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검색 엔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타 검색 엔진은 여러 검색 엔진의 검색 결과를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검색 도구이다. 1995년 Eric Selberg의 논문에서 개념이 제시되었으며, 메타크롤러, 핫봇, 익스퀵 등이 초기 사례로 꼽힌다. 메타 검색 엔진은 여러 검색 엔진의 결과를 통해 정보 범위를 넓히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쿼리 구문 분석의 한계, 스팸덱싱 문제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컬렉션 융합과 데이터 융합 방식을 통해 검색 결과를 정렬하며, 스팸덱싱은 메타 검색 엔진의 정확성을 저해하는 주요 문제로, 콘텐츠 스팸, 링크 스팸, 클로킹 등의 기술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타 검색 엔진 - 트리바고
트리바고는 2005년 독일에서 설립된 호텔 가격 비교 웹사이트로, 전 세계 호텔 예약 사이트의 가격 정보를 비교 제공하며, 2012년 익스피디아 그룹에 인수, 2016년 나스닥에 상장되었으나,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소비자 오도 혐의로 벌금을 부과받기도 했다. - 메타 검색 엔진 - 스카이스캐너
스카이스캐너는 항공권, 호텔, 렌터카 가격을 비교 검색해주는 메타 검색 엔진으로, 2003년 설립되어 유럽 저가 항공사 검색을 시작으로 서비스를 확대, 2016년 트립닷컴 그룹에 인수되어 전 세계 여행 상품 가격 비교 서비스를 제공한다.
메타 검색 엔진 | |
---|---|
메타 검색 엔진 정보 | |
유형 | 검색 엔진 |
설명 | 다른 검색 엔진의 검색 결과를 통합하여 보여주는 검색 엔진 |
작동 방식 | |
원리 | 사용자 쿼리 수신 여러 검색 엔진에 쿼리 전달 결과 수집 및 통합 사용자에게 결과 표시 |
특징 | 검색 범위 확장 다양한 검색 엔진의 강점 활용 결과의 중복 제거 및 순위 재조정 |
장단점 | |
장점 | 더 넓은 범위의 정보 검색 가능 여러 검색 엔진의 알고리즘 활용 사용자가 직접 여러 검색 엔진을 방문할 필요 없음 |
단점 | 각 검색 엔진의 고급 기능 활용 불가 검색 결과의 일관성 문제 발생 가능 특정 검색 엔진에 대한 의존성 증가 우려 |
기술적 측면 | |
정보 수집 | 여러 검색 엔진의 API 또는 웹 스크래핑 사용 |
결과 통합 | 중복 제거, 순위 재조정 등의 과정 필요 |
사용자 인터페이스 | 통합된 검색 결과를 효과적으로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중요 |
활용 분야 | |
학술 연구 |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및 학술 자료 검색 |
가격 비교 | 여러 온라인 쇼핑몰의 가격 정보 비교 |
뉴스 검색 | 다양한 뉴스 매체의 기사 검색 |
예시 | |
예시 | Dogpile Metacrawler Vivísimo (현재는 IBM Watson Discovery Advisor에 통합) |
2. 역사
메타 검색 엔진의 역사는 1995년 워싱턴 대학교의 학생 에릭 셀버그(Eric Selberg)가 메타크롤러 실험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6] 이 검색 엔진은 2024년 현재까지도 사용 가능하다.[7] 1997년, 다니엘 드레이링거(Daniel Dreilinger)는 자신의 실험적인 메타 검색 엔진인 SavvySearch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다.[9]
2. 1. 세계의 메타 검색 엔진 역사
