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리안은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이름은 "공포의 여왕" 또는 "허깨비 여왕"을 의미한다. 신화 대계에 따르면, 투어허 데 다넌 신족의 일원이며, 전쟁과 죽음, 주권, 풍요를 상징한다. 모리안은 때때로 바이브, 마하와 함께 삼신일체를 이루거나, 단독으로, 또는 다른 여신들과 함께 등장한다. 모리안은 얼스터 대계에서 영웅 쿠 훌린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현대 문화에서는 아서 왕 전설의 모르간 르 페이와 연관되기도 한다.
모리안의 이름의 의미에 대해서는 다소 의견충돌이 있다. ''Mor''는 공포(terror) 또는 극악무도함(monstrousness)을 의미하는 인도유럽어족 어근에서 유래된, 고대 영어 단어 ''maere''(현대 영어의 "악몽nightmare"에 해당) 및 스칸디나비아어의 ''mara''("몽마mare"), 고대 러시아어의 "mara"("악몽")와 동계어일 가능성이 있다.[43] 한편 ''rígan''은 여왕(queen)으로 번역된다.[44] 켈트 조어(-祖語; Proto-Celtic)로 복원하면 *''Moro-rīganī-s''가 된다.[45] 따라서, 모리안''Morrígan''은 "공포의 여왕"이라는 뜻이고, 흔히 "허깨비 여왕"(Phantom Queen)으로 윤문된다. 이 어원이 현재의 학계에서 대체로 선호되고 있다.[46]
2. 어원
중세 아일랜드어에서는 모리안(Morrigan)의 o 위에 장음 부호를 붙여서 Mórrígan이라고 쓰곤 하는데, 이 경우에는 ‘위대한 여왕’(Great Queen)을 의미하려는 의도가 있어 보인다(고대 아일랜드어에서 모르mór는 위대한great 라는 뜻이다.[47] 만약 이것이 맞다면 켈트 조어 *''Māra Rīganī-s''에서 파생되었을 것이다).[48] 휘틀리 스톡스는 이 장음이 들어간 표기는 중세 당시에 유행한 민간어원으로 인한 틀린 것이라고 판단하였다.[49] 또한 근현대의 작가들에 의해 모리안을 웨일스의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모건 르 페이(Morgan le Fay)와 연관지으려는 시도가 있는데, 모건 르 페이의 mor는 바다(sea)를 의미하는 웨일스어 어근에서 파생된 것으로, 켈트언어학상 모리안과는 문화적 언어적 뿌리가 다르다.[50]
2. 1. 공포의 여왕
모리안(Morrígan)의 이름의 의미에 대해서는 약간의 이견이 있다. ''Mor''는 공포, 흉측함 등을 의미하는 인도유럽어족 어근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고대 영어의 ''maere''(현대 영어 단어 "nightmare(악몽)"에서 살아남음), 스칸디나비아의 ''mara'', 고대 동슬라브어의 "mara"(악몽)와 동계어이다.[43] 반면, ''rígan''은 "여왕"으로 번역된다.[44] 따라서, ''Morrígan''은 "공포의 여왕"이라는 뜻이고, 흔히 "허깨비 여왕"(Phantom Queen)으로 윤문된다. 이 어원이 현재 학계에서 대체로 선호되고 있다.[46] 원시 켈트어로는 *''Moro-rīganī-s''로 재구성할 수 있다.[45]
중세 아일랜드어 시대에는 이 이름이 종종 ''Mórrígan''으로 표기되었으며, ''o'' 위에 장음 부호가 있어 "위대한 여왕"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대 아일랜드어 ''mór'', "위대한").[47] 이것은 가설적인 원시 켈트어 *''Māra Rīganī-s''에서 파생되었을 것이다.[48] 휘틀리 스토크스는 후자의 철자가 당시 유행했던 잘못된 어원 때문이라고 믿었다.[49] 또한 현대 작가들은 모리안을 웨일스 문학 인물인 아서 왕 전설의 모르간 르 페이와 연결하려 시도했는데, 그녀의 이름의 ''mor''는 웨일스어 단어 "바다"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지만, 이 이름들은 서로 다른 문화와 켈트어족의 갈래에서 파생되었다.[50]
2. 2. 위대한 여왕
모리안(Morrigan)의 이름의 의미에 대해서는 약간의 이견이 있다. ''Mor''는 공포, 흉측함 등을 의미하는 인도유럽어 어근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으며, 이는 고대 영어의 ''maere''(현대 영어 단어 "nightmare(악몽)"에서 살아남음), 스칸디나비아의 ''mara'', 고대 동슬라브어의 "mara"(악몽)와 동계어이다.[43] 반면, ''rígan''은 "여왕"으로 번역된다.[44] 원시 켈트어로 *''Moro-rīganī-s''로 재구성할 수 있다.[45] 따라서, ''Morrígan''은 "공포의 여왕"이라는 뜻이고, 흔히 "허깨비 여왕"(Phantom Queen)으로 윤문된다.[46] 이것이 현재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어원이다.
