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말리아 전쟁 (2006년~200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말리아 전쟁 (2006년~2009년)은 2006년 에티오피아가 소말리아를 침공하여 이슬람 법정 연합(ICU)을 축출하면서 시작되었다. 에티오피아는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를 지원했지만, 알 샤바브를 비롯한 반군 세력의 저항에 직면했다. 전쟁은 민간인 사망자, 대규모 난민 발생, 소말리아 내전 장기화, 지역 안보 불안정 심화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 에티오피아군의 철수 이후에도 알 샤바브는 세력을 확장하며 소말리아의 불안정을 심화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라위가 참전한 전쟁 - 모잠비크 내전
    모잠비크 내전은 1977년부터 1992년까지 프렐리모 정부와 레나모 간에 벌어진 분쟁으로, 사회주의 정책, 부족 사회 갈등, 외부 세력 지원 등이 원인이 되어 약 100만 명의 사망자와 500만 명 이상의 난민을 발생시키고 경제적 파탄을 초래했으며, 1992년 평화 협정 체결 후에도 불안정한 평화가 이어지고 있다.
  • 케냐가 참전한 전쟁 - 테러와의 전쟁
    "테러와의 전쟁"은 9·11 테러 이후 미국과 동맹국들이 특정 테러 집단 및 정권에 대해 벌인 군사 작전을 지칭하는 용어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광범위한 군사 개입과 안보 강화 노력을 포함하지만, 테러 조장 우려와 논란으로 사용이 줄고 있으며, 정의와 효과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소말리아 전쟁 (2006년~2009년) - [전쟁]에 관한 문서
분쟁 개요
분쟁소말리아 전쟁
전체소말리아 내전
시기2006년 12월 20일 - 2009년 1월 30일
장소소말리아
결과소말리아 재해방 동맹(ARS)의 정치적 승리
모가디슈 내 이슬람 법정연합 몰락
과도정부군과 에티오피아군의 일시적 남부 소말리아 수복
바이도아 포위전
이슬람 반군의 재등장
2009년 에티오피아군 철수
ARS와 과도정부 간 정치적 합의 체결
샤리프 셰이크 아흐메드의 대통령 당선
소말리아 전쟁의 지속
에티오피아 철수 직후의 소말리아 정치 추이
에티오피아 철수 직후의 소말리아 정치 추이
교전 세력
교전국 1
소말리아 과도정부
푼틀란드
수피파
갈무두그
친에티오피아 단체
소말리아 AU 사절단




지원국
교전국 2침공 당시
이슬람 의회 연합
오로모 해방 전선
반란
알샤바브
ARS
라스캄보니 여단
소말리아 이슬람 전선
아놀레 학교
지원 논란알카에다
지휘관 및 지도자
교전국 1 지휘관멜레스 제나위
가브레 허드
시라지 페게사
쿠마 데메크사
사모라 유니스
바차 데벨레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
아단 모하메드 누르 마도베
모하메드 오마르 하베브
압디 하산 아와레
모하무드 무세 헤르시
브루스 윌리엄스
교전국 2 지휘관샤리프 셰이크 아흐메드
하산 아웨이스
유수프 시아드
푸아드 칼라프
아단 하시 파라흐
하산 헤르시 투르키
무크타르 로보우
아부 타하 알수단
살레 알리 나브한

2. 역사적 배경

소말리아에티오피아 간의 분쟁은 19세기 말 에티오피아 제국의 영토 확장 정책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에티오피아 황제 메넬리크 2세소말리인이 거주하는 오가덴 지역(현재의 소말리 지역)으로 영토를 넓혔고, 이는 이후 양국 간 지속적인 갈등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1960년 소말리아가 독립하면서 오가덴 지역의 영유권을 둘러싼 문제는 더욱 첨예해졌다. 소말리아는 '대(大) 소말리아' 건설이라는 민족주의적 목표 아래 오가덴 지역의 통합을 주장했고, 이는 여러 차례의 국경 분쟁과 1977-1978년 오가덴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에서 소말리아는 서소말리아 해방 전선을 지원하며 에티오피아를 침공했으나 결국 패배했다.

1991년 시아드 바레 정권 붕괴 이후 소말리아 내전이 발발하면서 소말리아는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2000년대 들어 국제사회의 지원으로 과도 국민 정부(TNG)와 이후 과도 연방 정부(TFG)가 수립되었지만, 국가 재건은 순탄치 않았다. 특히 에티오피아는 통일된 소말리아 정부가 다시 오가덴 영유권을 주장할 것을 우려하여 소말리아 내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에티오피아는 TNG에 반대하는 세력을 지원했으며, 2004년에는 자국과 협력 관계에 있던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가 TFG의 대통령으로 선출되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

한편, 2006년에는 이슬람 법정 연합(ICU)이 모가디슈를 포함한 소말리아 남부 지역을 장악하며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했다. ICU의 등장은 에티오피아에게 심각한 안보 위협으로 인식되었으며, ICU 역시 오가덴 문제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표명하면서 양측의 긴장은 최고조에 달했다. 이러한 역사적 갈등과 정치적 상황은 2006년 에티오피아의 대규모 군사 개입, 즉 소말리아 전쟁 발발의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2. 1. 19세기 말 ~ 20세기: 에티오피아-소말리아 분쟁의 기원

소말리아에티오피아 사이의 오가덴 (현재의 소말리 지역)을 둘러싼 분쟁은 1890년대 에티오피아 황제 메넬리크 2세소말리인 거주 지역으로 영토를 확장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로 인해 해당 지역은 에티오피아 제국에 편입되었고, 이후 수십 년간 양국 간의 긴장과 갈등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갈등은 결국 1977-1978년 오가덴 전쟁으로 이어졌는데, 당시 소말리아는 오가덴 지역을 통일된 '대(大) 소말리아' 구상에 포함시키기 위해 서소말리아 해방 전선을 지원하며 침공을 감행했다. 1960년 소말리아가 독립한 이후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 간의 주요 분쟁은 다음과 같다.

연도분쟁 명칭
1964년국경 전쟁
1977–1978년오가덴 전쟁
1982년국경 전쟁
1996–2003년소말리아 내전 중 국경 침범[38][39][40]



2000년, 1991년 소말리아 중앙 정부 붕괴 이후 첫 정부 수립 시도로 과도 국민 정부 (TNG)가 세워졌다. 그러나 에티오피아는 소말리아의 재통일이 오가덴 지역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다시 불러일으킬 것을 우려하여 TNG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에티오피아는 TNG에 저항하는 소말리아 내 여러 세력을 지원하며 자국의 전략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반(反)TNG 연합 결성을 후원했다.[41] 특히 9.11 테러 이후 에티오피아 정부는 TNG 지도부를 이슬람 극단주의자이며 오사마 빈 라덴을 추종한다고 규정하기도 했다.[42]

TNG가 결국 실패한 후, 이슬람 법정 연합 (ICU)이 세력을 키우기 시작했다. 이는 오가덴 민족 해방 전선이 주도하는 반군 활동이 격화되는 시기와 맞물렸다.[43] 에티오피아는 아디스아바바의 영향력에서 벗어난 강력한 소말리아 국가의 등장을 자국의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했다.[44][78] 이러한 배경 속에서 에티오피아 정부는 2004년 과도 연방 정부 (TFG)의 수립과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의 대통령 선출을 지지했다. 이는 유수프가 오랫동안 지속된 소말리아의 오가덴 영유권 주장을 포기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45] 유수프는 과거 TNG를 약화시키려 했던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는 군벌 연합의 일원이었으며,[46] 수십 년 전 1982년 국경 전쟁 당시 에티오피아 침공군을 도왔던 소말리아 반군을 이끈 전력이 있다.[47] 오가덴 문제는 ICU와 에티오피아 정부 간 갈등의 핵심 쟁점이었다. ICU는 집권 후 고위 관계자를 통해 에티오피아 통치 하의 소말리아인들이 억압받고 있으며, 오가덴은 소말리아와 혈연으로 묶여 있어 결코 잊을 수 없는 땅이라고 선언하며 에티오피아를 자극했다.[48]

전쟁 발발 이전부터 분쟁의 원인과 과정을 둘러싸고 다양한 당사자들이 허위 정보 유포와 선전전을 펼쳤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동아프리카 국가들과 국제 사회는 에티오피아의 군사 행동이 에리트레아 등을 끌어들여 지역 전쟁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우려했다.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레아가 ICU를 지원한다고 주장했지만,[49] 에리트레아 정부는 군대 파견 사실을 부인했으며,[50] 소말리아 내 에리트레아 군대의 존재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는 제시되지 않았다.[92][51] 에티오피아 역시 소말리아 내 자국 군대 주둔 사실이 널리 보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부인하는 모습을 보였다.[52] TFG 또한 에티오피아가 소말리아 내 군대 주둔을 인정한 후에도 한동안 이를 부인했다.[53][54]

2. 2. 1960년 소말리아 독립 이후의 분쟁

소말리아에티오피아 사이의 오가덴(현재 소말리 지역)을 둘러싼 분쟁은 1890년대 에티오피아 황제 메넬리크 2세소말리인 영토로 확장하면서 시작되었고, 이는 해당 지역이 에티오피아 제국에 편입되는 과정의 시작이었다. 수십 년간 긴장과 갈등이 고조된 끝에 1977~1978년 전쟁이 발발했다. 당시 소말리아는 오가덴을 통일된 '대(大) 소말리아'로 합병하려는 목표 아래 서소말리아 해방 전선을 지원하며 침공을 감행했다. 1960년 소말리아 독립 이후 에티오피아와 소말리아 간의 주요 분쟁은 다음과 같다.

2000년, 1991년 소말리아 중앙 정부 붕괴 이후 처음으로 정부 수립 시도가 성공하여 과도 국민 정부(TNG)가 세워졌다. 그러나 에티오피아는 소말리아의 재통일이 오가덴 지역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다시 불러일으킬 것을 우려하여 TNG에 반대했다. 에티오피아는 TNG에 저항하는 소말리아 내 세력들을 지원하고 자국의 전략적 이익을 지키기 위해 반대 연합 형성을 적극적으로 후원했다.[41] 특히 9.11 테러 이후, 에티오피아 정부는 TNG 지도자들을 이슬람 극단주의자이며 오사마 빈 라덴을 지지한다고 규정하기도 했다.[42]

TNG가 결국 실패한 후 몇 년 동안 이슬람 법정 연합(ICU)이 부상했는데, 이는 오가덴에서 오가덴 민족 해방 전선이 벌인 반군 활동이 격화되는 시기와 맞물렸다.[43] 에티오피아는 아디스아바바에 의존하지 않는 강력한 소말리아 국가 등장을 안보 위협으로 여겼다.[44][78] 그 결과, 에티오피아 정부는 2004년 과도 연방 정부(TFG) 형성과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의 대통령 선출을 지지했다. 이는 유수프가 소말리아의 오랜 오가덴 영유권 주장을 포기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45] 유수프는 이전에 TNG를 약화시키려 했던 에티오피아가 지원하는 군벌 연합의 일원이었으며,[46] 수십 년 전 1982년 국경 전쟁 당시 에티오피아 침공군을 지원한 소말리아 반군을 이끌었던 인물이기도 했다.[47] 오가덴은 ICU와 에티오피아 정부 간 분쟁의 핵심 쟁점이었다. 집권 후 ICU 고위 관계자들은 에티오피아가 통치하는 소말리아인들을 학대하고 있으며, 오가덴은 혈연으로 묶여 있어 잊을 수 없는 땅이라고 선언했다.[48]

전쟁 발발 전부터 분쟁의 원인과 과정을 둘러싸고 다양한 당사자들이 허위 정보와 선전전을 사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동아프리카 국가들과 국제 관찰자들은 에티오피아의 공세가 에리트레아를 포함한 지역 전쟁으로 확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레아가 ICU를 지원한다고 주장했지만,[49] 에리트레아 정부는 군대 파견을 부인했고,[50] 소말리아 내 에리트레아 군대의 존재를 뒷받침할 증거는 없었으며,[92] 전쟁 중에도 에리트레아 군대는 발견되지 않았다.[51] 에티오피아 역시 소말리아에 군대를 배치했다는 광범위한 보도에도 불구하고 이를 부인했으며,[52] TFG 또한 초기에는 에티오피아 군대의 주둔 사실을 부인했다.[53][54]

소말리아 사회의 대다수와 새로 구성된 과도 연방 정부의 상당수는 소말리아 영토에 대한 어떠한 외국 군대의 개입도 강력히 반대했다.[55][56] 그러나 압둘라히 유수프에티오피아의 상당한 지원을 받아 TFG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에티오피아의 의사에 따라 당시 에티오피아 총리 멜레스 제나위와 가까운 인물을 총리로 임명했다. 이러한 아디스아바바와의 밀접한 관계는 이후 침공의 배경이 되었고, ICU가 호전적인 입장을 취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57] 유수프 대통령은 2004년 에티오피아 수도 아디스아바바를 방문했을 때 자신의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2만 명의 에티오피아 군대를 소말리아에 파병해 줄 것을 처음 요청했다.[58] 2005년 아프리카 연합의 소말리아 현지 조사 임무 결과, 압도적인 다수의 소말리아인들이 인접 국가 군대의 자국 주둔을 거부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51] TFG 의회 내에서도 상당한 반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59] 유수프 대통령은 에티오피아 군대를 초청하여 자신의 행정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대중의 지지를 받기 어려운 결정을 내렸다.[33] TFG는 기관 차원에서 에티오피아 군사 개입에 동의하거나 승인하지 않았으며, 정부의 상당 부분이 공개적으로 반대하는 결정에 대해 의회의 승인 절차도 없었다.[51]

2006년 중반, 이슬람 법정 연합(ICU)은 CIA의 지원을 받던 소말리아 군벌 연합을 결정적으로 물리치고, 정부 붕괴 이후 처음으로 모가디슈를 장악하는 세력이 되었다.[92] 이는 ICU가 소말리아 정치 무대의 전면에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60] 영국 채널 4 방송은 2006년 12월 전면 침공 6개월 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미국과 에티오피아 고위 관리들의 비밀 회의 내용을 담은 유출 문서를 입수하여 보도했다. 이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논의했으며, '최악의 시나리오'로 ICU의 소말리아 장악 가능성을 꼽았다. 문서에 따르면 미국은 이러한 상황을 용납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ICU가 장악할 경우 에티오피아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언론인 존 스노우는 이 회의에서 '미국이 강력하게 지원하는 에티오피아의 소말리아 침공 계획이 마련되었다'고 보도했다. 이 논의에는 소말리아 관계자는 참여하지 않았다.[51] 미국 의회 조사국의 아프리카 전문가 테드 다그네에 따르면, ICU는 에티오피아의 침공을 유발할 만한 어떠한 행위나 도발도 저지르지 않았다.[58] 미국 역사가 윌리엄 R. 폴크 역시 이 침공이 정당한 이유 없이 이루어졌다고 지적한다.[109]

2. 3. 2000년대 소말리아 과도 정부 수립과 에티오피아의 개입

2006년 6월, 에티오피아는 미래의 대규모 군사 작전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할 목적으로 수천 명의 에티오피아 국방군(ENDF) 병력을 소말리아 내륙 바이다오아 인근 베이 지역으로 파견하며 침공을 시작했다.[61] 6월 16일, 샤벨 미디어 네트워크는 에티오피아 소말리 지역의 소식통을 인용하여 에티오피아-소말리아 국경의 여러 마을에서 ENDF의 중장갑차가 집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62] 다음 날인 6월 17일, 첫 에티오피아 부대가 소말리아 영토로 진입했다. 게도 지역의 현지 관리들과 주민들은 약 50대의 ENDF 장갑차가 국경 마을 돌로우를 통과해 루크 마을 인근 50km 내륙까지 들어왔다고 보고했다.[63][64] 이슬람 법정 연합(ICU)의 지도자 샤리프 셰이크 아흐메드는 300명의 ENDF 병력이 돌로우를 통해 소말리아로 들어왔으며, 이들이 국경 마을을 탐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에티오피아가 개입을 계속한다면 전투도 불사하겠다며, "미국이 에티오피아를 부추겨 이 지역을 장악하려 한다"고 비판했다.[65][64] 그러나 에티오피아 정부는 소말리아 내 군대 배치를 부인하며 오히려 ICU가 에티오피아 국경으로 진격하고 있다고 반박했다.[52][66][63] 소말리아 과도연방정부(TFG) 역시 에티오피아군의 주둔 사실을 강력히 부인하면서, ICU가 수도 바이다오아를 공격하기 위해 구실을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TFG는 또한 ENDF의 침공 사실을 보도한 샤벨 미디어 네트워크의 기자 여러 명을 체포하고 방송국에 제재를 가하는 등 언론 탄압적인 모습을 보였다.[67][68] 6월 19일, ICU는 국제 사회에 에티오피아군이 소말리아에서 철수하도록 압력을 가해달라고 촉구했다.[69]

