32][5]
  • 조셉 포셋 (Joseph Fossett, 1780년–1858년): 아버지는 몬티첼로의 백인 목수 윌리엄 포셋(William Fossett)으로 추정되나,[33][34][3][7] 친부에 대해서는 다른 주장이 있다.[35][36][37] 제퍼슨은 유언으로 조셉을 해방시켰고, 그는 이후 어머니 메리 벨과 다른 자유 가족들의 도움으로 노예 경매에서 팔린 아내 에디와 자녀 대부분의 자유를 사들여 오하이오로 이주했다.[8]
  • 벳시 헤밍스 (Betsy Hemmings,[38] 1783년–1857년): 14세 때 제퍼슨의 딸 메리 제퍼슨과 사위 존 웨일스 엡스에게 결혼 선물로 보내졌으며, 그녀의 친부에 대해서도 다른 주장이 있다.[39][10]


제퍼슨이 프랑스 공사로 파리에 있는 동안, 샬러츠빌의 상인 토머스 벨(Thomas Bell, 1750년–1800년)이 메리 헤밍스를 고용했고, 그녀는 벨과 내연 관계를 맺어 두 자녀를 더 낳았다.[29][3]

  • 로버트 워싱턴 벨 (Robert Washington Bell, ?–1834년)[3]
  • 샐리 제퍼슨 벨 스콧 (Sally Jefferson Bell Scott, 1785년경?–1840년 이후): 버지니아에서 유명했던 음악가 제시 스콧(Jesse Scott)과 결혼했다.[40][3][14]


1792년, 메리의 요청에 따라 제퍼슨은 메리와 그녀의 어린 두 자녀(로버트, 샐리)를 벨에게 팔았다.[30] 벨은 같은 해에 이들 세 명을 비공식적으로 해방시키고 자신의 자녀로 인정했다.[16][17] 이로써 메리 헤밍스 벨은 어머니 베티 헤밍스의 자녀 중 가장 먼저 자유를 얻게 되었다.[19] 벨은 1800년 사망 시 메리와 두 자녀에게 상당한 재산을 남겼다.[20]

자유인이 된 후에도 메리는 몬티첼로에 남아있는 노예 신분의 자녀들(조셉, 벳시 등)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의복과 같은 물품을 지원했다.[29][3] 특히 1827년 몬티첼로 노예 분산 경매에서 아들 조셉 포셋이 아내와 자식들의 자유를 살 수 있도록 경제적 지원을 했다.[29][31] 그녀의 손자 피터 포셋은 어린 시절 할머니 메리가 노예 아이들의 옷차림과는 다른 좋은 옷과 모자, 신발을 선물했던 것을 회상했다.[22] 메리 헤밍스 벨은 1834년 이후 버지니아 샬러츠빌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5. 1. 일부 자녀들의 친부에 대한 논란

샐리 헤밍스 외에도 토머스 제퍼슨과의 사이에서 자녀를 낳았다고 주장되는 노예 여성들이 있으며, 메리 헤밍스 역시 그중 한 명으로 언급된다. 그녀의 후손들 일부는 자신들이 제퍼슨의 혈통이라고 주장해왔다.[35][41]

메리의 아들 중 한 명인 조셉 포셋(Joseph Fossett, 1780년 11월 – 1858년 9월 19일)의 경우, 그의 성씨로 미루어 친부는 몬티첼로에서 일했던 백인 목수 윌리엄 포셋(William Fossett)으로 추정된다.[33][34] 하지만 조셉 포셋의 후손들은 구전 역사를 통해 그의 실제 친부가 토머스 제퍼슨이라고 주장한다.[35][36][37]

또 다른 자녀인 벳시 헤밍스(Betsy Hemmings, 1783년 – 1857년)의 후손들 역시 그녀가 1782년에 아내 마사 웨일스 제퍼슨을 잃은 토머스 제퍼슨의 딸이라고 주장한다.[10][39] 역사가 루시아 스탠턴(Lucia Stanton)은 벳시의 어머니 메리 헤밍스가 제퍼슨이 버지니아 주지사로 재직하던 시기(1779–1781)에 윌리엄스버그와 리치먼드에서 제퍼슨 가족을 돌보기 위해 동행했던 가사 노예 중 한 명이었음을 보여주는 문서를 발견했다.[1][11] 이는 벳시의 출생 시기와 관련하여 후손들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정황이다. 벳시의 후손들은 또한 그녀가 14세 때 제퍼슨의 딸 메리 제퍼슨과 사위 존 웨일스 엡스(John Wayles Eppes)에게 결혼 선물로 보내졌으며, 엡스가 첫 아내와 사별한 후(대략 벳시가 21세 무렵) 그의 정부(첩)가 되었고, 엡스가 재혼한 이후에도 이 관계가 지속되었다고 주장한다.[10][39]

