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켄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켄족은 스스로를 모켄이라고 부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태국 서해안, 미얀마의 메르기 제도 등지에 거주한다. 전통적으로 배에서 생활하며 어업, 수렵, 채집을 통해 생계를 유지한다. 이들은 수중 시력이 뛰어나며, 2004년 쓰나미 발생 시 징조를 감지하여 많은 생명을 구하기도 했다. 미얀마와 태국 정부는 모켄족을 자국 문화에 동화시키려 시도했으나, 토지 강탈 등의 문제도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태국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근현대 유목민 - 몽골족
    몽골족은 유라시아 대륙에 거주하며 몽골어족을 사용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문화를 공유하는 민족 집단으로, 몽골 제국을 건설하여 유라시아에 영향력을 미쳤으며 현대에도 정체성을 유지하며 발전하고 있다.
  • 근현대 유목민 - 부랴트인
    부랴트인은 러시아 부랴티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며 몽골 제국의 일원이었던 몽골계 민족으로, 바이칼호 주변에서 반유목 생활을 하며 샤머니즘과 티베트 불교를 믿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높은 사상자 비율로 논란이 되었다.
  • 미얀마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미얀마의 민족 - 라카인족
    라카인족은 미얀마 라카인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를 이루며 아라칸어를 사용하고, 독립 후에도 로힝야족과의 갈등과 군부 탄압 속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투쟁하며 방글라데시와 인도에도 거주한다.
모켄족
기본 정보
다른 이름모켄
마우켄
모건
현지 이름ဆလုံလူမျိုး (살롱 루묘)
태국어 이름ชาวเล (차오 레, 바다 사람들)
얼굴에 타나카를 바른 모켄 소녀
얼굴에 타나카를 바른 모켄 소녀
거주 지역태국
미얀마
언어모켄어
말레이어
타이어
버마어
기타
종교조상 숭배
불교
이슬람교
관련 민족말레이인
오랑 라우트
바자우족

2. 명칭

모켄족은 스스로를 모켄이라고 부른다. 이 명칭은 태국 서해안의 안다만 해와 사툰, 뜨랑, 끄라비, 푸껫, 팡응아, 라농을 포함하여 미얀마의 메르기 제도까지 거주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사용하는 모든 부족에게 사용된다.[7] 버마어로는 "살론(Salone)"이라고 부른다.[8] 태국에서는 "차오 레(chao le)"라고 불리는데, 이는 "바다에서 살며 해양 생계를 추구하는 사람들" 또는 오스트로네시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의미할 수 있다.[7] "차오 남(chao nam)"("물의 사람들")이라는 용어도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우라크 라보이와 심지어 오랑 라우트까지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태국에서는 동화된 모켄족을 "타이 마이(Thai mai)"("새로운 태국인")라고 부른다. 유목 생활 방식 때문에 모켄족은 종종 "바다 집시"(로마인과는 관련 없음)[9][10]라고도 불리며, 이는 동남아시아의 여러 민족에게 적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3. 역사

모켄족의 역사적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추측이 있다.[18]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들은 5000년에서 6000년 전 중국 남부에서 농경인으로 기원했을 것으로 여겨진다.[18] 그곳에서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은 흩어져 다양한 동남아시아 섬에 정착했다. 모켄족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이러한 해안 섬에서 강제로 쫓겨나 물 위에서 유목 생활을 하게 되었다는 이론이 있다.[18]

4. 생활 양식

모켄족은 전통적으로 "카방(kbang)"이라고 불리는 배에서 생활하며, 이는 운송 수단이자 주방, 침실, 생활 공간으로 사용된다.[14][15] 수린 제도의 마지막 ''카방''은 2006년에 건조되었고, 전통을 부활시키려는 계획은 2018년에 시작되었다.[16] 건기에는 카방에서 생활하고, 우기에는 육지에 임시 캠프를 설치한다.[2]

모켄족의 배. 전통적인 태국 어선에는 없는, 뱃머리가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을 주목하라.


이들은 어업, 수렵, 채집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해삼, 식용 제비집, 진주 등을 채취하여 외부와 교역하기도 한다.[7] 천연 자원을 공동체의 공유 재산으로 여기는 평등주의 사회이며, 조상 숭배를 제외하고는 종교가 없다.[13]

유행병(콜레라, 천연두)이나 분쟁 발생 시 유목 생활을 통해 대처한다.[7] 영향을 받은 당사자는 한 친족 집단을 떠나 다른 집단에 들어가 거리를 두고 불화가 가라앉게 할 수 있다.[7]

최근에는 미얀마 정부의 정책에 따라 해안에서 정주 생활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한편으로는 상업적 어업으로 인해 어개류를 싹쓸이 당하는등 전통적인 어업 방식이 위협받고 있다.

4. 1. 수중 시력

대부분의 인류는 수중에서 맨눈으로 시력이 매우 나빠진다. 이는 눈의 각막이 빛을 망막에 초점을 맞추는 데 실패하기 때문이다. 공기 중에서 각막은 빛의 초점 조절의 3분의 2를 수행하지만, 수중에서는 이것이 사라져 흐릿함을 유발한다.[19] 그러나 모켄족 아이들은 조개, 해삼 등을 채취하기 위해 자유 잠수를 하는 동안 수중에서도 볼 수 있다. 안나 기슬렌과 동료들은 이 아이들이 유럽 아이들보다 수중 시력이 두 배 이상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20]

연구자들은 모켄족 아이들이 수중에서 동공 반사를 통해 동공수축시키고, 눈의 렌즈의 굴절력을 최대치로 증가시키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동공 크기를 줄이면 눈의 초점 심도가 향상되어 흐릿함이 감소하며, 눈의 렌즈의 굴절력을 높여도 흐릿함이 감소한다.[21]

