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 총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의 총리는 몽골 정부의 수반으로, 내각 장관 임면, 21개 아이막 주지사 및 수도 울란바토르 시장 임명 권한을 갖는다. 1912년 몽골 독립 직후 총리직이 처음 설치되었으나, 1924년 몽골 인민 공화국 수립 이후 각료 회의 의장 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90년 민주화 이후 다시 총리직으로 환원되었다. 1992년 몽골 헌법 제정 이후 현재까지 15명의 총리가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 정부 - 국가대후랄
국가대후랄은 몽골의 단원제 의회로서, 민주화 과정을 거쳐 현재의 형태로 개편되었으며, 2023년 헌법 개정을 통해 의석수 증가와 선거 제도 변경이 이루어졌고, 입법 및 감시 권한을 수행하며 대통령과 함께 주요 기능을 담당한다. - 몽골 정부 - 몽골의 대통령
몽골의 대통령은 4년마다 선출되는 국가 원수로서, 총리 후보 지명, 법안 거부권 행사, 군 최고 사령관 역할 등 다양한 권한을 가지며, 몽골 국적을 가진 45세 이상 시민으로서 5년 이상 거주해야 한다. - 몽골의 총리 - 미예곰빈 엔흐볼드
미예곰빈 엔흐볼드는 몽골의 정치인으로, 울란바토르 시의회 의장, 시장, 몽골 인민당 총재, 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2017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 몽골의 총리 - 잠빙 바트뭉흐
잠빙 바트뭉흐는 1984년부터 1990년까지 몽골의 지도자로 재임하면서 에너지 및 광업 인프라 구축, 소련과의 동맹 강화,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했으며, 1990년 몽골 민주화 혁명 당시 평화적인 정권 이양을 선택하여 몽골 민주화에 기여한 몽골의 정치인이다.
몽골의 총리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총리 |
국가 | 몽골 |
관할 부서 | 몽골 행정부 |
구성원 | 국가안전보장회의 |
거주지 | 정부청사, 울란바토르 |
임명권자 | 국가대회 |
임기 | 4년 (연임 가능) |
첫 총리 | 톡스-오치린 남난수렌 (1912년) |
첫 총리 (인민 공화국) | 다시인 뱜바수렌 (1990년) |
약칭 | 총리 |
부총리 | 몽골의 부총리 |
연봉 | 62,102,880 몽골 투그리크/미화 18,393달러 (2024년) |
역사 | |
직위 생성 | 1912년 11월 |
재창설 | 1990년 9월 11일 |
현직 | |
현 총리 | 루브산남스라이 오윤에르데네 |
취임일 | 2021년 1월 27일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권한
총리는 내각 장관을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는 전권을 가진다.[6] 또한, 21개의 아이막 주지사와 수도 울란바토르 시장을 임명한다.[7][11]
몽골의 총리직은 1912년 복드 칸국이 외몽골 지역의 청나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직후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비록 당시 국제적인 승인을 받지는 못했지만, 1912년 7월 몽골 왕공 퇴그스오치린 남난수렌이 초대 총리로 임명되었다.[12] 초대 총리 선정 과정에는 약간의 혼란이 있으나, 몽골 정부는 남난수렌을 공식적인 첫 총리로 간주한다.
3. 역사
이후 몽골은 1915년 캬흐타 조약으로 중화민국의 종주권 아래 자치국으로 지위가 격하되었고, 1919년에는 자치권마저 철폐되는 등[13] 정치적 격변을 겪었다. 1921년 몽골 인민당이 주도하여 두 번째 독립을 선언하고 인민 정부를 수립했으며[14], 1924년 복드 칸 사후에는 군주제를 폐지하고 몽골 인민 공화국을 건국했다.
공화국 수립과 함께 총리직은 '인민 위원회 의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32년에는 '각료 회의 의장'으로 다시 바뀌었다.[15] 이 명칭은 1940년 제2차 헌법에도 명시되었다. 1990년 민주화 과정에서 '총리'라는 직명이 부활했으며[15], 1992년 현행 몽골국 헌법 채택으로 공식화되었다. 이처럼 직책 명칭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지만, 현대 몽골 정부는 1912년부터 총리직이 계속 이어져 온 것으로 보고 역대 직책 보유자 모두를 총리로 인정하고 있다.