중세 아일랜드어 시대에는 이 이름이 종종 ''Mórrígan''으로 표기되었으며, ''o'' 위에 장음 부호가 있어 "위대한 여왕"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대 아일랜드어 ''mór'', "위대한").[47] 이것은 가설적인 원시 켈트어 *''Māra Rīganī-s''에서 파생되었을 것이다.[48] 휘틀리 스토크스는 후자의 철자가 당시 유행했던 잘못된 어원 때문이라고 믿었다.[49] 또한 현대 작가들은 모리안을 웨일스 문학 인물인 아서 왕 전설의 모르간 르 페이와 연결하려 시도했는데, 그녀의 이름의 ''mor''는 웨일스어 단어 "바다"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지만, 이 이름들은 서로 다른 문화와 켈트어족의 갈래에서 파생되었다.[50]
2. 3. 모건 르 페이와의 연관성?
많은 현대 작가들이 아서 왕 전설의 모건 르 페이와 모리안을 연관시키려는 시도를 해 왔다. 모건은 12세기에 몬머스의 제프리가 쓴 《멀린의 생애》(''Vita Merlini'')에서 처음 등장한다.[71] 가웨인 경과 녹색 기사와 같은 일부 아서 왕 전설 텍스트에서 모건은 영웅을 수많은 위험에 빠뜨리는 피비린내 나는 일련의 사건을 시작하는 마녀로 묘사된다.[37]
하지만 모건의 캐릭터를 정립한 중세 작가들이 보다 오래된 모리안 여신의 신화에서 일종의 영감을 받았을 뿐, 연관성은 그게 다인 것으로 보인다.[71] 로잘린드 클라크(Rosalind Clark) 등 학자들은 모리안과 모건이 관계가 없다고 주장한다. 웨일즈어 ‘모건’(Morgan)은 어원은 바다와 관계가 있는 데 비해 아일랜드어 ‘모리안’(Morrígan)의 어원은 ‘공포’ 또는 ‘위대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71] 모건 르 페이는 물의 정령인 페이(Fay, ‘호수의 귀부인’)지만 모리안은 죽음과 전쟁의 여신이라는 것 역시 각각의 어원과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다.
3. 신화 속 출전 및 역할
3. 1. 신화 대계
모리안은 아일랜드 신화 대계부터 등장한다. 12세기의 유사역사서 모음집 《에린 침략의 서》(''Lebor Gabála Érenn'')에 따르면, 모리안은 투어허 데 다넌 신족의 일원으로, 피어허 막 델베흐의 딸이자 누아다 아르게틀람의 딸인 에른마스의 딸이다.[42]
에른마스의 딸 중 세 명은 에리우, 반바, 포들라이다. 이 세 딸의 이름은 아일랜드와 같은 뜻이며(‘에린’의 어원이 에리우이다), 마지막 투어허 데 다넌 아르드리인 에후르 막 쿠일, 테후르 막 케크트, 케후르 막 그레네와 각각 결혼했다. 이들은 땅과 왕위와 관련된 신으로, 삼신일체로서 권력을 상징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또다른 에른마스의 세 딸은 바이브, 마하, 그리고 모리안이다. 이 자매는 “교활함의 샘물”이며 “처절한 투쟁의 근원지”라고 묘사된다. 모리안의 이름은 아난이라고도 한다.[42] 17세기에 제프리 키팅이 쓴 《아일랜드의 역사》(''History of Ireland'')에 따르면, 에리우, 반바, 포들라 3자매는 바이브, 마하, 모리안 3자매를 제각기 섬겼다고 한다.[51][23]
투어허 데 다넌이 에린에 도래했을 때 먼저 살고 있던 피르 볼그와 전쟁을 벌였을 당시 모리안은 피르 볼그의 왕인 오하드 막 에르크를 죽이는 활약을 했다.
