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스 테크놀로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OS 테크놀로지는 1969년 설립된 미국의 반도체 회사로, 6502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개발하여 개인용 컴퓨터 시장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 1975년 모토로라 6800 설계자들의 합류로 6502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저렴한 가격과 뛰어난 성능으로 애플 II, 코모도어 64 등 다양한 기기에 사용되었다. 1976년 코모도어에 인수된 후에도 칩 생산을 지속했으나, 1994년 코모도어 파산 이후 GMT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로 사명이 변경되었고, 2001년 공장 가동 중단으로 운영을 중단했다. 주요 제품으로는 6502를 비롯한 마이크로프로세서, VIC, SID 등 비디오 및 사운드 칩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9년 설립된 전자 기업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1969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전자제품 제조 기업으로, 가전제품 생산에서 시작하여 반도체, 스마트폰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메모리 반도체 및 TV 시장에서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 1969년 설립된 전자 기업 - AMD
AMD는 1969년 설립되어 인텔의 2차 공급업체에서 자체 x86 프로세서와 GPU를 개발하며 인텔, 엔비디아와 경쟁하는 미국의 주요 반도체 회사로, 라이젠 CPU와 라데온 GPU 시리즈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ATI 테크놀로지스와 자일링스 인수를 통해 사업 영역을 확장, 리사 수 CEO 체제 하에 젠 아키텍처 기반 제품 출시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 펜실베이니아주의 기업 - 글락소스미스클라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은 2000년 합병으로 설립된 다국적 제약 회사이며, 의약품과 백신을 개발, 생산하고 일반의약품과 컨슈머 헬스케어 제품을 판매하며 윤리적 문제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펜실베이니아주의 기업 - 웨스팅하우스
웨스팅하우스는 조지 웨스팅하우스가 설립한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에서 시작하여 교류 전력 시스템 구축과 미디어 사업 진출, 원자력 발전소 제작 사업 전환, 잇따른 기업 인수 및 재매각을 거쳐 현재는 원자력 분야에서 국제적인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모스 테크놀로지 - [회사]에 관한 문서 |
---|
2. 역사
모스 테크놀로지는 1969년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출신 엔지니어 3명이 설립한 반도체 회사이다. 초기에는 텍사스 인스트루먼츠가 설계한 계산기 칩의 세컨드 소스 공급을 목표로 했으며, 1970년 앨런-브래들리에 인수되었다. 1970년대 초 텍사스 인스트루먼츠가 자체 계산기를 출시하면서 많은 칩 회사들이 어려움을 겪었지만, 모스 테크놀로지는 아타리에 퐁 게임 칩을 공급하며 생존했다.
1975년, 모토로라 6800 설계자 일부가 모토로라를 떠나 모스 테크놀로지에 합류했다. 이들은 척 페들의 주도하에 6800보다 성능이 뛰어나고 저렴한 6501 CPU를 개발했다. 6501은 6800과 핀 배열이 같아 호환성 문제가 발생했고, 모토로라는 소송을 제기하여 6501 판매가 중단되었다.
이후 모스 테크놀로지는 핀 배열을 변경한 6502를 출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6502는 저렴한 가격과 뛰어난 성능으로 코모도어 PET, VIC-20, 코모도어 64 등 여러 인기 제품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계산기 시장 축소와 자금 문제로 인해 1976년 코모도어에 인수되었고, 코모도어 반도체 그룹(CSG)으로 개칭되었다.
6502 설계자 중 한 명인 빌 멘쉬는 코모도어 인수 전 회사를 떠나 웨스턴 디자인 센터(WDC)를 설립하고, 6502의 CMOS 버전 및 16비트 확장 버전인 65816을 개발했다.