에티오피아군의 배치는 2006년 7월 20일에도 계속되었다. 현지 목격자들은 20대에서 25대의 에티오피아군 장갑차가 국경을 넘는 것을 보았다고 보고했지만, 에티오피아 정부는 여전히 소말리아 내 자국 군대의 주둔을 부인했다. 당시 로이터 통신은 약 5,000명의 ENDF 병력이 소말리아 내에 주둔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했다.[70] 7월 23일, 오가덴 민족 해방 전선(ONLF)은 소말리아로 향하던 에티오피아 군용 헬리콥터를 격추했다고 발표하며, 오가덴 지역에서의 에티오피아 군사 움직임이 소말리아 남부를 겨냥한 대규모 작전이 임박했음을 시사한다고 경고했다.[71] 같은 날, 추가적인 ENDF 병력이 소말리아로 진입하면서 하르툼에서 진행 중이던 ICU와 TFG 간의 평화 회담은 결렬되었다. ICU는 200명의 ENDF 병력이 와지드를 점령하고 공항을 장악했으며 헬리콥터 2대가 착륙했다고 주장하며 회담에서 철수했다. ICU 집행위원회 부위원장 압디라흐만 자나코우는 "소말리아 정부가 협정을 위반하고 에티오피아군이 소말리아 영토에 진입하도록 허용했다"고 비난했다. TFG는 와지드에 에티오피아군이 없으며 자국 군대만 있다고 주장했으나,[72] BBC 뉴스는 현지 주민 및 구호 요원과의 인터뷰를 통해 와지드에 에티오피아군이 주둔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 사건 이후 ICU는 소말리아에서 ENDF를 몰아내기 위한 성전을 선포했다.[73]

2006년 7월 중 에티오피아군의 소말리아 내 병력 증강은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 '전면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웠다.[74] 그러나 당시 발생한 2006년 레바논 전쟁으로 인해 소말리아 상황은 국제적인 주목을 덜 받았다.[75] 7월 말에는 TFG 소속 국회의원 12명 이상이 에티오피아의 침공에 항의하며 사임하는 등 TFG 내부에서도 균열이 발생했다.[76] 2006년 8월에 이르러 TFG는 심각한 내부 위기에 직면하며 붕괴될 위험에 처했다.[77] 한편, 에리트레아는 7월 말 지역 전쟁을 막기 위해 소말리아에 주둔한 ENDF의 즉각적인 철수를 요구했고,[76] 다음 달에는 에티오피아가 미국의 지원을 받아 "통일된 소말리아의 실현"을 방해하기 위한 침공을 계획하고 있다고 비난했다.[78]

3. 전쟁의 발발과 전개 (2006-2009)

2006년 9월까지 최소 7,000명의 에티오피아 국방군(ENDF) 병력이 소말리아에 주둔하며 이슬람 법정 연합(ICU)에 패배한 군벌들에게 무기를 지원하기 시작했다.[79] 에티오피아 군과 ICU 간의 첫 번째 직접적인 충돌은 2006년 10월 9일 발생했다. 에티오피아 군의 지원을 받은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 군대가 부르하카바 마을에서 ICU 진지를 공격하여 점령했다.[80] 에티오피아의 멜레스 제나위 정부는 자국 군대의 개입 사실을 부인했지만,[81] 현지 주민들은 에티오피아 군대의 주둔을 확인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에티오피아 군의 이러한 움직임이 ICU 내 온건파까지 격분시켜 병력 모집을 촉발했다고 보도했다.[82] 전투 이후 ICU 지도자 셰리프 셰이크 아메드는 이를 "명백한 침략"으로 규정하고 에티오피아 군대에 대한 지하드를 선포했다.[83]

2006년 11월, 남부 소말리아에서는 양측 군대의 대규모 동원과 배치가 이루어지며 군사적 긴장이 크게 고조되었다. ICU 군대는 부르하카바로 집결했고, 양측의 전선 거리는 20km 미만으로 좁혀졌다. ICU는 11월 말 바이도아 근처와 외곽에서 에티오피아 군 호송대를 여러 차례 매복 공격했다고 주장했다.[84][85]

같은 달, 오가덴 민족해방전선(ONLF)은 오가덴 지역이 소말리아 침공의 발판으로 사용되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86] 에티오피아 군의 오가덴 지역 작전과 민간인 탄압에 반발한 수백 명(일부 추산으로는 수천 명)의 오가덴 남성들이 모가디슈로 이동해 ICU에 합류했으며,[87] 소말릴란드푼틀란드에서도 ICU에 대한 인적, 물적 지원이 이루어졌다.[88][89] ICU는 11월 중순 푼틀란드 출신 전투원 약 100명이 탈영하여 합류했다고 보고했다.[90]

3. 1. 2006년: 에티오피아의 침공과 초기 전투

전쟁 발발 이전부터 에티오피아와 과도 연방 정부(TFG), 이슬람 법정 연합(ICU) 등 여러 세력은 자신들의 입장을 유리하게 만들기 위해 선전과 허위 정보를 유포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49] 특히 에티오피아는 에리트레아가 ICU를 지원한다고 주장하며 국제 사회의 우려를 샀으나,[49] 에리트레아 정부는 이를 부인했으며[50] 실제로 소말리아 내 에리트레아 군대의 존재를 뒷받침할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92][51] 에티오피아와 TFG 역시 소말리아 내 에티오피아 군대의 주둔 사실을 부인했지만,[52][53][54] 이는 널리 알려진 사실과 달랐다.

소말리아 사회의 다수와 TFG 내부 상당수는 외국 군대의 개입에 강력히 반대했다.[55][56] 그러나 에티오피아의 강력한 지원을 받아 TFG 대통령으로 선출된 압둘라히 유수프는 에티오피아 총리 멜레스 제나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에티오피아 군대의 개입을 추진했다.[57] 유수프 대통령은 이미 2004년 아디스아바바 방문 당시 2만 명의 에티오피아 군대 파병을 요청한 바 있으며,[58] 2005년 아프리카 연합의 현지 조사에서도 소말리아인 대다수가 인접국 군대의 주둔을 반대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51] TFG 의회의 승인 없이 독단적으로 에티오피아 군대를 초청했다.[33][59][51]

2006년 중반, ICU는 CIA의 지원을 받던 평화 회복 및 대테러 연합을 격파하고 모가디슈를 장악하며 소말리아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했다.[92][60] 영국 채널 4는 2006년 12월 전면 침공 6개월 전, 아디스아바바에서 미국과 에티오피아 고위 관리들이 만나 ICU의 소말리아 장악을 '최악의 시나리오'로 규정하고, 이 경우 미국이 에티오피아를 지원하기로 합의하는 비밀 회의가 열렸다고 보도했다. 이 회의에는 소말리아 측 인사는 참여하지 않았다.[51] 미국 의회조사국의 아프리카 전문가인 테드 다그네와 역사가 윌리엄 R. 폴크 등은 ICU가 에티오피아의 침공을 유발할 만한 도발 행위를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58][109]

2006년 9월까지 최소 7,000명의 에티오피아 국방군(ENDF) 병력이 소말리아에 주둔하며 ICU에 패배한 군벌들에게 무기를 지원하기 시작했다.[79] 에티오피아/TFG 연합군과 ICU 간의 첫 교전은 2006년 10월 9일 부르하카바에서 발생했다. 에티오피아 군대의 지원을 받은 TFG 군대가 ICU 진지를 공격하여 점령했으며,[80] AFP는 교전 전 대규모 에티오피아 군대가 바이도아를 떠나는 것을 목격했다는 주민들의 증언을 보도했다.[81] 에티오피아 정부는 군대 파견 사실을 부인했지만, 현지 주민들은 에티오피아 군대의 주둔을 확인했다. 이 사건은 ICU 내 온건파까지 격분시켜 병력 모집을 촉발했으며,[82] ICU 지도자 셰리프 셰이크 아메드는 이를 "명백한 침략"으로 규정하고 에티오피아 군대에 대한 지하드를 선포했다.[83]

11월 들어 남부 소말리아에서는 양측 군대의 대규모 동원과 배치가 이루어지며 긴장이 고조되었다. ICU 군대는 부르하카바로 집결했고, 양측의 전선은 20km 미만으로 좁혀졌다. ICU는 11월 26일과 28일 바이도아 근처에서 에티오피아 군 호송대를 매복 공격했으며,[84] 29일에는 에티오피아 군대가 반데라들레이를 포격했다고 주장했다. 다음 날에도 바이도아 외곽에서 에티오피아 군 호송대에 대한 매복 공격이 있었다.[85] 같은 달, 오가덴 민족해방전선(ONLF)은 오가덴 지역이 소말리아 침공의 발판으로 사용되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86] 에티오피아 군의 오가덴 지역 작전과 민간인 탄압에 반발한 수백 명(혹은 수천 명)의 오가덴 남성들이 모가디슈로 이동해 ICU에 합류했으며,[87] 소말릴란드푼틀란드에서도 ICU에 대한 인적, 물적 지원이 이루어졌다.[88][89] ICU 관계자는 11월 중순 푼틀란드 출신 전투원 약 100명이 탈영하여 합류했다고 보고했다.[90]

12월 초, TFG 국회의장 샤리프 하산 아단은 에티오피아가 15,000명 규모의 군대를 배치했다고 폭로하며, 전쟁의 책임이 멜레스 제나위 에티오피아 정부에 있다고 비판했다.[91] 2006년 12월 6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외국 군대의 소말리아 파병과 무기 금수 조치 해제를 골자로 하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725를 통과시켰다.[92][93] 이 결의안은 인접 국가의 군대 파병을 금지했지만, 이미 수천 명의 에티오피아 군대가 소말리아에 주둔하고 있다는 사실을 외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ICU는 이 결의안을 에티오피아의 침략을 정당화하고 유엔이 이를 지지하는 것으로 간주했으며,[92] 사실상의 선전 포고이자 국제적 음모의 증거로 받아들였다.[119] 결의안 통과 전후로 미국은 ICU 지도부가 알카에다와 연계되었다는 주장을 펼쳤고,[96] 유엔 보고서 역시 ICU가 레바논 전쟁에 참전하고 이란에 우라늄 접근권을 제공했다는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담아 논란을 일으켰다.[94] 미국 미국 국무부 아프리카 담당 차관보였던 허먼 코헨은 미국이 결의안을 지지하기로 한 결정이 에티오피아의 잘못된 정보에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ICU 내 군사조직 민병대 중 하나였던 알샤바브는 에티오피아의 침략에 대응하여 점점 더 과격해졌다.[95]

결의안 1725가 통과된 지 이틀 후인 2006년 12월 8일, ICU는 에티오피아 군대에 의해 매복 공격을 받았다고 보고했으며, 이는 에티오피아 국방군/TFG군과 ICU 간의 포격전 및 이틀간의 전투로 이어지며 본격적인 전쟁 국면으로 접어들었다.[97]

3. 2. 2007년: 저항의 확산과 모가디슈 점령

2006년 9월까지 최소 7,000명의 에티오피아 군대가 소말리아에 주둔하며 이슬람 법정 연합(ICU)에 패배했던 군벌들에게 무기를 지급하기 시작했다.[79] ICU와 에티오피아 국방군(ENDF) 간의 첫 충돌은 2006년 10월 9일에 발생했다. 에티오피아 군대의 지원을 받은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 군대가 부르하카바 마을에서 ICU 진지를 공격하여 후퇴시켰다.[80] AFP는 바이도아 주민들이 사건 전에 최소 72대의 무장 차량 및 병력 수송대로 구성된 대규모 ENDF 행렬이 도시를 떠나는 것을 목격했다고 보도했다.[81] 멜레스 제나위 에티오피아 정부는 ENDF가 소말리아에 있거나 사건에 참여했다는 사실을 부인했지만, 부르하카바 지역 주민들은 많은 수의 ENDF가 주둔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에티오피아 군의 침공으로 인해 ICU 내 가장 온건한 세력들 사이에서도 격렬한 반발이 일어났으며, 부르하카바를 되찾기 위한 병력 모집이 시작되었다고 보도했다.[82] ICU는 ENDF가 소말리아 국경을 넘어 또 다른 대규모 병력을 파견했다고 주장했다. 전투 이후, 셰리프 셰이크 아메드는 "이것은 명백한 침략이다... 소말리아 영토에서 철수하지 않으면 우리 군대가 곧 그들과 맞서 싸울 것"이라고 발표하며 에티오피아 군대에 대한 지하드를 선포했다.[83]

2006년 11월, 남부 소말리아에서 ENDF, TFG, ICU 군대의 광범위한 동원과 전략적 배치가 이루어지면서 상황은 상당히 악화되었다. 지역 주민들은 많은 수의 ICU 군대가 부르하카바로 이동하는 것을 목격했으며, 대치하는 군대 간의 전선 거리는 이제 20km 미만으로 좁혀졌다. 11월 26일과 28일, ICU는 바이도아 근처에서 두 개의 ENDF 호송대를 매복 공격했다고 주장했다.[84] 11월 29일에는 에티오피아 군대가 반데라들레이에 포격을 가했다고 주장했으며, 다음 날 ICU 군대는 바이도아 외곽에서 ENDF 호송대를 다시 매복 공격했다.[85]

같은 달, 오가덴 민족해방전선(ONLF)은 오가덴 지역이 소말리아 침공의 발판으로 사용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며, 이를 시도할 경우 저항할 것이라고 경고했다.[86] ONLF에 대한 에티오피아 군사 작전과 민간인에 대한 광범위한 잔학 행위로 인해, 수백 명(일부 추산으로는 수천 명)의 오가덴 남성들이 에티오피아의 침공에 맞서 싸우기 위해 모가디슈로 이동하여 ICU에 합류했다.[87] 소말릴란드 출신 수백 명도 고위 군 장교를 포함하여 ICU 민병대에 합류했으며, 푼틀란드 내 ICU 지지자들은 주로 재정적 및 물류 지원을 제공했다.[88][89] ICU 관계자는 11월 중순에 푼틀란드 출신 전투원 약 100명이 탈영하여 합류했다고 보고했다.[90]

전쟁에 참여한 병력 규모는 공식적인 조직이나 기록 보관의 부족, 그리고 허위 정보가 섞인 주장들로 인해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전쟁 발발 몇 달 전부터 에티오피아는 자국 병력이 소말리아 내에 수백 명의 고문관 수준이라고 주장했지만, 독립적인 보고서들은 훨씬 더 많은 병력이 주둔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2006년 12월 이슬람 법정 연합에 대한 공세에는 전차, 공격 헬리콥터, 제트기의 지원을 받는 약 5만에서 6만 명의 에티오피아 국방군(ENDF) 병력이 참여한 것으로 추정된다.[98][99][100] 전쟁 발발 당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군대 중 하나이자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강력한 공군을 보유한 ENDF의 전력은 재래식 군대가 부족했던 ICU와 극명한 대조를 이루었다.[58] ENDF의 고위 장교이자 티그레이 인민 해방 전선(TPLF) 관계자인 가브레 허드 대령이 침공 당시 에티오피아군의 총사령관이었다.[101] TFG는 1만 2천에서 1만 5천 명의 에티오피아군이 배치되었다고 주장했지만,[102] 에티오피아 정부는 4천 명만 배치했다고 주장했다.[102] 2007년 동안 군사 전문가들은 약 5만 명의 에티오피아군이 소말리아 일부 지역을 점령하고 있다고 추정했으며,[103][104] 다른 추정치는 4만 명이었다.[105][106]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은 TFG는 약 6,000명의 병력을 보유했다.[107] 침공 단계에서 미국 특수 부대, CIA 준군사 요원, 그리고 미국 해병대 부대가 미국의 AC-130 건쉽과 공격 헬리콥터의 지원을 받아 ENDF를 직접 지원했다.[98][108]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에티오피아가 침공을 위해 제공받은 새로운 장비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가졌고, 이에 따라 미국 육군 특수 부대와 CIA 요원을 작전에 투입하기로 결정했다.[109]

로이터 통신은 ICU가 전성기일 때 3,000명에서 4,000명의 병력이 휘하에서 싸웠다고 보도했다.[110] ICU의 붕괴 이후 이어진 반군은 수많은 다양한 단체와 파벌로 구성되어 다양한 공격과 사건의 책임자를 특정하기 어려웠으나, 결국 알 샤바브 (무장 단체)가 가장 강력하고 활동적인 세력으로 부상했다.[111] TFG의 총리 알리 모하메드 게디는 침공 당시 8,000명의 외국인 전투원이 ICU를 위해 싸웠다고 주장했지만,[112] 아프리카 연합은 ICU 결성 이후 2007년 중반까지 소말리아에 유입된 외국인 전투원은 '수백 명'에 불과하다고 보고했다.[113] 2008년에는 소말리아 내 외국인 전투원이 약 100명 정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114]

3. 3. 2008년: 반군의 세력 확장과 에티오피아의 위기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는 2006년 상황을 다루고 있어, 2008년 섹션 내용 작성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3. 4. 2009년: 에티오피아 철수와 셰리프 셰이크 아흐메드의 집권

2008년 12월 초, 에티오피아 정부는 곧 소말리아에서 병력을 철수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나, 이후 철수 전에 부룬디우간다의 AMISOM 평화유지군 철수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MISOM 평화유지군의 갑작스러운 철수는 유엔에 평화 유지 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여겨졌다.[286]