연구자들은 모켄족 아이들의 수중 시력에 대한 다른 가능한 설명들을 배제했다. 그들은 진화 과정에서 각막에서 눈의 렌즈로 초점 조절 능력을 이전하지 않았다. 그들의 눈은 근시가 아니며, 렌즈의 굴절력을 변경하는 능력도 뛰어나지 않다.[19] 이후 기슬렌 등은 유럽 아이들에게 훈련을 시켜 수중 시력을 향상시켰는데, 이는 렌즈의 굴절력을 높이고 동공의 직경을 줄이는 방법이다. 그 결과 유럽 아이들이 훈련 후 모켄족 아이들만큼 수중에서 잘 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발견했다.[20]

5. 분포 및 정착

미얀마와 태국 정부는 모켄족을 자국 문화에 동화시키려는 시도를 해왔지만, 이러한 노력은 제한적인 성공을 거두었다.[22][23][24] 1990년대 미얀마 군사 정권이 바다 유목민들을 육지 지역으로 강제 이주 시켰다는 보고가 있으며, 1997년까지 대부분의 모켄족이 이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1990년대 미얀마 전역에서 의심스러운 민족, 경제, 정치 집단을 대상으로 행해진 만연한 강제 이주 패턴과 일치한다.[13]

태국 모켄족은 수린 섬(무 코 수린 국립공원)과 푸껫 주, 푸껫 섬 북서부 해안, 그리고 끄라비 주의 인근 피피 섬에 영구적으로 정착했다.[13] 그러나 개발업자들이 조상 대대로 내려온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토지 강탈의 대상이 되었다. 유목민은 수 세기 동안 태국의 안다만 해안 지방에 거주해 왔지만, 법적 절차에 대한 지식 부족과 무관심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토지에 대한 공식적인 소유권을 등록하는 것을 소홀히 해왔다.[13] 도쿄 신문에 따르면, 모켄족은 해안을 따라 고상 가옥을 짓고 육지에 정착하고 있으며, 아이들은 내륙의 학교에 다니고 있다고 한다.

6. 2004년 쓰나미

2004년 쓰나미 복구 과정에서 모켄족이 거주하는 섬들이 많은 주목을 받았다. 바다에 매우 익숙한 수린 제도의 모켄족은 2004년 12월 26일에 덮친 쓰나미의 징조를 알아차리고 많은 생명을 구했다.[25] 그러나 팡응아 주의 탑 타완과 같은 해안 마을에서는 다른 모켄족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주택과 어선이 심각하게 파괴되었다.[26]

7.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논문 The Sea Nomads: A Study Based on the Literature of the Maritime Boat People of Southeast Asia
[2] 웹사이트 Moken sea-gypsies http://www.lampipark[...] International Scientific Network Tanaosri 2023-07-14
[3] 문서
[4] 웹사이트 'The ocean is our universe' - Survival International http://www.survivali[...] Survivalinternational 2017-01-08
[5] 웹사이트 The Moken of Burma and Thailand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7-01-08
[6] 웹사이트 The Moken http://projectmoken.[...] Projectmoken.com 2017-01-08
[7] 논문 Moken Traditional Knowledge: An Unrecognised Form of Natural Resources Management and Conservation 2006-12-20
[8] 서적 The Selungs of the Mergui Archipelago Trübner & Co.
[9] 간행물 Moken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0] 서적 The Impact of Tourism on the Livelihood Strategies of the Moken 'Sea Gypsies': A Case Study on Koh Phayam, Thailand https://edepot.wur.n[...] Wageningen UR
[11] 웹사이트 Urak Lawoi' https://www.ethnolog[...]
[12] 웹사이트 Urak Lawoi of the Adang Archipelago, Tarutao National Marine Park, Satun Province, Thailand https://web.archive.[...] 2005-12
[13] 뉴스 Sea gypsies turning the tide http://www.bangkokpo[...] 2017-02-12
[14] 논문 ''Kabang'': the living boat http://journals.open[...] 2023-07-14
[15] 웹사이트 The Moken Kabang http://indigenousboa[...] 2023-07-14
[16] 웹사이트 Build a New Moken Kabang Houseboat https://www.andamann[...] North Andaman Network Foundation 2023-07-14
[17] 뉴스 The South Asian monsoon, past, present and future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online: free registration or subscription) 2019-08-20
[18] 서적 Proto-Austronesian Phonology with Glossary Cornell University Press
[19] 논문 Superior Underwater Vision in a Human Population of Sea Gypsies 2003-05
[20] 논문 Visual training improves underwater vision in children 2006-10
[21] 논문 Children of Sea See Clearly Underwater http://www.projectma[...] 2018-05-06
[22] 웹사이트 Environmental, social and cultural settings of the Surin Islands http://www.unesco.or[...]
[23] 웹사이트 "Mu Ko Surin National Park" National Park, Wildlife and Plant Conservation Department, Bangkok, Thailand https://archive.toda[...]
[24] 문서 2005-11
[25] 서적 Indigenous Knowledg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Good Practices and Lessons Learned from Experiences in the Asia-Pacific Region https://www.unisdr.o[...] 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23-07-12
[26] 뉴스 PHOTOS: Thailand's fisherfolk rebuild after tsunami http://www.alertnet.[...] Reuters Foundation 2023-07-14
[27] 뉴스 危険なイカダで通学…見かねた外国人ボランティアが寄付募り完成した橋 海洋民族、18年越しの悲願 https://www.tokyo-np[...] 2024-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