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잠비크 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잠비크 내전은 1977년부터 1992년까지 모잠비크에서 벌어진 내전으로, 독립 후 사회주의 노선을 택한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 정부와 로디지아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원을 받은 모잠비크 민족 저항 운동(RENAMO) 간의 갈등이 주요 원인이었다. 냉전 시대 대리전 양상을 띠며 소련, 쿠바 등 공산권 국가와 로디지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반공 국가들의 지원을 받았다. 내전 과정에서 양측 모두 전쟁 범죄와 반인도 범죄를 저질렀으며, 수십만 명의 사망자와 수백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1992년 로마 평화 협정으로 종결되었으나, 이후에도 소규모 분쟁이 지속되었고, 2019년 평화 협정으로 군사적 긴장이 해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라위가 참전한 전쟁 - 소말리아 전쟁 (2006년~2009년)
    소말리아 전쟁은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소말리아에서 발생한 군사적 충돌로, 과도 연방 정부를 지원하는 에티오피아군과 이슬람 법정 연합 간의 충돌로 시작되어 반군 세력 개입으로 복잡해졌으며, 민간인 사상자와 인권 침해, 정치적 불안정, 극단주의 세력 성장을 초래했다.
  • 짐바브웨가 참전한 전쟁 - 제2차 콩고 전쟁
    제2차 콩고 전쟁은 1998년부터 2003년까지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발생한 무력 분쟁으로, 외세 개입, 민족 갈등, 자원 쟁탈이 원인이 되어 국제적인 분쟁으로 확대되었으며, 500만~600만 명의 사망자를 낸 아프리카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전쟁 중 하나이다.
  • 짐바브웨가 참전한 전쟁 - 통합임무부대
    통합임무부대(UNITAF)는 소말리아 내전으로 인한 인도적 위기 해결을 위해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에 따라 결성된 다국적 군사 조직으로, 인도주의적 구호 물자 수송 및 무장 세력 간 갈등 억제를 수행했으나, 정치적 상황과 부족 간 갈등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한계를 드러내 유엔 소말리아 II차 작전으로 임무가 전환되었다.
  • 탄자니아가 참전한 전쟁 -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우간다-탄자니아 전쟁은 우간다의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붕괴, 악화된 양국 관계를 배경으로 우간다의 카게라 지역 침공을 계기로 발발하여 탄자니아의 반격과 우간다 반군의 참여, 리비아의 개입 속에 탄자니아군과 우간다 반군 연합군의 승리로 이디 아민 정권이 붕괴되었으나, 양국에 막대한 피해와 우간다의 내전을 초래했다.
  • 탄자니아가 참전한 전쟁 - 카부델가두주 반란
    카부델가두주 반란은 2017년부터 모잠비크 북부에서 발생한 무장 반란으로, 사회경제적 불만, 종교적 요인, 정부 부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 안사르 알-수나가 주도하며 민간인 대상 전쟁 범죄를 일으켜 국제 사회의 지원을 받고 있다.
모잠비크 내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기본 정보
분쟁 명칭모잠비크 내전
일부냉전
기간1977년 5월 30일 – 1992년 10월 4일 (15년 4개월 4일)
장소모잠비크
결과결과 참조
교전 세력 1
국가모잠비크 (모잠비크 인민 공화국 (1990년까지))
조직FRELIMO
UNAMO (1988년–1992년)
ZANU (1979년까지)
짐바브웨 (1980년부터)
탄자니아
말라위 (1987년부터)
교전 세력 2
조직RENAMO
PRM (1982년 RENAMO에 합병)
UNAMO (1987년–1988년)
COREMO
UNIPOMO
FUMO
구 플레차스
지원 세력로디지아 (1979년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 (1978년부터)
지휘관 1
지휘관사모라 마셸(사망)
조아킴 치사노
로버트 무가베
줄리어스 니에레레
헤이스팅스 반다
지휘관 2
지휘관앙드레 마츠앙가이사(사망) (RENAMO)
아폰소 들라카마(RENAMO)
아모스 수마네 (처형) (PRM)
지모 피리 (PRM, RENAMO, UNAMO)
전력 1
병력모잠비크: 80,000명
짐바브웨: 20,000명
탄자니아: 6,000명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500명
전력 2
병력~20,000명
사상자 1
사망자모잠비크: 불명
짐바브웨: 군인 296명, 조종사 24명 (1984–1990년)
탄자니아: 군인 99명
말라위: 100명 이상
사상자 2
사망자불명
전체 사상자
사망자1,000,000명 이상 (기근 포함)
관련 전투
전투 목록연표
베이라
고롱고사
레오파드
빈백
셰크
스케르웨
레몬
그레이프 프루트
카사 바나나
호모인
만자카제
제1차 타닝가
제2차 타닝가
말루아나
기자
모베네
랄라우아
이미지
모잠비크 지뢰 피해자
전쟁 중 지뢰 피해를 입은 모잠비크인
추가 정보
관련 링크주요 행위자
인구 통계모잠비크 전체 인구 성장
뉴스모잠비크 레나모, 고속도로에서 3명 사망
모잠비크 군인, 경찰 36명 사망: 레나모
평화 협정모잠비크 대통령, 야당 지도자 평화 협정 서명

2. 배경

모잠비크 독립 전쟁 이후, 1974년 이언 스미스 정권하의 로디지아(잠비아짐바브웨를 합친 지역) 정보기관은 MNR을 지원하고 설립했다.[81] MNR은 "공산주의자 대 반공산주의자"라는 흑인 간 분쟁을 일으켰다.[82]

당시 포르투갈에 협력했던 ンダウ족 등을 제외하고는 백인들의 꼭두각시라는 인식 때문에 MNR에 참여하는 흑인은 적었다. MNR은 청소년들을 납치하여 병사를 늘리는 등, 폭력을 통해 흑인들을 복종시켰다.[81] 로디지아짐바브웨로 독립한 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이웃 나라에 공산주의 국가가 탄생하는 것을 우려하여 MNR을 지원했다.[83] 이 무렵부터 MNR은 레나모(RENAMO)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말라위에 거점을 두고, 정부에 반발하는 시민들의 지지를 얻었다.

