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각익족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각익족류는 복족류의 일종으로, 날개 모양의 측족을 사용하여 헤엄치며 껍데기가 퇴화한 특징을 가진 해양 생물이다. 대부분 투명하고 작은 크기이며, 극지방에서 열대 해역까지 넓게 분포한다. 육식성이며, 주로 유각익족류를 먹고, 일부 종은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분자 화합물을 합성한다. 자웅동체이며, 젤라틴 덩어리 알을 낳아 번식한다. 기후 변화로 인한 해양 산성화로 인해 멸종 위기에 놓여 있으며, 디지털 몬스터와 포켓몬스터 캐릭터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무각익족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Gymnosomata |
명명자 | Blainville, 1824년 |
영어 이름 | Sea Angel (바다 천사) |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연체동물문 (Mollusca) |
강 | 복족강 (Gastropoda) |
아강 | 직복족아강 (Orthogastropoda) |
하강 | 이새류 (Heterobranchia) |
대목 | 진후새대목 (Euopisthobranchia) |
목 | 익족목 (Pteropoda) |
아목 | 裸殻翼足亜目 (무각익족아목) (Gymnosomata) |
하위 분류 (과) | |
과 | 하다카카메가이과 (Clionidae) 타르가타하다카카메가이과 (Cliopsidae) 마메츠부하다카카메가이과 (Hydromylidae) Laginiopsidae 노토브란케아과 (Notobranchaeidae) 뉴우모델마과 (Pneumodermatidae) Thliptodontidae |
2. 특징
이 분류군에서 복족류의 발은 날개처럼 생긴 퍼덕거리는 부속지(''parapodia'')로 발달했으며, 조가비는 퇴화했다. 이 두 가지는 자유롭게 헤엄치는 해양 생활에 적합하도록 적응한 것이다. 이러한 적응은 "바다 천사"라는 일반명과 목(目)명에 관한 학명의 유래를 설명해 준다. 목의 학명은 "벌거벗은"이라는 의미의 "김노스"(''gymnos'')와 "몸"이라는 의미의 "소마"(''soma'')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2]
이 생물은 해저의 냉 극지 지역에서부터 적도의 바다까지 지리적으로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22] 극지방, 해빙 아래에서 적도(열대) 해역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리적 분포를 보인다.[4] 봄부터 가을까지 바다 천사는 오호츠크해에서 수심 200m에서 서식한다. 겨울에는 유빙과 함께 홋카이도 북부 해안으로 이동한다.
이 분류군에서 복족류의 발은 날개처럼 생긴 측족(parapodia)으로 발달했으며, 조가비는 퇴화했다. 이러한 적응은 자유롭게 헤엄치는 해양 생활에 적합하며, "바다 천사"라는 일반명과 목(目)의 학명 유래를 설명해 준다.
무각익족류는 동시적 자웅동체이며, 많은 복족류와 마찬가지로 내부 수정을 한다.[4] 수정된 동물은 젤라틴 덩어리 알을 낳고, 이 알은 부화할 때까지 자유롭게 떠다닌다. 배아 껍질은 부화 후 며칠 안에 사라진다.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 보고서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증가로 해양산성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남쪽 해양의 익족류가 사라져 먹이 사슬의 심각한 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24]
2005년 부쉐(Bouchet)와 로크루아(Rocroi)의 복족류 분류는 무각익족류를 무각거북고둥상과(Clionoidea)와 히드롤리움상과(Hydromyloidea)의 두 상과로 분류했다. 이 분류는 틸립토돈과를 무각거북고둥과의 틸립토돈아과로 포함시켰다.