모리안은 모이투라 전투(''Cath Maige Tuireadh'') 때도 등장한다.[52][24] 포모르와의 전투를 앞둔 삼하인 때 모리안은 다그다 모르와 밀회를 갖는다. 다그다가 모리안을 만났을 때 모리안은 유니우스 강(river Unius)의 양편에 한 발씩 올리고 서서 몸을 씻고 있었다. 어떤 문헌에서는 모리안이 이 강을 만들었다고도 한다. 둘이 성관계를 하고 나서, 모리안은 에린의 마술사들을 소환해서 투어허 데 다넌을 돕게 만들겠다고 약속한다. 그리고 포모르의 강력왕 인데히의 “심장 속의 피와 그의 용기의 신장”을 빼내서 인디히를 파멸시키겠다고 한다. 그 뒤 모리안은 인데히의 피를 한움큼 빼내어 같은 강에 흩뿌려 버리고, 인데히는 오그마에게 죽임을 당한다.
전투가 시작되려 하자 투어허 데 다넌의 지도자 루 라브다는 신들에게 각자 전투를 위해 준비해온 것이 무엇인지 질문한다. 모리안의 대답은 해석하기 어렵지만, 추적·파괴·진압이라는 말이 포함되어 있다. 전쟁터에 도착한 모리안이 시문을 외치자, 포모르 마족들이 바다 속으로 가라앉아 버린다. 전투가 끝난 뒤, 모리안은 승리를 자축하고 세계의 종말을 예언하는 다른 시문을 읊조린다.[53][54][25][26]
또다른 이야기에서, 모리안은 오드라스(Odras)라는 여자의 수소를 꾀어낸다. 그러자 그것을 따라간 오드라스는 크루와한의 동굴을 통해 모리안과 함께 이세계로 가게 된다. 오드라스가 잠들자 모리안은 그녀를 물웅덩이로 바꿔 버렸다.[55]
3. 2. 얼스터 대계
모리안은 얼스터 대계에도 등장하여 영웅 쿠 훌린과 애증 관계를 유지한다.[56] ''레가마인의 소몰이''(''Táin Bó Regamna'')에서 쿠 훌린은 모리안이 얼스터의 암소를 몰고 가는 것을 보고 따지다가 검은 새로 변신한 모리안에게서 죽음의 예언을 듣는다.[57]
쿨리의 소싸움(Táin Bó Cuailnge)에서 모리안은 코노트의 여왕 메브(Medb)가 쿨리의 돈(Donn Cuailnge)을 훔치기 위해 얼스터를 침공했을때, 까마귀로 변신해서 소에게 도망치라고 부추긴다.[58] 쿠 훌린이 메브 군의 전사들을 한 명씩 쓰러뜨리는 동안, 모리안은 젊은 여성으로 나타나 사랑과 도움을 제안하지만 쿠 훌린은 거절한다. 그러자 모리안은 뱀장어, 늑대, 붉은 귀를 가진 흰 암소로 변신해 쿠 훌린을 방해하지만, 쿠 훌린은 그때마다 모리안에게 부상을 입히고 적군을 물리친다. 모리안은 세 곳에 상처를 입은 노파로 변신해 쿠 훌린에게 우유를 주고, 쿠 훌린이 축복할 때마다 상처가 치료된다.[59] 쿠 훌린은 모리안을 축복한 것을 후회한다.[60] 최후의 전투가 벌어지기전 모리안은 쿠 훌린에게 유혈사태가 벌어질 것이라고 귀띔해 준다.[61]
쿠 훌린이 죽을 때, 모리안은 하그(hag, 노파 요괴)로 변신해 여울가에서 피 묻은 쿠 훌린의 갑옷을 빨면서 그의 죽음을 예고한다. 빈사 상태의 쿠 훌린이 선돌(standing stone)에 몸을 묶고 버티자, 까마귀로 변신한 모리안이 그 어깨 위에 내려앉는다.[62]