콜로라도 주립 대학교의 Daniel Dreilinger는 사용자가 최대 20개의 다른 검색 엔진과 디렉터리를 한 번에 검색할 수 있게 하는 SearchSavvy를 공개하여 메타 검색의 개념을 최초로 통합했다.[9] 빠르긴 했지만 이 검색 엔진은 단순한 검색으로 제한되어 신뢰성이 낮았다. 워싱턴 대학교의 학생 Eric Selberg는 더 업데이트된 버전의 메타크롤러를 공개했다.[6]1996년 5월 20일에는 와이어드가 소유했던 핫봇이 만들어졌는데, 잉크토미와 다이렉트 히트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결과를 가져오는 검색 엔진이었다.[8] 1998년 라이코스에 인수된 후, 검색 엔진 개발이 주춤해졌고 시장 점유율이 급격히 감소했다. 핫봇은 단순화된 검색 인터페이스로 재설계되었으며, 핫봇의 기능은 라이코스의 웹사이트 재설계에 통합되었다.[8]
1999년에는 Bo Shu와 Subhash Kak에 의해 Anvish라는 메타 검색 엔진이 개발되었으며, 검색 결과는 즉시 훈련된 신경망을 사용하여 정렬되었다.[10] 이는 나중에 Solosearch라는 다른 메타 검색 엔진에 통합되었다.[11]
2000년 8월, 인도에서는 HumHaiIndia.com이 출시되면서 최초의 메타 검색 엔진을 갖게 되었다.[12]
익스퀵은 1998년 데이비드 보드닉이 개발하여 출시했으며, 사용자 개인 정보를 삭제하는 정책으로 유명하다. 스크루글과 동일한 프로세스를 거쳐 사용자 개인 정보를 삭제하기 시작했다. 익스퀵은 고유한 랭킹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결과에 별표가 많을수록 더 많은 검색 엔진이 해당 결과에 동의했음을 의미한다.[15]
2005년 4월, 도그파일은 피츠버그 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원들과 협력하여 주요 웹 검색 엔진의 중복 및 순위 차이를 측정했다. 구글, 야후!, Ask Jeeves에서 검색한 결과, 첫 페이지 검색 결과의 3.2%만이 해당 검색 엔진에서 동일했다. 같은 해 말 구글, 야후!, MSN 검색, Ask Jeeves에서 검색한 결과에서는 첫 페이지 검색 결과의 1.1%만이 동일했다.[16]
2. 2. 한국의 메타 검색 엔진 역사
한국의 경우 1995년에 최초의 한글 검색 엔진인 '코시크(kor-seek)'와 1996년에 서비스를 시작한 '까치네'의 두 검색 엔진을 동시에 검색해 주기 위해 서비스를 개시한 미스다찾니가 최초의 메타 검색 엔진으로 알려져 있다.3. 장점
여러 검색 엔진에 여러 쿼리를 전송함으로써 주제의 데이터 범위를 확장하고 더 많은 정보를 찾을 수 있다. 다른 검색 엔진에서 구축한 색인을 사용하여 결과를 집계하고 종종 고유한 방식으로 후처리한다. 메타 검색 엔진은 동일한 노력으로 더 많은 결과를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 검색 엔진보다 유리하다.[2] 또한 사용자가 여러 엔진에 개별적으로 검색어를 입력하여 리소스를 검색해야 하는 수고를 줄여준다.[2]
메타 검색은 사용자가 주제에 대한 개요를 얻거나 빠른 답변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도 유용한 접근 방식이다. 야후! (Yahoo!)나 구글 (Google)과 같은 여러 검색 엔진을 거쳐 결과를 비교하는 대신, 메타 검색 엔진은 결과를 신속하게 컴파일하고 결합할 수 있다. 추가적인 후처리 없이 각 검색 엔진에서 쿼리한 결과를 나열하거나(도그파일), 결과를 분석하고 자체 규칙에 따라 순위를 매기는 방식(익스퀵, 메타크롤러)으로 수행할 수 있다.
메타 검색 엔진은 또한 쿼리된 검색 엔진으로부터 검색자의 IP 주소를 숨길 수 있으므로 검색의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검색 결과를 하나로 통합하기 때문에 "비통합형 메타 검색 엔진"처럼 매번 검색 대상 사이트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는 수많은 검색 엔진에서 상위 랭킹에 표시되는 페이지부터 차례대로 표시된다. 또한, 주요 검색 엔진을 활용한 횡단형 검색 엔진도 증가하고 있다.
덧붙여, OTA 서비스를 통합하여 숙박·여행 관련 OTA 사이트를 횡단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도 메타 검색으로 불리게 되었다.