2009년 1월 12일, 마지막 에티오피아 국방군(ENDF) 병력이 모가디슈를 떠나면서 2년간의 수도 점령이 종료되었다.[34][26] 수천 명의 주민들이 철수를 축하하기 위해 모가디슈 스타디움에 모였고, 잠시 동안 도시는 경쟁 관계에 있던 반군 세력들이 협력하면서 평온을 유지했다.[287] 에티오피아의 점령은 대체로 실패했다.[31] 철수 당시 과도 연방 정부(TFG)는 모가디슈의 일부 거리와 건물만을 통제했으며, 도시의 나머지 지역은 알샤바브를 비롯한 이슬람 세력의 통제하에 들어갔다.[27] 에티오피아군의 철수는 점령 기간 동안 민간인과 씨족 사이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얻었던 알샤바브에 대한 지지를 약화시키는 효과도 가져왔다.[223] 이 단체는 소말리아 디아스포라로부터 상당한 지원을 받았으나, 테러 전술 사용에 대한 반발로 지원이 줄어들었다.[288] 그러나 철수는 알샤바브가 강력한 반대 세력으로 변모하는 것을 막기에는 너무 늦은 조치였다.[289]

에티오피아 철수 이후 2009년 2월 소말리아 상황


의회에 200명의 '온건파' 이슬람 반군 세력을 받아들인 후, ARS 지도자 셰리프 셰이크 아흐메드는 2009년 1월 31일 과도 연방 정부(TFG)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290] 알샤바브는 어떠한 평화 협상도 거부하고 바이도아를 포함한 점령 지역을 계속 장악했다. TFG와 동맹 관계이며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는 또 다른 이슬람 단체인 아흘 알-수나 왈자마아는 알샤바브에 대한 공세를 이어갔다.[291][292][293] 알샤바브는 새로운 TFG 대통령이 세속적인 과도 정부를 수용했다고 비난하며, 그가 대통령궁이 있는 모가디슈에 도착한 이후에도 내전을 지속했다.[294]

2009년 1월 말 셰리프 셰이크 아흐메드가 대통령이 된 후, 소말리아 해방 동맹 지지자들과 다른 반군/반대 세력의 잔존 ICU 세력은 새로운 조직으로 통합되면서 사실상 해체되었다. 셰리프 정부에 합류하지 않은 이들은 여러 반군 단체를 통합하여 결성된 새로운 히즈불 이슬람이나 알샤바브에 합류했다. 새로 결성된 히즈불 이슬람과 셰리프가 이끄는 과도 정부 사이의 중재가 시작되었다. 이슬람 법정 연합 통치 기간 동안 정부 직책을 맡았던 다수의 알샤바브 지도자들이 남부 소말리아를 장악한 알샤바브 조직 내에서 분열이 심화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들은 과도 정부 대통령과 비공개 회동을 가졌으며, 과도 정부는 샤리아 율법소말리아에 시행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실제 시행은 이루어지지 않았다.[330][331]

2009년까지 알샤바브는 공격 대상과 빈도를 크게 바꾸기 시작했다. 납치와 도시 지역에서의 폭탄 테러 사용이 현저히 증가했다.[332] 이 단체가 이전에 소말리아 디아스포라로부터 누렸던 상당한 지원은 테러 전술 사용에 대한 반발로 줄어들었다.[288] 2004년부터 2009년까지 과도 정부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이었던 에티오피아는 소말리아 군대를 훈련시키고 통합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2004년에서 2008년 사이에 10,000명 이상의 에티오피아 훈련을 받은 과도 정부 군인이 반군으로 탈영하거나 귀순했다. 2009년 초 에티오피아군이 소말리아에서 철수하면서, 새로운 군대 창설 임무는 AMISOM에게 넘어갔다. 이 시점에도 여전히 실질적인 군 지휘 계통은 부재했다.[333]

2008년 지부티 협정 이후 대부분의 에티오피아 방위군(ENDF) 병력이 철수했음에도 불구하고, 에티오피아군의 소말리아 내 활동은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 2009년 1월 철수 2주 후, 알샤바브에게 바이도아가 함락되자 에티오피아군이 다시 국경을 넘었다는 보도가 나왔다. 베레케트 시몬 에티오피아 정부 대변인은 이를 부인하며 군대가 에티오피아 국경 내에 있다고 주장했다.[334]

4. 전쟁의 주요 행위자들

소말리아 전쟁 (2006년~2009년)에는 여러 국내외 세력이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주요 행위자로는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 이슬람 법정 연합(ICU), 에티오피아 국방군(ENDF), 미국, 그리고 이후 개입한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임무(AMISOM) 등이 있다.

2006년 중반 ICU가 모가디슈를 장악하자, 이웃 국가인 에티오피아는 이를 자국의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TFG를 지원하며 군사 개입을 준비했다. 2006년 9월경부터 에티오피아군은 소말리아 영토 내에 주둔하며 ICU에 패배했던 군벌들에게 무기를 제공하는 등[79] 긴장을 고조시켰다. 10월에는 에티오피아군의 지원을 받은 TFG 군대가 부르하카바에서 ICU를 공격하면서 양측 간의 첫 군사 충돌이 발생했다.[80] 에티오피아 정부는 초기에는 자국 군대의 개입 사실을 부인했으나,[81] ICU는 이를 '명백한 침략'으로 규정하고 에티오피아에 대한 지하드를 선포하며 강력히 반발했다.[83]

에티오피아의 개입은 소말리아 내부뿐 아니라 주변 지역 세력의 참여를 촉발하기도 했다. 에티오피아 내 분리주의 단체인 오가덴 민족해방전선(ONLF)과[87] 소말릴란드, 푼틀란드 등지의 일부 세력은 ICU를 지원하며 에티오피아에 맞섰다.[88][89]

미국은 ICU 내 알 카에다 연계 가능성을 우려하며 에티오피아의 군사 행동을 정보 및 군수 지원을 통해 적극적으로 도왔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미국' 참조)

2006년 12월, 에티오피아는 대규모 공세를 시작하여 에티오피아 공군의 공습과 함께[142][143] 전면전을 개시했다. 에티오피아는 이때 처음으로 자국 군대의 전투 참여를 공식 인정했으나,[145] TFG는 에티오피아군의 존재를 계속 부인하며 신뢰도를 떨어뜨렸다.[92] 압도적인 군사력 앞에 ICU는 정규전에서 큰 타격을 입었고,[119][128][154] 수도 모가디슈를 포함한 주요 거점에서 철수하며 게릴라전으로 전환할 것을 선언했다.[148] 이후 ICU 지도부는 공식적으로 사임하며 조직은 사실상 와해되었다.[149]

전쟁이 격화되자 국제 사회의 개입도 이루어졌다. 아프리카 연합은 에티오피아군의 즉각적인 철수를 요구했으며,[152] 이후 평화 유지 목적으로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임무(AMISOM)를 파견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임무 (AMISOM)' 참조)

이 전쟁의 주요 행위자들은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 전쟁의 양상을 결정지었다. 특히 에티오피아의 군사 개입과 미국의 지원은 전쟁의 발발과 전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이후 알샤바브와 같은 무장 세력의 부상과 소말리아의 불안정 심화로 이어지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알샤바브' 참조)

4. 1. 에티오피아 국방군 (ENDF)

2006년 9월까지 최소 7,000명의 에티오피아 국방군(ENDF) 병력이 소말리아에 주둔하며, 이슬람 법정 연합(ICU)에 패배했던 군벌들에게 무기를 지원하기 시작했다.[79] ICU와 에티오피아 국방군 간의 첫 충돌은 2006년 10월 9일에 발생했다. 에티오피아 군대의 지원을 받은 과도 연방 정부(TFG) 군대가 부르하카바 마을에서 ICU 진지를 공격하여 후퇴시켰다.[80] AFP 통신은 바이도아 주민들이 사건 발생 전 최소 72대의 무장 차량과 병력 수송차로 구성된 대규모 에티오피아군 행렬이 도시를 떠나는 것을 목격했다고 보도했다.[81] 멜레스 제나위 에티오피아 총리 정부는 자국 군대가 소말리아에 주둔하거나 사건에 개입했다는 사실을 부인했지만, 부르하카바 지역 주민들은 많은 수의 에티오피아 군대가 마을에 주둔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에티오피아 군의 침공이 ICU 내 온건파 사이에서도 격렬한 반발을 일으켰으며, 부르하카바 탈환을 위한 병력 모집이 시작되었다고 보도했다.[82] ICU는 에티오피아군이 국경을 넘어 또 다른 대규모 병력을 파견했다고 주장했다. 전투 이후, 셰리프 셰이크 아메드 ICU 지도자는 "이것은 명백한 침략이다... 소말리아 영토에서 철수하지 않으면 우리 군대가 곧 그들과 맞서 싸울 것"이라고 발표하며 에티오피아 군대에 대한 지하드(성전)를 선포했다.[83]

2006년 11월, 남부 소말리아에서 에티오피아 국방군, TFG, ICU 군대의 광범위한 동원과 전략적 배치가 이루어지면서 상황은 급격히 악화되었다. 지역 주민들은 많은 수의 ICU 군대가 부르하카바로 이동하는 것을 목격했으며, 대치하는 군대 간의 전선 거리는 20km 미만으로 좁혀졌다. 11월 26일과 28일, ICU는 바이도아 근처에서 두 차례 에티오피아군 호송대를 매복 공격했다고 주장했다.[84] 11월 29일에는 에티오피아 군대가 반데라들레이에 포격을 가했다고 주장했으며, 다음 날에는 바이도아 외곽에서 에티오피아군 호송대를 다시 매복 공격했다.[85]

같은 달, 오가덴 민족해방전선(ONLF)은 오가덴 지역이 소말리아 침공의 발판으로 사용되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그러한 시도에 저항할 것이라고 경고했다.[86] 에티오피아 군의 ONLF에 대한 군사 작전과 민간인에 대한 광범위한 잔학 행위로 인해, 수백 명(일부 추산에 따르면 수천 명)의 오가덴 남성들이 에티오피아의 침공에 맞서 싸우기 위해 모가디슈로 이동하여 ICU에 합류했다.[87] 소말릴란드 출신 수백 명도 고위 군 장교를 포함하여 ICU 민병대에 합류했으며, 푼틀란드 내 ICU 지지자들은 주로 재정 및 물류 지원을 제공했다.[88][89] ICU 관계자는 11월 중순에 푼틀란드 출신 전투원 약 100명이 탈영하여 ICU에 합류했다고 보고했다.[90]

2006년 12월 초, 과도 연방 정부(TFG) 국회의장 샤리프 하산 아단은 에티오피아가 15,000명 규모의 "대규모 군사력"을 소말리아에 배치했다고 12월 3일 발표했다. 아단은 이슬람 법정 연합과의 화해를 모색하며 소말리아 전쟁의 책임이 멜레스 제나위 에티오피아 정부에 있다고 비판했다.[91] 전쟁 직전의 중요한 사건은 2006년 12월 6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725의 통과였다.[92][93] 이 결의안은 외국 군대의 배치와 무기 금수 조치의 일부 해제를 승인했지만, 인접 국가의 군대 파견은 명시적으로 금지했다. 그러나 에티오피아는 이미 수천 명의 병력을 소말리아에 배치하여 이전 유엔 결의안을 위반한 상태였다. ICU와 소말리아 무슬림 지도자들은 결의안 통과 몇 달 전부터 어떠한 국제 군대의 배치도 전쟁 행위로 간주하며 강력히 반대해왔다.[92] TFG 최고 지도부는 이전에 에티오피아군을 포함한 20,000명의 외국 군대 파병을 요청했으나, 이는 많은 국회의원들의 반대에 부딪혔었다.[79] ICU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가 이미 소말리아 내에 배치된 에티오피아 군대에 대해 아무런 언급 없이 결의안을 통과시킨 점을 들어, 이를 에티오피아의 침략을 부당하게 정당화하는 것으로 간주했다.[92]

결의안 통과 몇 주 전, 유엔 보고서는 ICU가 2006년 레바논 전쟁에 참전했으며 이란에게 소말리아 내 우라늄 매장지에 대한 접근을 허용했다고 주장했다. 일부 관측통들은 이러한 주장이 2003년 이라크 침공 직전 미국이 제기했던 혐의와 유사하다고 지적했다.[94] 전 미국 국무부 아프리카 담당 차관보였던 허먼 코헨은 미국이 결의안을 지지하기로 한 결정이 에티오피아의 잘못된 정보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ICU는 유엔 안보리 결의안 1725호 통과를 사실상의 선전 포고이자, 에티오피아 침략에 대한 유엔의 암묵적 지지[92] 및 ICU에 대한 국제적 음모의 증거로 받아들였다.[119] ICU의 군사 조직 내 민병대 중 하나인 알 샤바브는 에티오피아의 침략에 대응하여 점차 과격화되었다.[95] 미국 국무부 차관보는 ICU 지도부가 알 카에다 조직원이라고 공개적으로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96] 결의안 1725호가 통과된 지 이틀 후인 12월 8일, ICU는 에티오피아군에게 매복 공격을 당했다고 보고했으며, 이는 포격전으로 이어져 에티오피아 국방군/TFG 연합군과 ICU 간의 이틀간의 전투로 확대되었다.[97]

12월 24일, ICU는 바이도아에서 약 10km 떨어진 지점까지 진격했다고 보고했으며, 데이누나이 전투에서 여러 대의 에티오피아군 전차를 파괴했다고 주장했다.[141] 이에 에티오피아 공군은 공습을 개시하여 베레드웨인과 소말리아 중부의 다른 마을들을 공격했다.[142][143] 베레드웨인이 공습 목표가 되자 ICU는 도시에서 철수하기로 결정했다.[136] 에티오피아 공군은 모가디슈 국제공항도 폭격하여 여러 명의 사상자를 냈다.[136][144] 같은 날, 에티오피아는 주 초에 수백 명의 군사 고문만을 파견했다고 주장했지만, 처음으로 ICU와 교전 중임을 공식 인정했다.[145] 에티오피아 총리 멜레스 제나위는 텔레비전 연설에서 국가 주권을 보호하기 위해 전쟁에 참여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142] 에티오피아가 소말리아 내 군대 주둔을 인정한 후에도 TFG는 계속해서 에티오피아군의 존재를 부인하여 신뢰도를 더욱 떨어뜨렸다.[92] 국경 지역에서는 공습과 포격을 포함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으며,[145] ICU는 에티오피아군 헬리콥터 건쉽을 격추했다고 주장했다.[146]

2006년 12월 에티오피아의 초기 진격 지도


주로 경무장한 젊은이들로 구성된 ICU 군대는 수적으로 열세였고 무기도 부족했으며, 전투 경험이 부족했다. 이어진 전격전에서 경험이 부족한 ICU 전사들은 큰 타격을 입었다. ICU 사상자의 대다수는 전문적인 전사가 아닌, 다양한 소말리아 부족 출신의 훈련받지 않은 지원자들이었다. 중무장과 제공권을 확보한 에티오피아 정규군과의 정규전에 직면하자 ICU 전선은 붕괴되기 시작했다.[119][128][154] 방어하던 ICU 군대는 모가디슈와 발레도글 공항에 대한 에티오피아 공습과 동시에 베레드웨인에서 철수했다.[147]

에티오피아군과 9일간의 정규전 이후, ICU는 바이도아, 이다알레, 딘소르, 데이누나이, 부르하카바 주변의 전선에서 후퇴하기 시작했다. ICU 군대는 철수하여 모가디슈 북쪽 90km 지점의 조우하르 마을 주변에 집결했다.[136] 분석가들은 이 철수가 ICU 전선 전체에서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이는 혼란스러운 패주가 아니라 의도적인 전략 변화를 시사한다고 보았다. 전 에티오피아 주재 미국 대사였던 데이비드 H. 신에 따르면, ICU는 정규전에서 에티오피아 공군과 기갑 부대의 지속적인 공격에 취약함을 깨닫고 게릴라 전술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철수 후 ICU 지도자 셰리프 셰이크 아메드는 분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선언했다.[148] 12월 27일, 하산 다히르 아웨이스 셰이크, 샤리프 셰이크 아메드, 압디라흐만 자나코우 셰이크를 포함한 ICU 지도부는 사임했고, ICU 정부는 사실상 해체되었다.[149] 그러나 샤리프는 ICU 군대는 여전히 단결되어 있다고 선언했다.[150] ICU는 에티오피아 국방군/TFG 연합군이 모가디슈로 진격함에 따라 전투 없이 많은 마을에서 철수했다.[151] 같은 날, 아프리카 연합아랍 연맹과 IGAD의 지지를 받아 에티오피아에 즉각적인 소말리아 철수를 요구했다.[152]

12월 27일부터 29일 사이에 ICU가 남부 전선과 모가디슈에서 철수하는 경로


에티오피아군이 모가디슈로 진격할 때, 2006년 중반 ICU에 패배했던 군벌들이 동행했다. 에티오피아는 이들 군벌들이 이전에 ICU에게 빼앗겼던 지역들을 다시 장악하도록 허용했다.[92] ICU는 유혈 사태를 피하기 위해 수도에서 철수한다고 밝혔고,[150] 12월 28일, 에티오피아군과 TFG군은 별다른 저항 없이 모가디슈에 진입했다. 모가디슈 함락 이후, 이슬람 세력은 주바 강 계곡으로 퇴각했다. 12월 31일 질리브 전투에서 포격이 보고되었고, ICU는 자정까지 키스마요를 전투 없이 포기하고(키스마요 함락) 케냐 국경 방향으로 후퇴했다. ICU는 에티오피아에 항복하지 않고 무장 투쟁을 계속할 것이라고 선언했다.[153] 사기가 저하된 많은 전투원들은 집으로 돌아갔다.[154] 절망적인 상황에도 불구하고, ICU는 성명을 통해 "세상이 우리가 죽었다고 생각한다면, 우리가 살아 있으며 지하드를 계속할 것임을 알아야 한다"고 선언하며 항전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155]