3. 3. 중세 주석서
9세기의 라틴어 불가타 성경 필사본 중 이사야서에는 히브리어 릴리스(''Lilith'')를 번역한 단어로 라미아(''Lamia'')가 등장한다.[63] 이 단어에는 “여자의 모습을 한 괴물이며, 그런즉 모리안이다”(a monster in female form, that is, a ''morrígan'')라는 주석이 달려 있다.[64] 9세기경의 《코르막의 주석서》(''Cormac's Glossary'')와, 그보다 후대의 것인 H.3.18 필사본은 복수형 단어 ''gudemain''("망령들spectres")을[65] 복수형 단어 모리아(''morrígna'')와 함께 설명하고 있다.[64] 8세기의 《O'Mulconry의 주석서》에는 마하가 세 명의 모리아 중 한 명이라고 쓰여 있다.[64]
4. 성격 및 상징
모리안은 삼신일체의 신으로 취급되지만, 그 구성은 다소 애매모호하고 변동이 심하다.[66] 에른마스의 세 딸 중 하나로 바이브, 마하와 함께 삼신일체를 이루기도 하고, 바이브, 마하, 아난으로 이루어진 삼신일체 자체를 모리안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네반이나 페아가 구성원으로 포함되기도 하며, 모리안이 혼자 나타나거나[56] 바이브와 교체되어 등장하기도 한다.[53]
W. M. 헤네시(W. M. Hennessey)는 〈고대 아일랜드의 전쟁의 여신〉(1870년)에서 모리안을 ‘전쟁의 여신’으로 해석하였고,[67] 이는 널리 받아들여졌다. 모리안은 특정 전사의 죽음을 예견하고, 까마귀로 변신해 전사들에게 공포나 용기를 불러일으키며, 드물게는 직접 전투에 참여하기도 한다.[69] 이러한 점은 후세 민담의 밴시와 연관성을 시사하며, 패트리샤 리사트(Patricia Lysaght)는 특정 지역에서 밴시를 바이브(badhb)라고도 부른다고 기록했다.[68]
하지만 모야 헐버트(Máire Herbert)는 모리안의 주된 역할이 전쟁 자체가 아니라고 주장한다.[70] 헐버트는 모리안이 소로 변신한 점을 들어 대지, 풍요, 권력과 관계가 깊다고 보았으며, 전쟁의 여신으로 취급된 것은 모리안과 바이브를 혼동한 결과라고 주장한다. 즉, 모리안은 권력의 여신으로서 정치적, 군사적 원조와 군주의 보호를 베풀지만, 전쟁의 여신은 아니라는 것이다. 프로인시아스 맥 카나는 모리안을 포함한 아일랜드의 여신은 "주로 땅의 번영, 즉 다산, 동물, 그리고 (정치적 단위로 간주될 때) 외부 세력에 대한 안전에 관심이 있다."라고 하였다.[10]
티퍼레리주에는 ‘모리안의 요리 구덩이’(Fulacht na Mór Ríoghna)라는 소성토가 있고, 미스주에는 ‘모리안의 젖무덤’(Dá Chich na Morrigna), 케리주에는 ‘아난의 젖꼭지’(Dá Chích Anann)라는 한 쌍의 언덕이 있다. 이러한 지명들은 모리안이 지역 수호신 역할도 했음을 보여준다.