4. 단점
메타 검색 엔진은 쿼리 양식을 구문 분석하거나 쿼리 구문을 완전히 번역할 수 없다. 생성하는 하이퍼링크 수가 제한적이므로 사용자에게 쿼리의 완전한 결과를 제공하지 못한다.[17]
대부분의 메타 검색 엔진은 단일 검색 엔진에서 10개가 넘는 링크된 파일을 제공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더 큰 검색 엔진과 결과 상호 작용을 하지 않는다. 클릭당 지불 링크가 우선시되며, 대개 먼저 표시된다.[18]
메타 검색은 특히 사용자가 인기 있거나 흔한 정보를 검색하는 경우, 쿼리된 주제에 대한 더 많은 범위를 제공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쿼리된 엔진에서 여러 개의 동일한 결과로 끝나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사용자가 쿼리와 함께 전송할 고급 검색 구문을 사용하여 검색하기가 더 어려우므로, 특정 엔진의 고급 검색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만큼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많은 메타 검색 엔진에서 간단한 검색을 사용하게 된다.[19]
5. 작동 방식
메타 검색 엔진은 사용자로부터 단일 검색 요청을 받아, 이 요청을 여러 다른 검색 엔진의 데이터베이스로 전달한다. 메타 검색 엔진은 자체적으로 웹 페이지의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지 않고, 여러 소스에서 데이터 통합된 연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생성한다.[20][21][22]
모든 검색 엔진은 고유하며, 순위가 매겨진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서로 다른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복 항목이 생성된다. 메타 검색 엔진은 이 데이터를 처리하고 자체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중복 항목을 제거하고, 수정된 목록을 사용자에게 출력으로 제공한다.
메타 검색 엔진이 다른 검색 엔진에 연락할 때, 이러한 검색 엔진은 다음 세 가지 방식으로 응답할 수 있다.
- 협력: 메타 검색 엔진에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비공개 접근을 포함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완전한 접근을 제공하고, 인덱스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변경 사항을 알린다.
- 비협조: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근을 거부하거나 제공하지 않는다.
- 적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완전한 접근을 거부하고, 심각한 상황에서는 법적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23]
5. 1. 순위 결정(Architecture of ranking)
많은 검색 엔진에서 순위가 높은 웹 페이지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더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23] 하지만 모든 검색 엔진은 각 웹사이트에 대해 서로 다른 순위 점수를 가지며,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점수는 동일하지 않다. 이는 검색 엔진이 점수 매기기 위한 서로 다른 기준과 방법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웹사이트는 한 검색 엔진에서는 순위가 높게 나타나고 다른 검색 엔진에서는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이는 메타 검색 엔진이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이 데이터의 일관성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23]검색 결과를 하나로 통합하기 때문에 "비통합형 메타 검색 엔진"처럼 매번 검색 대상 사이트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는 수많은 검색 엔진에서 상위 랭킹에 표시되는 페이지부터 차례대로 표시된다. 또한, 주요 검색 엔진을 활용한 횡단형 검색 엔진도 증가하고 있다.
덧붙여, OTA 서비스를 통합하여 숙박·여행 관련 OTA 사이트를 횡단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도 메타 검색으로 불리게 되었다.
5. 2. 융합(Fusion)
메타 검색 엔진은 보다 효율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데이터 필터링 과정인 융합(Fusion)을 사용한다. 사용되는 주요 융합 방법에는 컬렉션 융합과 데이터 융합이 있다.- 컬렉션 융합: 분산 검색이라고도 하며, 관련 없는 데이터를 색인하는 검색 엔진을 다룬다. 이러한 소스의 가치를 결정하기 위해 컬렉션 융합은 내용을 살펴본 다음 쿼리와 관련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에 따라 데이터를 순위를 매긴다. 생성된 내용에서 컬렉션 융합은 순위에서 가장 좋은 리소스를 골라낼 수 있다. 선택된 이러한 리소스는 목록으로 병합된다.[23]
- 데이터 융합: 공통 데이터 세트를 색인하는 검색 엔진에서 검색된 정보를 다룬다. 과정은 매우 유사하다. 데이터의 초기 순위 점수가 단일 목록으로 병합된 후 각 문서의 원래 순위가 분석된다. 높은 점수를 가진 데이터는 특정 쿼리와의 높은 관련성을 나타내므로 선택된다. 목록을 생성하려면 CombSum과 같은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점수를 정규화해야 한다. 이는 검색 엔진이 서로 다른 알고리즘 정책을 채택하여 생성된 점수를 비교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24][25]
검색 결과를 하나로 통합하기 때문에 "비통합형 메타 검색 엔진"처럼 매번 검색 대상 사이트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는 수많은 검색 엔진에서 상위 랭킹에 표시되는 페이지부터 차례대로 표시된다. 또한, 주요 검색 엔진을 활용한 횡단형 검색 엔진도 증가하고 있다.
