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든 성인의 호칭 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든 성인의 호칭 기도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다양한 전례에서 사용되는 기도로, 성인들의 이름을 열거하며 하느님께 간구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이 기도는 부활 성야 미사, 유아 세례, 콘클라베, 서품식 등 다양한 예식에서 사용되며, 라틴어로 제창되고 신자들은 "우리를 위해 기도하소서"라는 응답으로 화답한다. 성인 호칭 기도는 하느님께 드리는 기도, 성인들의 목록, 그리스도께 드리는 간구, 그리고 여러 청원 등으로 구성되며, 목록에는 성모 마리아와 천사, 족장과 예언자, 사도와 제자, 순교자, 주교와 교회 학자, 사제와 수도자, 평신도 등이 포함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는 현재와는 다소 다른 형식으로 사용되었으며, 한국 천주교에서도 특수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또한, 성인 호칭 기도를 경건하게 바치는 신자들에게는 부분 대사가 부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칭 기도 - 성모 호칭 기도
    성모 호칭 기도는 성모 마리아의 다양한 호칭을 통해 하느님께 기도를 전하고 도움을 청하는 가톨릭교회의 탄원 기도로, 로레토의 호칭 기도라고도 불리며 로마에서 시작되어 교황에 의해 호칭이 추가되며 발전해왔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그레고리오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는 서방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무반주 일성부 성가로, 로마와 갈리아 성가의 통합을 거쳐 서방 기독교 세계의 표준 성가로 자리매김했으며, 교회 선법 체계화 및 네우마 기보법 발달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성모송
    성모송은 가브리엘 대천사와 엘리사벳의 인사말에 기반하여 하느님 찬양과 성모 마리아에게 애원과 찬미를 드리는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기도로, 묵주기도의 기본이 되며 다양한 언어 번역본과 음악 작품으로 널리 사용된다.
  • 가톨릭 전례 - 삼위일체 대축일
    삼위일체 대축일은 서방 기독교에서 삼위일체 교리를 기념하는 축일로, 오순절 다음 주일에 지켜지며 다양한 교파에서 예배와 전례에 차이가 있지만 아타나시우스 신경 낭송이나 특별 기도문 등으로 삼위일체 신앙을 고백하는 날이다.
  • 가톨릭 전례 - 그레고리오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는 서방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무반주 일성부 성가로, 로마와 갈리아 성가의 통합을 거쳐 서방 기독교 세계의 표준 성가로 자리매김했으며, 교회 선법 체계화 및 네우마 기보법 발달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모든 성인의 호칭 기도
개요
모든 성인의 호칭 기도
"모든 성인의 호칭 기도"
종류기도
기원가톨릭 교회
라틴어 명칭Litaniae Omnium Sanctorum

2. 가톨릭 전례 관습

성인 호칭 기도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다양한 전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로마 미사 경본에 수록된 라틴어 텍스트가 공식적인 기준으로 여겨진다.[2] 이 기준 텍스트의 현재 판은 1974년에 출판되었으며,[3] 1979년에 '고대 필사본의 네우마'를 포함하여 업데이트되었다.[4]

성인 호칭 기도는 부활 성야세례 예식, 유아 세례, 서품식, 수도 서원, 교회제단 봉헌, 그리고 새로운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 등 여러 중요한 가톨릭 예식에서 사용된다.[5][10] 각 예식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호칭되는 성인의 목록이나 기도의 내용이 일부 조정될 수 있다.

2. 1. 성인 호칭 기도의 구성

성인 호칭 기도는 일반적으로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하느님께 드리는 기도로, 키리에와 하느님 아버지, 하느님 아들, 성령, 삼위일체에 대한 호칭 등을 포함한다. 둘째는 호칭될 성인들의 목록으로, 성모 마리아와 천사를 시작으로 구약의 족장과 예언자, 신약의 사도와 제자, 순교자, 주교와 교회 학자, 사제와 수도자, 그리고 평신도 성인들의 순서로 이어진다. 각 범주 내 성인들은 보통 연대순으로 호명되며, 필요에 따라 특정 성인을 추가할 수 있다.