4. 2. 이슬람 법정 연합 (ICU)

2006년 중반, 이슬람 법정 연합 (ICU)은 CIA의 지원을 받던 소말리아 군벌 연합을 결정적으로 물리치고 모가디슈를 장악했다.[92] 이는 1991년 정부 붕괴 이후 처음으로 수도를 통일적으로 관리하는 세력이 등장한 것으로, ICU가 소말리아 정치 무대의 중심으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60]

ICU의 부상은 에티오피아미국을 경계하게 만들었다.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아 과도 연방 정부(TFG) 대통령이 된 압둘라히 유수프는 이미 2004년부터 에티오피아에 군사 지원을 요청해왔다.[58] 하지만 대다수 소말리아인들과 TFG 내부에서도 외국 군대, 특히 인접국인 에티오피아 군대의 개입에는 강한 반감이 존재했다.[55][56][51][59] 그럼에도 유수프 대통령은 의회의 승인 없이 독단적으로 에티오피아 군대를 소말리아 영토로 초청하는 결정을 내렸다.[33][51]

미국 또한 ICU의 세력 확장을 우려했다. 2006년 12월 전면 침공 6개월 전, 미국과 에티오피아 고위 관계자들은 비밀 회의를 열어 ICU가 소말리아를 완전히 장악하는 것을 '최악의 시나리오'로 규정하고, 이 경우 에티오피아의 군사 개입을 미국이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이 회의에는 소말리아 측 인사는 배제되었다.[51] 미국 의회 조사국의 아프리카 전문가 테드 다그네와 역사가 윌리엄 R. 폴크 등은 ICU가 에티오피아의 침공을 정당화할 만한 도발 행위를 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침공의 명분에 의문을 제기했다.[58][109]

2006년 9월경, 최소 7,000명의 에티오피아 군대가 소말리아에 진입하여 ICU에 패배한 군벌들에게 무기를 제공하기 시작했다.[79] 10월 9일, 에티오피아군의 지원을 받은 TFG 군대가 부르하카바에서 ICU 진지를 공격하면서 양측 간의 첫 군사 충돌이 발생했다.[80] 에티오피아 정부는 자국 군대의 개입을 부인했지만, 현지 주민들은 다수의 에티오피아 군대를 목격했다고 증언했다.[81] 이 사건은 ICU 내부의 온건파까지 격분시켰고,[82] ICU 지도자 셰리프 셰이크 아메드는 에티오피아에 대한 지하드(성전)를 선포하며 강력히 반발했다.[83] 11월 들어 양측은 바이도아를 중심으로 대규모 병력을 집결시키며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켰고, 산발적인 교전이 이어졌다.[84][85]

ICU는 에티오피아의 침공에 맞서기 위해 세력을 규합했다. 에티오피아 내 오가덴 지역의 분리주의 단체인 오가덴 민족해방전선 (ONLF)은 에티오피아의 침공을 비판하며 수백 명의 전투원을 ICU 지원을 위해 파견했다.[86][87] 소말릴란드푼틀란드 지역에서도 수백 명의 전투원과 자금이 ICU로 유입되었다.[88][89][90] 로이터 통신은 ICU의 병력을 전성기 기준 3,000명에서 4,000명 사이로 추산했다.[110] 외국인 전투원의 규모에 대해서는 TFG 측과 아프리카 연합의 주장이 엇갈렸으나, 수백 명에서 많게는 수천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었다.[112][113][114]

반면, 에티오피아는 약 5만에서 6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병력을 동원했으며, 이는 전차, 공격 헬리콥터, 전투기 등 우수한 장비로 무장하고 있었다.[98][99][100] 이는 당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력 중 하나였다.[58] TFG 자체 병력은 약 6,000명 수준에 불과했다.[107] 에티오피아군은 미국의 상당한 지원을 받았다. 미국은 특수 부대, CIA 준군사 요원, 미국 해병대를 투입했을 뿐만 아니라,[98][108][109] AC-130 건쉽과 공격 헬리콥터를 이용한 근접 항공 지원을 제공했으며,[130][131] USS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항공모함 타격군을 파견하여 추가적인 공중 지원 및 감시 임무를 수행했다.[132] 당시 TFG 총리였던 알리 게디는 "미국 정부의 지원 없이는 에티오피아인들이 들어올 수 없었다"고 인정하며 미국의 결정적인 역할을 시사했다.[134]

border


2006년 12월 19일, ICU가 제시한 최후 통첩 시한이 만료되자 전면전이 시작되었다. 바이도아 남쪽 이다알레에서 첫 교전이 발생한 이후,[120] 데이눈나이 등 여러 전선에서 격렬한 전투와 포격전이 벌어졌다.[121][122] ICU 전투원들은 대부분 경험이 부족한 젊은이들이었지만, 초기 전투에서는 2006년 레바논 전쟁 당시 헤즈볼라가 사용했던 전술을 모방하여 에티오피아 기갑 부대에 맞서 효과적으로 저항하기도 했다.[127] 한때 바이도아 8km 앞까지 진격하는 등 선전했으나,[128] 에티오피아군의 압도적인 화력과 미국의 공중 지원 앞에 큰 피해를 입었다.[128] 특히 미국의 AC-130 건쉽 공격은 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130][98][131] ICU 지도자 셰리프 셰이크 아메드는 초기 승리 이후 예상치 못한 미군 항공기의 폭격으로 전황이 급변했다고 증언했다.[135]

12월 24일, 에티오피아 공군은 베레드웨인과 모가디슈 국제공항 등 주요 거점을 공습했고,[142][136][144] 에티오피아 정부는 처음으로 소말리아 내에서의 전투 행위를 공식 인정했다.[145] 압도적인 군사력 차이 앞에 ICU 전선은 빠르게 무너졌다.[119][128][154] 정규전에서의 한계를 절감한 ICU는 주요 도시에서 철수하며 게릴라전으로 전환할 것을 선언했다.[148] 12월 27일, 하산 다히르 아웨이스, 셰리프 셰이크 아메드 등 ICU 지도부는 공식적으로 사임했고, 조직은 사실상 해체되었다.[149]

2007년 1월, 에티오피아군과 미군은 소말리아 남부로 후퇴한 ICU 잔존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소탕 작전을 벌였다. 미국의 AC-130 건쉽은 퇴각하는 ICU 병력과 차량 행렬을 공습했으며,[131][156] 케냐 국경 지대에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157][161] 이 과정에서 미국의 공습으로 인해 상당수의 민간인 사상자도 발생하여 국제적인 비판을 받기도 했다.[166][158][162] 미국은 공습 목표가 알 카에다 연계 테러 용의자들이었다고 주장했지만, 이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164][96] ICU가 와해되는 과정에서 그 핵심 세력이었던 알샤바브는 점차 독자적인 세력으로 성장하여 이후 소말리아에서 가장 강력한 무장 단체로 부상하게 된다.[111][165]

4. 3. 소말리아 과도연방정부 (TFG)

에티오피아 국방군(ENDF)의 소말리아 개입 초기, 소말리아 과도연방정부(TFG)는 에티오피아 군대의 자국 내 주둔 사실을 강력하게 부인했다. TFG는 이슬람 법정 연합(ICU)이 수도 바이다오아 공격 구실을 만들기 위해 정보를 조작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관련 보도를 한 샤벨 미디어 네트워크의 기자를 체포하고 방송국에 제재를 가하기도 했다.[67][68] 2006년 12월 에티오피아가 ICU와의 교전을 공식 인정한 이후에도 TFG는 ENDF의 존재를 계속 부인하여 정부의 신뢰도를 떨어뜨렸다.[92]

에티오피아군의 대규모 병력 증강과 군사적 지원에 힘입어 TFG는 ICU에 대한 공세에 나섰다. 2006년 10월 9일, 에티오피아 군대의 지원을 받은 TFG 군대는 부르하카바에서 ICU를 공격하여 후퇴시켰다.[80] 12월에는 전면적인 전투가 벌어졌고, 에티오피아 공군은 베레드웨인, 모가디슈 공항 등 주요 거점에 공습을 감행했다.[142][143][136][144] 강력한 화력 앞에 ICU는 주요 거점에서 철수했고, 12월 27일에는 하산 다히르 아웨이스, 셰이크 샤리프 아흐메드, 압디라흐만 자나코우 등 지도부가 사임하며 사실상 해체되었다.[149]

ICU 세력 축출 후 모가디슈로 복귀한 TFG는 안정적인 통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에티오피아의 군사 개입에 대한 반발로 이미 2006년 7월 말 TFG 국회의원 12명 이상이 사임했고,[76] 8월에는 정부 자체가 심각한 내부 위기에 직면하며 붕괴 가능성까지 제기되었다.[77] 모가디슈 함락 이후에는 치안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어 ICU 집권 이전에 활동했던 군벌들이 다시 세력을 넓히기 시작했다.[169][170] 시민들의 반감도 커져 2007년 1월 7일에는 모가디슈에서 반 에티오피아 시위가 발생했고, 에티오피아군은 시위대에 발포하여 사상자를 냈다.[171][172] TFG는 1월 13일 계엄령을 선포하며 통제력 강화를 시도했지만,[166] 이는 오히려 반발을 더욱 키웠다.

TFG는 내부적으로도 분열된 모습을 보였다. ICU와의 타협을 주장했던 전 국회의장 샤리프 하산 셰이크 아덴 등 일부 고위 관료들이 해임되었고,[173] 나이로비에서 에티오피아군 철수를 요구한 TFG 의원들은 케냐 외무 장관 라파엘 투주로부터 추방 위협을 받기도 했다.[174] TFG는 모가디슈를 효과적으로 통제하지 못했고,[179] 에티오피아 군대의 지원 없이는 존립 자체가 어려운 상황임이 드러났다.[58] 대다수 시민들은 TFG를 에티오피아의 꼭두각시 정부로 인식하며 반감을 표출했고,[179] 에티오피아군과 TFG에 의한 약탈, 구타, 처형 등 민간인 대상 폭력이 만연하면서[180] 저항은 더욱 거세졌다. 1월 19일에는 빌라 소말리아가 공격받는 등 이슬람 세력의 새로운 봉기가 시작되었고,[175][176] 모가디슈는 사실상 TFG/ENDF 통제 구역과 저항 세력 통제 구역으로 분열되었다.[193]

4. 4. 알샤바브

알샤바브는 본래 이슬람 법정 연합(ICU)의 청년 민병대 조직으로 시작했으나,[128] 2006년 에티오피아의 소말리아 침공과 그에 따른 점령 상황에 맞서 싸우면서 세력을 크게 키웠다. 에티오피아의 군사 개입은 당초 의도와 달리 소말리아 내 지하디즘 세력을 약화시키기보다는, 오히려 알샤바브와 같은 극단주의 단체가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는다.[223]

ICU가 에티오피아군과의 정규전에서 패배하고 지도부가 사실상 해체된 후,[149] 알샤바브는 소말리아 내 여러 반군 세력 가운데 가장 강력하고 활동적인 조직으로 부상했다.[111] 이들은 2007년 초부터 독자적인 저항 활동을 전개하며 전투 경험을 축적했고, 2008년에는 소말리아 일부 지역을 장악하며 처음으로 영토를 통치하기 시작했다.[30][36] 에티오피아군이 철수할 시점에는 알샤바브의 병력이 침공 초기 약 600명에서 수천 명 수준으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221]

알샤바브는 과도 연방 정부(TFG)와의 어떠한 평화 협상도 거부하고 무장 투쟁 노선을 고수했으며,[291][292][293] 2009년 온건파 ICU 지도자 출신인 샤리프 셰이크 아흐메드가 TFG의 대통령으로 선출된 이후에도 공세를 이어갔다.[294]

이러한 성장 과정에서 알샤바브는 점차 극단주의 이념을 강화하고 국제 테러 조직과의 연계를 모색했다. 2008년, 당시 지도자였던 아덴 하쉬 파라 아에로가 사망한 후 알 카에다에 합류하려 했으나 오사마 빈 라덴에게 거절당했다.[36] 하지만 빈 라덴이 사망한 2011년 이후인 2012년, 알샤바브는 공식적으로 알 카에다에 충성을 맹세했다.[36] 에티오피아 점령 이후 소말리아 내 알 카에다 활동 기반이 강화된 것은 침공이 낳은 주요한 부작용 중 하나로 분석된다.[324]

알샤바브의 세력 확장은 외국인 전투원의 유입과 해외 소말리아 디아스포라 사회의 급진화를 부추겼다. 2008년 약 100명으로 추산되던 소말리아 내 외국인 전투원 수는 이듬해 450명까지 증가했으며,[114] 특히 유럽과 미국 등지에 거주하던 소말리아계 청년들이 급진화되어 전투에 참여하기 위해 소말리아로 들어오는 사례가 늘어났다.[325] 이는 2008년 10월 소말리아에서 발생한 미국 국적자에 의한 자살 폭탄 테러와 같은 사건으로 이어지기도 했다.[326]

결과적으로 2006년 에티오피아의 군사 개입은 당초 소수 세력이었던 알샤바브를 소말리아 내 가장 강력한 반군 단체이자 국제적인 테러 위협 세력으로 성장시키는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았다.[324] 2024년 소말리아 법무부 장관은 현재 소말리아가 겪고 있는 심각한 테러 문제가 2006년 침공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공개적으로 언급하기도 했다.[327]

4. 5.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임무 (AMISOM)

아프리카 연합의 전쟁 개입은 에티오피아미국 양측이 정권 교체 역할을 아프리카 연합이 맡도록 강력히 요청하면서 이루어졌다. 사실상, 새로 계획된 소말리아 내 아프리카 연합 군사 작전은 에티오피아의 침공과 과도 연방 정부(TFG)를 정당화하려는 시도였다. 코코디아(Cocodia)에 따르면, "AMISOM은 평화 작전이라기보다는 정권 교체를 위한 도구에 더 가까웠다."[181] 아프리카 연합 내부에서는 에티오피아 군 점령의 정당성에 대해 상당한 회의론이 존재했다.[182] 2007년 2월 20일, 유엔은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임무(AMISOM)로 알려진 아프리카 연합 평화 유지 임무 배치를 승인했다. 이 임무의 주요 목표는 소말리아의 국민 화해 회의를 지원하는 것이었다.[183] AMISOM 배치는 에티오피아 군의 철수 전략 역할을 했는데, 에티오피아군의 주둔이 반란을 격화시키고 있었기 때문이다.[184]

2007년부터 2009년까지 AMISOM은 주로 우간다, 부룬디, 그리고 소수의 케냐 군으로 구성되었다. 2007년 동안 이 작전은 우간다 인민 방위군(UPDF)에 크게 의존했는데, 우간다가 임무 개시를 위한 지원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연말까지 부룬디 군도 작전에 합류했다. AMISOM의 초기 임무는 공격적인 무력 사용을 허용하지 않아, 에티오피아 군과 반군 사이의 분쟁에 제한적으로 관여했다. 이러한 역학 관계는 AMISOM과 에티오피아 국방군(ENDF) 간의 긴장을 고조시켰으며, 이는 소말리아 내 목표에 대한 에티오피아의 투명성 부족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185] 유럽 연합은 12월 침공에 대한 미국의 강력한 지원에 대해 '극도로 불쾌하게' 생각했으며, 새로 창설된 AMISOM 임무에 대한 자금 지원을 수개월 동안 보류했다고 전해진다.[92]

AMISOM이 소말리아에 배치되기 며칠 전, 모가디슈에서 폭력이 급격히 고조되기 시작했다.[186] 2007년 3월 6일, 첫 아프리카 연합 군이 세 대의 군용 차량과 함께 모가디슈 공항에 도착했다.[187]

4. 6. 미국

미국에티오피아 국방군(ENDF)의 소말리아 침공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침공 이전부터 미국군은 ENDF에 군사 정보 및 군수 지원을 제공했다.[92] 미국 국방부는 이슬람 법정 연합(ICU)의 군사 위치에 대한 공중 정찰 및 위성 감시 정보를 공유했으며, 에티오피아 군대의 연료 및 예비 부품 비용도 지원했다.[92] 국방부 관계자와 정보 분석가들에 따르면, 침공은 2006년 여름에 계획되었고 미 특수 부대는 에티오피아가 개입하기 전에 이미 소말리아 현지에 배치되어 있었다.[115] 로이터 통신은 미국 및 영국 특수 부대가 2005년 말부터 미국이 고용한 용병들과 함께 침공의 기반을 마련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92]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에티오피아가 제공받은 새로운 장비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가졌고, 이에 따라 미국 육군 특수부대와 CIA 요원을 직접 작전에 투입하기로 결정했다.[109] 전쟁의 침공 단계에서 미국 특수 부대, CIA 준군사 부대, 그리고 미국 해병대 부대는 미국의 AC-130 건쉽과 공격 헬리콥터의 지원을 받으며 ENDF를 직접적으로 지원했다.[98][108]

미국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725 통과에도 영향을 미쳤다. 허먼 제이 코헨 미국 국무부 아프리카 담당 차관보는 미국이 이 결의안을 지지하기로 한 결정이 에티오피아 측의 잘못된 정보에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94] 또한 미국 국무부 차관보는 ICU 지도부가 알 카에다의 구성원이라고 공개적으로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하며[96] 미국의 군사 개입 명분을 강화하려 했다.