2. 1. 독립

포르투갈은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앙골라, 모잠비크, 기니비사우 등 아프리카 식민지에서 오랜 기간 격렬한 독립 전쟁을 치렀고, 결국 카네이션 혁명 이후 이들 국가는 독립을 쟁취했다.[16] 모잠비크에서는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이 무장 투쟁을 주도하여 포르투갈로부터 넓은 영토를 장악했다.[17] FRELIMO는 초기에는 해외에서 반식민주의 및 민족주의 운동의 지지를 받았으며, 특히 모잠비크 이주 노동자, 망명 지식인, 그리고 포르투갈의 영향력이 약했던 북부 마콘데족 등 여러 민족 집단에서 지지 기반을 확보했다.[16][18]

1964년 9월, FRELIMO는 프랑스 인도차이나와 프랑스 알제리에서의 독립 투쟁 성공, 그리고 아흐메드 벤 벨라, 가말 압델 나세르, 줄리어스 니에레레 등 아프리카 국가 원수들의 격려에 힘입어 포르투갈에 대한 무장 반란을 시작했다.[16] FRELIMO 게릴라들은 알제리 등 북아프리카와 중동 국가에서 훈련받았고, 소련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군사 장비를 지원받았다.[16]

포르투갈은 군사력 증강과 로디지아,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긴밀한 방위 관계를 통해 대응했다.[16] 1970년 고르디우스의 매듭 작전을 통해 FRELIMO를 몰아내려 했으나, FRELIMO는 오히려 다른 지역에서 작전을 강화했다.[19] 1971년에는 알코라 훈련이라는 로디지아,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비공식 군사 동맹이 수립되어 정보 공유 및 작전 조율이 이루어졌다.[19] 한편 FRELIMO는 짐바브웨 아프리카 민족 해방군(ZANLA)과 동맹을 맺는 등 긴밀한 관계를 추구했다.[19]

1974년 4월, 포르투갈에서는 에스타두 노보 체제가 카네이션 혁명으로 무너졌다.[21] 무장 세력 운동 군사 쿠데타로 식민지 철수 및 아프리카 전쟁 종식이 결정되었다.[21] 포르투갈의 혼란은 모잠비크의 불안정으로 이어졌고, FRELIMO는 다당제 선거 제안을 거부하고 게릴라전을 강화하며 권력 장악을 시도했다.[22] 1974년 9월, 포르투갈은 FRELIMO의 요청을 수락하여 9개월의 과도 기간 후 FRELIMO에게 권력을 이양하기로 결정했다.[22]

이러한 결정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디지아,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의 우려를 샀다.[23] 특히 미국은 FRELIMO가 집권하면 모잠비크가 소련의 영향권에 들어갈 것을 우려했다.[23]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FRELIMO 지지 집회가 열렸고, 60여 명이 체포되기도 했다.[23]

모잠비크 내에서는 백인 우익 세력, 불만을 품은 군인, FRELIMO의 권력 장악에 반발하는 흑인들이 봉기를 일으켰다.[24] 이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로디지아에 군사 지원을 요청했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 총리 B. J. 보스터는 국제 사회의 비난을 우려하여 개입을 주저했고, 로디지아 총리 이언 스미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원 없이는 행동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25] 결국 이 봉기는 포르투갈과 FRELIMO 군의 연합으로 진압되었다.[24]

1975년 6월 25일, 모잠비크는 모잠비크 인민공화국으로 공식 독립했고, FRELIMO 지도자 사모라 마셸이 대통령이 되었다.

2. 2. 지정학적 상황

포르투갈카네이션 혁명 이후 앙골라, 모잠비크, 기니비사우 등 아프리카 식민지에서 철수하면서, 모잠비크는 1975년 6월 25일 독립을 맞이했다.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의 지도자 사모라 마셸모잠비크 인민공화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1965년 로디지아의 지정학적 상황. 로디지아는 녹색, 로디지아 정부에 우호적인 국가들(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포르투갈)은 보라색.


1975년 앙골라와 모잠비크 독립 이후 로디지아의 지정학적 상황. 로디지아는 녹색, 민족주의 게릴라에 우호적인 국가들은 주황색,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그 속령인 남서아프리카(현 나미비아)는 보라색.


모잠비크와 앙골라의 독립은 남아프리카 공화국로디지아의 백인 소수 정권에 큰 위협이 되었다.[26] 이들 국가는 독립 전쟁을 통해 소수 백인 정권의 취약성을 확인했고, 혁명적인 사회주의 운동이 집권한 모잠비크가 흑인 해방 운동의 거점이 될 것을 우려했다. 특히 모잠비크는 로디지아에게 심각한 타격을 주었는데, 로디지아군은 모잠비크와의 약 1287.47km에 달하는 국경을 방어할 병력이 부족했고, 주요 수출입 경로였던 모잠비크 항구도 봉쇄되었다.[27]

이러한 상황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로디지아는 모잠비크의 안정을 해치고 FRELIMO 정부를 약화시키려는 전략을 채택했다.[28] 로디지아는 1974년 레나모(RENAMO, 당시 모잠비크 국민 저항군(MNR))를 설립하여 지원했고[81],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총 국가 전략"을 채택했다.

2. 3. 내부 갈등

모잠비크 독립 전쟁 이후, FRELIMO의 급진적인 사회주의 정책과 전통 사회 구조 해체 시도는 많은 모잠비크인, 특히 농촌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샀다. FRELIMO의 강제 이주 정책과 집단 농장 정책은 큰 불만을 야기했고, 이는 RENAMO가 세력을 확장하는 기반이 되었다.[83] 1974년 로디지아 정보기관에 의해 지원 및 설립된 MNR(모잠비크 민족 저항군)은[81] 독립 전쟁 종전 후에도 공격을 계속하며 "공산주의자 대 반공산주의자" 흑인 간 분쟁을 일으켰다.[82] MNR은 흑인들의 참여가 적어 청소년들을 납치해 병사로 삼는 등 폭력을 통해 흑인들을 복종시키는 세력이 되었다.[81] 로디지아가 짐바브웨로 독립한 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MNR을 지원하게 되었고,[83] 이때부터 MNR은 RENAMO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말라위에 거점을 두고 정부에 반발하는 시민들의 지지를 얻어 확장해 나갔다.

