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의 대통령은 몽골의 국가 원수이며, 1990년 대통령 칭호가 채택되었다. 초대 대통령은 1990년 9월 3일 몽골 인민 공화국의 마지막 대통령이 된 푼살마깅 오치르바트이다. 몽골은 1924년부터 1992년까지 몽골 인민 공화국으로 사회주의 국가였으며, 이 시기에는 인민대회 의장, 인민 소회의 간부회 의장 등 다양한 직함이 국가 원수 역할을 했다. 몽골 대통령은 4년마다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총리 지명, 법안 거부권 행사, 사법 인사 승인 등의 권한을 갖는다. 대통령 관저는 일반적으로 복드 칸 산에 위치한 이흐 텡게르 단지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 정부 - 국가대후랄
국가대후랄은 몽골의 단원제 의회로서, 민주화 과정을 거쳐 현재의 형태로 개편되었으며, 2023년 헌법 개정을 통해 의석수 증가와 선거 제도 변경이 이루어졌고, 입법 및 감시 권한을 수행하며 대통령과 함께 주요 기능을 담당한다. - 몽골 정부 - 몽골의 총리
몽골의 총리는 몽골 정부의 수반으로 내각 장관, 아이막 주지사, 울란바토르 시장을 임명할 권한을 가지며, 1912년 처음 설치된 이후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는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이 역임하고 있다. - 몽골의 대통령 - 복드 칸
복드 칸은 몽골의 종교적, 정치적 지도자로, 1911년 몽골 독립 후 칸으로 추대되어 1924년 사망할 때까지 통치했으며 그의 사후 몽골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몽골의 대통령 - 폰살마깅 오치르바트
폰살마깅 오치르바트는 몽골의 정치인으로, 1990년부터 1997년까지 대통령을 역임하며 몽골 민주화 혁명 이후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퇴임 후에는 빈곤 완화 및 환경 보호 활동을 펼쳤다. - 몽골의 정치인 - 복드 칸
복드 칸은 몽골의 종교적, 정치적 지도자로, 1911년 몽골 독립 후 칸으로 추대되어 1924년 사망할 때까지 통치했으며 그의 사후 몽골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 몽골의 정치인 - 이태준 (1883년)
이태준은 대한제국과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의사이자 독립운동가로, 세브란스 의학교 졸업 후 몽골에서 의료 활동을 펼치며 독립운동 자금 지원에 헌신하여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몽골의 대통령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대통령 |
국가 | 몽골 |
현직 | 우흐나깅 후렐수흐 |
임기 시작 | 2021년 6월 25일 |
호칭 | 각하 |
지위 | 국가 원수 |
소재지 | 울란바토르, 몽골 |
후보 지명 | 국민 대후랄 정당 대표의 추천을 받음 |
임명 | 직접 국민 투표 |
취임 | 푼살마긴 오치르바트 |
임기 | 6년, 연임 불가 |
임기 조건 | 해당 사항 없음 |
법적 근거 | 몽골 헌법 |
부통령 | 몽골 부통령 (1990–1992) 국민 대후랄 의장 (1992–현재) |
연봉 | 82,393,920 몽골 투그릭/미화 24,304 달러 (2024년) |
설립일 | 1990년 9월 3일 |
웹사이트 | president.mn |
관저 | 이흐텡게르 복합단지 대통령 관저 |
로마자 표기 | Mongol Ulsiin Yörönkhiilögch |
정치 | |
임명 방식 | 국민 대후랄 |
선출 방식 | 직접 선거 |
이전 직책 | 몽골 인민공화국 인민 대후랄 간부회의 의장 |
2. 역사
몽골의 대통령직은 몽골의 민주화 이전에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지만, 사회주의 시대에도 비슷한 역할을 담당하는 관직이 있었다. 몽골의 초대 대통령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는데, 복드 칸 정권의 칸이자 제브준담바 호토그트 8세(복드 칸, Jebtsundamba|젭춘담바영어 Khutugtu: 몽골의 티베트 불교 수장이자 종교, 정치 지도자, 환생 라마)가 초대 "대통령"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그 이후의 비종교적 지도자에게 사용된다.