4. 1. 삼상 여신
모리안은 흔히 삼신일체의 신으로 취급되지만, 그 구성은 다소 애매모호하고 변동이 심하다.[66] 에른마스의 세 딸 중 하나로 바이브, 마하와 함께 삼신일체를 이루기도 하고, 바이브, 마하, 아난으로 이루어진 삼신일체 자체를 모리안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네반이나 페아가 구성원으로 포함되기도 하며, 모리안이 혼자 나타나거나 바이브와 교체되어 등장하기도 한다.[56][53]일반적으로 모리안은 ‘전쟁의 여신’으로 해석된다. W. M. 헤네시(W. M. Hennessey)의 〈고대 아일랜드의 전쟁의 여신〉("The Ancient Irish Goddess of War", 1870년)은 이러한 해석을 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67] 모리안은 주로 특정 전사의 죽음을 예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밴시와 유사하다.[68] 또한 까마귀로 변신해 전사들에게 공포나 용기를 불러일으키고, 드물게는 직접 전투에 참여하기도 한다.[69]
하지만 모야 헐버트(Máire Herbert)는 모리안의 주된 역할이 전쟁 자체가 아니라고 주장한다.[70] 소로 변신한 적이 있다는 점을 근거로, 모리안은 대지, 풍요, 권력과 더 깊은 관계가 있으며, 전쟁의 여신으로 여겨지는 것은 모리안과 바이브를 혼동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헐버트는 모리안이 권력의 여신으로서 정치적, 군사적 원조와 군주의 보호를 베풀었지만, 이를 전쟁의 여신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고 본다.
아일랜드 티퍼레리주에는 ‘모리안의 요리 구덩이’(Fulacht na Mór Ríoghna)라는 burnt mound(박살난 돌이나 숯이 쌓여 있는 무더기. 신석기 시대에서 철기 시대에 걸쳐 분포)가 있다. 미스주에는 ‘모리안의 젖무덤’(Dá Chich na Morrigna)이라는 한 쌍의 언덕이 있으며, 케리주에도 ‘아난의 젖꼭지’(Dá Chích Anann)라는 한 쌍의 언덕이 있다. 이러한 지명들은 모리안이 지역 수호신의 역할도 담당했음을 보여준다.
4. 2. 전쟁과 죽음의 여신
모리안은 흔히 삼신일체의 신으로 취급되지만, 그 구성은 다소 애매하고 변동이 심하다.[66] 에른마스의 세 딸 중 하나로 바이브, 마하와 함께 삼신일체를 이루기도 하고,[66] 바이브, 마한, 아난으로 이루어진 삼신일체 자체를 모리안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네반이나 페아가 구성원에 포함되기도 하며, 때로는 혼자 나타나거나[56] 바이브와 교체되어 등장하기도 한다.[53]W. M. 헤네시(W. M. Hennessey)는 〈고대 아일랜드의 전쟁의 여신〉(1870년)에서 모리안을 ‘전쟁의 여신’으로 해석하였고,[67] 이는 널리 받아들여졌다. 모리안은 특정 전사의 죽음을 예견하고, 까마귀로 변신해 전사들에게 공포나 용기를 불러일으키며, 드물게는 직접 전투에 참여하기도 한다.[69] 이러한 점은 후세 민담의 밴시와 연관성을 시사하며, 패트리샤 리사트(Patricia Lysaght)는 특정 지역에서 밴시를 바이브(badhb)라고도 부른다고 기록했다.[68]
그러나 모야 헐버트(Máire Herbert)는 모리안의 주된 역할이 전쟁 자체가 아니라고 주장한다.[70] 헐버트는 모리안이 소로 변신한 점을 들어 대지, 풍요, 권력과 관계가 깊다고 보았으며, 전쟁의 여신으로 취급된 것은 모리안과 바이브를 혼동한 결과라고 주장한다. 즉, 모리안은 권력의 여신으로서 정치적, 군사적 원조와 군주의 보호를 베풀지만, 전쟁의 여신은 아니라는 것이다.
티퍼레리주에는 ‘모리안의 요리 구덩이’(Fulacht na Mór Ríoghna)라는 burnt mound가 있고, 미스주에는 ‘모리안의 젖무덤’(Dá Chich na Morrigna), 케리주에는 ‘아난의 젖꼭지’(Dá Chích Anann)라는 언덕이 있다. 이는 모리안이 지역 수호신 역할도 했음을 보여준다.