3. 전쟁의 전개

1977년, 로디지아 정보기관의 지원으로 창설된 레나모(RENAMO)는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 프렐리모) 정부에 대한 무장 투쟁을 시작했다. 레나모는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여 정부군과 주요 시설을 공격하고, 민간인들을 납치하여 강제 징집하는 등 잔혹한 행위를 일삼았다.

레나모는 불안정화 전략의 일환으로 조직적인 전쟁범죄와 반인륜 범죄를 저질렀다. 마을에 대한 테러 공격, 소년병 사용, 강제 노동과 성폭력을 자행했다. 특히 여성들은 군대의 사기를 북돋우기 위한 수단으로 강간당했다.[96] 레나모는 '간디라' 제도를 통해 강제 노동을 시켰는데, 이는 시골 주민들 사이에서 광범위한 기아를 야기했다. 간디라에 참여하지 않거나 뒤처지는 사람들은 심한 구타를 당하거나 처형되었고,[97][98] 탈출 시도는 가혹하게 처벌되었다. 레나모의 잔혹한 전술은 모잠비크 주민들 사이에서 분노와 증오를 불러일으켰고, 1983년에는 레나모 반군 4명이 공개 처형되기도 했다.[99]

1975년부터 1979년까지 로디지아군은 잔라(ZANLA) 기지를 공격하고 프렐리모 정부를 불안정하게 만들기 위해 모잠비크에 반복적으로 진입했다.[33] 이 과정에서 1979년 베이라 항구 폭격과 1977년 마파이 마을 점령이 있었다.[34]

로디지아군은 프렐리모 전직 관리였던 앙드레 마찬가이사(André Matsangaissa)를 석방하여 군사 및 조직 훈련을 시켰고, '모잠비크 저항군(Mozambique Resistance)'의 지도자로 임명했다. 이 조직은 켄 플라워(Ken Flower)와 오를란도 크리스티나의 후원 아래 설립되었다.[35][36][37][38][5]

레나모는 고롱고사 지역에서 활동을 시작하여 프렐리모 정부와 잔라 운동에 대한 프렐리모 정부의 지원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레나모는 여러 반공산주의 반체제 집단으로 구성되었으며, 프렐리모에 반대하는 모잠비크 정치 망명자들과 프렐리모 탈퇴자들이 포함되었다.[39]

1979년, 마찬가이사가 사망한 후 아폰소 들라카마(Afonso Dhlakama)가 레나모의 새 지도자가 되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원을 받아 효과적인 게릴라 군대를 조직했다.[40]

아폰소 들라카마(Afonso Dhlakama) (중앙), 1979년부터 레나모(RENAMO) 지도자


프렐리모는 게릴라 전략을 사용했던 경험이 있었지만, 레나모의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웠다. 레나모는 민간인들을 강제로 고용했으며, 특히 어린이들을 군인으로 이용했다. 레나모 병력의 3분의 1이 아동 병사였던 것으로 추산된다.[42] '간디라(Gandira)' 시스템을 통해 민간인들은 레나모를 위한 식량 생산, 물품 운송, 성 노예 등의 임무를 강요받았다.[43] 레나모는 모잠비크를 "마체주의 공산주의"로부터 해방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44] 프렐리모의 사회주의 정책 포기, 자유 시장 경제 채택, 부족 지도자의 권력 복귀와 같은 전통적인 관심사를 중심으로 정치 프로그램을 구성했다.[45]

3. 1. 외세 개입

모잠비크 내전은 냉전 시기 대리전 양상을 띠었다.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은 소련, 쿠바, 동독 등 공산권 국가들의 지원을 받았고, 레나모(RENAMO)는 남아프리카 공화국로디지아의 지원을 받았다. 특히, 1980년 짐바브웨 독립 이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RENAMO의 주요 지원 세력이 되었다.[5]

1974년 카네이션 혁명으로 포르투갈의 에스타두 노보 정권이 무너지고, 1975년 모잠비크가 독립하면서 FRELIMO와 RENAMO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FRELIMO는 아프리카 민족회의(ANC)와 소련, 쿠바로부터 무기를 지원받았고, RENAMO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로부터 무기를 지원받았다. 양측 모두 AK-47 등 공산권 제조 총기와 무기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3]

1984년 모잠비크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간에 놈코마티 협정이 체결되어 양국은 상호 불가침을 약속했지만, 실제로는 양측 모두 FRELIMO와 RENAMO에 대한 지원을 계속했다.[51]

FRELIMO는 초기에는 소련과 동독으로부터 상당한 군사 및 개발 지원을 받았으며, 이후 프랑스, 영국, 미국으로부터도 지원을 받았다. 미국 내 보수 진영은 RENAMO에 대한 공개 지원을 주장했지만, 국무부는 RENAMO의 잔혹성을 기록한 보고서를 근거로 반대했다.[5]

1982년 짐바브웨는 모잠비크의 주요 수송로를 확보하고, 국경을 넘는 RENAMO의 습격을 막으며, 동맹인 FRELIMO를 돕기 위해 내전에 개입했다. 짐바브웨의 지원은 특히 베이라 회랑 방어에 중요했으며, 이후 짐바브웨는 FRELIMO와 함께 RENAMO 거점에 대한 합동 작전을 수행했다.[47] 탄자니아도 FRELIMO를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파병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동독, 소련도 FRELIMO 군대에 무기를 제공하고 훈련을 지원했으며, 특히 북한은 1980년대 초 모잠비크에 군사 고문단을 설치하여 FRELIMO의 특수 대게릴라 여단 편성에 기여했다.[48] 동독은 군사 지원을 제공하고 모잠비크 인민방위군(FPLM) 대원들을 동독에서 훈련시켰다.[49] 1977년 봄, 루마니아 사회주의 육군은 500명의 병사와 장교를 모잠비크에 파병하여 마푸토와 나칼라에 배치하고, 모잠비크 전차 부대에게 T-34T-54 전차 사용법을 훈련시켰다.[7][50]