2. 1. 설립과 초기

1969년, 제너럴 인스트루먼트 출신 존 페이비넨, 모트 자페, 돈 맥러플린 등 3명의 엔지니어는 펜실베이니아주 밸리 포지에 모스 테크놀로지를 설립했다.[1] 앨런-브래들리는 텍사스 인스트루먼츠가 설계한 전자 계산기 및 해당 칩의 세컨드 소스 공급을 원했고,[1] 1970년 모스 테크놀로지의 과반수 지분을 인수했다.[1]
1970년대 초, 텍사스 인스트루먼츠는 칩만 판매하는 대신 자체 계산기 라인을 출시하여 칩셋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판매했다.[2] 이 여파로 계산기 칩 판매에 의존하던 많은 초기 칩 회사들이 무너졌고,[2] 살아남은 회사들은 다른 칩을 생산했다.[2] MOS는 아타리의 공급업체가 되어 맞춤형 단일 칩 ''퐁'' 시스템을 생산했다.[2]
1975년, 모토로라 6800 설계자 중 일부는 경영진이 저가형 디자인 개발을 중단하라는 지시를 받자 모토로라를 떠났다.[3] 당시 순수 반도체 파운드리가 없었기 때문에 이들은 새로운 CPU를 생산하기 위해 칩 제조 회사에 합류해야 했다.[3] MOS는 미국 동부 해안 지역에서 좋은 평판을 가진 작은 회사였다.[3] 척 페들이 이끌고 빌 멘쉬가 포함된 4명의 설계 엔지니어 팀은[3] MOS에서 6800보다 성능이 뛰어나고 목적이 유사하며 훨씬 저렴한 새로운 CPU를 만들기 시작했다.[3] 그 결과 6501 디자인은 6800과 유사했지만 몇 가지 설계 단순화를 통해 최대 4배 더 빨라졌다.[3] 모스 테크놀로지는 완성된 마스크를 수정하는 기술을 보유하여 제조 공정에서 마스크 품질을 높여 수율을 향상시키고, 제품 가격을 낮게 설정할 수 있었다.[5]
2. 2. 6502 개발과 성공
모토로라 6800(Motorola 6800) 설계자 중 일부는 1975년 모토로라를 떠나 MOS 테크놀로지로 이직했다. 당시에는 순수 반도체 파운드리가 없었기 때문에 이들은 새로운 CPU를 생산하기 위해 칩 제조 회사에 합류해야 했다. 척 페들(Chuck Peddle)이 이끌었던 4명의 설계 엔지니어 팀에는 빌 멘쉬(Bill Mensch)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MOS에서 6800보다 성능이 뛰어나고 목적이 유사하며, 훨씬 저렴한 새로운 CPU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 결과 6501 디자인은 6800과 유사했지만, 몇 가지 설계 단순화를 통해 최대 4배 더 빨라졌다.[1]과거의 CPU(예: 6800)는 접촉식 정렬기라는 장치를 사용하여 생산되었다. 이는 복잡한 복사기와 같은 것으로, 실리콘 칩 표면에 CPU 설계, 즉 "마스크"를 광학적으로 복제했다. 마스크가 칩 표면에 직접 닿았기 때문에, 칩에서 재료를 떼어내어 후속 칩에 복사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마스크는 약 12번 복사 후 쓸모없게 되었고, 6800과 같은 복잡한 칩은 마스킹 프로세스 완료 후 작동하는 칩이 약 10%에 불과했다.[1]
1974년 퍼킨엘머(Perkin-Elmer)는 최초의 투사형 스캐너인 마이크랄라인(Micralign) 시스템을 공개했다. 칩 표면에 마스크를 놓는 대신, 표면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마스크를 놓고 고도로 정확한 광학 장치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투사했다. 마스크는 수천 번 복사할 수 있었고, 칩의 결함률이 역전되어 생산된 칩의 70% 정도가 작동하게 되었다. 그 결과 가격도 역전되어, 6800은 소량으로 295USD에 판매되었지만, 마이크랄라인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다른 변경 사항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설계를 42USD에 판매할 수 있었다.[1]
MOS는 마스크를 제작한 후 "수정"하는 능력을 개발했다.[1] 이는 설계의 결함이 발견되면 정렬기에서 마스크를 제거하고 수정하여 다시 넣을 수 있음을 의미했다. 이를 통해 초기 마스크의 결함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MOS의 생산 라인은 새로운 CPU 설계(6502)의 초기 실행에서 70% 이상의 성공률을 달성했다. 이는 설계가 더 빠를 뿐만 아니라 비용도 훨씬 저렴하다는 것을 의미했다.
6501이 발표되자마자 모토로라는 즉시 소송을 제기했다. 6501의 명령어 집합은 6800과 호환되지 않았지만, 동일한 기능적 핀 배열과 IC 패키지 풋프린트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기존의 마더보드 설계에 꽂을 수 있었다. 이것만으로도 모토로라가 소송을 제기하기에 충분했다. 6501의 판매는 중단되었으며, MOS는 결국 200000USD의 벌금을 지불해야 할 때까지 소송은 수년 동안 지속되었다.
