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릭 테무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릭 테무르는 칭기즈 칸의 증손이자 툴루이의 아들 아릭부케의 차남으로, 몽골 제국 제위 계승 전쟁에서 패배한 아버지를 대신하여 몽골 고원의 북서부 지역을 상속받았다. 그는 시리기의 난에 가담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카이두에게 투항했다. 이후 원나라에 항복했으나, 원나라의 권력 투쟁에 휘말려 안서왕 아난다와 함께 처형되었다. 그의 후손들은 일 칸국에서 군주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07년 사망 - 두아
    두아는 13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초반 차가타이 칸국의 칸으로, 카이두의 지원으로 칸위에 올랐으나 카이두 사후 원나라와의 갈등 속에서 차가타이 칸국을 카이두 세력으로부터 벗어나게 했으며, 그의 통치는 모굴리스탄 칸국 건국에 영향을 주었다.
  • 1307년 사망 - 에드워드 1세
    에드워드 1세는 1272년부터 1307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플랜태저넷 왕조의 국왕으로, 왕실 권력 회복, 웨일스 정복, 스코틀랜드 왕위 계승 분쟁 개입, 법률 정비 및 의회 제도 발전 등 잉글랜드의 영향력 확대와 통치 체제 강화에 기여했다.
  • 원나라의 황족 -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
    원 순제와 기황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은 고려 출신 어머니의 배경으로 몽골 귀족의 반대에 부딪히며 권력 투쟁을 겪었고, 명나라의 대도 함락 후 북원을 건국하여 저항했으나 실패하고 카라코룸에서 사망했다.
  • 원나라의 황족 - 아리크부카
    아리크부카는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툴루이의 아들, 몽케 칸의 동생으로, 1260년 몽케 칸 사후 카라코룸에서 칸으로 추대되었으나 쿠빌라이 칸과의 제위 계승 전쟁에서 패배하여 항복 후 의문사했다.
  • 몽골의 군인 - 몽케 칸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툴루이의 아들인 몽케 칸은 1251년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선출되어 금나라 정벌, 유럽 원정 참여, 중앙 정부 강화, 무역로 확보, 고려 항복, 훌라구를 통한 이란-이라크 원정 성공, 룸 술탄국 정벌, 티베트-대리국 평정 등 광범위한 영토 확장을 이끌었으나 남송 정벌 중 병사하며 몽골 제국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 몽골의 군인 - 귀위크 칸
    귀위크 칸은 몽골 제국의 3대 대칸으로, 쿠릴타이를 통해 즉위하여 유럽 원정에 참여하고 교황에게 서신을 보냈지만, 과음으로 급사하여 몽골 제국의 유럽 진출을 늦추었다.
메릭 테무르
기본 정보
몽골 제국
몽골 제국
한국어 표기멸리테무르
페르시아어 표기ملک تیمور (Malik Tīmūr)
출생연경
사망1356년
매장지계비 사답팔랄의 묘 근처
칭호양왕(梁王)
씨족보르지긴
아버지기욤
어머니고려인 기황후
배우자사답팔랄
자녀아들: 이스
아들: 왕씨에게 시집간 딸
생애
즉위1333년
폐위1356년
주요 활동형 아이유시리다라와 홍건적의 난 토벌 지원
장사성 공격
기타
주요 직위양왕

2. 생애

메릭 테무르는 아릭부케의 차남으로, 제위 계승 전쟁에서 패배한 아버지 아릭부케가 쿠빌라이에게 항복한 뒤 사망하자, 형 요브쿠르 등과 함께 몽골 고원 북서부의 영지를 상속받았다.[2] 그는 오이라트 부와 연합하여 남 시베리아 삼림 지대에 걸쳐 세력을 유지했다.

쿠빌라이 칸노무간을 북평왕으로 봉하여 몽골 고원에 주둔시키자 메릭 테무르도 이에 따랐다. 1276년 차가타이 한국의 혼란을 틈타 노무간이 일리 강 계곡으로 진주했을 때, 메릭 테무르는 시리기의 반란에 가담하여 노무간과 승상 안톤을 사로잡았다.(시리기의 난)[2] 반란군은 오고데이 한국의 카이두에게 접근하여 몽골 고원 제압을 목표로 했지만, 바얀이 이끄는 군대에 각개 격파당했다. 메릭 테무르는 처벌을 두려워하여 카이두에게 투항했다.[2]

1290년 카이두가 원나라를 침공했을 때 메릭 테무르는 야쿠두의 군수 물자를 약탈했다.[2] 1301년 카이두가 사망하고 1303년에는 원나라에 정전을 호소하기도 했다.[4] 1306년 알타이 산맥에서 카이샨의 급습을 받고, 이르티시 강 유역에서 원나라에 항복했다. (이르티시 강 전투)[5][6]

