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모리 대역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모리 대역폭은 단위 시간당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를 의미하며, bcopy, STREAM, 하드웨어 규칙 등 세 가지 측정 규칙을 통해 정의된다. bcopy 규칙은 메모리 복사, STREAM 규칙은 읽기 및 쓰기 데이터, 하드웨어 규칙은 실제 데이터 이동량을 기준으로 한다. 메모리 대역폭은 기본 DRAM 클럭 주파수, 클럭당 데이터 전송 횟수, 메모리 버스 너비, 인터페이스 수의 곱으로 계산되며, DDR, DDR2, DDR3 등의 메모리 종류에 따라 명명 규칙이 다르다. 또한, 오류 정정 메모리(ECC)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추가 비트가 대역폭 사양에 포함되지 않는다. 한국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메모리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며, 한미 기술 동맹 및 한일 관계와 관련된 메모리 반도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메모리 - 플래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는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쓰기 및 삭제가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로, 마스오카 후지오 박사가 발명하여 카메라 플래시와 유사한 소거 방식으로 인해 명명되었으며, NOR형과 NAND형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분야에 적용된다.
  • 컴퓨터 메모리 - 메모리 계층 구조
    메모리 계층 구조는 CPU 데이터 접근 속도 향상을 위해 레지스터, 캐시, RAM, 보조 기억 장치 등으로 구성되며, 속도, 용량, 비용이 다른 계층들을 통해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메모리 대역폭
메모리 대역폭 정보
정의메모리 컨트롤러가 메모리 칩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는 속도
측정 단위초당 바이트 수 (Bytes per second, B/s)
관련 용어클럭 속도
버스 폭
데이터 전송률
메모리 컨트롤러
측정 방법
계산식대역폭 = 클럭 속도 × 버스 폭 × 데이터 전송률
클럭 속도메모리 컨트롤러의 클럭 속도 (헤르츠, Hz)
버스 폭메모리 버스의 폭 (비트, bit)
데이터 전송률클럭 당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 (DDR의 경우 2, QDR의 경우 4)
예시DDR4-3200 메모리의 대역폭 = 1600 MHz × 64 bit × 2 = 25.6 GB/s
영향 요인
클럭 속도클럭 속도가 높을수록 대역폭 증가
버스 폭버스 폭이 넓을수록 대역폭 증가
메모리 종류DDR, DDR2, DDR3, DDR4, DDR5 등 메모리 종류에 따라 데이터 전송률 및 최대 클럭 속도 달라짐
메모리 채널듀얼 채널, 트리플 채널, 쿼드 채널 등 다중 채널 구성 시 대역폭 증가
활용 분야
고성능 컴퓨팅High-Performance Computing, HPC 시스템에서 대규모 데이터 처리 및 연산에 중요
게임고해상도, 고프레임 게임 실행 시 텍스처 로딩 및 렌더링 속도 향상
그래픽 작업그래픽 디자인, 영상 편집, 3D 모델링 등에서 대용량 데이터 처리 성능 향상
서버데이터베이스, 가상화, 클라우드 컴퓨팅 등 서버 환경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처리 성능 제공
주의 사항
실제 성능이론적인 최대 대역폭과 실제 시스템 성능은 차이 발생 가능 (CPU, 칩셋, 소프트웨어 등 다른 요소 영향)
병목 현상메모리 대역폭 부족 시 시스템 전체 성능 저하 유발 가능

2. 측정 규칙

메모리 대역폭은 일반적으로 바이트/초 단위로 표시되지만, 8비트 바이트의 배수가 아닌 고유한 데이터 크기를 가진 시스템에서는 다를 수 있다.