2007년 1월, 미국의 군사적 개입은 더욱 노골화되었다. 미국 AC-130 건쉽은 에티오피아에서 비밀리에 출격하여 퇴각하는 ICU 호송대를 공격했으며,[131][156] 케냐 군대가 퇴각하는 ICU 병력을 포획하는 것을 도왔다.[157] 소말리아 남부 아프마도우 구 주민들은 AC-130이 ICU 군대를 추격하여 사살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보고했다.[158] 미국의 공습은 ICU 지도부 제거에 집중되어, 이 운동의 인기 지도자였던 셰이크 압둘라히 나하르 등이 사망했다.[159] 2007년 1월 8일에는 순항 미사일이 ICU 진지에 발사되기도 했다.[160]

이러한 미국의 공습은 심각한 민간인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미국군은 케냐 국경, 인도양, 그리고 진격하는 에티오피아 군대 사이의 '살상 지역'에서 수백 명의 소말리아 전사와 민간인을 살해한 것으로 알려졌다.[161] 남부 소말리아의 마을들이 공습 대상이 되어 상당한 수의 민간인 사상자와 이재민이 발생했다. 한 공격에서는 유목민 73명과 그들의 가축이 사망했으며,[166][158] 도블리 마을에서는 100명의 민간인이 미국/ENDF 공습으로 사망했다고 추정되었다.[162] 심지어 미군기가 결혼식을 폭격하는 사건도 발생했다.[163] 미국의 침공 개입이 공개되자 에티오피아 정부는 자국 군사 기지에서의 미국 AC-130 공격을 중단시켰다.[156]

미국은 자신들이 알 카에다 요원으로 의심되는 표적에 대한 공격을 수행했음을 인정했으며, 1월 말에는 두 번째 공습 사실도 인정했다.[164] 처음에는 1998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의 배후인 알 카에다 요원을 성공적으로 공격했다고 주장했지만, 나중에는 사망자를 '테러리스트 연루자'로 표현을 바꾸기도 했다.[96] 미국 국방부가 공습 사실을 발표하면서 미국의 침공 개입은 명확해졌다.[166][158] 당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미국의 공격이 분쟁을 더욱 확대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공개적으로 표명했다.[156]

압디 이스마일 사마타르 교수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군의 점령이 실패할 운명이라는 것이 분명해지자 미국은 이슬람 저항 운동 내부의 분열을 조장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수정한 것으로 분석된다.[61]

5. 전쟁의 결과 및 영향

에티오피아의 군사 개입은 기존 이슬람 법정 연합(ICU) 세력의 약화를 가져왔고, 이는 ICU의 청년 조직이었던 알샤바브가 급격히 부상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220][221] 에티오피아군의 점령과 가혹한 통치는 소말리아 민중의 반감을 샀으며, 알샤바브는 이를 발판 삼아 강력한 저항 세력으로 성장했다.[36][223] 이는 소말리아 내전의 장기화와 지역 안보 불안정 심화로 이어지는 중요한 결과였다.

5. 1. 인명 피해와 인도주의적 위기

2006년 12월 전쟁 발발 이후 소말리아는 심각한 인명 피해와 인도주의적 위기에 직면했다. 엘만 평화 및 인권 센터는 2008년 12월까지 민간인 16,210명이 사망하고 29,000명이 부상당했다고 확인했다.[306] TFG의 외무장관 아흐메드 모알림 피키는 에티오피아 국방군(ENDF)이 2만 명의 민간인을 살해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307][308] 2007년 11월에는 피난민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섰고,[216] 2008년 초에는 모가디슈 인구의 60% 이상이 도시를 탈출한 것으로 추산되었다.[230] 유엔의 최고 인도주의 담당자 필리프 라자리니는 당시 소말리아 상황을 아프리카 최악이자 세계적으로도 거의 최악의 인도주의 위기라고 평가했다.[231]

휴먼 라이츠 워치는 2008년 12월 보고서 '너무 두려운 것(So much to Fear)'에서 에티오피아의 개입 이후 소말리아가 1990년대 초 이후 볼 수 없었던 규모의 인도주의적 재앙에 직면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TFG가 모가디슈 시민들을 공포에 떨게 하고 있으며, ENDF가 폭력 범죄를 증가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309] 특히 ENDF와 TFG군은 살인, 강간, 폭행, 약탈 등 심각한 인권 침해와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는 비판을 받았다.[309] '모가디슈의 학살자'라는 별명을 얻은 티그레이 인민 해방 전선(TPLF) 소속 가브레 허드 대령의 지휘 아래 에티오피아 군대는 민간인 거주 지역에 대한 무차별 포격을 가하고 수천 명의 민간인을 살해한 것으로 알려졌다.[310][101]
민간인들이 ENDF의 BM-21 Grad 포격을 피해 모가디슈에서 탈출 (2007년 4월 21일)
휴먼 라이츠 워치는 ENDF가 인구 밀집 지역에 BM-21 Grad 로켓을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국제 인도법을 위반했다고 보고했다.[111] 케냐 언론인 살림 론은 ENDF와 TFG군이 점령에 반대하는 민간인을 위협하기 위해 구호품과 식량 공급을 의도적으로 차단했다고 주장했다.[202] 미국 기자들은 소말리아 시골 마을 주민들로부터 에티오피아군의 공포 통치에 대한 증언을 확보하기도 했다.[311] 국제 앰네스티는 2008년 초 ENDF가 소말리아인에 대한 참수형에 점점 더 관여하고 있다고 비난했으며,[312] 2008년 4월 19일에는 ENDF 군인들이 알-히다야 사원 학살을 저지르기도 했다.[239][313] 오가덴 민족 해방 전선(ONLF)은 ENDF가 소말리아 내 오가덴 및 오로모족 출신 소말리아인들을 임의 구금하고 처형 대상으로 삼고 있다고 비난했다.[204] 그러나 에티오피아 총리 멜레스 제나위는 이러한 전쟁 범죄 보고들을 '흑색 선전'이라며 일축했다.[314] 2007년 모가디슈 민간 지역 공격 이후 유럽 변호사들은 에티오피아와 TFG에 대한 자금 지원이 EU를 전쟁 범죄 공범으로 만들 수 있는지 검토했으나,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다.[315][316]

분쟁에 참여한 군대 역시 상당한 사상자를 냈다. 소말리아에 주둔한 에티오피아군은 막대한 사상자를 냈으나,[295][296] 에티오피아 정부의 군사 검열로 인해 정확한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다.[297][269][303] 특히 시가전에서 큰 손실을 입었으며,[298] 2009년 1월 한 지역 안보 기관은 2006년 말 이후 최소 3,773명의 에티오피아 군인이 사망했다고 보고했다.[299] 2007년 말에는 ENDF의 사상자가 '지속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평가도 나왔다.[301] 에티오피아 정부는 철수 이후에도 사상자 수를 공개하지 않았다.[303] AMISOM 병력 역시 수백 명의 사상자를 냈지만, 2006년부터 2009년까지의 정확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다.[304][302] TFG 대통령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의 고향인 푼트랜드에서 파견된 병력도 큰 피해를 입었다.[264]

5. 2. 소말리아 내전의 장기화

2006년 하반기부터 에티오피아의 군사적 개입이 본격화되면서 소말리아 내전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9월까지 최소 7,000명의 에티오피아 국방군 병력이 소말리아에 주둔하며 이슬람 법정 연합(ICU)에 패배했던 군벌들에게 무기를 지원하기 시작했다.[79] 10월 9일, 에티오피아군의 지원을 받은 과도 연방 정부(TFG) 군대가 부르하카바에서 ICU를 공격하며 양측 간의 첫 주요 충돌이 발생했다.[80][81] 에티오피아 정부는 자국 군대의 개입을 부인했지만, 현지 주민들은 에티오피아군의 주둔을 확인했다.[82] 에티오피아의 군사 행동은 ICU 내 온건파 사이에서도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고,[82] ICU 지도자 셰리프 셰이크 아메드는 이를 명백한 침략으로 규정하고 에티오피아에 대한 지하드를 선포했다.[83]

11월 들어 남부 소말리아에서는 에티오피아군, TFG, ICU 군대가 대규모로 동원되고 전략적으로 배치되면서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다.[84][85] 에티오피아의 침공 움직임에 맞서 오가덴 민족해방전선(ONLF) 등 에티오피아 내 소말리족 저항 세력과[86] 소말릴란드, 푼틀란드 등지의 지원 세력이 ICU에 합류했다.[87][88][89][90] 특히 미국은 에티오피아의 침공을 군사 정보 및 군수 지원을 통해 적극 도왔다. 미국군은 공중 정찰 및 위성 감시 정보를 제공하고 연료 등 군수 비용을 지원했으며,[92][115] 침공 이전부터 미 특수 부대와 용병들이 소말리아 안팎에서 활동하며 작전을 준비했다는 보고도 있었다.[92]

2006년 12월, 에티오피아는 약 5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129] 본격적인 침공을 개시했다. 12월 19일, ICU 강경파가 제시한 철수 최후 통첩 시한이 만료되자[119] 바이도아 남쪽 이다알레에서 첫 교전이 발생했다.[120] 이후 데이눈나이, 이다알레 등 여러 전선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121][122][123] 초기 전투에서 ICU는 2006년 레바논 전쟁 당시 헤즈볼라가 사용했던 전술을 차용하여 에티오피아 기갑 부대에 효과적으로 맞섰으나,[126][127] 미국의 근접 항공 지원(AC-130 건쉽, USS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항공모함 타격군 등)과 특수부대, CIA 준군사조직의 개입[130][98][131][132][133][129][108], 그리고 에티오피아군의 압도적인 기갑 및 포병 전력 앞에 점차 밀리기 시작했다.[128] 당시 TFG 총리였던 알리 모하메드 게디는 미국의 지원 없이는 에티오피아의 개입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인정했다.[134]

에티오피아군이 모가디슈로 진격하는 과정에서 바이에 지역 등에서 격렬한 저항에 부딪혔으며, 특히 이다알레 전투에서는 ICU가 에티오피아군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136] 알샤바브 청년 민병대도 전투에 참여했다.[128] 12월 22일, ICU 지도자 하산 다히르 아웨이스는 소말리아가 전쟁 상태에 돌입했음을 선포했다.[137] 그러나 반디라들레이 전투에서 에티오피아-푼틀란드 연합군에게 패배하면서[139] ICU의 방어선이 무너지기 시작했고, 에티오피아군은 전격전을 통해 소말리아 중남부로 빠르게 진격했다.[119][154] 한편, 에티오피아군 보급로 차단을 위해 ONLF는 오가덴 지역을 통과하는 에티오피아군 호송대를 공격하기도 했다.[140]

에티오피아의 점령과 TFG의 취약성 속에서 알샤바브가 급격히 세력을 확장했다. ICU 지도부의 공백 상태에서 알샤바브는 에티오피아 점령군에 대한 가장 강력하고 타협하지 않는 저항 세력으로 부상하며 소말리아 민중의 지지를 얻기 시작했다.[220][221][36][223] 에티오피아군의 가혹한 점령 정책과 민간인 피해는 알샤바브의 지지 기반 확대에 기여했다.[36][223] 2007년 3월, 알샤바브는 모가디슈에서 에티오피아군 검문소를 대상으로 소말리아 최초의 자살 폭탄 테러를 감행했으며,[224][225][226][227] 이후 이동식 샤리아 법원 운영, 부족 간 분쟁 중재, 구호품 배분 등을 통해 대중적 지지를 확보하려 노력했다.[228] 알샤바브는 TFG 관료 암살, 군사 기지 공격 등 점차 정교하고 복잡한 군사 작전을 전개하며[228] 2008년에는 딘소르, 불로부르데, 조하르, 키스마요 등 소말리아 남부의 주요 도시들을 장악하며 영토 지배력을 넓혀갔다.[234][235][236][30][223][237][228][242][243][245] 2008년 4월 모가디슈 전투 중 발생한 알 히다야 모스크 학살 등 에티오피아군의 잔학 행위는 반군 세력을 더욱 자극했다.[239][240]

국제사회는 아프리카 연합을 중심으로 평화 유지 노력을 전개했다. 2007년 2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소말리아 주둔 아프리카 연합 임무(AMISOM) 창설을 승인했다.[183] AMISOM은 표면적으로는 소말리아 국민 화해 지원을 목표로 했으나, 실제로는 에티오피아군의 철수 전략 및 TFG 정권 유지 지원이라는 목적을 가졌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81][184] 초기 AMISOM은 우간다, 부룬디 군대 위주로 구성되었으며, 공격적인 교전 규칙 부재로 인해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185] 유럽 연합은 미국의 에티오피아 침공 지원에 불만을 표하며 AMISOM 자금 지원을 보류하기도 했다.[92] AMISOM의 배치는 오히려 모가디슈 내 폭력 사태를 격화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186]

결과적으로 에티오피아의 군사 개입은 TFG의 권력 강화에 실패하고 오히려 소말리아 내전의 장기화와 급진 이슬람 세력의 부상을 초래했다.[33][36][319] 2008년 말까지 반군은 에티오피아가 점령했던 영토 대부분을 탈환했으며,[32][318] TFG는 모가디슈 일부와 바이도아만을 겨우 통제하는 상황에 놓였다.[33][223] 에티오피아군은 막대한 손실을 입고 2009년 1월 공식적으로 철수했지만,[317] 이후에도 소말리아 내 군사적 개입을 지속했다.[334][317] 에티오피아의 침공은 소말리아에 극심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했으며(130만 명의 난민 발생, 360만 명의 긴급 식량 지원 필요 등),[322] 미국 내에서도 실패한 군사 작전으로 평가받았다.[320][321]

에티오피아군 철수 이후, 온건파 ICU 지도자였던 셰리프 셰이크 아흐메드가 2009년 1월 TFG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330] 알샤바브와 새로 결성된 히즈불 이슬람 등 강경 이슬람 반군 세력과의 갈등은 계속되었다.[331] 알샤바브는 납치, 도시 테러 등으로 전술을 바꾸며 세력을 유지했고,[332] 소말리아는 2009년 이후의 내전 국면으로 접어들게 되었다. 에티오피아는 2011년 린다 니치 작전과 함께 다시 대규모 병력을 파견했으며,[317] 2014년에는 일부 병력이 AMISOM에 편입되었다.[335] 에티오피아는 티그라이 전쟁 발발 이후 2020년 일부 병력을 철수시켰으나,[336] 2022년 알샤바브가 에티오피아 본토를 침공하는 등[337] 양측의 충돌은 계속되고 있다.

5. 3. 지역 안보 불안정 심화

에티오피아의 침공은 이슬람 법정 연합(ICU) 내 많은 인물의 사망으로 이어졌고, 이는 ICU의 청년 민병대였던 알 샤바브가 부상할 수 있는 공백을 만들었다.[220][221] 당시 알 샤바브는 단일 조직이라기보다는 여러 반군 단체의 연합체에 가까웠다.[222] 군사 점령 기간 동안 알 샤바브는 소말리아 주민들로부터 상당한 지지를 얻었으며, 이는 부족 간의 경계를 넘어서는 현상이었다. 에티오피아의 침공은 알 샤바브가 대중 동원을 이끌어내는 주요 계기가 되었다. 엄격한 이념에도 불구하고, 많은 소말리아인들은 알 샤바브를 에티오피아 점령에 맞서는 진정한 저항 세력으로 인식했다. 보편적인 인기를 누린 것은 아니었지만, 에티오피아 군대를 몰아내는 데 효과적인 훈련과 강력한 역량을 갖춘 것으로 널리 인정받았다. 에티오피아 군대의 가혹한 전술과 민간인 생명 경시는 알 샤바브가 가장 단호하고 타협하지 않는 저항 세력으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많은 소말리아인들의 지지를 얻었다.[36][223]

알 샤바브는 2007년 3월 27일, 모가디슈 타르분카(Tarbuunka)의 에티오피아 국방군(ENDF) 검문소를 상대로 자동차 폭탄을 이용한 자살 공격을 감행했다. 이 공격으로 에티오피아 군인 63명이 사망하고 50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는 에티오피아 군인들이 소말리아 여성 수반 마린 알리 하산(Suuban Maalin Ali Hassan)을 고문하고 강간한 사건에 대한 보복으로 알려졌다.[224] 이 공격은 소말리아에서 기록된 최초의 자살 공격이었으며, 알 샤바브는 사건 이틀 후 선전 영상을 공개했다.[225][226][227]

이슬람 반군은 대중의 지지와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교한 전략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가 남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이동식 샤리아 법원을 운영하며 범죄자를 처벌하고 정의를 집행했다. 또한 부족 간 분쟁을 중재하고 빈곤층에게 구호품을 배포했으며, 고속도로 강도와 민병대 검문소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다.[228] 반군은 ENDF와 TFG를 상대로 점점 더 복잡한 전쟁을 벌였고, 특히 TFG 국가 안보국(NSA) 요원을 겨냥한 암살 작전이 증가하여 2008년에는 많은 요원과 정보원이 살해되었다. 반군의 공격은 더욱 정교해져 매주 수십 명의 에티오피아 및 TFG 병사가 사망했다.[228] 2008년 2월, 알 샤바브는 여러 차례 정찰 끝에 딘소르 마을을 점령했는데, 이는 이전까지 모가디슈에 집중했던 전략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었다.[234][235][236] 알 샤바브는 2008년부터 영토를 통치하기 시작하여 소말리아 남부의 상당 지역을 장악했다.[30][223] 3월에는 ICU가 불로부르데 시를 점령하고 많은 수감자를 석방했다.[237] 2008년 3월 말, TFG 병력이 시장을 약탈하자 모가디슈에서 전투가 벌어졌고, 상인들을 보호하려던 이슬람 반군은 TFG 군에 큰 손실을 입혔다.[238]