3. 1. 몽골 독립 이전
1911년 외몽골 혁명으로 몽골이 청나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복드 칸국이 수립된 직후인 1912년 7월, 총리직이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초대 총리로는 몽골 왕공 퇴그스오치린 남난수렌이 임명되었다.[12] 당시 임시 정부에서 라마 체렌치메드가 내무부 장관으로서 총리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여 초대 총리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몽골 정부는 남난수렌을 공식적인 초대 총리로 간주한다.
그러나 1915년 캬흐타 조약이 체결되면서 몽골은 중화민국의 종주권 아래에 있는 자치국으로 지위가 격하되었다. 1919년에는 남난수렌 총리가 소련 적군에게 협력을 요청했으나 실패하였고[13], 결국 자치권마저 철폐되었다.
1920년에는 러시아 백군의 로만 폰 웅게른 장군이 몽골을 침략하여 중화민국 군대를 몰아내고 복드 칸을 다시 복위시켰다. 하지만 웅게른 군대의 잔혹 행위에 대한 반발과 적군의 지원에 힘입어, 1921년 3월 13일 몽골 인민당을 중심으로 한 임시 정부가 조직되었다.[14] 같은 해 7월, 인민당은 수도 흐레(현재의 울란바토르)를 점령하고 인민 정부를 수립했으며, 9월에는 몽골의 두 번째 독립을 선언하고 복드 칸을 다시 국가 원수로 추대했다.
1924년 5월 복드 칸이 사망하자, 인민 혁명당은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제로 전환했다. 같은 해 11월 제1차 국회에서 첫 헌법이 채택되어 몽골 인민 공화국이 정식으로 건국되었으며, 기존의 총리직은 '인민 위원회 의장'으로 대체되었다. 이로써 독립 이전 시기의 총리 제도는 막을 내렸다.
3. 2. 몽골국 총리 (1912-1924)
몽골 총리직은 1912년 복드 칸국이 외몽골의 청나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직후 처음 설립되었다.[12] 1912년 7월, 몽골 왕공 Tögs-Ochiryn Namnansüren|퇴그스오치린 남난수렌mon이 초대 총리로 임명되었다.[12] 초기 총리직에 대해서는 약간의 혼란이 있는데, 임시 정부 시기 라마였던 체렌치메드가 내무부 장관으로서 총리 역할을 수행했다는 기록도 있으나, 몽골 정부는 공식적으로 퇴그스오치린 남난수렌을 첫 총리로 간주한다.
1915년 캬흐타 조약이 체결되면서 몽골은 중화민국의 종주권 아래 자치국으로 지위가 격하되었다. 1919년 남난수렌 총리가 적군에게 협력을 요청했으나 실패했고[13], 그해 자치가 철폐되었다.
1920년에는 러시아 백군 소속의 웅게른 장군이 몽골을 침략하여 중화민국 군대를 몰아내고 복드 칸을 다시 복위시켰다. 그러나 웅게른 군대의 잔혹 행위에 대한 반발과 적군의 지원을 바탕으로, 1921년 3월 13일 몽골 인민당을 중심으로 한 "임시 정부"가 조직되었다.[14] 같은 해 7월, 인민당은 수도 후레(현재의 울란바토르)를 점령하고 "인민 정부"를 수립했으며, 9월에는 몽골의 두 번째 독립 선언(몽골 인민 정부)을 발표했다. 복드 칸은 다시 국가 원수로 즉위했다.
