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시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시판은 정보 게시 및 공유를 위한 장치로, 1801년 제임스 필란스가 최초의 현대식 흑판을 발명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코르크 보드, 핀보드, 흑판 결합형 등 다양한 형태와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1978년 워드 크리스텐센과 랜디 수스가 최초의 공개 다이얼업 게시판 시스템(BBS)을 출시하면서 온라인 커뮤니티의 초기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디지털 사이니지 디스플레이와 Pinterest와 같은 온라인 개인 게시판의 등장으로 게시판은 물리적 형태와 디지털 형태로 발전해왔다. 게시판은 물리적 게시판과 전광 게시판으로 분류되며, 커뮤니티 구성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디어 기술 - 정보기술
    정보기술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축적, 획득, 조작, 전달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분야이며, 다양한 산업에 응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프로젝트 관리의 어려움과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
  • 미디어 기술 - 신호 처리
    신호 처리는 정보를 담은 신호를 조작하고 분석하는 기술로, 통신,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필터, 변환 등의 기술 요소와 미분 방정식, 선형 대수학 등의 수학적 개념이 사용된다.
  • 통신 - 무선 통신
    무선 통신은 전선 없이 전자기파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마르코니의 무선 전신 실험 성공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았다.
  • 통신 - 메이데이
    메이데이는 심각한 위험에 처한 선박, 항공기 등이 즉각적인 구조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국제적인 구조 신호로, 1923년 프레더릭 스탠리 맥포드가 프랑스어 "m'aidez"에서 착안하여 고안되었으며, 허위 호출은 범죄로 간주된다.
게시판
게시판 정보
종류울타리 게시판
코르크 게시판
화이트보드
특징
용도정보를 표시하거나 알리는 데 사용됨
설치 장소학교
기업
공공 장소

2. 역사

게시판의 역사는 정보 공유 방식의 발전을 보여준다.

19세기 초 제임스 필란스가 최초의 현대식 흑판을 발명하면서 교육 현장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1] 20세기 초에는 코르크 보드, 폼 고무 핀보드, 흑판과 게시판의 결합 등 다양한 형태의 물리적 게시판이 등장했다.[2][3][4]

20세기 후반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함께 게시판 시스템(BBS)이 등장하면서 온라인 정보 공유의 시대가 열렸다.[5] 21세기에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Pinterest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이 등장하여 게시판의 형태를 더욱 다양화시켰다.[6] 최근에는 물리적 게시판과 디지털 기술을 결합한 형태도 나타나고 있다.[7]

2. 1. 전통적 게시판


  • 1801년: 제임스 필란스는 에든버러 올드 하이 스쿨의 교장이자 지리 교사로, 최초의 현대식 흑판을 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1]
  • 1925년: 캔자스주 토피카의 조지 브룩스는 압정을 꽂을 수 있는 코르크 보드 게시판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2] 이 특허는 1941년에 만료되었고, 그 후 누구든지 이 제품을 만들고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 1940년: 조지 E. 폭스는 골판지 뒷면이 있는 폼 고무 핀보드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3]
  • 1959년: W.F. 루이스는 흑판과 게시판이 결합된 것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4]

2. 2. 디지털 게시판

1978년, 소프트웨어 개발자인 워드 크리스텐센과 랜디 수스가 최초의 공개 다이얼업 게시판 시스템(BBS)을 출시하면서 게시판의 개념이 정보 시대에 들어섰다.[5] 이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초기 형태로, 한국의 PC 통신 시대를 여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

2010년에는 디지털 사이니지 디스플레이가 혼잡을 줄이고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게시판을 대체하기 시작했다.[6] 같은 해, 벤 실버먼, 폴 시에라, 에반 샤프는 온라인 개인 게시판 역할을 하도록 고안된 콘텐츠 및 사진 공유 웹사이트인 Pinterest를 설립했다.

2017년, 제너럴 인챈트먼트는 물리적 전자 게시판 시스템에 대한 실용신안 특허를 받았다.[7] 이 시스템은 아날로그 정보 공유를 디지털 콘텐츠로 보강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모바일 컴퓨팅 기기(태블릿 컴퓨터 등)와 같은 전자 디스플레이와 물리적 쓰기 또는 고정 표면을 포함한다.

3. 종류 및 형태

게시판은 사람들이 많이 다니거나 모이는 장소에 주로 설치되지만, 특정 커뮤니티 구성원이나 특정 상황에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전광 게시판과 같은 전기적인 표시 방법을 사용한 것도 있다.[1]

3. 1. 물리적 게시판

대부분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지만, 이용 형태에 따라서는 게시물이 잘 보이도록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기도 한다.[1] 반상회, 기업, 학교, 시구정촌의 관공서나 재판소 등 관청, 어뮤즈먼트 시설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다.[1]

3. 2. 전광 게시판

전광 게시판은 전기를 사용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시각적 효과가 뛰어나다. 대부분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용 형태에 따라서는 게시물이 잘 보이도록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된 것도 있다.

4. 한국 사회와 게시판

한국 사회에서 게시판은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는 중요한 소통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초기 PC 통신 시절부터 현재의 인터넷 커뮤니티에 이르기까지, 게시판은 한국 사회의 변화와 함께 발전해 왔다.

과거 PC 통신 시절에는 하이텔, 천리안, 나우누리와 같은 서비스를 통해 텍스트 기반의 게시판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게시판은 특정 주제에 대한 관심사를 공유하는 사람들이 모여 정보를 교환하고 토론하는 장이 되었다.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웹 기반의 게시판이 등장하면서 더욱 다양한 형태의 커뮤니티가 형성되었다. 디시인사이드와 같은 대형 커뮤니티는 다양한 주제의 게시판을 제공하며 많은 이용자를 확보했고, 특정 분야에 특화된 전문 커뮤니티들도 등장하여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켰다.

최근에는 SNS의 발달로 인해 게시판의 역할이 축소되는 경향도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익명성을 기반으로 한 자유로운 소통을 위해 게시판을 이용하고 있다. 특히, 정치, 사회 문제에 대한 토론이나 특정 이슈에 대한 정보 공유 등은 여전히 게시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익명성을 악용한 허위 정보 유포, 명예훼손, 혐오 표현 등의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게시판 운영자들은 자체적인 규정을 마련하고, 사용자들은 자정 노력을 기울이는 등 건강한 게시판 문화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lassroom Blackboard http://education.cu-[...] Concordia University 2012-11-08
[2] 웹사이트 Bulletin board and the like https://patents.goog[...]
[3] 웹사이트 Bulletin board https://patents.goog[...]
[4] 웹사이트 Combined chalk board and bulletin board https://patents.goog[...]
[5] 간행물 Feb. 16, 1978: Bulletin Board Goes Electronic https://www.wired.co[...]
[6] 서적 Communication Technology Update and Fundamentals Focal Press 2010-06-25
[7] 웹사이트 Physical Electronic Bulletin Board System https://patents.goo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