2008년 4월 모가디슈 전투 중 에티오피아 군에 의해 알 히다야 모스크 학살이 자행되어 반군을 더욱 격분시켰다.[239] 티그라이 출신 ENDF 군인들은 모가디슈의 바카라 시장을 반복적으로 약탈했으며, 호르무드 텔레콤과 같은 소말리아 통신 회사들도 에티오피아 군의 약탈과 파괴 대상이 되었다.[240] 미국의 소리는 당시 반군 활동이 민족주의 성향의 ICU 반군과 국제 지하디스트 성향의 알 샤바브라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수행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주민들은 ICU 반군이 알 샤바브보다 더 많은 대중적 지지를 받고 있으며, 현지 사업가들과 소말리아 디아스포라로부터 상당한 자금을 지원받고 있다고 전했다.[241] 2008년 4월, 반군은 수도 모가디슈에서 불과 90km 떨어진 조하르를 점령하는 대담한 확장을 보였다.[228][242] 5월 말에는 질리브와 하르데레를 장악했고, 이후 전략적 항구 도시인 키스마요로 진격했다.[243] ICU와 알 샤바브는 키스마요의 부족 민병대가 권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비밀 협정을 맺었으나,[244] 알 샤바브는 8월에 도시를 완전히 장악했다.[245]

미국 공군은 2008년 3월 3일, 반군 지도자 하산 투르키가 머물던 것으로 알려진 도블리 마을에 순항 미사일 공격을 가했다. 미국 관리들은 해당 마을이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게 점령되었다고 주장했지만, 구체적인 정보는 거의 공개하지 않았다.[247][246] 도블리는 1년 전 ICU가 마지막으로 점령했던 곳으로, 당시에도 미군 항공기의 폭격을 받은 바 있다.[247] 한 달 뒤인 2008년 5월 1일, 미국은 토마호크 미사일로 두사마레브를 폭격하여 알 샤바브 지도자 아덴 하시 파라 에어로를 비롯한 여러 고위 지휘관과 민간인을 살해했다. 그러나 이 공격은 반란 활동을 억제하는 데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248] 2008년 초 에어로의 암살은 오히려 알 샤바브의 급격한 급진화를 초래했다.[249] 에어로의 사망은 외국인 전투원들의 조직 합류를 촉진했으며, 아흐메드 압디 고다네가 새로운 지도자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의 개입으로 인한 이러한 지도부 변화는 이후 알 샤바브가 자살 공격과 같은 전술을 사용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36][250]

2008년 3월 18일, 미국은 알 샤바브를 테러 조직으로 지정했다.[233] 안보 연구소(ISS)에 따르면, 이러한 지정은 진행 중이던 평화 과정에 장애물이 되었으며, 2008년 중반까지 반란의 인기가 높아 "ICU, 알 샤바브, 소말리아 국민 사이의 경계가 거의 없었다"는 점을 간과한 조치였다.[251] 테러 지정은 이슬람 저항 운동 내 온건파를 고립시키고 알 샤바브가 평화 회담을 거부할 명분을 제공함으로써 상황을 악화시켰다는 비판이 있다.[249]

소말리아 해안의 해적 활동은 2006년 이슬람 법정 연합(ICU)의 해안 경비대 활동으로 인해 한동안 억제되었다. 그러나 ICU가 전복된 후 2007년과 2008년 동안 해적 공격 사건이 급증했다.[160][328][29] 선원 지원 프로그램(Seafarers Assistance Programme, SAP)의 고위 관계자는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와 푼틀란드 정부의 일부 인사가 막대한 수익 때문에 해적 행위에 연루되어 있다고 보고했다.[328] 또한 에티오피아군이 소말리아 남부와 중부에서 반군에게 밀려나면서, 일부 에티오피아 국방군(ENDF) 군사 기지가 거액의 몸값을 확보한 소말리아 해적들에게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하고 금전적 대가를 받았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329]

5. 4. 국제사회의 개입과 평화 노력

2008년 초, 미국은 소말리아 내전에 직접적인 군사 개입을 단행했다. 3월 3일, 미국 공군은 반군 지도자 하산 투르키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도블리 마을에 순항 미사일 공격을 가했다.[247][246] 미국 관리들은 해당 지역이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에게 점령되었다고 주장했으나, 자세한 내용은 거의 공개하지 않았다.[247][246] 이어서 5월 1일에는 토마호크 미사일이 두사마레브를 타격하여 알 샤바브 지도자 아덴 하시 파라 에어로와 다른 고위 간부 및 민간인들이 사망했다.[248]

그러나 이러한 미국의 군사 개입은 알 샤바브의 세력 약화로 이어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에어로의 암살은 알 샤바브의 급진화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249] 이 사건 이후 외국인 전투원들의 알 샤바브 합류가 늘어났고, 아흐메드 압디 고다네가 새로운 지도자(에미르)로 부상했다. 미국의 개입은 결과적으로 알 샤바브가 자살 공격과 같은 극단적인 전술을 채택하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36][250]

미국은 군사적 개입 외에도 정치적 압박을 가했다. 2008년 3월 18일, 미국 정부는 알 샤바브를 테러 조직으로 공식 지정했다.[233] 하지만 안보 연구소(Institute for Security Studies) 등에서는 이러한 지정이 당시 진행 중이던 평화 협상 과정에 장애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2008년 중반 당시 알 샤바브는 상당한 대중적 지지를 받고 있었으며("UIC, 알 샤바브와 소말리아 국민 사이에는 거의 경계가 없었다"),[251] 테러 조직 지정은 이슬람 저항 세력 내 온건파의 입지를 약화시키고 알 샤바브가 평화 협상을 거부할 명분을 제공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249]

모가디슈를 순찰하는 소말리아 저항군 (2008년 7월 27일)


한편, 국제사회의 중재 노력도 있었다. 2008년 6월, 지부티에서 수개월간의 협상 끝에 소말리아 해방 연합(ARS)의 한 파벌과 소말리아 과도 연방 정부(TFG) 사이에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이 지부티 평화 협정에티오피아 국방군(ENDF)의 소말리아 철수를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85] 그러나 이 협정은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 당시 TFG 대통령을 비롯한 TFG 내부 세력의 반대에 직면했다.[260] 또한, 이슬람 법정 연합(ICU) 등 일부 반군 세력은 협정에도 불구하고 에티오피아군과 TFG 기지에 대한 공격을 계속할 것이라고 선언했으며,[261] 실제로 조하르에 새로운 이슬람 법정을 세우는 등 세력 확장을 지속했다.[262] 당시 TFG는 내분으로 인해 사실상 기능이 마비된 상태였고, 소말리아 남부 대부분 지역은 반군의 통제하에 놓여 있었다.[263] 지부티 협정은 반군 세력 간의 분열을 야기하기도 했는데, 벨레드웨인과 잘랄락시 등을 장악한 일부 반군은 알 샤바브나 ARS와 거리를 두는 모습을 보였다.[228]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아프리카 연합(AU)은 2008년 당시 알 샤바브의 병력을 약 2,000명으로 추산했는데,[265] 이는 2006년 말 수백 명 수준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였다.[221] 국제사회의 개입과 평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소말리아의 상황은 더욱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었다.

6. 한국의 관점과 소말리아 전쟁

6. 1. 더불어민주당 및 진보 진영의 관점 (참고)

내분으로 인해 궁지에 몰린 과도 정부(TFG)는 다시 붕괴 직전에 놓였다.[260]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 대통령은 국가가 반군에 휩쓸리고 있으며 정부가 완전히 붕괴될 가능성이 있다고 인정했다. 에티오피아는 2008년 11월 28일, 2008년 말까지 소말리아에서 군대를 철수하겠다고 발표했다.[245]

같은 해 11월 말, 지부티에서는 과도 정부와 소말리아 해방 동맹(ARS) 간의 휴전을 위한 오랜 협상 끝에, 의회 규모를 두 배로 늘려 ARS 대표 200명과 시민 사회 대표 75명을 포함시키기로 합의했다.[275] 이 합의에는 새로운 의회에서 새 대통령과 총리를 선출하고, 전쟁 범죄를 조사할 위원회를 설립하며,[276] 새로운 헌법 초안을 작성하는 내용도 포함되었다.[277] 국제 위기 그룹(ICG)은 국제 사회가 이슬람 반군과의 관여를 꺼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보 상황을 안정시키는 유일한 실행 가능한 방법은 그 지도자들과 직접 소통하고 관여하는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278]

그러나 2008년 12월, 과도 정부 의회는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 대통령을 독재자이자 평화의 장애물이라고 비난하며 탄핵을 추진했다.[279] 누르 하산 후세인 총리가 유수프 대통령에게 과도 정부 실패의 책임을 돌리자, 유수프는 의회 승인 없이 그를 해임했다.[280] 과도 정부는 다시 바이도아를 중심으로 활동하게 되었고, 아프리카 연합은 반군이 국가의 대부분을 통제하고 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281] 결국 그 달 유수프 대통령은 이슬람 반군에게 국가 통제력을 상실했다고 밝힌 후 사임했다.[34] 아프리카 연합군은 소말리아에서 철수를 논의하기 시작했고, 에티오피아에게 모가디슈 철수를 도와달라고 요청했다.[282] 에티오피아 대통령 멜레스 제나위는 임무가 성공했다고 선언했지만, 에티오피아가 전쟁 동안 지원했던 과도 정부가 에티오피아 방위군(ENDF) 철수를 앞두고 완전히 무력해지면서 작전은 사실상 실패로 끝났음이 드러났다.[283]

7. 결론

과도 연방 정부(TFG)는 집권 기간 동안 실질적인 영향력을 거의 행사하지 못했으며, 현대 소말리아 역사상 가장 많은 유혈 사태가 발생한 시기를 이끌었다.[284] 2009년 1월, 과도 연방 정부는 사실상 붕괴하였고, 알 샤바브 세력이 바이도아의 정부 청사를 장악했다.[285] 같은 달 에티오피아 국방군은 소말리아에서 철수하여 에티오피아군의 점령을 종식시켰다.[287] 이후 전 이슬람 법정 연합(ICU) 지도자였던 셰리프 셰이크 아흐메드가 1월 말 소말리아의 제7대 소말리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287][290]