덧붙여, OTA 서비스를 통합하여 숙박·여행 관련 OTA 사이트를 횡단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도 메타 검색으로 불리게 되었다.
6. 스팸덱싱
스팸덱싱은 검색 엔진 색인을 의도적으로 조작하는 행위이다. 스팸덱싱은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색인된 리소스의 관련성 또는 우선 순위를 조작하는데, 이는 색인 시스템의 의도와는 맞지 않는다. 스팸덱싱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며, 검색 결과의 정확도를 떨어뜨려 검색 엔진에 문제를 야기한다.[26] 결국 검색 엔진은 신뢰성을 잃고 사용자가 의존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색 로봇 알고리즘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거의 매일 변경되고 있다.[26]
스팸덱싱은 웹 크롤러의 색인 생성 기준을 조작하기 때문에 메타 검색 엔진에 큰 문제가 된다. 스팸덱싱은 검색 엔진의 자연스러운 랭킹 시스템을 조작하여 웹사이트를 원래 위치보다 더 높은 순위에 배치한다.[27]
6. 1. 콘텐츠 스팸 (Content spam)
콘텐츠 스팸은 검색 엔진이 페이지 콘텐츠에 대해 갖는 논리적인 모습을 변경하는 기술이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있다.- 키워드 스터핑: 페이지 내에서 키워드를 계산적으로 배치하여 페이지의 키워드 수, 다양성 및 밀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 숨겨진/보이지 않는 텍스트: 배경색과 동일하게 만들거나, 매우 작은 글꼴 크기를 사용하거나, HTML 코드 내에 숨겨서 관련 없는 텍스트를 숨기는 방법이다.
- 메타 태그 스터핑: 메타 태그에서 키워드를 반복하거나 사이트 콘텐츠와 관련 없는 키워드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 도어웨이 페이지: 콘텐츠는 거의 없지만 관련 키워드 또는 문구가 있는 저품질 웹 페이지를 말한다.
- 스크래퍼 사이트: 다른 웹사이트에서 콘텐츠를 복사하여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 문서 스피닝: 다른 사이트에서 콘텐츠를 복사하는 대신 기존 문서를 다시 작성하는 방법이다.
- 기계 번역: 기계 번역을 사용하여 여러 다른 언어로 콘텐츠를 다시 작성하여 해독 불가능한 텍스트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6. 2. 링크 스팸 (Link spam)
링크 스팸은 가치와는 무관한 이유로 페이지 사이에 존재하는 링크를 말한다. 관련 기술은 다음과 같다.기술 | 설명 |
---|---|
링크 구축 소프트웨어 | 검색 엔진 최적화(SEO) 프로세스를 자동화한다. |
링크 팜 | 서로를 참조하는 페이지 (상호 칭찬 사이로도 알려져 있음) |
숨겨진 링크 | 방문자가 볼 수 없거나 볼 수 없는 위치에 하이퍼링크를 배치한다. |
시빌 공격 | 악의적인 의도로 여러 신원을 위조한다. |
스팸 블로그 | 상업적 프로모션과 대상 사이트에 링크 권한을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블로그 |
페이지 하이재킹 | 인기 있는 웹사이트의 콘텐츠와 유사한 복사본을 만들지만, 웹 서퍼를 관련 없는 웹사이트나 악의적인 웹사이트로 리디렉션한다. |
만료된 도메인 구매 | 만료되는 도메인을 구매하고 관련 없는 웹사이트에 대한 링크로 페이지를 교체한다. |
쿠키 스터핑 | 웹사이트 방문자의 컴퓨터에 제휴 추적 쿠키를 사용자의 인지 없이 배치한다. |
포럼 스팸 | 스팸 사이트에 대한 링크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자가 편집할 수 있는 웹사이트 |
6. 3. 클로킹 (Cloaking)
이 기법은 웹 크롤러와 웹 브라우저에 서로 다른 자료와 정보를 보내는 SEO 기술이다.[28] 이는 검색 엔진이 검색 엔진 설명과 실질적으로 다른 사이트를 방문하도록 속이거나, 특정 사이트에 더 높은 순위를 부여하도록 속일 수 있기 때문에 스팸덱싱 기법으로 흔히 사용된다.7. 종류
메타 검색 엔진은 여러 검색 엔진의 결과를 모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초기에는 여러 실험적인 시도들이 있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한 기능을 갖춘 메타 검색 엔진들이 등장했다.