어떤 메모리나 시스템에서 발표되는 메모리 대역폭은 보통 이론적인 최대 대역폭이다. 실제로 측정되는 메모리 대역폭은 발표되는 대역폭보다 작으며, 발표되는 대역폭을 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다양한 접근 패턴을 사용하여 지속적인 메모리 대역폭을 측정하는 여러 컴퓨터 벤치마크가 존재한다. 이러한 벤치마크는 다양한 종류의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시스템이 유지해야 할 메모리 대역폭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데이터 전송량을 "바이트/초" 단위로 정의하는 데는 세 가지 규칙이 있다.[1]

규칙설명특징
bcopy 규칙단위 시간당 한 메모리 위치에서 다른 메모리 위치로 복사된 데이터의 양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1초 안에 100만 바이트를 복사하면 초당 100만 바이트로 계산된다.자체적으로 일관성이 있지만, 복잡한 접근 패턴을 다루기 어렵다.
스트림 규칙애플리케이션 코드가 명시적으로 읽는 데이터 양과 쓰는 데이터 양을 더한다. 100만 바이트 복사 예제에서 1초에 100만 바이트를 읽고 100만 바이트를 쓰므로, 총 초당 200만 바이트로 계산된다.사용자 코드와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되지만, 하드웨어가 실제로 수행하는 모든 데이터 트래픽을 계산하지 않을 수 있다.
하드웨어 규칙사용자 코드가 명시적으로 요청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하드웨어에서 실제로 읽거나 쓴 데이터의 양을 계산한다. 쓰기 할당 캐시 정책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대상 배열을 캐시로 읽는 과정이 추가되어, 100만 바이트 복사 시 /s로 계산될 수 있다.하드웨어와 가장 관련이 깊지만, 사용자 코드 구현에 필요한 최소 데이터 트래픽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컴퓨터 시스템은 특수 명령을 사용하여 쓰기 할당 트래픽을 피할 수 있으므로, 수행된 데이터 트래픽 양이 달라 대역폭 비교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1]

2. 1. bcopy 규칙

메모리 대역폭 측정에는 '바이트/초'로 표시되는 전송 데이터 양을 정의하는 세 가지 관례가 있다. 그중 '''bcopy 관례'''는 단위 시간당 한 메모리 위치에서 다른 메모리 위치로 복사된 데이터 양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1초에 100만 바이트를 한 메모리 위치에서 다른 메모리 위치로 복사하면 1MB/s로 계산된다.[1] bcopy 관례는 자체적으로 일관성이 있지만, 세 번의 읽기와 한 번의 쓰기와 같이 더 복잡한 접근 패턴을 다루는 데는 쉽게 확장되지 않는다.

2. 2. 스트림(STREAM) 규칙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명시적으로 읽는 데이터 양과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명시적으로 쓰는 데이터 양을 합산한다.[1] 예를 들어, 1초에 100만 바이트를 읽고 100만 바이트를 쓰면 총 2MB/s로 계산된다. 스트림 규칙은 사용자 코드와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지만, 하드웨어가 실제로 수행해야 하는 모든 데이터 트래픽을 계산하지 않을 수 있다.

2. 3. 하드웨어 규칙

데이터 전송량을 "바이트/초" 단위로 정의하는 데는 세 가지 규칙이 있다.[1]

규칙설명특징
bcopy 규칙단위 시간당 한 메모리 위치에서 다른 메모리 위치로 복사된 데이터의 양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1초 안에 100만 바이트를 복사하면 초당 100만 바이트로 계산된다.자체적으로 일관성이 있지만, 복잡한 접근 패턴을 다루기 어렵다.
스트림 규칙애플리케이션 코드가 명시적으로 읽는 데이터 양과 쓰는 데이터 양을 더한다. 100만 바이트 복사 예제에서 1초에 100만 바이트를 읽고 100만 바이트를 쓰므로, 총 초당 200만 바이트로 계산된다.사용자 코드와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되지만, 하드웨어가 실제로 수행하는 모든 데이터 트래픽을 계산하지 않을 수 있다.
하드웨어 규칙사용자 코드가 명시적으로 요청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하드웨어에서 실제로 읽거나 쓴 데이터의 양을 계산한다. 쓰기 할당 캐시 정책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대상 배열을 캐시로 읽는 과정이 추가되어, 100만 바이트 복사 시 /s로 계산될 수 있다.하드웨어와 가장 관련이 깊지만, 사용자 코드 구현에 필요한 최소 데이터 트래픽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컴퓨터 시스템은 특수 명령을 사용하여 쓰기 할당 트래픽을 피할 수 있으므로, 수행된 데이터 트래픽 양이 달라 대역폭 비교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1]