참조

[1] 간행물 WikiLeaked Cable Confirms U.S.' Secret Somalia Op https://www.wired.co[...] 2010-12-02
[2] 웹사이트 Somalia insurgents accuse Kenya over border security https://www.reuters.[...] 2009-03-08
[3] 뉴스 Burundi joins Somalia peace force http://news.bbc.co.u[...] BBC 2007-02-09
[4] 뉴스 Burundi troops ready to join Somalia peacekeepers http://www.alertnet.[...] Reuters 2007-04-02
[5] 뉴스 Malawi to send peacekeepers to Somalia http://www.reliefweb[...] IRIN 2007-02-09
[6] 뉴스 Nigeria to send peacekeeping battalion to Somalia http://today.reuters[...] Reuters 2007-02-09
[7] 웹사이트 Ugandan Troops Set to Arrive in Somalia as Part of AU Force http://shabelle.net/[...] Shabelle Media Network 2007-02-16
[8] 웹사이트 Ogaden rebels destroy Ethiopian military convoy en route to Somalia https://sudantribune[...] Ogaden National Liberation Front 2023-12-14
[9] 웹사이트 Ogaden rebels to resist Ethiopian army if it attacks Somali-statement https://sudantribune[...] Ogaden National Liberation Front 2023-12-14
[10] 간행물 WikiLeaked Cable Confirms U.S.' Secret Somalia Op https://www.wired.co[...] 2023-06-21
[11] 뉴스 Ethiopian army pays tribute to its soldiers that died in Somalia http://www.garoweonl[...] 2007-11-23
[12] 뉴스 Somalia 'needs peace force soon' http://news.bbc.co.u[...] 2010-05-27
[13] 뉴스 Somali Islamists weakened but not defeated https://www.reuters.[...] 2007-01-05
[14] 웹사이트 The Somali National Army Versus al-Shabaab: A Net Assessment https://ctc.westpoin[...] 2024-05-04
[15] 서적 Combatants on Foreign Soil https://au.int/sites[...] African Union 2007-06-01
[16] 뉴스 'Thousands' desert Somalia forces http://news.bbc.co.u[...] 2010-05-27
[17] 웹사이트 Ethiopian army accomplished 75% of mission in Somalia – Zenawi http://sudantribune.[...] SudanTribune article 2011-07-09
[18] 뉴스 Ethiopian army accomplished 75% of mission in Somalia – Zenawi http://sudantribune.[...] Sudan Tribune 2007-01-05
[19] 뉴스 Ethiopian PM says Somalia's Islamists have suffered thousands of casualties http://www.iht.com/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Associated Press 2007-01-05
[20]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unwelcome to Somalia, they killed 20,000 citizens - FM https://www.garoweon[...] 2024-08-29
[21] 웹사이트 Horn of Africa's challenges grow - Somalia https://reliefweb.in[...] Oxford Analytica 2024-05-04
[22] 서적 Terrorism and Political Contention: New Perspectives on North Africa and the Sahel Reg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Switzerland 2024-04-03
[23] 논문 The Evolution of Political Violence: The Case of Somalia's Al-Shabaab https://www.tandfonl[...] 2018-01-02
[24] 간행물 Ethiopia Faces Ethnic Fallout from Somalia Intervention https://jamestown.or[...] Jamestown Foundation 2007-06-05
[25] 웹사이트 Did U.S. action create Somali pirate haven? https://www.deseret.[...] 2024-03-13
[26] 뉴스 Ethiopia ends Somalia occupation https://www.theguard[...] 2009-01-26
[27] 뉴스 Ethiopians Withdraw From Key Bases https://www.nytimes.[...] 2023-06-24
[28] 뉴스 Ethiopian troops quit bases in Mogadishu https://www.reuters.[...] 2023-06-24
[29] 뉴스 The Truth About the Somali Pirates https://www.theatlan[...] 2024-03-12
[30] 서적 The Rule Is For None But Alla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1] 뉴스 Ethiopian Army Begins Leaving Mogadishu https://www.nytimes.[...] 2024-01-12
[32] 웹사이트 Horn of Africa's challenges grow - Somalia https://reliefweb.in[...] Oxford Analytica 2024-05-04
[33] 뉴스 Somalis killed as Islamists clash http://news.bbc.co.u[...] 2011-07-09
[34] 웹사이트 Last Ethiopian troops leave Somalia's capital https://www.nbcnews.[...] 2023-10-26
[35] 서적 ACLED Report for Somalia Armed Conflict Location and Event Data Project 2009-02-01
[36] 논문 The Evolution of Political Violence: The Case of Somalia's Al-Shabaab https://www.tandfonl[...] 2018-01-02
[37] 웹사이트 Ethiopia pulls its troops from Somalia https://www.cnn.com/[...] 2023-06-24
[38] 웹사이트 The New Humanitarian {{!}} Puntland capital calm but "extremely tense" https://www.thenewhu[...] 2024-04-06
[39] 뉴스 Ethiopian troops 'in Somalia' http://news.bbc.co.u[...] 2024-05-11
[40] 뉴스 Somali leader lambasts Ethiopia http://news.bbc.co.u[...] 2024-05-11
[41] 서적 Africa South of the Sahara 2003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2-10-31
[42] 논문 The Somali Conflict: Root causes, obstacles, and peace-building strategies https://www.files.et[...] 2006
[43] 논문 Rejecting African Solutions to African Problems: The African Union and the Islamic Courts Union in Somalia https://www.tandfonl[...] 2021-04-03
[44] 논문 Rejecting African Solutions to African Problems: The African Union and the Islamic Courts Union in Somalia https://www.tandfonl[...] 2021-04-03
[45] 논문 Rejecting African Solutions to African Problems: The African Union and the Islamic Courts Union in Somalia https://www.tandfonl[...] 2021-04-03
[46] 뉴스 Profile: Abdullahi Yusuf Ahmed http://news.bbc.co.u[...] 2024-03-09
[4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Somal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3-02-25
[48] 뉴스 Ogaden draws in tension once more http://news.bbc.co.u[...] 2024-10-24
[49] 간행물 Somalia Conflict Risk Alert http://www.crisisgro[...]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07-01-05
[50] 웹사이트 President Isaias reiterates that Eritrea did not send troops to Somalia http://www.shabait.c[...] Eritrean Ministry of Information 2007-02-24
[51] 논문 Self-defence, Intervention by Invitation, or Proxy War? The Legality of the 2006 Ethiopian Invasion of Somalia http://dx.doi.org/10[...] 2014
[52] 웹사이트 Ethiopia denies crossing into Somalia https://www.aljazeer[...] 2022-11-12
[53] 뉴스 Somali Says Ethiopian Presence Is Just the Uniforms https://www.nytimes.[...] 2023-06-21
[54] 논문 Ethiopian Invasion of Somalia, US Warlordism & AU Shame https://www.jstor.or[...] 2007
[55] 뉴스 Sending African troops into Somalia 'would trigger war' https://www.theguard[...] 2024-07-27
[56] 논문 The Miracle of Mogadishu https://www.jstor.or[...] 2006
[57] 뉴스 Ethiopia's Invasion of Somalia http://www.garoweonl[...] 2007-04-16
[58] 웹사이트 Tentative hope and little else - Somalia https://reliefweb.in[...] Reliefweb 2024-09-03
[59] 웹사이트 Somalia for the Somalis: An idea in peril https://reliefweb.in[...] 2024-07-24
[60] 서적 Framing Somalia Red Sea Press 2022
[61] 서적 Framing Somalia https://books.google[...] Red Sea Press 2022
[62]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massed on Somali border https://sudantribune[...] 2023-12-13
[63]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cross border into Somalia https://timesofmalta[...] 2022-11-13
[64] 웹사이트 Border war feared as Somali Islamists vow holy war against Ethiopia https://reliefweb.in[...] 2022-11-13
[65] 뉴스 Ethiopian troops enter Somalia – Islamic leader https://sudantribune[...]
[66] 뉴스 Ethiopia troops crossing into Somalia-top Islamist https://www.oneindia[...] 2006-06-17
[67] 웹사이트 Somalia gov't says Islamists plan to attack base https://reliefweb.in[...] 2022-11-13
[68] 웹사이트 Somali govt restricts Shabelle radio over Ethiopia claims https://sudantribune[...] 2023-11-07
[69] 웹사이트 Somali Islamists urge pressure on Ethiopia to withdraw troops https://sudantribune[...] 2024-01-11
[70] 뉴스 Ethiopian Troops Enter Somalia to Resist Islamic Militia https://www.pbs.org/[...] PBS 2007-01-05
[71] 웹사이트 ONLF shoots down Ethiopian military helicopter https://sudantribune[...] 2006-07-24
[72]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enter second Somali town https://www.ocala.co[...] 2006-07-23
[73] 뉴스 Ethiopians enter new Somali town http://news.bbc.co.u[...] 2006-07-22
[74] 뉴스 Fears of war in Somalia grow http://www.csmonitor[...] 2006-07-21
[75] 웹사이트 Ethiopian Generals and Somali Warlords https://sudantribune[...] 2006-08-02
[76] 웹사이트 Somali ministers resigns to protest Ethiopian troop deployment https://sudantribune[...] 2006-07-28
[77] 웹사이트 Somalia's transitional government on the verge of collapse https://reliefweb.in[...] 2006-08-04
[78] 웹사이트 Ethiopia prepares to attack Somali Islamists – Eritrea https://sudantribune[...] 2006-08-21
[79] 간행물 The Miracle of Mogadishu https://www.jstor.or[...] 2006
[80]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Capture Burhakaba 180 Km Away From the Capital https://allafrica.co[...] 2006-10-09
[81] 뉴스 Somali incursion provokes war fear 2006-10-09
[82] 뉴스 Islamists half-ready for holy war https://www.economis[...] 2006-10-12
[83] 웹사이트 Ethiopia 'helps seize Somali town' https://www.aljazeer[...] 2006-10-10
[84] 웹사이트 Somalia war fears soar as Islamists reinforce, Ethiopia says ready to fight https://www.hiiraan.[...] 2006-11-25
[85] 뉴스 Islamists 'ambush' Ethiopia truck http://news.bbc.co.u[...] 2006-11-30
[86] 웹사이트 Ogaden rebels to resist Ethiopian army if it attacks Somali-statement https://sudantribune[...] Ogaden National Liberation Front 2006-11-28
[87] 웹사이트 Rebels answer Mogadishu's call to arms https://www.telegrap[...] 2006-11-24
[88] 보고서 The Puntland State of Somalia. A Tentative Social Analysis https://sciencespo.h[...] 2010
[89] 웹사이트 Somaliland: Defected Officers Join Islamic Courts in Mogadishu https://unpo.org/art[...] 2006-12-05
[90] 뉴스 Puntland Islamist Fighters Join the Union of Islamic Courts in Central Somalia https://allafrica.co[...] 2006-11-15
[91] 웹사이트 Somali speaker says Ethiopian troops must leave https://reliefweb.in[...] 2006-12-03
[92] 간행물 Ethiopian Invasion of Somalia, US Warlordism & AU Shame https://www.jstor.or[...] 2007
[93] 서적 The Genesis of the civil war in Somalia: the impact of foreign military intervention on the conflict I. B. Tauris 2021
[94] 간행물 Accuracy of New UN Report on Somalia Doubtful https://jamestown.or[...] Jamestown Foundation 2006-11-21
[95] 서적 Al-Qaeda's Post-9/11 Devolution: The Failed Jihadist Struggle Against the Near and Far Enem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5-08-27
[96] 간행물 Incorporating Africa's Conflicts into the War on Terror http://www.tandfonli[...] 2007-08-23
[97] 웹사이트 President joins Somali clashes https://www.hiiraan.[...] 2006-12-09
[98] 잡지 WikiLeaked Cable Confirms U.S.' Secret Somalia Op https://www.wired.co[...] 2010-12-02
[99] 뉴스 Ethiopian army pays tribute to its soldiers that died in Somalia http://www.garoweonl[...] 2007-11-23
[100] 서적 Dirty Wars: The World Is a Battlefield https://books.google[...] PublicAffairs 2013-04-23
[101] 웹사이트 Ethiopia issues arrest warrant for Colonel who led deadly Somalia invasion https://www.garoweon[...] 2020-06-30
[102] 뉴스 Remnants of Somalia Islamists still pose a threat – official http://www.dehai.org[...] 2007-01-04
[103] 웹사이트 Somali Prime Minister Conciliatory After Talks About His Future http://www.hiiraan.c[...] 2007-10-19
[104] 웹사이트 Somali Capital Empties as Residents Flee Renewed Violence https://www.voanews.[...] 2007-11-13
[105] 뉴스 In Somalia, foreign intervention won't resolve Al Shabab threat https://www.csmonito[...] 2010-09-02
[106] 간행물 FAST Update Somalia: Trends in conflict and cooperation Feb - Mar 2007 2007-03-30
[107] 웹사이트 Tense Standoff In Somalia https://www.cbsnews.[...] 2024-01-11
[108] 간행물 Rediscovering Somalia Fairness & Accuracy in Reporting 2008-03
[109] 서적 Crusade and jihad: the thousand-year war between the Muslim world and the global north https://www.worldcat[...] Yale University Press 2018
[110] 뉴스 Somali Islamists weakened but not defeated https://www.reuters.[...] 2007-01-05
[111] 간행물 So Much to Fear: War Crimes and the Devastation of Somalia https://www.hrw.org/[...] 2008-12-08
[112] 웹사이트 Somali PM says 8,000 foreign fighters with Islamists - https://reliefweb.in[...] 2024-05-12
[113] 서적 Combatants on Foreign Soil https://au.int/sites[...] African Union 2007-06
[114] 웹사이트 Lawless Somalia draws influx of foreign fighters https://www.hiiraan.[...] 2024-05-12
[115] 뉴스 How US forged an alliance with Ethiopia over invasion https://www.theguard[...] 2024-06-20
[116] 뉴스 Ethiopia intervenes in Somali civil war https://www.csmonito[...] The Christian Science Monitor 2006-12-26
[117] 뉴스 Troops dig in as Somalia war fears grow http://www.reliefweb[...] Relief Web, Reuters 2007-01-05
[118] 웹사이트 Ciidamo Itoobiyaan ah oo la sheegay in ay ku soo siqayaan goobaha ay fadhiyaan Ciidamada Maxkamadda Islaamka Gobolka Hiiraan http://www.hiiraan.c[...] 2023-12-13
[119] 간행물 The Rise and Fall of Mogadishu's Islamic Courts http://www.tandfonli[...] 2007
[120] 뉴스 Heavy fighting erupts in Somalia http://news.bbc.co.u[...] 2024-03-09
[121] 뉴스 Somali Government, Islamists Reportedly in 'Heavy Fighting' on 'Several' Fronts World News Connection 2006-12-20
[122] 웹사이트 Somali govt, Islamists to resume talks amid clashes http://www.alertnet.[...] 2006-12-20
[123] 뉴스 Somalia fighting enters second day, Islamists reportedly advancing World News Connection 2006-12-21
[124] 웹사이트 Fighting erupts on Somali front near govt stronghold http://www.alertnet.[...]
[125] 서적 The New Pirates: Modern Global Piracy from Somalia to the South China Se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4-08-15
[126] 웹사이트 Afghanistan Again http://www.pajamasme[...] 2023-12-13
[127] 웹사이트 The Battle of Somalia http://billroggio.co[...] 2024-01-07
[128] 서적 Inside Al-Shabaab The Secret History of Al-Qaeda's Most Powerful All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8-10
[129] 간행물 WikiLeaked Cable Confirms U.S.' Secret Somalia Op https://www.wired.co[...] 2023-06-21
[130] 간행물 The U.S.–Africa Command and Pan-African Resistance http://www.tandfonli[...] 2010-05-20
[131] 서적 Dirty Wars: The World Is A Battlefield Nation Books 2013
[132] 서적 Middle East Airpower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Casemate Publishers 2010-07-19
[133] 서적 Dirty Wars: The World Is a Battlefield PublicAffairs 2013-04-23
[134] 서적 Dirty Wars: The World Is a Battlefield Nation Books 2013
[135] 웹사이트 'Somali Islamic Courts' Withdrawal Tactical' http://www.hiiraan.c[...] 2023-12-14
[136] 서적 Hormuud Habaabay: Milicsiga Kacdoonkii Maxaakiimta Islaamiga Ahaa (2006-2009kii) https://search.world[...] Hill Press
[137] 뉴스 Carnage as Somalia 'in state of war' http://www.cnn.com/2[...] 2007-01-05
[138] 웹사이트 Somalia fighting resumes http://english.aljaz[...] 2023-12-13
[139] 웹사이트 Somalia: Islamist fighters and Ethiopian backed militias clash in Bandiradley http://www.shabelle.[...] 2022-01-12
[140] 웹사이트 Ogaden rebels destroy Ethiopian military convoy en route to Somalia https://sudantribune[...] Ogaden National Liberation Front 2023-12-14
[141] 웹사이트 Islamists claim they seized Gasarte quite closer to Baidoa http://www.shabelle.[...] 2006-12-24
[142] 웹사이트 Ethiopia launches attack on Somalia https://www.aljazeer[...] 2024-07-28
[143] 뉴스 غارات جوية وإثيوبيا تعلن رسميا الحرب على محاكم الصومال https://www.aljazeer[...] 2006-12-24
[144] 뉴스 Ethiopian Warplane Air Bombs Mogadishu's Main Airport http://allafrica.com[...] 2006-12-25
[145] 뉴스 Ethiopia admits Somalia offensive http://news.bbc.co.u[...] 2024-01-07
[146] 뉴스 Ethiopian Gunship Helicopter Shot Down in Bandiradley http://allafrica.com[...] 2006-12-25
[147] 웹사이트 Ethiopian planes bomb Islamist-held airports in Somalia https://sudantribune[...] 2024-01-12
[148] 웹사이트 Ethiopians closing in on capital of Somalia https://www.nbcnews.[...] 2023-12-13
[149] 웹사이트 Islamic Courts Union https://cisac.fsi.st[...] Standford University
[150] 뉴스 القوات الإثيوبية تدخل مقديشو بعد انسحاب المحاكم https://www.aljazeer[...] 2006-12-28
[151] 뉴스 Ethiopians nearing Somali capital http://news.bbc.co.u[...] 2024-09-03
[152] 뉴스 Ethiopia urged to leave Somalia http://news.bbc.co.u[...] 2023-11-08
[153] 뉴스 المحاكم ترفض الاستسلام ومقديشو تتظاهر ضد الإثيوبيين https://www.aljazeer[...] 2006-12-29
[154] 서적 Al-Shabaab in Somalia: The History and Ideology of a Militant Islamist Group, 2005-2012 2013 2013
[155] 웹사이트 Expelling the Infidel: Historical Look at Somali Resistance to Ethiopia https://jamestown.or[...] 2024-09-03
[156] 뉴스 U.S. drone base in Ethiopia is operational https://www.washingt[...] 2024-05-04
[157] 웹사이트 Somalia insurgents accuse Kenya over border security https://www.reuters.[...] 2009-03-08
[158] 웹사이트 "A big white plane" spreads fear in Somali villages https://reliefweb.in[...] 2024-03-09
[159] 논문 From Al-Itihaad to Al-Shabaab: how the Ethiopian intervention and the 'War on Terror' exacerbated the conflict in Somalia https://www.tandfonl[...] 2018-11-02
[160] 웹사이트 Did U.S. action create Somali pirate haven? https://www.deseret.[...] 2024-03-13
[161] 서적 US Strategy in Africa: AFRICOM, Terrorism and Security Challenges Routledge 2010-02-25
[162] 뉴스 Somali elders say about 100 killed in US, Ethiopian air strikes https://www.abc.net.[...] 2024-10-25
[163] 뉴스 Somali herders hit by air attacks http://news.bbc.co.u[...] 2024-03-09
[164] 뉴스 Military Official Reports Second US Air Strike in Somalia http://voanews.com/e[...] Voice of America 2007-02-06
[165] 서적 Al-Shabaab in Somalia: The History and Ideology of a Militant Islamist Group, 2005-2012 2013 2013
[166] 웹사이트 Somalia: Warlordism, Ethiopian Invasion, Dictatorship and US's Role https://sudantribune[...] 2023-12-14
[167] 뉴스 Ethiopian troops to leave Somalia 'within weeks' https://www.theguard[...] 2010-05-27
[168] 뉴스 Islamic fighters defeated, Somali leader says https://www.nbcnews.[...] 2024-03-14
[169] 뉴스 Fears stalk Somalia's capital once again http://news.bbc.co.u[...] 2024-03-18
[170] 뉴스 Return of warlords as Somali capital is captured https://www.theguard[...] 2024-03-18
[171] 웹사이트 Former member of Islamic movement killed in Mogadishu https://www.hiiraan.[...] 2023-12-02
[172] 뉴스 Somalis Rail at Ethiopian Forces Two Killed as Protesters Smash Cars, Throw Stones in Mogadishu https://www.washingt[...] 2007-01-07
[173] 간행물 A sheikh returns to the fray 2008-12-12