연도 | 개발자 | 이름 | 설명 |
---|---|---|---|
1995 | 에릭 셀버그(Eric Selberg) | 메타크롤러 | 워싱턴 대학교 학생이 개발[6] |
1996 | 와이어드 (소유) | 핫봇 | 잉크토미와 다이렉트 히트 데이터베이스 활용. 라이코스에 인수된 후 쇠퇴.[8] |
1997 | 다니엘 드레이링거(Daniel Dreilinger) | SavvySearch | 이전 검색 경험 기반 자동 선택 기능[9] |
1999 | Bo Shu, Subhash Kak | Anvish | 신경망으로 검색 결과 정렬. Solosearch에 통합.[10][11] |
2000 | Sumeet Lamba | HumHaiIndia.com (Tazaa.com) | 인도 최초의 메타 검색 엔진[12][13][14] |
1998 | 데이비드 보드닉(David Bodnick) | 익스퀵 |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 정책으로 유명. 별표 랭킹 시스템.[15] |
- 2005년, 도그파일은 피츠버그 대학교 및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진과 함께 주요 웹 검색 엔진의 중복 및 순위 차이를 측정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검색 엔진 간 결과 중복률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16]
웹 검색 외에도 뉴스, 번역, 교통, 날씨, 게시판 등 다양한 분야의 검색 엔진을 활용하는 메타 검색 엔진도 있다. 이러한 엔진들은 검색 결과를 통합하여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매번 검색 대상을 선택할 필요가 없다. 최근에는 주요 검색 엔진을 활용하는 횡단형 메타 검색 엔진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OTA 서비스를 통합하여 숙박 및 여행 관련 OTA 사이트를 횡단 검색하는 서비스도 메타 검색이라고 불린다.
8. 메타 검색 엔진의 예
- 메타크롤러: 워싱턴 대학교의 학생 에릭 셀버그가 개발한 메타 검색 엔진이다. 1995년에 실험에 관한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2024년 현재까지도 사용 가능하다.[6][7]
- 핫봇(HotBot): 1996년 5월 20일에 만들어졌으며, 당시 와이어드가 소유하고 있었다. 잉크토미와 다이렉트 히트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결과를 가져왔다. 빠른 결과와 검색 결과 내에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으로 유명했지만, 1998년 라이코스에 인수된 후 개발이 주춤해졌고 시장 점유율이 급격히 감소했다.[8]
- 미스다찾니: 한국 최초의 메타 검색 엔진으로 알려져 있다. 1995년에 최초의 한글검색엔진인 '코시크(kor-seek)'와 1996년에 서비스를 시작한 '까치네'의 두 검색엔진을 동시에 검색해주기 위해 서비스를 개시했다.