1307년 올제이투 카안(성종 테무르)가 붕어한 후, 불간 황후는 쿠빌라이 칸의 손자인 안서왕 아난다를 카안으로 옹립하려 했다. 메릭 테무르는 아난다와 함께 대도로 향했지만, 아유르바르와다를 추대하는 일파의 쿠데타로 체포되었다. 그는 아난다의 카안위 찬탈에 협력한 죄로 카이샨이 즉위한 후 아난다와 함께 처형되었다.[7]

메릭 테무르 사후에도 아릭부케 가문은 존속하여 세력을 유지했지만, 쿠빌라이 가문이 정권을 유지하는 동안에는 정치적으로 부상하지 못했다. 메릭 테무르의 증손인 알파 케운은 1335년 훌레구 가문이 단절되자 일 칸국의 군주가 되었다.

2. 1. 어린 시절

메릭 테무르의 유년 시절에 대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메릭 테무르의 부인 중 한 명은 칭기즈 칸의 딸 체체겐의 손녀였다. 체체겐과 오이라트족 토를로시의 아들 바르스부카의 딸이다.

메릭 테무르는 스루도스부, 무당이 많이 배출되는 콩고탄부, 자라이르부의 일부 부족 등의 영지를 부여받았다.[9] 그는 아릭부케의 차남이다. 제위 계승 전쟁에서 패배한 부친이 형인 세조 쿠빌라이에게 항복하여 카안위를 포기한 후, 지원 3년(1266년)에 병사하자 조부 툴루이의 울루스(영지)인 몽골 고원 중 아릭부케가 하사받았던 북서부 일대를 형 요브쿠르 등 형제들과 함께 상속했다. 아릭부케의 부인의 친정인 오이라트 부가 있던 지역(현재의 투바 공화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오이라트가 메릭 테무르 형제와 연합했던 것으로 보이며, 아릭부케 가문이 몰락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원 북서부에서 남 시베리아의 삼림 지대에 걸쳐 은연한 실력을 가지고 있었다.

2. 2. 시리기의 반란 가담과 카이두에 투항

1276년 쿠빌라이 칸의 명을 받아 오고타이 한국의 카이두를 상대로 교전했다. 메릭 테무르는 몽케 칸의 넷째 아들 시리기 등과 함께 노무간, 쿠쿠추, 승상 안톤 등이 이끄는 카이두 토벌군에 참여했다. 그러나 그해 여름 혹은 가을, 메릭 테무르는 시리기, 툴루이 칸의 서자 소게두의 아들 투그 테무르 등과 함께 진중 반란을 일으켰다. 차가타이 한국에서의 정국 혼란 소식을 접한 노무간일리강 계곡에 임시 주둔을 틈타 반란을 일으켰다.[2]

투그 테무르가 알말리크에서 노무간을 체포 감금할 때, 코코추, 승상 안톤 등을 체포하는데 가담했다. 노무간, 코코추, 안통 등을 카이두에게 넘기고, 사르반(몽케 칸의 아들 우룩타시의 아들), 시리기와 함께 카이두에 투항하였다. 이때 메릭 테무르 역시 카이두 진영에 가담하였다.(시리기의 난)[2] 1280년 투그 테무르와 요쿠부르 사이의 갈등으로 투그 테무르는 처형당하고, 시리기는 1282년 쿠빌라이 카안에게 투항하여 시리기의 난은 종결되었다. 이후 메릭 테무르는 카이두의 진영에 서서 활동했다.[2]

1301년 카이두와 함께 군사를 이끌고 몽골고원 서부를 공격했다가 패하였다. 1305년 (대덕 9년) 차가타이 한국의 두아, 오고타이 칸국의 차파르, 메릭테무르 등이 비밀리에 군사를 이끌고 몽골고원을 쳐들어왔으나, 투투카의 군대에 의해 참패하고 퇴각하였다. 1306년 당시 알타이산맥에 주둔하던 메릭 테무르는 차파르와 함께 원나라의 회령왕 퀼리그 칸 카이산에게 사자를 보내 휴전을 요청하고 있었다.[5]

2. 3. 원나라 투항과 최후

1306년 이르티시강변에서 원나라의 회령왕 퀼리그 칸 카이산(후일의 무종)의 군대에 투항하였다.[5][6]

1307년 1월, 원 성종이 붕어하자 메릭 테무르는 안서왕 아난다와 함께 대도로 입조하였다. 원 성종 테무르는 아들 테이슈가 요절한 뒤 후계자를 남기지 못하고 갑자기 사망했다. 원사연의 28권에 의하면 메릭 테무르는 1307년 1월 성종이 붕어하기 직전, 불루간 카툰으로부터 입조 명을 받고, 태자가 이미 죽은 상태에서 테무르의 병환이 위중한 것과 아유르바르와다와 카이산 등이 회주에서 군사를 일으키려 한다는 뜻을 전달받고, 새 황제로 아난다를 추대한다는 답을 받았다.