4. 3. 주권과 풍요의 여신
모리안은 삼신일체의 신으로 취급되지만, 그 구성원은 변동이 심하다.[66] 에른마스의 세 딸 중 하나로 바이브, 마하와 함께 삼신일체를 이루기도 하고,[2] 바이브, 마하, 아난으로 이루어진 삼신일체 자체를 모리안이라고 칭하기도 한다.[28] 이외에도 네반이나 페아가 구성원에 포함되기도 하며, 때로는 모리안 혼자 나타나거나[56][18] 바이브와 교체되어 등장하기도 한다.[53][25]W. M. 헤네시(W. M. Hennessey)는 〈고대 아일랜드의 전쟁의 여신〉(1870년)에서 모리안을 ‘전쟁의 여신’으로 해석하였고,[67][29] 모리안은 특정 전사의 죽음을 예견하고 전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은 후세 민담의 밴시와 연관성을 가지며,[31] 까마귀 모습으로 전사들의 머리 위를 날아다니며 공포나 용기를 불러일으키거나,[32] 직접 전투에 참여하기도 한다.[69][33]
하지만 모야 헐버트(Máire Herbert)는 모리안의 주된 역할이 전쟁 자체가 아니라고 주장한다.[70] 소로 변신한 적이 있다는 점에서 모리안은 대지, 풍요, 권력과 관계가 깊으며, 모리안과 바이브는 원래 별개의 존재였다고 주장한다. 헐버트는 모리안이 권력의 여신으로서 정치적, 군사적 원조와 군주의 보호를 베풀었다고 해석한다.[34] 프로인시아스 맥 카나는 모리안을 포함한 아일랜드의 여신은 "주로 땅의 번영, 즉 다산, 동물, 그리고 (정치적 단위로 간주될 때) 외부 세력에 대한 안전에 관심이 있다."라고 하였다.[10]
티퍼레리주에는 ‘모리안의 요리 구덩이’(Fulacht na Mór Ríoghna)라는 소성토가 있고,[4] 미스주에는 ‘모리안의 젖무덤’(Dá Chich na Morrigna), 케리주에는 ‘아난의 젖꼭지’(Dá Chích Anann)라는 한 쌍의 언덕이 있다. 이러한 지명들은 모리안이 지역 수호신의 역할도 담당했음을 보여준다.
4. 4. 한국 신화와의 비교
5. 현대 문화 속 모리안
참조
[1]
서적
Foclóir Gaeḋilge agus Béarla: an Irish–English dictionary, being a thesaurus of the words, phrases and idioms of the modern Irish language
Irish Texts Society
[2]
서적
The Celtic Myths: A Guide to the Ancient Gods and Legends
Thames & Hudson
[3]
간행물
Exploring the Limitations of the Sovereignty Goddess through the Role of Rhiannon
[4]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5]
서적
The Concept of the Goddess
Psychology Press
[6]
서적
The Irish Ulyss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
서적
Celtic Gods and Heroes
Dover Publications
2000-09-18
[8]
서적
Myths and symbols in pagan Europe: early Scandinavian and Celtic religions
Syracus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Lebor Gabála Érenn §62, 64
http://www.maryjones[...]
[10]
서적
Celtic Mythology
http://www.ricorso.n[...]
Hamlyn
[11]
웹사이트
The Metrical Dindsenchas
https://celt.ucc.ie/[...]
[12]
웹사이트
Jones Celtic Encyclopedia Entry: Morrigan
https://www.maryjone[...]
[13]
웹사이트
Proto-Celtic – English wordlist
http://www.st-andrew[...]
[14]
웹사이트
"nightmare"
http://www.etymonlin[...]
[15]
웹사이트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Gaelic Language
[16]
서적
"[[Études Celtiques]] xii"
[17]
문서
Isaiah 34:14
[18]
서적
Táin Bó Regamna
http://www.ucc.ie/ce[...]
[19]
웹사이트
The Cattle Raid of Regamna
http://www.maryjones[...]
[20]
서적
Táin Bó Cualnge'' from the Book of Leinster''
http://www.ucc.ie/ce[...]
[21]
서적
The Táin: A New Translation of the Táin Bó Cúlailnge
[22]
웹사이트
The Death of Cú Chulainn
http://www.maryjones[...]