셋째는 그리스도께 드리는 일련의 간구로 이루어진다. 넷째는 여러 가지 청원을 담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체 교회, 성직자, 평신도, 모든 인류를 위한 기도로 마무리된다. 마지막 다섯째 부분은 그리스도께서 기도를 들어주시기를 간청하는 짧은 호칭과 예도로 끝맺는다.

2. 1. 1. 로마 미사 경본의 성인 호칭 기도

성인 호칭 기도는 일반적으로 서품식에서 서품 후보자들이 엎드릴 때 불린다.


로마 가톨릭 성인 호칭 기도의 결정판은 로마 미사 경본에 실린 라틴어 텍스트이다.[2] 현재 판은 1974년에 출판되었으며,[3] 1972년 6월 24일에 발행된 경신성사성의 승인 진술이 포함되어 있다. 로마 미사 경본의 현재 판은 1979년에 '고대 필사본의 네우마'를 포함하도록 업데이트되었다.[4]

호칭 기도는 다섯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은 삼중의 키리에로 시작하여 하늘의 하느님 아버지, 세상을 구원하신 하느님 아들, 성령, 그리고 삼위일체에 대한 호칭으로 시작하는 짧은 일련의 하느님께 드리는 기도를 포함한다.

두 번째 부분은 호칭될 성인들의 목록이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제시된다. 각 범주 내에서 남성은 연대순으로, 여성도 마찬가지로 연대순으로 나열된다. 장소의 수호성인이나 수도회의 창립자와 같은 추가 성인은 적절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공인된 성인들의 공식 목록은 로마 순교록에서 찾을 수 있다.

  • 성모 마리아와 천사: 마리아는 거룩한 마리아, 하느님의 거룩한 어머니, 동정녀들의 거룩한 동정녀로 세 번 호칭된다. 다음 호칭은 다음과 같다: 성 미카엘, 가브리엘, 라파엘; 모든 거룩한 천사들.
  • 족장과 예언자: 아브라함; 모세; 엘리야; 세례자 요한; 요셉; 모든 거룩한 예언자들.
  • 사도와 제자: 베드로와 바오로; 안드레아; 요한과 야고보; 토마스; 마태오; 모든 거룩한 사도들; 루카; 마르코; 바르나바; 마리아 막달레나; 주님의 모든 거룩한 제자들.
  • 순교자: 스테파노; 이냐시오 (안티오키아); 폴리카르포; 유스티노; 라우렌시오; 키프리아노; 보니파시오; 스타니슬라오; 토마스 (베켓); 존 (피셔)와 토마스 (모어); 바오로 (미키); 존 (드 브레뵈프)와 아이작 (조규); 베드로 (샤넬); 카를로스 (루앙가); 페르페투아와 펠리치타스; 아녜스; 마리아 (고레티); 모든 거룩한 순교자들.
  • 주교와 교회 학자 (교황은 다른 비순교 주교와 구별하여 나열되지 않음): 레오와 그레고리오; 암브로시오; 예로니모; 아우구스티노; 아타나시오; 바실리오와 그레고리오 (나지안조); 요한 크리소스토모; 마르티노; 파트리치오; 키릴로와 메토디오; 카를로 (보로메오); 프란치스코 (드 살); 비오 (X).
  • 사제와 수도자 [사제, 부제 및 평신도 수도자 간의 추가 구분 없음]: 안토니오; 베네딕토; 베르나르도; 프란치스코와 도미니코; 토마스 (아퀴나스); 이냐시오 (로욜라);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빈첸시오 (드 폴); 요한 마리아 (비안네)];