불루간 황후와 메릭 테무르, 좌승상 아구타이(阿忽台)는 성종의 사촌이자 쿠빌라이 칸의 손자 안서왕 아난다를 황제로 추대하려 했으나, 카이산의 동생 아유르와르바다가 사전에 군사를 이끌고 와서 대도를 점령, 승상 아구타이를 살해하고 불루간 황후를 폐하였다. 메릭 테무르와 아난다는 군사를 이끌고 아유르와르바다, 카이산의 군대와 교전했으나 패배, 체포되어 메릭 테무르는 아유르바르와다에 의해 상도로 압송되었다.[7] 1307년 5월 원 무종 퀼리그 칸 카이산의 명으로 찬탈죄를 이유로 아난다와 함께 사약형을 받고 그해 6월 2일 사사당했다.

2. 4. 사후

메릭 테무르 사후에도 아리크부카의 다른 자손들은 일정 부분 세력을 계속 유지하였다. 중앙아시아에 있던 그의 아들 밍 칸과 증손자 아르파1308년 일 칸국으로 망명했다. 일설에는 밍 칸은 1306년 여름 일 칸국 울제이투 칸의 통치 기간 중 일 칸국에 도착했다고도 한다.[10]

메릭 테무르의 증손자인 알파 케운은 1335년에 훌레구 가문이 단절되자 일 칸국의 군주가 되었다.

3. 메릭 테무르의 울루스와 노코르

『집사』 「쿠빌라이 카안기」의 세 번째 부분은 사실상 "아릭부케전"이 되었는데, 거기에는 『집사』 편찬 당시 아릭부케 가문의 총령이었던 메리크 테무르의 노코르(어인) 목록이 기록되어 있다.

이름부족출자직함 외
자우투수르두스순자크 노얀의 아들좌익 만인대장, 케시크 장 중 한 명
키프차크콩고탄코코추의 아들우익 만인대장, 자쿠르치
알라카콩고탄지르케 바아톨의 아들콩고탄 천인대장
장기 큐레겐자라이르우카이의 후계자자라이르 천인대장
케레이티수르두스비치쿠치의 장
케후테이수르두스메리크 테무르의 의형제
카다카메르키트부케울의 장
사크타이콩고탄케시크 장 중 한 명
스게콩고탄케시크 장 중 한 명
바부카타타르쿠투크 노얀의 아들천인대장
에센 테무르 바울치노얀 바울치의 아들
베스테이 노얀올도 아미르
아릭부케 노얀나이만
자울달알라트불그치의 아들야르구치
에브겐자라이르보그라의 아들야르구치
토간 악타치베스트제베의 일족악타치(마구간)
토그릴수르두스투르탁의 아들
칸다카이 헤자네치카라키타이우야르의 아들 아타카이의 아들
아비슈카 스쿠르치코르라우트스쿠르치
메리키 엘케치타지크



이 목록에서 아릭부케 및 메리크 테무르의 영지에서는 수르두스와 콩고탄의 두 부족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음을 알 수 있다.

콩고탄은 몽골 제국 성립 이전부터 대대로 샤먼을 맡는 특수한 일족이라는 점, 수르두스는 칭기스 칸 가문의 사람들이 묻히는 부다 운두르 일대를 유목지로 한다는 점 등에서 메리크 테무르의 울루스는 칭기스 칸 가문의 제사를 맡는 특수한 성격을 지녔다고 여겨진다. 메리크 테무르의 울루스가 칭기스 칸 가문의 제사를 맡았던 것은 메리크 테무르가 칭기스 칸의 오치긴(막내, 톨루이)의 오치긴(아릭부케)의 오치긴이라는 출신이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4. 가족 관계


  • 길레테 카툰(Гильтэ хатан): 자라이르부 울두쿠르의 손자 타란의 딸[11]
  • 아들: 살라그칸(Салангхайн)
  • 아들: 밍간(Мингхан) - 일 한국 아르파 케운의 조부. 밍간은 생전에 손자 아르파 케운과 일 한국으로 건너갔다고 한다.[12]
  • 아들: 아치기(Ачиги)
  • 아들: 나인 투바(Есөн Тува)
  • 아들: 바리타이(Баритай)
  • 아들: 치라타이(Чиратай)
  • 부라 카툰(Бура хатан): 시레의 딸
  • 아들: 오이라타이(Ойратай)
  • 아들: 마흐무다(Махмуд)

참조

[1] 서적 元史
[2] 서적 元史
[3] 논문
[4] 서적 元史
[5] 서적 元史
[6] 서적 元史
[7] 서적 元史
[8] 논문
[9] 논문 メリク・テムルとその勢力
[10] 서적 The Mongols and the Islamic World: From Conquest to Conversion Yale University Press 2017-04-04
[11] 서적 "Судрын чуулган" УБ
[12] 문서 아르파 케운은 메릭 테무르 생전에 태어난 것이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