3. 대역폭 계산 및 명명법

메모리 기술에 따라 명칭은 다르지만, 일반적인 DDR SDRAM, DDR2 SDRAM, DDR3 SDRAM 메모리의 경우, 총 대역폭은 다음 요소들의 곱으로 계산된다.


  • 기본 DRAM 클럭 주파수
  • 클럭당 데이터 전송 횟수: "더블 데이터 레이트"(DDR, DDR2, DDR3, DDR4) 메모리의 경우 2회.
  • 메모리 버스(인터페이스) 너비: 각 DDR, DDR2 또는 DDR3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64비트 너비이다. 이 64비트는 때때로 "라인"이라고 한다.
  • 인터페이스 수: 최신 개인용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2개의 메모리 인터페이스(듀얼 채널 모드)를 사용하여 128비트 유효 버스 너비를 갖는다.


예를 들어, 듀얼 채널 메모리에 채널당 DDR2-800 모듈 1개가 있고 400MHz로 실행되는 컴퓨터의 이론상 최대 메모리 대역폭은 다음과 같다.

: 400,000,000Hz × 클럭당 2 라인 × 라인당 64 비트 × 2 인터페이스 = 초당 102,400,000,000 (1024억) 비트 (바이트로 환산하면 12800MB/s 또는 12.8GB/s)

이론상 최대 메모리 대역폭은 "버스트 속도"라고 하며, 지속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DDR, DDR2 및 DDR3 모듈의 명명 규칙은 최대 속도(예: DDR2-800) 또는 최대 대역폭(예: PC2-6400)을 지정한다. 속도 등급(800)은 최대 클럭 속도가 아니라 그 두 배(더블 데이터 레이트 때문)이다. 지정된 대역폭(6400)은 64비트 너비를 사용하여 초당 전송되는 최대 메가바이트 수이다. 듀얼 채널 모드 구성에서는 이것이 실제로 128비트 너비이다. 따라서 예제에서 메모리 구성은 듀얼 채널 모드로 실행되는 DDR2-800 모듈 2개로 단순화할 수 있다.

모듈당 2개의 메모리 인터페이스는 PC 시스템 메모리의 일반적인 구성이지만, 단일 채널 구성은 구형, 보급형 또는 저전력 장치에서 일반적이다. 일부 개인용 컴퓨터와 대부분의 최신 그래픽 카드는 2개 이상의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예: 인텔LGA 2011 플랫폼의 경우 4개, NVIDIA GeForce GTX 980의 경우 4개). 많은 인터페이스를 병렬로 실행하는 고성능 그래픽 카드는 매우 높은 총 메모리 버스 너비를 얻을 수 있다(예: NVIDIA GeForce GTX TITAN에서는 384비트, AMD Radeon R9 290X에서는 512비트, 각각 6개와 8개의 64비트 인터페이스 사용).

4. ECC 비트

오류 정정 메모리(ECC)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의 추가 너비(일반적으로 64비트 대신 72비트)는 대역폭 사양에 포함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추가 비트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ECC 비트는 해당 하드웨어에 저장된 정보가 아닌 메모리 하드웨어의 일부로 간주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5. 한국의 메모리 기술 발전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들은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메모리 대역폭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고성능 메모리 모듈 개발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으며, 한국 정부 차원에서도 많은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5. 1. 한국의 관점

현재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의 관점'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