말라위는 FRELIMO와 RENAMO 모두와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1980년대 중반, FRELIMO는 말라위 대통령이 RENAMO에게 은신처를 제공한다고 비난했고, 모잠비크 보안군은 말라위 내 RENAMO 기지를 공격하여 말라위 국방군과 충돌하기도 했다.[2] 1986년 말라위는 모잠비크의 압력으로 RENAMO 반군 1만 2천 명을 추방했다.[2] 이후 RENAMO가 블랜타이어와 모잠비크 인도양 연안 항구를 연결하는 철도를 공격하자, 말라위 정부는 1987년 4월부터 철도 방어를 위해 모잠비크에 군대를 배치하고 RENAMO와 교전을 벌였다.[2]

3. 2. 군사적 교착

1980년대 말까지 모잠비크 해방 전선(FRELIMO, 프렐리모)는 병력에서 우세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도시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을 제대로 방어할 수 없었다. 모잠비크 민족저항운동(RENAMO, 레나모)는 주요 도시를 제외한 전국 어디에서나 공격할 수 있었으며, 무장 호송대조차도 레나모의 공격을 자주 받았다.[46]

프렐리모는 포르투갈이 도입했던 요새화된 마을인 알데아멘토스(aldeamentos)와 유사한 시스템을 다시 활용하여 대응했다. 전쟁이 격화되면서 농촌 인구 대부분이 이주한 알데아멘토스 코무나이스(aldeamentos comunais)라는 요새화된 공동체 마을을 건설했다. 또한 최소한의 기반 시설 유지를 위해 도로, 철도, 송전선으로 구성된 세 개의 삼엄하게 경비되고 지뢰가 매설된 통로, 즉 베이라, 테테(테테 런(Tete Run)이라고도 불림), 림포포 통로가 설치되었다.[47] 이 통로들은 광범위하게 요새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잦은 공격을 받았다. 베이라 통로를 따라 철도와 기관차가 폭격을 당하면서 프렐리모 정부는 식량과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었고, 동맹국인 짐바브웨에 부담을 주며 수백만 달러의 손실을 입었다.

결과적으로 레나모는 대도시를 점령하거나 확보할 능력은 없었지만, 시골 지역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작은 마을들을 마음대로 공격할 수 있었다. 프렐리모는 대도시 지역과 주요 이동로를 장악했지만, 레나모의 공격으로부터 시골 지역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는 없었다. 또한 프렐리모는 레나모를 압박하여 더 직접적인 재래식 전쟁으로 몰아넣을 수도 없었다.

3. 3. 기근과 인도주의적 위기

내전 기간 동안, 특히 1984년의 끔찍한 기근으로 인해 수십만 명이 사망했다.[54][55][56] 이 기근은 당시의 기상 조건 때문이기도 했지만, 레나모(RENAMO)와 프렐리모(FRELIMO) 간의 갈등으로 인해 상황이 훨씬 악화되었다.[54][55]

4. 전쟁 범죄 및 반인도 범죄

모잠비크 내전 기간 동안 RENAMO와 FRELIMO 양측은 대규모 전쟁범죄와 반인도범죄를 저질렀다. 1992년 모잠비크 의회는 1976년부터 1992년까지 발생한 모든 범죄에 대한 무조건적인 일반 사면법을 통과시켰고, 그 결과 양측 사령관 중 누구도 전쟁범죄로 기소되지 않았다.[95] 피해자들은 정의를 추구하는 대신 망각을 강요받았다.

FRELIMO는 법정 허용 기간을 초과하는 고용 및 징병을 강요했다. 특정 지역에서는 공동 거주가 의무화되었으나, 일부 지역의 문화적 특성상 가정 간 일정 거리를 유지해야 했기에 많은 이들이 RENAMO의 공격 위험에도 불구하고 시골 거주를 선호했다.[103] 이로 인해 FAM 군인이나 짐바브웨 동맹군에 의해 강제 이주당하는 경우가 빈번했다.[103]

FRELIMO는 포르투갈이 도입했던 요새화된 마을(aldeamentos)과 유사한 알데아멘토스 코무나이스(aldeamentos comunais)라는 요새화된 공동체 마을을 건설했다. 또한, 최소한의 기반 시설 유지를 위해 베이라, 테테, 림포포 통로를 설치했으나,[47] 이 통로들은 삼엄한 경비와 지뢰 매설에도 불구하고 잦은 공격에 시달렸다.

4. 1. RENAMO의 전쟁 범죄

RENAMO는 불안정화 전략의 일환으로 조직적으로 전쟁범죄와 반인륜 범죄를 저질렀다. 여기에는 마을과 도시에 대한 테러 공격, 소년병 사용, 강제 노동과 성폭력을 기반으로 한 간디라 제도의 시행 등이 포함된다.[96] 종종 여성들은 들판에 있는 동안 체포되어 군대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강간당했다. 간디라는 시골 주민들이 스스로 식량을 생산할 시간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광범위한 기아를 유발했다. 이로 인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그들에게 요구되는 긴 수송 행진을 견디지 못하게 되었다. 간디라 참여를 거부하거나 행진에서 뒤처지는 것은 심한 구타로 이어졌고 종종 처형되기도 했다.[96] 탈출 시도 또한 가혹하게 처벌되었다. 특히 끔찍한 관행은 탈출한 부모가 남겨둔 아이들을 토막내고 죽이는 것이었다.[97][98] RENAMO의 잔혹한 전술은 대부분의 모잠비크 주민들 사이에서 분노와 증오를 불러일으켰고, 그들은 RENAMO를 "무장 도적단"이라고 불렀으며, 심지어 1983년에는 RENAMO 반군 4명을 공개 처형하도록 군을 압박하기도 했다.[99]

RENAMO의 범죄는 1987년 호모이네 마을 학살로 인해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RENAMO 병사들은 시골 마을인 호모이네를 급습하여 병원 환자를 포함한 민간인 424명을 총기와 칼로 살해했다.[100] 이 사건은 미국 국무부 고문 로버트 거소니의 RENAMO 방식에 대한 조사를 촉발시켰고, 결국 RENAMO에 대한 미국 정부의 지원을 원했던 보수 진영의 야망을 종식시켰다.[101] 보고서는 호모이네에 대한 RENAMO의 행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술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결론지었다.