메리 헤밍스의 자녀인 조셉 포셋과 벳시 헤밍스에 관한 이러한 친부 논란은 미국의 ''Ebony'' 잡지에서 다루어진 바 있다.[35][41] 그러나 DNA 검사 결과와 같은 명확한 물적 증거는 아직 제시되지 않았으며, 현재로서는 후손들에게 구전되어 내려오는 이야기에 근거하고 있다.

6. 몬티첼로 가족과의 관계

메리 헤밍스 벨은 자유를 얻은 후에도 몬티첼로에 남아있는 노예 신분의 아이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29] 그녀는 토머스 벨 사망 후 물려받은 재산과 자유 신분을 이용하여, 노예 신분인 자녀들에게 당시 노예들이 쉽게 얻기 어려운 옷가지와 개인 물품들을 제공했다.[29][3][21] 그녀의 손자인 피터 포셋은 훗날 어린 시절 할머니 메리로부터 푸른색 난케인 천으로 만든 옷, 빨간 가죽 모자, 신발 등을 선물 받았다고 회상했는데, 이는 당시 밭에서 일하는 다른 노예 아이들의 옷차림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좋은 것이었다.[22]

1827년 토머스 제퍼슨 사후 몬티첼로의 노예들이 경매로 팔려나갈 위기에 처하자, 메리는 자신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아들 조셉 포셋이 그의 아내 에디와 자녀들의 자유를 살 수 있도록 도왔다.[29][31][8] 메리 헤밍스 벨은 사망 후에도 오랫동안 몬티첼로 가족들에게 기억되었다.[21]

7. 후손

메리의 아들 조셉 포셋(Joseph Fossett)은 유능한 못 제조인이자 대장장이였고, 토머스 제퍼슨의 유언으로 자유를 얻은 노예 중 한 명이었다.[42] 그는 1802년 에디스 "에디" 헌(Edith "Edy" Hern)과 결혼하여 총 10명의 자녀를 두었다.[42] 제퍼슨 사후 아내와 아이들이 경매로 팔리자, 포셋은 10년 이상 노력하여 가족들의 자유를 찾아주었으며, 1842년 오하이오 남부로 이주했다.[36] 조셉 포셋의 후손 중 가장 유명한 인물은 그의 손자인 윌리엄 먼로 트로터(William Monroe Trotter, 1872-1934)이다.[43] 트로터는 저명한 보스턴의 신문 편집자이자 인권 운동가로, 20세기 초 평등권을 위해 싸웠다.[43] 그는 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NAACP)의 전신인 나이아가라 운동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25] 트로터는 1895년 하버드 대학교를 우등('''magna cum laude''')으로 졸업했으며, 재학 중 유색 인종 최초로 파이 베타 카파 회원이 되었다.[25] 1896년 하버드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나, 당시 만연했던 인종차별로 인해 국제 은행업계에서 일하고자 했던 그의 노력은 좌절되었다.[25]

메리의 딸 벳시 헤밍스(Betsy Hemmings)의 후손들은 그녀가 토머스 제퍼슨의 딸이며, 제퍼슨의 사위인 존 웨일스 엡스(John Wayles Eppes)의 정부였다고 주장한다.[39] 후손들의 구전에 따르면 벳시는 엡스와의 사이에서 조셉 헤밍스(Joseph Hemmings)와 프랜시스 헤밍스 딘(Frances Hemmings Dean)을 포함한 여러 자녀를 낳았다고 한다.[39] 그러나 1869년 버킹엄 카운티 법원 화재로 기록이 소실되어 다른 자녀들의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현재는 조셉과 프랜시스의 후손들만 알려져 있다.[39]

메리의 또 다른 딸인 샐리 제퍼슨 벨 스콧(Sally Jefferson Bell Scott)은 버지니아에서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이자 무용단장이었던 제시 스콧(Jesse Scott)과 결혼하여 세 아들을 두었다.[40] 이 중 장남인 로버트 스콧(Robert Scott, 1803-1899)은 버웰 콜버트(Burwell Colbert)[44]의 딸로 추정되는 낸시 콜버트(Nancy Colbert, 1810-1864)와 결혼하여 최소 9명의 자녀를 두었다.[45]