    2. 2. 부활 성야

    성인 호칭 기도는 부활 성야, 즉 부활절 전야에 거행되는 미사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사용된다. 이 미사에서는 가톨릭 신자가 되기로 선택한 이들(예비 신자)이 세례, 또는 간단한 영입 절차를 통해 견진성사와 성체성사의 입문 성사를 받게 된다. 성인 호칭 기도는 성경 봉독 이후, 실제 세례나 견진 예식을 거행하기 직전에 불린다. 세례를 받을 사람이 없는 경우에도, 성수반에서 성수를 축성하기 위해 성인 호칭 기도를 바칠 수 있다. 그러나 성수반을 축성하지 않고 제단 위의 간단한 용기에서 성수를 축성하는 경우에는 성인 호칭 기도를 사용하지 않는다.

    로마 미사 경본[6][7]에 제시된 부활 성야를 위한 성인 호칭 기도는 아래와 같이 축약된 성인 목록을 포함한다.

    • 하느님의 거룩한 마리아
    • 미카엘 대천사
    • 모든 거룩한 천사들
    • 세례자 요한
    • 요셉
    • 베드로와 바오로
    • 안드레아
    • 요한
    • 마리아 막달레나
    • 스테파노
    •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 라우렌시오
    • 페르페투아와 펠리치타스
    • 아녜스
    • 대 그레고리오
    • 히포의 아우구스티노
    • 아타나시오
    • 바실리오
    • 투르의 성 마르티노
    • 성 베네딕토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와 도미니코
    • 로욜라의 이냐시오
    •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 성 요한 비안네
    • 시에나의 카타리나
    • 아빌라의 데레사
    • 모든 거룩한 남자와 여자들, 하느님의 성인들

    2. 3. 유아 세례

    어린이 유아 세례 예식의 공식 텍스트에는 성인 호칭 기도의 매우 축약된 형태가 제공된다.[8] 이 축약형 기도에는 하느님의 어머니이신 마리아, 세례자 요한, 성 요셉, 성 베드로, 성 바오로, 그리고 모든 거룩한 남녀 성인들의 호칭이 포함되며, 세례 상황과 관련된 성인들의 호칭이 추가될 수 있다. 이 기도는 예식 중에 소구마 기도 바로 다음에, 그리고 세례받는 어린이와 가족들을 위한 기도 바로 앞에 위치한다.

    부활 성야에 사용되는 성인 호칭 기도의 확장된 형태 역시 유아 세례 예식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 확장형 기도는 자비송(Kyrie)으로 시작하여 부활 성야에서 호칭되는 성인들을 포함한다. 성인 호칭 다음에는 그리스도에 대한 호칭과 "세례의 은총으로 이 선택된 이들에게 새 생명을 주소서"와 같은 청원이 이어진다.

    2. 4. 교황 선출

    교황 선출을 위한 콘클라베 동안에는 일반적인 목록보다 확장된 성인 호칭 기도가 사용된다. 이 확장된 목록은 Ordo Rituum Conclavisla 전례서에 명시되어 있다.[5][9] 추가되는 성인들은 다음과 같다 (추가된 성인은 아래 목록에 포함됨).

    2. 5. 기타 예식



    성인 호칭 기도는 서품식(서품된 직무의 각 계급에 따라 다른 성인이 추가됨), 수도 서원, 아빠스 축복, 교회제단 봉헌 등 다양한 예식에서도 사용된다.[5][10]

    라틴어 버전의 호칭 기도에서는 한 명 이상의 성인 이름이 제창되면, 신자들은 Ora pro nobisla(한 명의 성인에게 호칭할 경우) 또는 Orate pro nobisla(둘 이상의 성인에게 호칭할 경우)로 응답한다. 두 응답 모두 "우리를 위해 기도하소서"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장례식이나 다른 위령 미사를 위해 성인 호칭 기도를 개인화하는 것이 허용된다. 예를 들어,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장례식과 최근 명예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장례식에서는 응답이 Ora[te] pro eola, 즉 "그를 위해 기도하소서"였다.[5][11]