그 동안 MOS는 1975년 9월에 6502를 단 25USD에 판매하기 시작했다. 6502는 6501과 거의 동일하며, 온칩 클럭 발진기 추가, 다른 기능적 핀 배열, SYNC 신호 생성(단일 명령 단계 지원), 데이터 버스 활성화 제어 신호 제거(DBE 및 BA, 전자는 위상 2 클럭에 직접 연결됨) 등의 사소한 차이점이 있었다.[2] 6800과 인텔 8080보다 성능이 뛰어났지만 비용이 훨씬 저렴하고 사용하기 쉬웠다. 6501이 기존 하드웨어에서 모토로라 6800 대신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없었지만, 너무 저렴해서 6800보다 빠르게 인기를 얻었다.
thumb의 회로 기판 이미지로, 중요한 MOS 테크놀로지 회로 몇 개를 보여준다. 6510 CPU(긴 칩, 왼쪽 하단) 및 6581 SID(오른쪽). 각 칩의 생산 주/년(WWYY)이 이름 아래에 표시되어 있다.]]
6502는 너무 저렴해서 MOS가 1975년 무역 박람회에서 처음 선보였을 때 많은 사람들이 사기라고 믿었다. 그러나 모토로라와 인텔이 경쟁하기 위해 같은 쇼에서 자체 설계 가격을 인하하면서 구매를 주저하는 마음은 사라졌다. 그들의 행보는 6502의 정당성을 부여했고, 쇼가 끝날 무렵 샘플이 가득 담긴 나무 통은 비어 있었다.
6502는 빠르게 당시 가장 인기 있는 칩 중 하나가 되었다. 록웰 인터내셔널(Rockwell International), GTE, 시너텍(Synertek), 웨스턴 디자인 센터(WDC)(Western Design Center)를 포함한 여러 회사에서 MOS로부터 650x 라인에 대한 라이선스를 받았다.
기본 CPU의 여러 가지 다른 버전(6503~6507)이 저렴한 가격으로 28핀 패키지로 제공되었다. 다양한 모델은 신호 또는 주소 핀을 제거했다. 이 중 가장 인기 있는 것은 6507로, 아타리 2600과 아타리 디스크 드라이브에 사용되었다. 6504는 때때로 프린터에 사용되었다. MOS는 또한 6512~6515와 같이 외부 클럭을 사용하는 일련의 유사한 CPU를 출시했으며, 세 번째 숫자에 "1"을 추가했다. 마지막으로 추가된 것은 코모도어 64에 사용된 6510으로, 추가 I/O 포트가 있었다.
2. 3. 코모도어에 인수
1976년, 모스 테크놀로지는 IC 계산기 시장의 붕괴와 6502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재정난을 겪었다.[3][4][5] 이 때,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의 시장 진입으로 위기에 처했던 코모도어 비즈니스 머신즈(CBM)가 MOS를 인수했다. CBM은 자사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MOS를 포함한 여러 협력사에 투자했고, 1976년 말 전액 주식 거래 방식으로 MOS를 인수했다.[3][4][5] MOS 주주들은 CBM 지분 9.4%를 받았고, 척 페들은 코모도어의 수석 엔지니어로 합류했다.[3][4][5]인수 후에도 한동안 MOS 테크놀로지라는 이름이 유지되었으나, 곧 코모도어 반도체 그룹(Commodore Semiconductor Group, CSG)으로 변경되었다.[6] 그러나 1989년까지 생산된 칩에는 여전히 "MOS" 로고가 찍혀 있었다.[6]
코모도어 인수 후, 6502 프로세서는 코모도어 PET, VIC-20, 코모도어 64 등 인기 제품에 탑재되며 성공을 이어갔다.