1924년 5월 복드 칸이 사망하자, 인민 혁명당은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제로 전환했다. 그해 11월 제1회 국회에서 첫 헌법이 채택되어 몽골 인민 공화국이 건국되었고, 총리 직책은 인민 위원회 의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대 | 성명 | 출신 정당 | 내각 | 재임 기간 | 비고 | |
---|---|---|---|---|---|---|
대 몽골국 총리 | ||||||
1 | ![]() | Tögs-Ochiryn Namnansüren|퇴그스오치린 남난수렌mon | 무소속 | 제1차 | 1912년 7월 - 1919년 4월 | 재임 중 사망 |
2 | -- | Gonchigjalzangiin Badamdorj|곤치그잘창기인 바담도르지mon | 무소속 | 제1차 | 1919년 4월 - 1921년 1월 | |
3 | ![]() | Jalkhanz Khutagt Sodnomyn Damdinbazar|잘한자 후툭트 담딘바자르mon | 무소속 | 제1차 | 1921년 2월 11일 - 1922년 5월 | |
- | Manzushir Khutagt Sambadondogiin Tserendorj|간바돈도 첸렌도르지mon | 무소속 | - | 1921년 5월 - 1921년 7월 10일 | 총리 대행 | |
4 | -- | 담빈 차그달자브 | 몽골 인민 혁명당 | 제1차 | 1921년 3월 13일 - 1921년 4월 16일[15] | 캬흐타 임시 정부 |
5 | -- | 도그소밍 보도 | 몽골 인민 혁명당 | 제1차 | 1921년 4월 16일 - 1922년 1월 7일[15] | |
6 | -- | Jalkhanz Khutagt Sodnomyn Damdinbazar|잘한자 후툭트 담딘바자르mon | 몽골 인민 혁명당 | 제2차 | 1922년 3월 3일 - 1923년 6월 23일[15] | 재임 중 사망 |
7 | -- | 발린기인 체렌도르지 | 몽골 인민 혁명당 | 제1차 | 1923년 9월 28일 - 1924년 11월 26일[15] | 몽골 인민 공화국 수립 후 인민 위원회 의장으로 유임 |
3. 3. 몽골 인민 공화국 (1924-1992)
1924년 5월 복드 칸이 사망하자 몽골 인민당은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제로 이행했다. 같은 해 11월, 제1회 국회에서 첫 헌법이 채택되어 몽골 인민 공화국이 건국되었다. 이로써 총리직은 인민 위원회 의장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932년에는 '각료 회의 의장'으로 다시 개칭되었고[15], 이 명칭은 1940년에 채택된 제2차 헌법에도 명시되었다.
1990년 민주화 과정에서 인민 혁명당이 점진적으로 권력을 내려놓으면서 '총리'라는 직명이 부활했으며[15], 1992년에 채택된 현행 몽골국 헌법에 의해 공식적으로 변경되었다.
대 | 성명 | 출신 정당 | 내각 | 재임 기간 | 비고 | |
---|---|---|---|---|---|---|
1 | -- | 발린기인 체렌도르지 | 몽골 인민당 | 제1차 | 1924년 11월 26일- 1928년2월 13일[15] | 재임 중 사망 |
2 | ![]() | 아난딘 아마르 | 몽골 인민당 | 제1차 | 1928년2월 21일- 1930년4월 27일[15] | |
3 | -- | 첸겔티인 지그지드자브 | 몽골 인민당 | 제1차 | 1930년4월 27일- 1932년7월 2일[16] | |
4 | ![]() | 펠지딘 겐덴 | 몽골 인민당 | 제1차 | 1932년7월 2일- 1936년3월 22일[16] | |
5 | 아난딘 아마르 | 몽골 인민당 | 제2차 | 1936년3월 22일- 1939년3월 7일[16] | ||
-- 몽골 인민 공화국 각료 회의 의장 | ||||||
6 | -- | 호르로깅 초이발상 | 몽골 인민당 | 제1차 | 1939년3월 24일- 1952년1월 26일[16] | 재임 중 사망 |
7 | ![]() | 욤자깅 체덴발 | 몽골 인민당 | 제1차 | 1952년5월 27일- 1974년6월 11일[16] | |
8 | -- | 잠빈 바트뭉흐 | 몽골 인민당 | 제1차 | 1974년6월 11일- 1984년12월 12일[16] | |
9 | ![]() | 두마깅 소드놈 | 몽골 인민당 | 제1차 | 1984년12월 12일- 1990년3월 21일[16] | |
10 | -- | 샤라빈 곤고르도르지 | 몽골 인민당 | 제1차 | 1990년3월 21일- 1990년9월 10일[16] | |