[174] 뉴스 Kenya to expel Somali leaders http://www.eastandar[...] 2007-01-07
[175]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in Somalia ambush https://www.aljazeer[...] 2023-12-02
[176] 웹사이트 Gunmen attack Ethiopian troops in Mogadishu http://www.hiiraan.c[...] 2023-12-02
[177] 뉴스 المحاكم تتبنى هجمات مقديشو وتتوعد بالمزيد https://www.aljazeer[...] 2007-01-21
[178] 뉴스 Major Warlord Surrenders Arms to Somali Government https://www.washingt[...] 2007-01-20
[179] 웹사이트 Somalia: The Back-up Plan https://www.hiiraan.[...] 2024-09-03
[180] 서적 The Muslims Are Coming!: Islamophobia, Extremism, and the Domestic War on Terror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4-02-04
[181] 논문 Rejecting African Solutions to African Problems: The African Union and the Islamic Courts Union in Somalia https://www.tandfonl[...] 2021-04-03
[182] 서적 Complex Solutions to Local Problems: Constructed Narratives and External Intervention in Somalia’s Crisis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2024-11-05
[183] 웹사이트 AMISOM background https://amisom-au.or[...] AMISOM
[184] 서적 Peacekeeping and the African Union: Building Negative Pea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9-27
[185] 논문 Fragmented Peacekeeping: The African Union in Somalia http://www.tandfonli[...] 2016-01-02
[186] 웹사이트 Violence out of control, say Mogadishu residents https://www.thenewhu[...] 2024-03-10
[187] 웹사이트 First AU peacekeepers arrive in Mogadishu https://reliefweb.in[...] 2024-07-21
[188] 뉴스 Insurgency and intrigue could return Somalia to chaos https://sudantribune[...] 2007-03-15
[189] 간행물 The Production of Somali Conflict and the Role of Internal and External Actors https://www.jstor.or[...] Pluto Press 2024-01-11
[190] 뉴스 Somali leader rules out Islamists participation in reconciliation conference BBC Monitoring Africa 2007-03-16
[191] 뉴스 Somali insurgents step up attacks in Mogadishu LexisNexis 2007-03-18
[192] 웹사이트 Somalia: Routinely Targeted: Attacks on Civilians in Somalia https://www.amnesty.[...] 2008-05-06
[193] 서적 Post-Conflict Peace-Building in the Horn of Africa http://www.sirclund.[...] 2008
[194] 논문 Kapitel 12 Harakat al-Shabaab, and Somalia's current state of affairs https://www.jstor.or[...] 2011
[195] 웹사이트 World Report 2008 - Somalia https://www.refworld[...] 2024-02-24
[196] 뉴스 Somali Battles Bring Charges of War Crimes https://www.nytimes.[...] 2024-08-30
[197] 뉴스 Mogadishu Slides Toward Chaos https://content.time[...] 2024-05-04
[198] 웹사이트 Crash of an Ilyushin II-76TD in Mogadishu https://www.baaa-acr[...] 2024-12-11
[199] 웹사이트 An Ilyushin IL-76TD operated by Transaviaexport Airlines is shot down - Mogadishu, Somalia https://www.1001cras[...] 2024-12-11
[200] 뉴스 Ethiopian Helicopter Shot Down in Somali Capital https://www.nytimes.[...] 2007-03-30
[201] 뉴스 Helicopter shot down in Somalia http://news.bbc.co.u[...] 2024-09-05
[202] 웹사이트 Inside Africa's Guantánamo http://www.hiiraan.c[...] 2024-07-21
[203] 웹사이트 SOMALIA: Resistance to TFG deepens and diversifies https://dailybrief.o[...] Oxford Analytica 2024-08-29
[204] 웹사이트 Ogaden rebels denounce Ethiopian war crimes in Somalia https://sudantribune[...] 2024-07-09
[205] 논문 Ethiopia Faces Ethnic Fallout from Somalia Intervention https://jamestown.or[...] Jamestown Foundation 2007-06-05
[206] 서적 Hormuud Habaabay: Milicsiga Kacdoonkii Maxaakiimta Islaamiga Ahaa (2006-2009 kii) https://books.google[...] Hill Press 2015
[207] 웹사이트 Ethiopian PM admits errors on Somalia https://sudantribune[...] 2023-11-08
[208] 뉴스 Bomb attack on Somali PM's house http://news.bbc.co.u[...] 2010-05-27
[209] 뉴스 Somali militant group vows to continue with attacks in Mogadishu World News Connection 2007-10-29
[210] 웹사이트 Somalia: Situation Report - 19 Oct 2007 {{!}} OCHA https://www.unocha.o[...] 2023-12-29
[211] 뉴스 Heavy fighting in Somali capital http://news.bbc.co.u[...] BBC News 2024-07-29
[212] 웹사이트 Crowd drags Ethiopian corpse, echoing 1993 brutality http://www.cnn.com/2[...] 2023-12-27
[213] 뉴스 Familiar Scenes of Violence Arise in Mogadishu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07-11-20
[214] 뉴스 Ethiopia leaves key Somali town http://news.bbc.co.u[...] BBC 2007-12-28
[215] 웹사이트 Tensions Among Troops, Insurgents Fuel Further Violence in Somalia https://www.pbs.org/[...] 2024-09-24
[216] 웹사이트 Number of displaced in Somalia tops 1 million mark https://www.unhcr.or[...] 2024-03-18
[217] 웹사이트 Al Jazeera English - News - Somalia Says Rebels Regrouping http://english.aljaz[...] 2016-02-18
[218] 뉴스 Ethiopia in Somalia: One year on http://news.bbc.co.u[...] BBC News 2024-08-25
[219] 웹사이트 Prospects 2008: Worsening crises wrack Horn of Africa - Ethiopia https://reliefweb.in[...] Oxford Analytica 2024-05-04
[220] 논문 Political, Economic, and Ideological Warfare in Somalia https://www.tandfonl[...] 2019-07-03
[221] 뉴스 US fails to break Somali Islamists http://news.bbc.co.u[...] BBC News 2024-03-09
[222] 논문 No Place for Children https://www.hrw.org/[...] 2012-02-20
[223] 논문 Inside Look at the Fighting Between Al-Shabab and Ahlu-Sunna wal-Jama https://ctc.westpoin[...] 2008-03
[224] 웹사이트 Ethiopian soldiers beat, rape Somali woman https://sudantribune[...] 2024-07-09
[225] 웹사이트 AP Exclusive: Somali Islamists produce martyr video, the latest tactic aligning them with global extremist groups https://www.hiiraan.[...] 2024-03-31
[226] 논문 Revenge or reward? The case of Somalia's suicide bombers https://research-rep[...] 2010-07-22
[227] 간행물 The Growth of Radical Islam https://www.jstor.or[...] RAND Corporation 2024-03-31
[228] 서적 Somalia: To Move Beyond the Failed State https://icg-prod.s3.[...] International Crisis Group
[229] 웹사이트 The Impacts of Ethiopia's Invasion of Somalia https://www.hiiraan.[...] 2023-12-14
[230] 뉴스 Somali insurgents in deadly fight http://news.bbc.co.u[...] BBC News 2024-03-09
[231] 웹사이트 Somalia heads for crisis http://www.hiiraan.c[...] 2024-06-19
[232] 서적 Somalia Redux?: Assessing the New Somali Federal Governm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3-09-10
[233] 웹사이트 Fractured TFG undermines security prospects - Somalia https://reliefweb.in[...] Oxford Analytica 2024-05-04
[234] 웹사이트 Latest News http://www.somalinet[...] SomaliNet 2011-07-09
[235] 웹사이트 al-Shabaab reenter Dinsor, threaten to attack Baidoa http://www.garoweonl[...] 2008-03-19
[236] 뉴스 Somali town overrun by Islamists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5-27
[237] 웹사이트 ICU seizes central Somali town https://www.hiiraan.[...] 2024-05-08
[238] 뉴스 Somalia's Government Teeters on Collapse https://www.nytimes.[...] 2024-07-26
[239] 웹사이트 Mogadishu residents express outrage after Ethiopian troops attack mosque https://reliefweb.in[...] 2024-04-20
[240] 웹사이트 Bush/Neocon, Zinawi's Tigre Christian Crusade Against Somalia https://www.africasp[...] 2024-08-29
[241] 웹사이트 Divide Widens Between Insurgent Groups in Somalia https://www.voanews.[...] 2024-07-29
[242] 뉴스 قوات التحالف الصومالي تسيطر على مدينتي جوهر ومهداي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08-03-26
[243] 웹사이트 allAfrica.com: Somalia: Somali Rebels Seize Two More Towns (Page 1 of 1) http://allafrica.com[...] 2008-06-11
[244] 웹사이트 allAfrica.com: Somalia: Islamist Rebels in Secret Deal With Kismayo Port Militia (Page 1 of 1) http://allafrica.com[...] 2008-06-11
[245] 웹사이트 Islamists close in on Somali capital https://www.reuters.[...] 2008-12-14
[246] 뉴스 US Launches Airstrike in Somalia http://ap.google.com[...] Associated Press 2008-03-03
[247] 뉴스 US bombs Islamist town in Somalia http://news.bbc.co.u[...] BBC 2008-03-03
[248] 뉴스 Air raid kills Somali militants http://news.bbc.co.u[...] 2010-05-27
[249] 웹사이트 US' Somalia Policy Likely to Bring Blowback http://www.hiiraan.c[...] 2024-06-19
[250] 간행물 Somalia and global terrorism: A growing connection? http://www.tandfonli[...] 2010
[251] 웹사이트 Somalia - Can the UN Succeed where IGAD Failed? https://issafrica.or[...] 2024-10-01
[252] 서적 Routinely Targeted: Attacks on civilians in Somalia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08-05
[253] 서적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on the situation in Somalia https://www.security[...]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2008-07-16
[254] 뉴스 الصومال المحاكم الإسلامية تعلن سيطرتها على ثلاث مدن مهمة بالصومال https://www.aljazeer[...] 2008-06-29
[255] 뉴스 لمحاكم-تعلن-مقتل-مائة-إثيوبي-في https://www.aljazeer[...] 2008-07-07
[256] 웹사이트 Somalia: Situation Report No. 29 - 25 Jul 2008 {{!}} OCHA https://www.unocha.o[...] 2024-01-09
[257] 뉴스 المحاكم الإسلامية تؤكد مقتل مائة جندي صومالي وإثيوبي https://www.aljazeer[...] 2008-07-17
[258]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Attack Beledweyne http://www.hiiraan.c[...] 2024-06-19
[259] 뉴스 مواجهات دامية بين المحاكم الإسلامية والقوات الإثيوبية https://www.aljazeer[...] 2008-08-17
[260] 웹사이트 TFG on brink of collapse https://www.thenewhu[...] 2024-05-06
[261] 웹사이트 ICU Spokesman: We Will Continue Attacks on Ethiopian and Somali Military Bases http://www.hiiraan.c[...] 2024-06-19
[262] 웹사이트 allAfrica.com: Somalia: Islamic Court Opened Near Mogadishu (Page 1 of 1) http://allafrica.com[...] 2008-06-11
[263] 웹사이트 Somalia teeters on brink of breakdown https://www.inquirer[...] 2024-07-26
[264] 서적 Between Somaliland and Puntland: Marginalization, militarization and conflicting political visions https://riftvalley.n[...] Rift Valley Institute
[265] 웹사이트 The Somali National Army Versus al-Shabaab: A Net Assessment https://ctc.westpoin[...] 2024-05-04
[266] 뉴스 Ethiopia's Somalia dilemma http://news.bbc.co.u[...] 2024-05-29
[267] 뉴스 'Thousands' desert Somalia forces http://news.bbc.co.u[...] 2024-05-06
[268] 뉴스 Carnage in Somali market shelling http://news.bbc.co.u[...] 2024-03-09
[269] 웹사이트 Unified Ethiopian Opposition Seeks Troop Withdrawal From Somalia https://www.voanews.[...] 2023-11-12
[270]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remain in Somali capital https://edition.cnn.[...] 2024-09-03
[271] 뉴스 7 Somali soldiers, Ethiopian officer defect to insurgency http://www.garoweonl[...] 2008-09-07
[272] 뉴스 Islamists Continue Advance Through Somalia https://www.nytimes.[...] 2024-05-29
[273] 웹사이트 Somali Islamists emboldened, eyes on capital https://www.nbcnews.[...] 2024-01-09
[274] 웹사이트 How the War on Terror pushed Somalia into the arms of al-Qaeda https://www.hiiraan.[...] 2024-08-05
[275] 뉴스 Somali parliament to be doubled http://news.bbc.co.u[...] 2010-05-27
[276] 웹사이트 Somali gov't, opposition sign power-sharing deal – People's Daily Online http://english.peopl[...] English.people.com.cn 2011-07-09
[277] 웹사이트 DAILY NATION – Somali MPs accept terms http://www.nation.co[...] Nation.co.ke 2011-07-09
[278] 웹사이트 Think-tank calls to involve Somali Islamists in political process https://sudantribune[...] 2024-09-03
[279] 뉴스 Profile: Abdullahi Yusuf Ahmed http://news.bbc.co.u[...] 2024-05-04
[280] 웹사이트 Somali president sacks government https://www.aljazeer[...] 2024-09-03
[281] 웹사이트 Ethiopia set for Somalia pull out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08-12-23
[282] 뉴스 Ethiopia says AU peacekeepers to quit Somalia too https://www.reuters.[...] 2008-12-11
[283] 웹사이트 Somalia's coming anarchy https://foreignpolic[...] 2024-09-03
[284] 뉴스 Somali president resigns amid power struggle https://www.theguard[...] 2024-09-23
[285] 웹사이트 Somali Government In Exile; Islamists Take Over https://www.npr.org/[...] 2009-01-29
[286] 웹사이트 Ethiopia to pullout Somalia after guarantying safe departure of AU troops – PM http://www.sudantrib[...] SudanTribune article 2011-07-09
[287] 뉴스 Thousands cheer Ethiopia pull-out http://news.bbc.co.u[...] 2024-03-09
[288] 웹사이트 The Somali National Army Versus al-Shabaab: A Net Assessment https://ctc.westpoin[...] 2024-06-30
[289] 논문 The Evolution of Political Violence: The Case of Somalia's Al-Shabaab https://www.tandfonl[...] 2023-12-28
[290] 뉴스 Moderate Islamist picked as Somali president http://edition.cnn.c[...] CNN 2011-07-09
[291] 웹사이트 Moderate Islamists seize town from Somali insurgents http://www.monstersa[...] Monstersandcritics.com 2011-07-09
[292] 웹사이트 Ahlu Suna Wal Jamea supported by Ethiopian government http://ethioforum.or[...] Ethioforum.org 2011-07-09
[293] 웹사이트 Moderate Islamic group claims victory over rival hardline group http://www.mareeg.co[...] Mareeg.com 2011-07-09
[294] 뉴스 Rebels target new president http://in.reuters.co[...] In.reuters.com 2011-07-09
[295] 논문 Fragmented Peacekeeping: The African Union in Somalia http://www.tandfonli[...] 2016-01-02
[296] 뉴스 Somalia: Ethiopian troops 'to hand over to AU force' https://www.bbc.com/[...] 2023-10-27
[297] 웹사이트 Ethiopia finds itself ensnared in Somalia https://www.nbcnews.[...] 2023-10-27
[298] 서적 African Standby Force https://books.google[...] AFRICAN SUN MeDIA 2017-10-28
[299] 웹사이트 Ethiopia readying southern Somalia surge against Al-shabab http://www.geeskaafr[...] Geeska Afrika 2009-02-08
[300] 서적 Al-Qaeda's Post-9/11 Devolution: The Failed Jihadist Struggle Against the Near and Far Enem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4-02-27
[301] 서적 Counterinsurgency in Somalia: Lessons Learned from the African Union Mission in Somalia, 2007-2013 http://www.dehai.org[...] Joint Special Operations University
[302] 서적 Twenty Years of Collapse and Counting The Cost of Failure in Somalia https://cdn.american[...]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303] 뉴스 Ethiopia premier says army went to Somalia to foil Eritrean 'conspiracy' 2009-03-19
[304] 웹사이트 At least 3,500 AU soldiers killed in fight against Al-Shabaab in Somalia https://www.garoweon[...] 2023-10-30
[305] 서적 External Intervention in Somalia's civil war: Security promotion and national interests http://www.dehai.org[...] Totalförsvarets forskningsinstitut
[306] 뉴스 Sharif back in Mogadishu as death toll hits 16,210 https://www.reuters.[...] 2008-12-11
[307] 뉴스 Somali FM accuses Ethiopia of killing over 20,000 civilians during 2007-2008 invasion https://somalisignal[...] 2024-08-22
[308]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unwelcome to Somalia, they killed 20,000 citizens - FM https://www.garoweon[...] 2024-08-29
[309] 논문 So Much to Fear: War Crimes and Devastation in Somalia https://www.hrw.org/[...] 2008-08-12
[310] 웹사이트 TPLF loyalists should understand that selective justice is injustice https://www.fanabc.c[...] 2024-08-19
[311] 서적 Crusade and jihad: the thousand-year war between the Muslim world and the global north https://www.worldcat[...] Yale University Press 2018
[312]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cut throats in Somalia: Amnesty http://www.hiiraan.c[...] 2024-06-19
[313] 뉴스 Clerics killed in Somali mosque http://news.bbc.co.u[...] 2022-03-23
[314] 웹사이트 Ethiopia PM Charges 'Smear Campaign' Against Troops in Somalia http://www.hiiraan.c[...] 2024-06-19
[315] 뉴스 EU given war crime warning over Somalia aid https://www.theguard[...] 2024-06-20
[316] 웹사이트 Call for inquiry into US role in Somalia http://www.hiiraan.c[...] 2024-06-20
[317] 뉴스 Ethiopia Invades Somalia In Fight Against Al-Shabab https://www.npr.org/[...] NPR 2012-01-11
[318] 서적 Terrorism and Political Contention: New Perspectives on North Africa and the Sahel Reg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Switzerland 2024-04-03
[319] 뉴스 Thousands flee as shelling by Ethiopian tanks kills hundreds of civilians in Somali capital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4-08-09
[320] 웹사이트 Ethiopian Invasion of Somalia, a Debacle U.S. Official says https://mshale.com/2[...] 2024-08-25
[321] 웹사이트 Who Could Have Predicted the U.S. War in Somalia Would Fail? The Pentagon. https://theintercept[...] 2024-07-27
[322] 웹사이트 Endless War https://www.c-r.org/[...] Accord 2010-02
[323] 서적 Who's who in the Somali Insurgency: A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Jamestown Foundation 2009
[324] 뉴스 In the Quicksands of Somalia https://www.foreigna[...] Foreign Affairs 2024-07-25
[325] 서적 Eurojiha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326] 뉴스 In the Quicksands of Somalia https://www.foreigna[...] Foreign Affairs 2024-07-25
[327] 웹사이트 وزير العدل الصومالي: السياسة الإثيوبية تجاه الصومال ستشعل المنطقة https://www.alaraby.[...] 2024-03-16
[328] 웹사이트 Piracy Off Somalia's Coast Increases http://www.hiiraan.c[...] 2007-10-17
[329] 서적 The New World Order Ideology and Africa: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Ambiguity, Deceit and Recapture of Decolonized Spaces in 21st Century Historical Argument and Presentation https://books.google[...] African Books Collective 2010
[330] 웹사이트 allAfrica.com: Somalia: Hawiye Elders Say Mediation Efforts Going Well (Page 1 of 1) http://allafrica.com[...] 2009-02-10
[331] 웹사이트 Somalia's New President Continues Push for Insurgent Support http://www.voanews.c[...] Voanews.com 2011-07-09
[332] 간행물 The Evolution of Political Violence: The Case of Somalia's Al-Shabaab https://www.tandfonl[...] 2023-12-28
[333] 서적 Somalia Redux?: Assessing the New Somali Federal Governm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3-09-10
[334]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return to Somalia https://sudantribune[...] 2023-10-26
[335] 웹사이트 Somali parties call for removal of Ethiopian troops, blast "colluding" AU envoy https://www.somaliaf[...] Somali Affairs 2020-05-21
[336] 웹사이트 Ethiopia Withdraws Thousands of Troops From Neighboring Somalia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20-11-13
[337] 뉴스 Al-Shabab seeks to 'put down roots' in Ethiopia https://www.lemonde.[...] Le Monde 2024-07-14
[338] 웹인용 Somalia signs deal with militia – Africa http://english.aljaz[...] Al Jazeera English 2011-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