- SavvySearch: 1997년 다니엘 드레이링거(Daniel Dreilinger)가 발표한 실험적인 메타 검색 엔진으로, 이전 경험을 바탕으로 우선순위를 정할 올바른 검색 엔진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었다.[9]
- Anvish: 1999년 Bo Shu와 Subhash Kak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검색 결과는 즉시 훈련된 신경망을 사용하여 정렬되었다.[10] 나중에 Solosearch라는 다른 메타 검색 엔진에 통합되었다.[11]
- HumHaiIndia.com: 2000년 8월 인도에서 출시된 최초의 메타 검색 엔진이다.[12] 16세였던 Sumeet Lamba에 의해 개발되었으며,[13] 나중에 Tazaa.com으로 브랜드가 변경되었다.[14]
- 익스퀵: 개인 정보 보호 정책으로 유명한 검색 엔진이다. 1998년 데이비드 보드닉(David Bodnick)이 개발하여 출시했으며, Surfboard Holding BV가 소유하고 있다. 사용자 개인 정보를 삭제하고, 고유한 랭킹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15]
- 도그파일: 2005년 4월, InfoSpace가 소유 및 운영했던 메타 검색 엔진으로, 피츠버그 대학교와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연구원들과 협력하여 웹 검색을 위한 메타 검색 엔진 사용의 이점을 측정하는 연구를 진행했다.[16]
- 검색 데스크(searchdesk.com): 1996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 최속 일괄 검색(skensaku.com): 1997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 SearXNG(searx.space): 2014년에 출시되었다.
참조
[1]
문서
Sandy Berger's Great Age Guide to the Internet
Que Publishing
2005
[2]
웹사이트
Architecture of a Metasearch Engine that Supports User Information Needs
https://www.research[...]
[3]
웹사이트
How search Engine work
https://www.onionrid[...]
onionride
2021
[4]
웹사이트
Patent US6999959 - Meta search engine
https://patents.goog[...]
1997-10-10
[5]
웹사이트
The collection fusion problem.
https://www.research[...]
2000-04
[6]
학술지
Multi-Engine Search and Comparison Using the MetaCrawler
https://dl.acm.org/d[...]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1995-12-11
[7]
웹사이트
Metacrawler
https://www.metacraw[...]
2024-12-05
[8]
웹사이트
Search engine rankings on HotBot: a brief history of the HotBot search engine
http://www.websearch[...]
[9]
학술지
SAVVYSEARCH: A Metasearch Engine That Learns Which Search Engines to Query
https://ojs.aaai.org[...]
1997-06-15
[10]
학술지
A neural network based intelligent metasearch engine
[11]
웹사이트
Better Web searches and prediction with instantaneously trained neural networks.
http://www.ece.lsu.e[...]
IEEE Intelligent Systems
1999-11
[12]
웹사이트
New kid in town
https://www.indiatod[...]
2024-03-14
[13]
웹사이트
What is Metasearch Engine?
https://www.geeksfor[...]
2024-03-14
[14]
웹사이트
www.metaseek.nl
https://www.metaseek[...]
2024-03-14
[15]
웹사이트
ABOUT US – Our history
https://www.startpag[...]
[16]
웹사이트
Overlap among major web search engines
http://www.bernardjj[...]
Emerald
2006
[17]
웹사이트
Department of Informatics
https://www3.unifr.c[...]
University of Fribourg
[18]
웹사이트
Intelligence Exploitation of the Internet
http://nsarchive.gwu[...]
[19]
웹사이트
Metasearch Engines Expands your Horizon
https://www.timeatla[...]
2009-09-16
[20]
웹사이트
Metasearch Engines
http://www.cs.bingha[...]
2008-05-05
[21]
웹사이트
The MetaCrawler architecture for resource aggregation on the Web.
https://homes.cs.was[...]
IEEE expert
[22]
웹사이트
Design and Development of a Programmable Meta Search Engine
https://research.ijc[...]
Foundation of Computer Science
2013-07
[23]
웹사이트
Information retrieval on Internet using meta-search engines: A review.
http://nopr.niscair.[...]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2008-10
[24]
서적
Information Retrieval Technology
[25]
웹사이트
A Formal Approach to Score Normalization for Meta-search.
http://maroo.cs.umas[...]
2014-10-27
[26]
웹사이트
Web Spam Detection
https://www.microsof[...]
Microsoft
[27]
웹사이트
A few legal comments on spamdexing.
https://www.worldser[...]
2009-02
[28]
웹사이트
Connecting Web Spammers with Advertisers
http://www2007.org/p[...]
2007-05-08
[29]
문서
Sandy Berger's Great Age Guide to the Internet
Que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