-- 몽골 인민 공화국 총리 | ||||||
11 | -- | 다신 비암바수렌 | 몽골 인민당 | 제1차 | 1990년9월 10일- 1992년7월 21일[16] |
3. 4. 민주화 이후 (1990-현재)
1990년 민주화 이후 기존의 '각료 회의 의장' 명칭은 '''총리'''로 다시 변경되었다.[15] 이후 1992년 채택된 몽골국 헌법에 의해 '몽골국 총리'라는 직책명이 정식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대 | 이름 (출생연도-사망연도) | 사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정당 |
---|---|---|---|---|---|
몽골 인민 공화국 총리 (민주화 이후) | |||||
10 | 샤라빈 곤고르도르지 | 1990년 3월 21일[16] | 1990년 9월 10일[16] | 몽골 인민당 | |
11 | 다진 비야바스렌 | 1990년 9월 10일[16] | 1992년 7월 21일[16] | 몽골 인민당 | |
몽골국 총리 (1992년 ~ 현재) | |||||
1 | 펀차긴 자스라이 (1933-2007) | 1992년 7월 21일 | 1996년 7월 19일 | 몽골 인민당 | |
2 | 멘사이하니 엔크사이칸 (1955- ) | 1996년 7월 19일 | 1998년 4월 23일 | 민주당 | |
3 |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 (1963- ) 1번째 임기 | ![]() | 1998년 4월 23일 | 1998년 12월 9일 | 민주당 |
4 | 재나빈 나란타츠발트 (1957-2007) | 1998년 12월 9일 | 1999년 7월 22일 | 민주당 | |
— | 니암오소린 투야 (1958- ) 대행 | 1999년 7월 22일 | 1999년 7월 30일 | 민주당 | |
5 | 린친 아마라르갈 (1961- ) | 1999년 7월 30일 | 2000년 7월 26일 | 민주당 | |
6 | 남바린 엥흐바야르 (1958- ) | ![]() | 2000년 7월 26일 | 2004년 8월 20일 | 몽골 인민당 |
7 |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 (1963- ) 2번째 임기 | 2004년 8월 20일 | 2006년 1월 25일 | 민주당 | |
8 | 미이곰보 엔크볼트 (1964- ) | ![]() | 2006년 1월 25일 | 2007년 11월 22일 | 몽골 인민당 |
9 | 산자깅 바야르 (1956- ) | ![]() | 2007년 11월 22일 | 2009년 10월 29일 | 몽골 인민당 |
10 | 수흐바타린 바트볼트 (1963- ) | ![]() | 2009년 10월 29일 | 2012년 8월 10일 | 몽골 인민당 |
11 | 노로빈 알탕후야그 (1958- ) | 2012년 8월 10일 | 2014년 11월 5일 | 민주당 | |
— | 덴데브테르 비쉬다바 (1955- ) 대행 | 2014년 11월 5일 | 2014년 11월 21일 | 몽골 인민 혁명당 | |
12 | 치메딘 사이한빌레그 (1969- ) | ![]() | 2014년 11월 21일 | 2016년 7월 8일 | 민주당 |
13 | 자르갈툴긴 에르데네바트 (1973- ) | ![]() | 2016년 7월 8일 | 2017년 10월 4일 | 몽골 인민당 |
14 | 오흐나긴 후렐수흐 (1968- ) | ![]() | 2017년 10월 4일 | 2021년 1월 27일 | 몽골 인민당 |
15 |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1980- ) | ![]() | 2021년 1월 27일[17] | (현직) | 몽골 인민당 |
4. 역대 몽골 총리 (1992년 이후)
wikitext
대 | 이름 (출생연도-사망연도) | 사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정당 |
---|---|---|---|---|---|
1 | 펀차긴 자스라이 (1933-2007) | 1992년 7월 21일 | 1996년 7월 19일 | 몽골인민당 | |
2 | 멘사이하니 엔크사이칸 (1955- ) | 1996년 7월 19일 | 1998년 4월 23일 | 민주당 | |
3 |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 (1963- ) 1번째 임기 | 1998년 4월 23일 | 1998년 12월 9일 | ||