2. 4. 웨스턴 디자인 센터 (WDC)
빌 멘쉬는 코모도어의 인수 이전에 MOS를 떠나 1978년 웨스턴 디자인 센터(WDC)를 설립했다.[3][4][5] WDC는 6502 계열 칩의 라이선스 업체로서, 6502의 CMOS 버전인 65C02 (별도 칩 및 마이크로컨트롤러 65C150 내장)를 개발하여 버그를 수정하고 전력 효율을 높였다. 또한 WDC는 65C02를 기반으로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8비트 모드로 실행 가능한 16비트 업그레이드 버전인 65816을 개발하여 6502 라인을 크게 확장했다. WDC는 MOS 카탈로그의 상당 부분을 CMOS로 이전했으며, 6502는 의료 장비 및 자동차 대시보드 컨트롤러와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 시장에서 여전히 인기 있는 CPU로 사용되고 있다.[6]2. 5. GMT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와 폐업
1994년 코모도어의 파산 이후, 코모도어 반도체 그룹(Commodore Semiconductor Group, CSG)은 경영진에 의해 인수되어 '''GMT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Great Mixed-signal Technologies'')로 사명을 변경했다.[7] 이 회사는 펜실베이니아 주 오듀본에 위치한 이전 MOS 테크놀로지의 팹(fab)을 재가동했다.[7]이 공장은 1978년 코모도어 비즈니스 머신이 반도체 세척 과정에서 사용하던 지하 콘크리트 저장 탱크에서 트리클로로에틸렌(TCE)이 누출되면서, 1989년 10월 4일부터 미국 환경 보호청(EPA)의 유해 폐기물 처리 우선 순위 목록에 올라 있었다.[7][8][9] 이 누출로 인해 지역 지하수가 TCE 및 기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로 오염되었다.[7]
2001년, 미국 환경 보호청(EPA)의 명령으로 공장 가동이 중단되면서 GMT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는 운영을 중단하고 모든 자산을 포기했다.[7]
3. 주요 제품
모스 테크놀로지는 다양한 종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주변 칩을 개발하고 생산했다. 이 칩들은 KIM-1, 아타리 2600, 코모도어 64와 같은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었다.
모스 테크놀로지의 주요 제품들은 다음과 같다.
제품명 | 설명 |
---|---|
KIM-1 | 6502 기반의 단일 보드 컴퓨터[3][4][5] |
6501 | MC6800 핀 호환 CPU |
6502 | 6800 핀 호환이 아닌 것을 제외하면 6501과 동일한 CPU, 아타리 2600에 탑재 |
6507 | 어드레스 핀 13개, 아타리 2600에 탑재 |
6508 | 256바이트 RAM 및 I/O 핀 8개 |
6509 | 어드레스 핀 20개 |
6510 | 클럭 핀 및 I/O 포트, 코모도어 64에 탑재 |
6520 | PIA 주변 인터페이스 어댑터 |
6522 | VIA 다목적 인터페이스 어댑터 |
6523/6525 | TPI 3포트 인터페이스 어댑터 |
6526/8520/8521 (CIA) | 복합 인터페이스 어댑터, 아미가 (일부 모델)에 탑재 |
6529 | SPI 단일 포트 인터페이스 어댑터 |
6530 | RRIOT ROM-RAM-I/O-타이머 |
6532 | RIOT RAM-I/O-타이머 |
6545 | CRTC CRT 컨트롤러 |
6551 | 비동기 통신 인터페이스 어댑터 |
6560 (NTSC) / 6561 (PAL) | 코모도어 VIC-20에 탑재된 비디오 인터페이스 칩 (VIC) |
6562 | VIC 비디오 인터페이스 칩 (NTSC, 40열 지원) |
6564 | 컬러 PET용으로 설계된 80열 비디오 칩 |