1924년 임시 수장이었던 바링긴 체렌도르지가 초대 대통령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공식적으로 지도자가 된 것은 1924년 11월 28일 인민회의 의장으로 지명된 나반도르지 야단바이다.[1] 그로부터 하루 뒤, 지도 권한은 인민 소회의 간부회의 의장으로 재편성되었으며,[1] 곧 칭호가 인민회의 간부회의 의장으로 변경되었다.[1] 1990년 "대통령" 칭호가 채택되어 현재에 이른다.[1]
몽골 인민 공화국 시대(1924년~1992년)에는 국가 원수의 명칭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90년, 몽골은 민주화 혁명을 통해 다당제와 대통령제를 도입하였다. 1992년 2월 12일, 국호가 "몽골 인민 공화국"에서 "몽골"으로 변경되면서 몽골 인민 공화국 시대는 막을 내렸다.[16]
2. 1. 몽골 제국 이전
몽골의 초대 대통령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이 칭호는 몽골의 민주화 이전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지만, 비슷한 역할을 담당하는 관직은 사회주의 시대에도 존재했다. 복드 칸 정권의 칸이자 제브준담바 호토그트 8세(복드 칸, Jebtsundamba|젭춘담바영어 Khutugtu: 몽골의 티베트 불교 수장이자 종교, 정치 지도자, 환생 라마)는 초대 "대통령"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그 이후의 비종교적 지도자에게 사용된다.2. 1. 1. 복드 칸 정권 (1911-1924)
몽골의 초대 대통령이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이 칭호는 몽골의 민주화 이전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지만, 비슷한 역할을 담당하는 관직은 사회주의 시대에도 존재했다. 복드 칸 정권의 칸이자 제브준담바 호토그트 8세(복드 칸, Jebtsundamba|젭춘담바영어 Khutugtu: 몽골의 티베트 불교 수장이자 종교, 정치 지도자, 환생 라마)는 초대 "대통령"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그 이후의 비종교적 지도자에게 사용된다. 1924년 임시 수장이었던 바링긴 체렌도르지가 초대 대통령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공식적으로 지도자가 된 것은 1924년 11월 28일 인민회의 의장으로 지명된 나반도르지 야단바이다.[1] 그로부터 하루 뒤, 지도 권한은 인민 소회의 간부회의 의장으로 재편성되었다.[1] 그 후 곧 칭호가 변경되면서 인민회의 간부회의 의장으로 변경되었다.[1] 그리고 1990년 "대통령" 칭호가 채택되어 현재에 이른다.[1]칸 (1911-1924) | |||||||
---|---|---|---|---|---|---|---|
대 | 칸 | 소속 정당 | 임기 | 재위 기간 | 비고 | ||
1 | 복드 칸 Богд хаан|복드 한mn | -- | 무소속 | - | 1911년 12월 29일 - 1924년 5월 20일 | 재임 중 사망 | |
— | 바링긴 체렌도르지 Балингийн Цэрэндорж|발링깅 체렌도르지mn | -- | 몽골 인민 혁명당 | 1 | 1924년 5월 20일 - 1924년 11월 28일 | 원수 대행 (총리) |
2. 2. 몽골 인민 공화국 (1924-1992)
ᠮᠣᠩᠭᠣᠯ ᠤᠯᠤᠰmn 몽골 인민 공화국 시대(1924년~1992년)에는 국가 원수의 명칭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시기 | 직함 | 비고 |
---|---|---|
1924년 | 인민대회 의장 | 나반도르지인 자담바가 유일. |
1924년 ~ 1951년 | 인민 소회의 간부 회의 의장 | 펠지디인 겐덴, 호르로깅 초이발상 등이 역임. |
1951년 ~ 1990년 | 인민 대회 간부 회의 의장 | 곤치깅 붐첸드, 잠스란깅 삼부, 욤자깅 체덴발, 잠빈 바트뭉흐 등이 역임. |
1990년 ~ 1992년 | 대통령 | 푼살마깅 오치르바트가 몽골 인민 공화국 최후의 대통령을 역임. |
1990년, 몽골은 민주화 혁명을 통해 다당제와 대통령제를 도입하였다. 1992년 2월 12일, 국호가 "몽골 인민 공화국"에서 "몽골"으로 변경되면서 몽골 인민 공화국 시대는 막을 내렸다.[16]
2. 3. 몽골 (1992-현재)
Пунсалмаагийн Очирбатmn
Нацагийн Багабандиmn

Намбарын Энхбаярmn

Цахиагийн Элбэгдоржmn

Халтмаагийн Баттулгаmn

Ухнаагийн Хүрэлсүхm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