무각익족류는 젤라틴 모양으로 대부분 투명하고 아주 작으며, 가장 큰 종(''Clione limacina'')은 5cm에 이른다. C. limacina는 극지 종으로, 더 따뜻한 물에서 발견되는 종은 더 작다. 무각익족류(바다 천사)의 일부 종들은 유각익족류(바다 나비) 종만을 먹고 산다. 무각익족류는 입 말단에 연체동물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치설과 먹이를 붙잡기 위한 촉수를 갖고 있으며, 일부 종은 두족류와 비슷한 빨판을 갖고 있다. 이들의 "날개"는 더 큰 날개를 지닌 유각익족류(바다 나비)보다 무각익족류가 더 빨리 헤엄칠 수 있게 해 준다.[3]
무각익족류의 다른 큰 극지 종, 남극나출카메가이(''Clione antarctica'')는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분자 화합물 pteroenone|프로페논영어을 합성함으로써 포식자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이 분비물 때문에, 포식자들은 무각익족류(바다 엔젤)를 먹을 수 없으며 단각류 종들은 이 때문에 도움을 받고 있다. 단각류는 물기둥 밖에서 남극나출카메가이를 붙잡으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그 주변으로 이동한다. 그곳의 남극나출카메가이의 개체 밀집도는 엄청난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매 세제곱 미터에 300마리까지 달하는 것으로 보고된 적이 있다.
이 복족류는 양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자웅동체로 수정은 체내에서 일어난다. 젤라틴 형태의 알 덩어리를 산란기에 방출하며, 이 알들은 부화하기 전까지 자유롭게 떠 다닌다. 배아 상태의 조가비는 산란 이후 수일 이내에 사라진다.
3. 분포
4. 생태
무각익족류는 젤라틴 모양으로 대부분 투명하고 아주 작으며, 가장 큰 종(''Clione limacina'')은 5cm에 이른다. ''C. limacina''는 극지 종으로, 더 따뜻한 물에서 발견되는 종은 더 작다. 무각익족류의 일부 종들은 유각익족류(바다 나비) 종만을 먹고 산다. 무각익족류는 입 말단에 치설과 먹이를 붙잡기 위한 촉수를 갖고 있으며, 일부 종은 두족류와 비슷한 빨판을 갖고 있다. 이들의 "날개"는 더 큰 날개를 지닌 유각익족류(바다 나비)보다 무각익족류가 더 빨리 헤엄칠 수 있게 해 준다.
무각익족류는 육식 복족류로 다른 익족류인 유각익족류만을 먹이로 먹는다.[22] 이들의 생활사는 무각익족류 조가비의 형태와 일관성을 통해 적응하는 먹이 전략을 취함으로써 이들의 피식자와 함께 진화(공진화)해 왔다.[22]
먹이를 잡는 전략은 다양하다. 일부 포식자들은 먹이를 앉아서 기다리는 매복 형태를 취한다. 반면에 일부는 적극적으로 먹이를 뒤쫓는다. 물질 대사율은 포획하는 먹이 종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22] 심지어 무각익족류의 크기는 그들 먹이의 크기와 상관 관계가 있으며,[22] 접촉을 통해 크기를 알고, 이전에 빨판이었던 원뿔 고둥 형태의 구강을 사용하여 움켜 쥔다.[22] 갈고리와 이빨 모양 치설의 결합은 유각익족류의 조가비에서 살을 벗겨내는 데 사용한다.[22]
무각익족류는 날개 모양의 부속지[22]를 일종의 노를 젓는 듯한 행동으로[23] 천천히 부딪히며, 물기둥 상부 20미터를 통과하여 "완전하게 유선형이 된"[23] 몸을 추진한다. 비록 보통은 천천히 움직이고 매초 한두 번씩 부속지를 부딪히지만, 먹이를 뒤쫓는 데 필요한 파열 속도를 내는 능력과 더 높은 진동 주파수를 얻기 위한 행동을 할 수 있는 별도의 힘줄을 가지고 있다.[22]
다른 큰 극지 종, 클리오네 안타르크티카( ''Clione antarctica'')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분자 화합물 프로페논(''pteroenone'')을 합성함으로써 포식자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이 분비물 때문에, 포식자들은 무각익족류(바다 엔젤)를 먹을 수 없으며 단각류 종들은 이 때문에 도움을 받고 있다. 단각류는 물기둥 밖에서 클리오네 안타르크티카를 붙잡으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그 주변으로 이동한다. 그곳의 클리오네 안타르크티카의 개체 밀집도는 엄청난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매 세제곱미터에 300마리까지 달하는 것으로 보고된 적이 있다.