6566 / 6567 (NTSC) / 6569 (PAL) | 코모도어 64에 탑재된 비디오 인터페이스 칩 (VIC-II) |
6572 (PAL-N) / 6573 (PAL-M) | VIC-II |
6581 / 6582 / 8580 | SID 사운드 인터페이스 장치, 코모도어 64에 탑재 |
7360/8360 (TED) | 텍스트 편집 장치 (HMOS-I/II), 코모도어 플러스/4에 탑재 |
7501 | HMOS-I 6502 CPU, 7비트 I/O 포트 포함, 코모도어 플러스/4에 탑재 |
8500 | 6510의 HMOS-II 버전 CPU |
8501 | HMOS-II 6502 CPU, 7비트 I/O 포트 포함 |
8502 | 6510과 호환되지만 2 MHz로 실행할 수 있는 CPU |
8562 (NTSC) / 8564 (NTSC) / 8565 (PAL) / 8566 (PAL) | VIC-II |
8563 | VDC 비디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
8568 / 8701 / 8722 | VDC (복합 HSYNC, VSYNC 및 RDY 인터럽트 지원), 클럭 발생기, MMU 메모리 관리 장치 |
65CE02 | 6502에서 파생된 CPU |
4510 | CSG 65CE02가 내장된 CPU, 2개의 CIA, 3.45 MHz |
6503 | 12개의 주소 핀, NMI 핀 및 IRQ 핀이 있는 CPU |
6504 | 13개의 주소 핀과 IRQ 핀이 있는 CPU |
6505 | 12개의 주소 핀, IRQ 핀 및 RDY 핀이 있는 CPU |
3. 1. 마이크로프로세서
모토로라의 MC6800 설계자 중 일부는 1975년 MC6800 출시 직후 모토로라를 떠나 모스 테크놀로지에 합류했다. 이들은 모스 테크놀로지에서 6800보다 성능이 뛰어나고 가격이 저렴한 새로운 CPU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 결과 6501 디자인이 탄생했는데, 6800과 다소 유사했지만 몇 가지 설계 단순화를 통해 최대 4배 더 빠른 성능을 낼 수 있었다.6501이 발표되자 모토로라는 즉시 소송을 제기했다. 6501의 명령어 집합은 6800과 호환되지 않았지만, 동일한 기능적 핀 배열과 IC 패키지 풋프린트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기존의 마더보드 설계에 꽂을 수 있었다. 이 점 때문에 모토로라는 소송을 제기했고, 결국 모스 테크놀로지는 200000USD의 벌금을 지불해야 했다.
그 동안 모스 테크놀로지는 1975년 9월에 1MHz로 작동할 수 있는 6502 칩을 단 25USD에 판매하기 시작했다. 6502는 6501과 거의 동일했지만, 온칩 클럭 발진기 추가, 다른 기능적 핀 배열, SYNC 신호 생성(단일 명령 단계 지원), 데이터 버스 활성화 제어 신호 제거 등의 차이점이 있었다.[2] 6502는 8080과 Z80보다 성능이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훨씬 저렴하고 사용하기 쉬웠다.
6502는 너무 저렴해서 1975년 무역 박람회에서 처음 선보였을 때 많은 사람들이 사기라고 의심했다. 그러나 모토로라와 인텔이 경쟁하기 위해 자체 설계 가격을 낮추면서 이러한 의심은 사라졌다. 6502는 빠르게 당시 가장 인기 있는 칩 중 하나가 되었으며, 록웰 인터내셔널, GTE, 시너텍 등 여러 회사에서 라이선스를 받았다.
모스 테크놀로지는 6502의 성공을 바탕으로 다양한 파생 모델을 출시했다. 6503~6507은 저렴한 가격의 28핀 패키지로 제공되었으며, 신호 또는 주소 핀을 제거하여 다양한 용도에 맞게 최적화되었다. 이 중 가장 인기 있는 모델은 아타리 2600과 아타리 디스크 드라이브에 사용된 6507이었다. 또한 외부 클럭을 사용하는 6512~6515 시리즈도 출시되었으며, 코모도어 64에 사용된 6510은 추가 I/O 포트를 제공했다.
다음은 모스 테크놀로지에서 출시한 주요 마이크로프로세서 목록이다.