4. 2. FRELIMO의 전쟁 범죄

FRELIMO는 사람들에게 고용과 징병 기간을 법이 허용하는 범위 이상으로 연장하도록 강요했다. 특정 지방에서는 공동 거주가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어떤 지역에서는 문화 규범에 따라 가정이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생활해야 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레나모(RENAMO)의 공격과 습격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시골에서 사는 것을 선호했다.[103] FRELIMO 병사들은 내전 중에 심각한 전쟁 범죄를 저질렀으며,[102] 사람들은 종종 FAM 군인이나 짐바브웨 동맹국들에 의해 총을 겨누고 공동 마을로 강제 이주당했다.

독립 이후, FRELIMO는 소규모 범죄자, 정치적 반대자, 그리고 매춘부와 같은 소위 반사회적 요소들을 재교육 수용소에 보냈다. 이들은 판사 부족으로 인해 재판 없이 수감되는 경우가 많았다. 1980년 마셸 대통령은 여러 수용소를 방문하여 인권 침해를 이유로 약 2,000명의 수감자를 석방하고 수많은 수용소를 폐쇄하도록 명령했다.[71][72] 이 수용소들은 나중에 외국 관찰자들에 의해 "악명 높은 고문과 죽음의 중심지"로 묘사되었다.[73] 이 수용소에서 약 3만 명의 수감자가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74] 정부는 또한 전국적인 통제를 확대하려는 과정에서 수천 명을 처형했다는 비난을 받았다.[75][76]

FRELIMO 군인들은 강간을 만연하게 저질렀다. 그러나 레나모(RENAMO)가 저지른 성폭력의 체계적인 성격에 비해 빈도는 훨씬 낮았다.[70]

한 지역 주민의 증언에 따르면, FRELIMO 군인들은 주민들을 강제로 공동체 마을로 이주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주민들의 집과 재산을 불태우고 죽음으로 위협했다. 공동체 마을 내에서는 주민들이 돼지우리와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해야 했으며, 사생활이 전혀 보장되지 않았고, 군인들에 의한 여성 성폭력 문제도 심각했다. 주민들은 식량을 구하기 위해 국제사회의 인도주의적 지원에 의존해야 했지만, 이마저도 언제 도착할지 알 수 없어 끔찍한 생활을 이어갔다.[69]

5. 평화 협정과 그 이후

1990년대 초, 냉전 종식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아파르트헤이트 철폐로 레나모(RENAMO)에 대한 지원이 줄어들면서, 프렐리모(FRELIMO)와 레나모는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 모잠비크 내전 기간 동안 대규모의 전쟁 범죄와 반인도 범죄가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1992년 의회에서 통과된 무조건적인 일반 사면법으로 인해 어떤 종류의 전범 재판소에도 단 한 명의 RENAMO나 FRELIMO 지휘관도 나타나지 않았다. 피해자들은 정의를 받는 대신 잊어버리라는 권유를 받았다.[95]

전쟁 중 수십만 명이 기근으로 사망했는데, 특히 1984년의 기근이 심각했다.[54][55][56] 이 기근은 당시의 기상 조건 때문이었지만, 레나모와 프렐리모 간의 갈등으로 인해 상황이 훨씬 악화되었다.[54][55]

1994년 레나모가 장악한 지역


1995년 초 마지막 UNOMOZ 부대가 철수할 당시, 모잠비크 내전으로 약 100만 명이 사망하고, 570만 명이 국내 실향민이 되었으며, 17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11][12][77]

5. 1. 로마 평화 협정

1990년, 냉전이 종식되어 가고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가 무너지면서, 프렐리모(FRELIMO) 정부와 레나모(RENAMO) 간의 첫 직접 회담이 열렸다. 1989년 7월 프렐리모의 새로운 헌법 초안은 다당제를 위한 길을 열었고, 1990년 11월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었다. 모잠비크는 이제 정기적인 선거와 보장된 민주적 권리를 가진 다당제 국가가 되었다.

1992년 10월 4일, 산타에지디오 공동체가 유엔의 지원을 받아 협상한 로마 일반 평화 협정이 로마에서 치사노 대통령과 레나모(RENAMO) 지도자 아폰소 드라카마(Afonso Dhlakama) 사이에 체결되었으며, 1992년 10월 15일 공식적으로 발효되었다. 7,500명으로 구성된 유엔 평화유지군(UNOMOZ)이 모잠비크에 도착하여 2년간의 민주주의 이행 과정을 감독했다. 또한 2,400명의 국제 관찰자들이 1994년 10월 27~28일 실시된 선거를 감시하기 위해 모잠비크에 입국했다. 마지막 UNOMOZ 부대는 1995년 초에 철수했다.[11][12][77]

냉전 종식 후, FRELIMO는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로, RENAMO는 아파르트헤이트 종식으로 각각의 지지 세력을 잃었다. 양측은 유럽 여러 국가의 중재로 평화 협상을 하게 되었고, 1992년 10월 로마에서 모잠비크 포괄 평화 협정이 체결되면서 내전은 종식되었다. RENAMO는 정당으로 인정받았다.[84]

5. 2. 평화 정착과 민주주의 이행

1990년 냉전이 끝나고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가 무너지면서, 프렐리모(FRELIMO) 정부와 레나모(RENAMO) 간의 첫 직접 회담이 열렸다.[11] 1989년 7월 프렐리모의 새로운 헌법 초안은 다당제를 위한 길을 열었고, 1990년 11월 새로운 헌법이 채택되어 모잠비크는 정기적인 선거와 보장된 민주적 권리를 가진 다당제 국가가 되었다.[11]

1992년 10월 4일, 산타에지디오 공동체가 유엔의 지원을 받아 협상한 로마 일반 평화 협정이 로마에서 조아킴 알베르토 키사노 대통령과 레나모 지도자 아폰소 드라카마(Afonso Dhlakama) 사이에 체결되었으며, 1992년 10월 15일 공식적으로 발효되었다.[11] 7,500명으로 구성된 유엔 평화유지군(UNOMOZ)이 모잠비크에 도착하여 2년간의 민주주의 이행 과정을 감독했다.[11] 또한 2,400명의 국제 관찰자들이 1994년 10월 27~28일 실시된 선거를 감시하기 위해 모잠비크에 입국했다.[11] 마지막 UNOMOZ 부대는 1995년 초에 철수했다.[11]