    또한, 1988년에 발표된 바티칸의 권고에 따라 사순절 첫 번째 주일 미사의 시작 부분에 호칭 기도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이는 사순절의 시작을 알리는 표지가 될 수 있다.[12]

    2. 6. 성가와 응답

    호칭 기도의 세 번째 부분은 그리스도께 드리는 일련의 간구로 이루어진다. 이 중 처음 15개의 간구에 대해서는 "주님, 저희를 구원하소서"라고 응답하며, 이어지는 다른 10개의 간구는 "저희에게 자비를 베푸소서"라는 응답으로 끝맺는다.

    네 번째 부분에는 또 다른 간구 목록이 포함되는데, 각 간구는 te rogamus audi nosla("저희 간구를 들어주시기를 간구합니다")라는 응답으로 마무리된다. 이 부분에서는 특정 상황에 맞는 기도를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항상 전체 교회, 교회의 봉사자, 평신도, 그리고 모든 인류를 위한 간구로 끝난다. 호칭 기도 앞에 인쇄된 의식 규정은 다른 간구들이 "적절한 장소에서" 호칭 기도 형식에 맞게 추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 관습

    1960년대 후반, 로마 가톨릭교회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핵심 문서 중 하나인 Sacrosanctum Conciliumla의 지침에 따라 전례 문서를 개정하였다. 이 개정 이전, 즉 공의회 직전에 사용되던 형식은 1962년판 로마 미사 경본에 따른 것이었다. 이 1962년판 문서는 오늘날에도 라틴 교회 사제들이 특정 조건 하에 사용할 수 있는데, 2007년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자의 교서 Summorum Pontificumla 제5조는 신자들과 함께 거행할 경우의 사용 조건을 명시하고 있다.

    공의회 이전 시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성인 호칭 기도의 구체적인 형식은 1952년에 출판된 로마 전례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14] 또한,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가톨릭 백과사전''의 관련 기사[15] 역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사용 방식을 설명하고 있다. 이 시기의 호칭 기도는 이후 개정된 형식과는 일부 구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3. 1. 공의회 이전 성인 호칭 기도 구성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 사용되던 성인 호칭 기도의 형식은 1952년에 라틴어-영어판으로 출판된 로마 전례서에 수록되어 있다.[14]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가톨릭 백과사전''의 기사[15] 역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사용 방식을 반영한다.

    이 시기의 성인 호칭 기도는 세 번의 자비송으로 시작하며, 이후 하늘의 하느님 아버지, 세상을 구원하신 하느님 아들, 성령, 그리고 삼위일체께 대한 호칭이 이어진다. 이는 현재의 형식과 동일하다.

    다음은 호칭되는 성인들의 목록이다. 성인 목록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분류호칭 대상
    성모 마리아거룩하신 마리아, 하느님의 거룩한 어머니, 동정녀 중의 거룩한 동정녀 (세 번 호칭)
    천사미카엘, 성 가브리엘, 성 라파엘, 모든 거룩한 천사와 대천사, 모든 복된 영들의 거룩한 서열
    족장과 예언자세례자 요한으로 시작하여 (필요시 다른 이름 삽입 가능), 항상 성 요셉으로 끝맺는다. 모든 거룩한 족장과 예언자.
    사도와 제자성 베드로, 성 바오로, 성 안드레아, 성 야고보 (제베대오의 아들), 성 요한, 성 토마, 성 야고보 (알패오의 아들), 성 필립보, 성 바르톨로메오, 성 마태오, 성 유다 타대오, 성 마티아, 성 바르나바, 성 루카, 성 마르코, 모든 거룩한 사도와 복음사가, 모든 주님의 거룩한 제자, 모든 거룩한 순교자.
    순교자성 스테파노, 성 라우렌시오, 성 빈첸시오, 성 파비아노와 성 세바스티아노, 성 요한과 바오로, 성 고스마와 성 다미아노, 성 게르바시오와 성 프로타시오, 모든 거룩한 순교자.
    주교와 교회 학자실베스테르, 성 그레고리오, 성 암브로시오, 성 아우구스티노, 성 히에로니모, 성 마르티노, 성 니콜라오, 모든 거룩한 주교와 고백자, 모든 거룩한 교회 학자.
    사제와 수도자성 안토니오, 성 베네딕토, 성 베르나르도, 성 도미니코, 성 프란치스코, 모든 거룩한 사제와 레위인, 모든 거룩한 수도자와 은수자.
    여성 성인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성녀 아가타, 성녀 루치아, 성녀 아녜스, 성녀 체칠리아, 성녀 카타리나 (알렉산드리아), 성녀 아나스타시아 (시르미움), 모든 거룩한 동정녀와 과부, 모든 하느님의 거룩한 성인.