제품명 | 설명 |
---|---|
KIM-1 | 6502 기반 단일 보드 컴퓨터 키트 |
6501 | MC6800과 핀 호환되는 CPU |
6502 | 6800 핀 호환을 제외하고 6501과 동일한 CPU |
6507 | 13개의 어드레스 핀을 가진 CPU |
6508 | 256바이트 RAM 및 8개의 I/O 핀을 가진 CPU |
6509 | 20개의 어드레스 핀을 가진 CPU |
6510 | 클럭 핀 및 I/O 포트를 가진 CPU |
65CE02 | 6502에서 파생된 CPU |
4510 | CSG 65CE02가 내장된 CPU, 2개의 CIA, 3.45 MHz |
6503 | 12개의 주소 핀, NMI 핀 및 IRQ 핀이 있는 CPU |
6504 | 13개의 주소 핀과 IRQ 핀이 있는 CPU |
6505 | 12개의 주소 핀, IRQ 핀 및 RDY 핀이 있는 CPU |
7501 | HMOS-I 6502 CPU, 7비트 I/O 포트 포함 |
8500 | 6510의 HMOS-II 버전 CPU |
8501 | HMOS-II 6502 CPU, 7비트 I/O 포트 포함 |
8502 | 6510과 호환되지만 2 MHz로 실행할 수 있는 CPU |
3. 2. 주변 칩
모스 테크놀로지는 비디오, 사운드, 입출력 기능을 담당하는 다양한 주변 칩을 생산했다. 주요 칩들은 다음과 같다:종류 | 칩 이름 | 설명 |
---|---|---|
비디오 칩 | 비디오 인터페이스 칩 (VIC, VIC-II) | |
사운드 칩 | SID 사운드 인터페이스 장치 | |
입출력 칩 | 6520 (PIA) |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 어댑터 |
6522 (VIA) | 다목적 인터페이스 어댑터 | |
6523/6525 | Tri-Port 인터페이스 | |
6526/8520/8521 (CIA) | CIA 복합 인터페이스 어댑터 | |
6529 (SPI/SPIA) | 단일 포트 인터페이스 어댑터 | |
ROM-RAM-I/O 타이머 | ||
기타 | 6545 | CRTC CRT 컨트롤러 |
6551 | ACIA 비동기 통신 인터페이스 어댑터 | |
7360/8360 (TED) | 텍스트 편집 장치 (HMOS-I/II) | |
8563 | VDC 비디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 |
VDC (복합 HSYNC, VSYNC 및 RDY 인터럽트 지원), 클럭 발생기, MMU 메모리 관리 장치 |
3. 3. 주요 제품
4. 대한민국에 끼친 영향
모스 테크놀로지의 6502는 애플 II 호환 기종에 사용되었는데, 이들 기종은 대한민국에서 조립, 생산, 판매되며 널리 보급되었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의 컴퓨터 및 IT 산업 저변 확대에 기여했다.[1] 특히, 6502 프로세서는 1980년대 대한민국의 교육용 컴퓨터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저렴한 가격과 쉬운 프로그래밍 특성 덕분에 한국의 초기 컴퓨터 개발자들에게 매력적인 요소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Oral History of William David "Bill" Mensch, Jr.
https://archive.comp[...]
2014-11-10
[2]
웹사이트
MOS MCS6500 Microcomputer Family Hardware Manual (Publication Number 6500-10A), January 1976, p. 41.
http://www.6502.org/[...]
[3]
웹사이트
MOS – The Rise of MOS Technology & The 6502
http://www.commodore[...]
2015-03-00
[4]
간행물
Calculator maker integrates downwards
https://books.google[...]
Reed Business Information
1976-09-09
[5]
뉴스
Commodore Buys MOS Technology
New Scientist
1976-09-00
[6]
문서
Images of chips with week 22 and week 23 date codes.
[7]
웹사이트
THIRD FIVE-YEAR REVIEW REPORT For Commodore Semiconductor Group Superfund Site
https://semspub.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egion III
2015-08-00
[8]
웹사이트
Commodore Computers Superfund Site Information
https://www.karlstec[...]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9-05-23
[9]
웹사이트
Commodore Semiconductor Group
https://semspub.epa.[...]
2002-08-00
[10]
웹사이트
GMT signs bi-polar foundry deal with TelCom
https://www.eetimes.[...]
Electronic Engineering Times
2019-05-23
[11]
웹사이트
m6502.txt - m6502 - tankcarneiro
http://docs2.minhate[...]
2015-03-24
[12]
웹사이트
Melcor 380
https://www.petervis[...]
2023-01-14
[13]
웹사이트
MELCOR Model 380
http://www.datamath.[...]
2023-01-14
[14]
웹사이트
MOS Technology, Inc. Calculator Chips
https://www.rskey.or[...]
2019-04-04
[15]
서적
Measuring system for the pharmacological manipulation of the coagulation mechanism in blood and for the elapsed coagulation time
http://patft.uspto.g[...]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1977-01-04
[16]
논문
MOS Technology Calculator Chip Ad 1974
https://commons.wiki[...]
2019-04-04
[17]
문서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http://www.epa.gov/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