냉전 종식 후, FRELIMO는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로, RENAMO는 아파르트헤이트 종식으로 각각의 지지 세력을 잃었다.[84] 양측은 유럽 여러 국가의 중재로 평화 협상을 하게 되었고, 1992년 10월 로마에서 모잠비크 포괄 평화 협정이 체결되면서 내전은 종식되었다.[84] RENAMO는 정당으로 인정받았으며, 현재 50석(협력하는 정당은 40석)을 얻어 모잠비크 사회에 정착해 있다.[84] 그 후에도 군사적 대립은 계속되었지만, 수면 아래에서는 평화 협상이 계속되었고, 2019년 8월 1일 양측은 다시 평화 협정을 체결하여 내전 종결 후 27년간 지속된 군사적 긴장이 끝나게 되었으며, RENAMO의 군사 부문은 무장 해제되었다.[84]

5. 3. 폭력의 재발

2013년 중반, 모잠비크 중부와 북부 지역에서 레나모(RENAMO) 반군 활동이 20년 이상 지속된 평화 이후 재개되었다. 2014년 9월 5일, 아르만도 게부자 전 대통령과 아폰소 들라카마 레나모 지도자는 군사적 적대 행위를 중단하고 양측이 2014년 10월 총선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적대 행위 중단 협정에 서명했다. 그러나 총선 이후 새로운 정치 위기가 발생했고, 모잠비크는 다시 한번 폭력적 갈등 직전에 놓인 것으로 보인다. 레나모는 선거 결과의 유효성을 인정하지 않고, 자신들이 다수를 차지했다고 주장하는 남풀라, 니아사, 테테, 잠베지아, 소팔라, 마니카 6개 주에 대한 통제권을 요구하고 있다.[79]

2016년 1월 20일, 마누엘 비소포 레나모 사무총장이 총격전에서 부상을 입었고, 그의 경호원은 사망했다. 그러나 필리페 뉴시 대통령과 아폰소 들라카마 레나모 지도자 간의 정치 대화를 위한 합동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실무 회의가 열렸다. 이는 비공개 회의였으며, 두 지도자 간의 회의에 앞서 진행될 사항들의 시작을 예정했다.[80]

냉전 종식 후, FRELIMO는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로, RENAMO는 아파르트헤이트 종식으로 각각의 지지 세력을 잃었다. 양측은 유럽 여러 국가의 중재로 평화 협상을 하게 되었고, 1992년 10월 로마에서 모잠비크 포괄 평화 협정이 체결되면서 내전은 종식되었다. RENAMO는 정당으로 인정받았으며, 현재 50석(협력하는 정당은 40석)을 얻어 모잠비크 사회에 정착해 있다. 그 후에도 군사적 대립은 계속되었지만, 수면 아래에서는 평화 협상이 계속되었고, 2019년 8월 1일 양측은 다시 평화 협정을 체결하여 내전 종결 후 27년간 지속된 군사적 긴장이 끝나게 되었으며, RENAMO의 군사 부문은 무장 해제되었다.[84]

6. 후유증

모잠비크 민족저항군(RENAMO)은 조직적으로 전쟁범죄와 반인륜 범죄를 저질렀다. 마을을 공격하고 소년병을 징집했으며, 강제 노동과 성폭력을 일삼았다. 특히 여성들은 강간 피해를 당했다.[96] 강제 노동(간디라)으로 식량 생산이 어려워져 기아가 발생했고, 이를 거부하거나 뒤처지는 사람들은 구타당하거나 처형되었다.[96] 탈출 시도 또한 가혹하게 처벌되었으며, 탈출한 부모의 아이들을 살해하는 일도 있었다.[97][98]

RENAMO는 호모인 마을을 급습하여 병원 환자를 포함한 민간인 424명을 학살했다.[100] 이 사건은 미국 국무부의 조사를 촉발했고, RENAMO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중단시키는 계기가 되었다.[101]

모잠비크 해방전선(FRELIMO) 군인들 또한 심각한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102] 이들은 강제 징집과 복무 기간 연장을 강요했고, 특정 지역에서는 공동 거주를 강제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문화적 규범 때문에 사람들이 떨어져 살아야 했고, 많은 사람들이 위험에도 불구하고 시골에 사는 것을 선호했다.[103]

1990년 냉전이 종식되고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가 무너지면서 RENAMO에 대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지원이 줄어들었고, FRELIMO 정부와 RENAMO 간의 첫 직접 회담이 열렸다. 1992년 로마 일반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고, 유엔 평화유지군(UNOMOZ)이 파견되어 2년간 민주주의 이행 과정을 감독했다. 1995년 초 마지막 UNOMOZ 부대가 철수할 때까지, 내전으로 인해 약 100만 명이 사망하고 570만 명이 국내 실향민이 되었으며 17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11][12][77]

6. 1. 인명 피해와 난민 문제

내전으로 인해 약 100만 명이 사망하고, 수백만 명이 국내 실향민 또는 난민이 되었다. 모잠비크 민족저항군(RENAMO)은 전쟁 범죄와 반인륜 범죄를 조직적으로 저질렀다. 마을을 공격하고 소년병을 징집했으며, 강제 노동과 성폭력을 일삼았다. 특히 여성들은 강간 피해를 당했다.[96] 강제 노동(간디라)으로 인해 식량 생산이 어려워져 기아가 발생했고, 이를 거부하거나 뒤처지는 사람들은 구타당하거나 처형되었다.[96] 탈출 시도 또한 가혹하게 처벌되었으며, 탈출한 부모의 아이들을 살해하는 일도 있었다.[97][98] 이러한 잔혹 행위는 주민들의 분노를 일으켰고, 1983년에는 레나모 반군 4명이 공개 처형되기도 했다.[99]

RENAMO는 호모인 마을을 급습하여 병원 환자를 포함한 민간인 424명을 학살했다.[100] 이 사건은 미국 국무부의 조사를 촉발했고, RENAMO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중단시키는 계기가 되었다.[101]

모잠비크 해방전선(FRELIMO) 군인들 또한 심각한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102] 이들은 강제 징집과 복무 기간 연장을 강요했고, 특정 지역에서는 공동 거주를 강제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문화적 규범 때문에 사람들이 떨어져 살아야 했고, 많은 사람들이 위험에도 불구하고 시골에 사는 것을 선호했다.[103] 이 때문에 사람들은 강제로 공동 마을로 이주당해야 했다.