참조

[1] 서적 "Elizabeth Hemings and Her Famil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1-08-13
[2] 웹사이트 Elizabeth Hemings https://www.monticel[...] 2019-12-29
[3] 웹사이트 Mary Hemings Bell https://www.monticel[...] 2019-12-29
[4] 웹사이트 The Slaves' Story - Jefferson's "family" - Jefferson's Blood - FRONTLINE https://www.pbs.org/[...] 2019-12-30
[5] 서적 Free Some Day
[6] 서적 The Hemingses of Monticello: An American Family New York: W.W. Norton & Co.
[7] 서적 Hemingses of Monticello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8] 웹사이트 Joseph Fossett http://explorer.mont[...] 2011-02-16
[9] 뉴스 "Once the Slave of Thomas Jefferson" https://www.pbs.org/[...] PBS, Frontline 2000-03-20
[10] 웹사이트 "The Hemmings Family in Buckingham County, Virginia" http://www.buckingha[...] Official Website 2002-02-13
[11] 뉴스 "THE THOMAS JEFFERSON/SALLY HEMINGS CONTROVERSY: Did Jefferson Also Father Children By Sally Hemings' Sister?" http://findarticles.[...] Ebony 1999-02-16
[12] 서적 Free Some Day
[13] 웹사이트 "Betsy Hemmings: Loved by a Family, but What of Her Own?" http://www.monticell[...] Monticello 2011-02-14
[14] 서적 Notorious in the Neighborhood: Sex and Families across the Color Line in Virginia, 1787-1861 https://books.google[...]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2003-12-04
[15] 웹사이트 Jesse Scott https://www.monticel[...] 2019-12-30
[16] 서적 Hemingses of Monticello
[17] 문서 Slavery at Monticello
[18] 서적 Interracial Intimacies: Sex, Marriage, Identity, and Adoption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12-09-12
[19] 웹사이트 Mary Hemings http://explorer.mont[...] Monticello Explorer 2011-02-16
[20] 서적 The Hemingses of Monticello: An American Family New York: W. W. Norton & Co.
[21] 서적 Free Some Day
[22] 서적 Free Some Day
[23] 문서 Memoir of A Monticello Slave
[24] 간행물 American Spirit Magazine Daughters of the American Revolution 2009-01
[25] 서적 The Guardian of Boston: William Monroe Trotter
[26] 서적 "Elizabeth Hemings and Her Family"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1-08-13
[27] 웹사이트 Mary Hemings Bell « Thomas Jefferson’s Monticello http://slavery.monti[...]
[28] 문서 Memoir of A Monticello Slave
[29] 웹사이트 Mary Hemings | Thomas Jefferson's Monticello http://www.monticell[...]
[30] 문서 하지만 제퍼슨은 그녀의 다른 자녀들, 조셉 포셋과 벳시 헤밍스는 팔기를 원하지 않았다. 결국에 나머지 자녀들은 몬티첼로에서 노예로 남아있게 되었다(이미 첫째 대니얼, 둘째 몰리는 각각 여동생과 딸에게 선물로 준 상태였다).
[31] 웹사이트 Joseph Fossett « Thomas Jefferson’s Monticello http://slavery.monti[...]
[32] 서적 Free Some Day
[33] 문서 1775년에서 1779년까지 몬티첼로에서 일했다.
[34] 서적 Hemingses of Monticello
[35] 간행물 "Thomas Jefferson's Negro Grandchildren" 1954-11
[36] 웹사이트 Mary Hemings http://www.angelfire[...]
[37] 문서
[38] 문서
[39] 웹사이트 Buckingham Hemmings http://www.buckingha[...]
[40] 웹사이트 Sarah Bell Scott http://slavery.monti[...] 2015-04-02
[41] 간행물 THE THOMAS JEFFERSON/SALLY HEMINGS CONTROVERSY: Did Jefferson Also Father Children By Sally Hemings' Sister? Ebony 1999-02
[42] 웹사이트 Joseph Fossett http://slavery.monti[...] 2015-04-02
[43] 웹사이트 Fossett (Hemings) http://slavery.monti[...] 2015-04-02
[44] 문서
[45] 문서
[46] 간행물 American Spirit Magazine Daughters of the American Revolution 20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