    성인 호칭 이후에는 하느님께 두 번 자비를 구하는 기도가 이어진다. 그 다음으로는 응답이 Libera nos, Domine|리베라 노스, 도미네la ("주님, 저희를 구하소서")인 21개의 호칭과, 응답이 Te rogamus, audi nos|테 로가무스, 아우디 노스la ("저희의 청을 들어주소서")인 17개의 청원이 따른다. 호칭 기도의 마지막 부분은 "하느님의 어린 양"이라는 칭호로 시작하는 그리스도에 대한 일곱 번의 호칭으로 구성된다.

    4. 한국 천주교

    한국 천주교회에서는 모든 성인의 호칭 기도를 중요한 신심 행위 중 하나로 여기며, 전례나 특별한 기도회 등에서 사용한다.

    4. 1. 대사 (Indulgence)

    은사 핸드북(Enchiridion Indulgentiarum|엔키리디온 인둘겐티아룸la) 2004년 판은 성인 호칭 기도를 경건하게 바치는 그리스도 신자들에게 부분 대사를 부여한다.[16]

    참조

    [1] 서적 Using Evangelical Lutheran Worship: Keeping Time Augsburg Fortress 2013-09-26
    [2] 서적 Graduale Romanum https://books.google[...] Paraclete Pr 2012-10-28
    [3] 웹사이트 Graduale Romanum http://www.ccwatersh[...]
    [4] 문서 Neums from Ancient Manuscripts
    [5] 뉴스 The Litany of Saints in the Liturgy https://adoremus.org[...] William Fitzgerald, O. Praem., Adoremus 2008-11
    [6] 문서 'The Roman Missal'
    [7] 웹사이트 ICEL extract for singing the Litany at the Easter Vigil http://www.icelweb.o[...] 2012-10-08
    [8] 문서 'The Rite of Baptism of Children'
    [9] 서적 Ordo rituum Conclavis https://books.google[...]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2-10-28
    [10] 웹사이트 Rite of Dedication of a Church and an Altar http://www.liturgyof[...] ICEL "1978"
    [11] 웹사이트 Body Theology: Litany of the Saints http://www.itmonline[...] 2012-10-28
    [12] 웹사이트 'Circular Letter Concerning the Preparation and Celebration of the Easter Feasts' https://www.ewtn.com[...] Congregation for Divine Worship 1988-02-20
    [13] 웹사이트 iBreviary Litany of Saints http://www.ibreviary[...] 2012-10-28
    [14] 문서 'The Roman Ritual in Latin and English with Rubrics and Plainchant Notation.'
    [15] 웹사이트 Litany of the Saints from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2012-10-28
    [16] 문서 '[[Enchiridion Indulgentiarum]].quarto editur'
    [17] 웹인용 "<공지> ‘모든 성인의 호칭 기도’의 순서 등에 대한 기준 (주교회의 2012년 춘계 정기총회 승인)" http://www.cbck.or.k[...] 2013-07-26
    [18] 서적 가톨릭기도서 한국천주교주교회의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