이 내전으로 인해 국민의 3분의 1이 난민이 되어 주변 국가로 피난했다.[85]

6. 2. 경제적 피해

RENAMO영어는 불안정화 전략으로 조직적인 전쟁범죄와 반인륜 범죄를 저질렀다. 마을 테러 공격, 소년병 사용, 강제 노동, 성폭력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여성들은 들판에 있는 동안 체포되어 군대 사기 진작 수단으로 강간당했다.[96] 간디라는 시골 주민들 사이에 광범위한 기아를 일으켰다. 간디라 참여를 거부하거나 행진에서 뒤처지면 심한 구타를 당하고 종종 처형되었다.[96] 비행 시도 또한 가혹하게 처벌되었다. 탈출한 부모가 남겨둔 아이들을 토막 내 죽이는 끔찍한 관행도 있었다.[97][98]

RENAMO영어 병사들이 시골 호모인 마을을 급습해 병원 환자 등 민간인 424명을 학살한 사건은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100] 이 사건은 미국 국무부 고문 로버트 거슨의 RENAMO영어 방식에 대한 조사를 촉발했다.[101]

FRELIMO영어 병사들 또한 내전 중 심각한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102] FRELIMO영어는 사람들에게 고용과 징병 기간을 법이 허용하는 범위 이상으로 연장하도록 강요했다. 특정 지방에서는 공동 거주가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어떤 지역에서는 문화 규범에 따라 가정이 서로 일정 거리를 두고 생활해야 했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RENAMO영어의 공격과 습격 위험에도 불구하고 시골에서 사는 것을 선호했다.[103]

6. 3. 지뢰 문제

모잠비크는 내전으로 인해 다수의 지뢰가 매설되어 세계에서 지뢰 오염이 가장 심각한 국가 중 하나로 여겨졌다.[86]

미국과 영국이 자금을 지원하는 지뢰 제거 단체인 HALO 트러스트는 1993년 모잠비크에서 활동을 시작하여 현지 주민들을 고용해 전국에 산재한 지뢰를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지뢰 제거 작업 중 HALO 직원 4명이 사망했으며, 전쟁 후 수년 동안 매년 수백 명의 민간인이 지뢰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78]

모잠비크는 1999년에 지뢰 문제·대인지뢰 금지 조약(오타와 조약)에 서명했다.

2015년 9월, 마지막으로 알려진 지뢰가 의도적으로 폭파되는 기념식을 통해 마침내 모잠비크는 지뢰 없는 국가로 선언되었다.[78]

7. 한국의 관점과 교훈

모잠비크 내전 기간 동안 대규모의 전쟁 범죄와 반인도 범죄가 발생했지만, 1992년 의회에서 통과된 무조건적인 일반 사면법으로 인해 레나모나 프렐리무 지휘관 중 단 한 명도 전범 재판소에 서지 않았다. 이로 인해 피해자들은 정의를 찾기보다는 잊으라는 권유를 받았다.[95]