[23]
서적
The History of Ireland
http://www.ucc.ie/ce[...]
[24]
웹사이트
The Second Battle of Moytura
https://www.ucc.ie/c[...]
[25]
서적
Cath Maige Tuired
http://www.ucc.ie/ce[...]
[26]
서적
Cath Maige Tuired: The Second Battle of Mag Tuired
http://www.ucc.ie/ce[...]
[27]
웹사이트
Odras
http://www.ucc.ie/ce[...]
[28]
서적
Lebor Gabála Érenn: Book of the Taking of Ireland Part 1-5
Irish Texts Society
[29]
간행물
The Ancient Irish Goddess of War
http://www.sacred-te[...]
[30]
웹사이트
Part 49 of The Metrical Dindshenchas
https://celt.ucc.ie/[...]
[31]
서적
The Banshee: The Irish Death Messenger
Roberts Rinehart Publishers
[32]
서적
Celtic Myths and Legends
Barnes and Noble
[33]
서적
The Encyclopedia of Mythology
[34]
서적
The Concept of the Goddess
Psychology Press
[35]
서적
Zeitschrift für Celtische Philologie
[36]
서적
Ecstasies: Deciphering the Witches' Sabbath
Pantheon Books
[37]
웹사이트
Morgan le Fay in Sir Gawain and the Green Knight
http://www.shmoop.co[...]
[38]
서적
Celtic Gods and Heroes
Dover Publications
[39]
서적
Myth, Legend and Romance: An Encyclop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Press
[40]
서적
Myths and symbols in pagan Europe: early Scandinavian and Celtic religions
https://archive.org/[...]
Syracuse University Press
[41]
서적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2]
웹사이트
Lebor Gabála Érenn §62, 64
http://www.maryjones[...]
[43]
문서
Dictionary of the Irish Language
[44]
문서
DIL p. 507
[45]
웹사이트
Proto-Celtic – English wordlist
http://www.st-andrew[...]
[46]
서적
The Great Queens: Irish Goddesses from the Morrígan to Cathleen Ní Houlihan
Irish Literary Studies, Book 34
[47]
서적
Dictionary of the Irish Language
Royal Irish Academy
[48]
웹사이트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Gaelic Language
http://www.ceantar.o[...]
[49]
간행물
Notes to "The Second Battle of Moytura" in Revue Celtique
[50]
문서
Dictionary of the Irish Language
[51]
서적
The History of Ireland
http://www.ucc.ie/ce[...]
[52]
웹사이트
'The Second Battle of Moytura'
http://www.ucc.ie/ce[...]
[53]
웹사이트
Cath Maige Tuired': The Second Battle of Mag Tuired
http://www.ucc.ie/ce[...]
[54]
서적
Cath Maige Tuired: The Second Battle of Mag Tuired
http://www.ucc.ie/ce[...]
[55]
웹사이트
Odras
http://www.ucc.ie/ce[...]
Metrical Dindshenchas
[56]
웹사이트
Táin Bó Regamna
http://www.ucc.ie/ce[...]
[57]
웹사이트
The Cattle Raid of Regamna
http://www.maryjones[...]
Heroic Romances of Ireland Vol II
[58]
서적
Táin Bó Cuailnge Recension 1
http://www.ucc.ie/ce[...]
[59]
서적
Táin Bó Cuailnge
[60]
서적
The Táin: A New Translation of the Táin Bó Cúlailnge
[61]
서적
Táin Bó Cuailnge
[62]
웹사이트
The Death of Cú Chulainn
http://www.maryjones[...]
[63]
성경
Isaiah
[64]
문서
War Goddess: The Morrígan and her Germano-Celtic Counterparts
[65]
문서
DIL p. 372
[66]
서적
Lebor Gabála Érenn: Book of the Taking of Ireland Part 1-5
Irish Texts Society
[67]
간행물
The Ancient Irish Goddess of War
http://www.sacred-te[...]
Revue Celtique
[68]
서적
The Banshee: The Irish Death Messenger
[69]
서적
The Encyclopedia of Mythology
[70]
문서
Transmutations of an Irish Goddess
The Concept of the Goddess
[71]
서적
Clark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