4 | 재나빈 나란타츠발트 (1957-2007) | 1998년 12월 9일 | 1999년 7월 22일 | ||
— | 니암오소린 투야 (1958- ) 대행 | 1999년 7월 22일 | 1999년 7월 30일 | ||
5 | 린친 아마라르갈 (1961- ) | 1999년 7월 30일 | 2000년 7월 26일 | ||
6 | 남바린 엥흐바야르 (1958- ) | 2000년 7월 26일 | 2004년 8월 20일 | 몽골인민당 | |
7 | 차히아긴 엘베그도르지 (1963- ) 2번째 임기 | 2004년 8월 20일 | 2006년 1월 25일 | 민주당 | |
8 | 미이곰보 엔크볼트 (1964- ) | 2006년 1월 25일 | 2007년 11월 22일 | 몽골인민당 | |
9 | 산자깅 바야르 (1956- ) | 2007년 11월 22일 | 2009년 10월 29일 | ||
10 | 수크바타린 바트볼트 (1963- ) | 2009년 10월 29일 | 2012년 8월 10일 | ||
11 | 노로빈 알탕후야그 (1958- ) | 2012년 8월 10일 | 2014년 11월 5일 | 민주당 | |
— | 덴데브테르 비쉬다바 (1955- ) 대행 | 2014년 11월 5일 | 2014년 11월 21일 | 몽골인민혁명당 | |
12 | 치메딘 사이한빌레그 (1969- ) | 2014년 11월 21일 | 2016년 7월 8일 | 민주당 | |
13 | 자르갈툴긴 에르데네바트 (1973- ) | 2016년 7월 8일 | 2017년 10월 4일 | 몽골인민당 | |
14 | 오흐나긴 후렐수흐 (1968- ) | 2017년 10월 4일 | 2021년 1월 27일 | ||
15 |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1980- ) | 2021년 1월 27일 | 현직 |
참조
[1]
간행물
REGARDING THE UPDATE OF THE SALARY RANGE AND MINIMUM RANGE OF CERTAIN CIVIL OFFICES
2024-03-27
[2]
간행물
ABOUT THE APPROVAL OF THE COEFFICIENT FOR DETERMINING THE SALARY
2019-06-06
[3]
간행물
REGARDING DETERMINATION OF SENIOR STATE OFFICIAL RANK AND EQUIVALENT CIVIL OFFICE RANK
2019-02-01
[4]
웹사이트
Монгол Улсын 32 дахь Ерөнхий сайдаар Л.Оюун-Эрдэнийг томилов
https://ikon.mn/n/24[...]
2021-01-27
[5]
뉴스
Mongolian prime minister resigns after COVID-19 protests
https://www.reuters.[...]
Reuters
2021-01-22
[6]
웹사이트
Mongolia Considers Major Political Reforms
https://www.mongolia[...]
2022-05-03
[7]
서적
Mongolia
Foreign Service office of Montsame News Agency
2006
[8]
논문
Mongolia's Historic Relations with its Largest Neighbour: Russia
https://www.ejsss.ne[...]
2021-08
[9]
웹사이트
Mongolia mulls restitution claims after identifying objects held abroad
https://www.theartne[...]
The Art Newspaper
[10]
웹사이트
China/Mongolia (1911-1946)
https://uca.edu/poli[...]
Department of Government, Public Service, and International Studies
[11]
서적
Mongolia
Foreign Service office of Montsame News Agency
2006
[12]
문서
橘
2006-07
[13]
서적
Twentieth century Mongolia1
White Horse Press
1999
[14]
URL
http://eurasiaken.sa[...]
[15]
문서
2010
[16]
문서
2010
[17]
웹사이트
몽골, 오윤엘데네 씨가 신임 총리에 취임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