참조

[1] 웹사이트 Mozambique: Civil war | Mass Atrocity Endings https://sites.tufts.[...]
[2] 서적 Wars in the Third World Since 1945 Bloomsbury Publishing Plc 2016
[3] 서적 Youth and Post-conflict Reconstruction: Agents of Change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Press 2010
[4] 서적 War and Society: The Militarisation of South Africa https://books.google[...]
[5] 웹사이트 Our work | Conciliation Resources https://web.archive.[...] C-r.org 2012-03-04
[6] 간행물 Bulletin of Tanzanian Affairs No 30 http://www.tzaffairs[...] 1988-05
[7] 서적 Translations on Sub-Saharan Africa, Issues 1742-1754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Joint Publications Research Service 1977
[8] 뉴스 Mozambique to return bodies of Tanzanian soldiers http://www.panapress[...] Panapress 2004
[9] 웹사이트 Afrikka https://web.archive.[...] 2013-01-18
[10] 서적 Still Killing: Landmines in Southern Africa Human Rights Watch 1997
[11] 웹사이트 Mozambique https://2009-2017.st[...] State.gov 2011-11-04
[12] 웹사이트 MOZAMBIQUE: population growth of the whole country https://web.archive.[...] Populstat.info 2012-03-04
[13] 뉴스 Mozambique's Renamo kills three on highway http://www.iol.co.za[...] 2014-08-25
[14] 뉴스 36 Mozambique soldiers, police killed: Renamo http://www.timeslive[...] 2013-08-13
[15] 웹사이트 Mozambique President, Opposition Leader Sign Peace Agreement | Voice of America - English https://www.voanews.[...] 2019-08
[16] 서적 Sure Road? Nationalisms in Angola, Guinea-Bissau and Mozambique Koninklijke Brill NV 1997
[17] 서적 Sweden and National Liberation in Southern Africa: Vol. 2 : Solidarity and assistance, 1970–1994 http://urn.kb.se/res[...] Nordiska Afrikainstitutet
[18] 서적 Civil Wars, Insecurity, and Interven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19] 서적 The Origins of War in Mozambique: A History of Unity and Division African Minds 2013
[20]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South Africa: From the Dutch-Khoi Wars to the End of Apartheid Praeger Security International
[21] 서적 The Cuban intervention in Angola Frank Cass Publishers
[22] 서적 A Complicated War: The Harrowing of Mozambiqu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2
[23] 서적 An African Volk: The Apartheid Regime and Its Search for Survival Oxford University Press
[24] 서적 Apartheid's Contras: An Inquiry into the Roots of War in Angola and Mozambique Witwatersrand University Press
[25] 서적 The Great Betrayal Blake Publishing Ltd.
[26] 웹사이트 MOZAMBIQUE: Dismantling the Portuguese Empire http://www.jpires.or[...] jpires.org 2012-03-04
[27] 비디오 Borders of Blood Kanemo Production and Communication Ltd.
[28] 비디오 Mozambique: The Struggle for Survival Video Africa 1987
[29] 서적 Mozambique: the tortuous road to democracy Macmillan 2001
[30] 서적 Literacy in Mozambique: education for all challenges UNESCO 2006
[31] 서적 unspecified Igreja 2007
[32] 웹사이트 The cultural dimension of war traumas in central Mozambique: The case of Gorongosa http://priory.com/ps[...]
[33] 서적 unspecified 1983
[34] 서적 Southern African Political History: A chronology of key political events from Independence to mid-1997 Greenwood 1999
[35] 서적 unspecified 2016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Conspicuous destruction: war, famine and the reform process in Mozambique https://books.google[...] Human Rights Watch
[40] 서적
[41] 서적 Traditional Religion and Guerrilla Warfare in Modern Africa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1996
[42] 웹사이트 RENAMO and the LRA: The History and Futures of African Child Soldiers | New Histories https://web.archive.[...] 2015-02-15
[43] 서적
[44] 뉴스 Mozambique Dissidents' Military Communiqué Summary of World Broadcasts 1980-07-15
[45] 서적 Mozambique and the Construction of the New African State: From Negotiations to Nation Building Palgrave 2001
[46] 웹사이트 Mozambique: Key Actors in the War and Peace Process https://web.archive.[...] 2012-03-04
[47] 웹사이트 Defence Digest - Working Paper 3 https://web.archive.[...] Ccrweb.ccr.uct.ac.za 2012-03-04
[48] 서적 Terrorism, the North Korean connection Crane, Russak & Company 1997
[49] 간행물 Fighting the Cold War in southern Africa? East German military support to FRELIMO
[50] 서적 Superpower Competition and Security in the Third World https://books.google[...]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Program, Ballinger Publishing Company
[51] 서적 Beggar Your Neighbours: Apartheid Power in Southern Africa
[52] 서적 Carlos Cardoso: Telling the Truth in Mozambique Double Storey Books
[53] 학술지 The U.S. Culture Wars Abroad: Liberal-Evangelical Rivalry and Decolonization in Southern Africa, 1968–1994 http://dx.doi.org/10[...]
[54] 잡지 All the Hungry People
[55] 서적 MOZAMBIQUE: A WAR AGAINST THE PEOPLE St. Martin's Press
[56] 백과사전 THE FACTS ON FILE ENCYCLOPEDIA OF THE 20TH CENTURY Facts on File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뉴스 Pena de morte exigida para bandidos armados Noticias
[62] 뉴스 Toll Over 380; Guerrillas Blamed : Massacre in Mozambique: Babies, Elderly Shot Down https://www.latimes.[...] 1987-08-16
[63] 웹사이트 MHN: Homoine, 1987 https://web.archive.[...] Mozambiquehistory.net 2012-03-04
[64] 웹사이트 Jacob Alperin-Sheriff: McCain Urged Reagan Admin To Meet Terror Groups Without Pre-Conditions https://www.huffingt[...] Huffingtonpost.com 2012-03-04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보고서 Mozambique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WORLD REPORT
[69] 웹사이트 War Traumas in Central Mozambique http://priory.com/ps[...] Priory.com 2012-03-04
[70] 서적
[71] 뉴스 Mozambican Reeducation Camps Raise Rights Questions The Washington Post 1980-05-07
[72] 뉴스 Machel's Speech on Unjust Detentions in Reeducation Camps Summary of World Broadcasts 1981-10-06
[73] 뉴스 Machel Through Rose-Tinted Specs Financial Post 1986-11-01
[74] 뉴스 A Crying Field to Remember The Star 2007-11-13
[75] 서적 MOZAMBIQUE: A NATION IN CRISIS The Claridge Press 1989
[76] 저널 Mozambique: a leader's legacy: economic failure, growing rebellion INSIGHT 1986-11-10
[77] 웹사이트 State of the World's Refugees, 2000 https://www.unhcr.or[...]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78] 웹사이트 Flash and a bang as Mozambique is declared free of landmin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09-17
[79] 웹사이트 Provincial Autonomy: The Territorial Dimension of Peace in Mozambique https://www.academia[...] Academia 2019-02-20
[80] 웹사이트 Porquê O Conflito Armado Em Moçambique? Enquadramento Teórico, Dominância e Dinâmica de Recrutamento Nos Partidos da Oposição https://www.academia[...] Academia
[81] 서적 2008
[82] 서적 紛争後モザンビーク社会の課題──村に戻らない人々 朝倉書店 2008-04
[83] 서적 2008
[84] 웹사이트 モザンビークの政府と野党、歴史的な和平協定に調印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9-08-02
[85] 웹사이트 なつかしの故郷へ http://www.unhcr.or.[...] UNHCR Japan
[86] 웹사이트 モザンビーク、2014年までの地雷撤去目標 [世界短信] http://bigissue-onli[...] BIG ISSUE ONLINE
[87] 서적 Youth and Post-conflict Reconstruction: Agents of Change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Press 2010
[88] 서적 Still Killing: Landmines in Southern Africa https://archive.org/[...] Human Rights Watch 1997
[89] 웹사이트 Mozambique https://2009-2017.st[...] State.gov 2011-11-04
[90] 웹사이트 MOZAMBIQUE: population growth of the whole country http://www.populstat[...] Populstat.info
[91] 웹사이트 Mozambique's Renamo kills three on highway http://www.iol.co.za[...] iOl News 2014-08-25
[92] 웹사이트 36 Mozambique soldiers, police killed: Renamo http://www.timeslive[...] 2013-08-13
[93] 저널 Reconciliation in Mozambique: was it ever achieved? 2019
[94] 웹사이트 Mozambique President, Opposition Leader Sign Peace Agreement https://www.voanews.[...] 2021-07-28
[95] 서적 1988
[96] 서적 1988
[97] 서적 1988
[98] 서적 1988
[99] 뉴스 Pena de morte exigida para bandidos armados Noticias 1983
[100] 웹사이트 MHN: Homoine, 1987 http://www.mozambiqu[...] Mozambiquehistory.net
[101] 웹사이트 McCain Urged Reagan Admin To Meet Terror Groups Without Pre-Conditions https://www.huffingt[...] Huffingtonpost.com 2008-11-23
[102] 웹사이트 Mozambique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WORLD REPORT 1990
[103] 웹사이트 War Traumas in Central Mozambique http://priory.com/ps[...] Priory.com 2007-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