이 복족류는 양성이 동시에 존재하는 자웅동체로 수정은 체내에서 일어난다. 젤라틴 형태의 알 덩어리를 산란기에 방출하며, 이 알들은 부화하기 전까지 자유롭게 떠 다닌다. 배아 상태의 조가비는 산란 이후 수일 이내에 사라진다.
5. 생식
무각익족류는 껍질이 없는 다른 후새류와 마찬가지로 변태할 때 껍질을 버린다.[10] 껍질을 당기는 근육이 절단되고 껍질은 사라지므로, 이들이 껍질이 없다고 말하기는 어렵다.[10] 유생 껍질에 대한 설명은 거의 없으며, 그 결과 화석 기록에 대한 이해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11]
6. 멸종 위기
7. 분류
무각익족류는 복족류의 발이 날개 모양의 부속지(측각)로 발달했고, 유생 상태에서는 부화 후 며칠 만에 배아 껍질을 버리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은 자유롭게 헤엄치는 해양 생활에 적합하며, '바다 천사'라는 일반적인 이름과 "벌거벗은 몸"을 의미하는 학명의 유래가 되었다.[2] 껍질이 없는 것은 부력을 높이고, 유선형 몸은 항력을 줄여 빠른 기동성과 가속도를 가능하게 한다.[2]
바다 천사는 젤라틴질의 투명하고 작은 몸을 가지며, 가장 큰 종인 대왕나출익족류(''Clione limacina'')는 5cm에 달한다. C. limacina는 극지방 종이며, 따뜻한 물에 서식하는 종은 더 작다. 일부 종은 바다 나비만을 먹고 살며, 치설이 있는 말단부와 먹이를 잡기 위한 촉수, 빨판을 가지고 있다.
익족류는 전통적으로 유각익족류(바다 나비)와 나새목(바다 천사)을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사용되었으나,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익족류를 전새류 또는 이새류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7. 1. 무각거북고둥상과 (Clionoidea)
2005년 부쉐(Bouchet)와 로크루아(Rocroi)의 복족류 분류에 따르면 무각거북고둥상과(Clionoidea)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2]
이 분류군은 과거 틸립토돈과였던 그룹을 틸립토돈아과로 취급하여 무각거북고둥과의 아과로 포함시켰다.
클리오나상과7. 2. 히드롤리움상과 (Hydromyloidea)
2005년 부쉐(Bouchet)와 로크루아(Rocroi)의 복족류 분류에 의하면 히드롤리움상과(Hydromyloidea)는 다음 두 과를 포함한다.[12]
과거 틸립토돈과(Thliptodontidae)였던 그룹은 틸립토돈아과(Thliptodontinae)로 취급되며, 클리오네과의 아과이다.
아래는 히드롤리움상과(Hydromyloidea)의 과 목록이다.
콩나출익족류 (''Hydromyles globulosa'') (Rang, 1825)
''Laginiopsis triloba'' Pruvot-Fol, 1922
8. 대중 문화
참조
[1]
논문
Systematic position of the pelagic Thecosomata and Gymnosomata within Opisthobranchia (Mollusca, Gastropoda) - revival of the Pteropoda
[2]
논문
Swimming and sinking behavior of warm water pelagic snails.
[3]
논문
Swimming in the Pteropod Mollusc, Clione Umacina: I. Behaviour and Morphology.
[4]
논문
Metabolic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coevolution of locomotory performance in pteropod molluscs
[5]
논문
Underwater flight by the planktonic sea butterfly.
[6]
논문
Underwater flight by the planktonic sea butterfly
[7]
논문
Aquatic wing flapping at low Reynolds numbers: swimming kinematics of the Antarctic pteropod, ''Clione antarctica''.
[8]
논문
Changes in wingstroke kinematics associated with a change in swimming speed in a pteropod mollusk, Clione limacina.
[9]
논문
Observations on the Gymnosomatous Pteropod Clione Limacina (Phipps)
http://plymsea.ac.uk[...]
2019-07-12
[10]
논문
Larval Development and Metamorphosis in ''Pleurobranchaea maculata'', with a Review of Development in the Notaspidea (Opisthobranchia)
http://www.biolbull.[...]
2010-06-04
[11]
논문
Notes on the systematics, morphology and biostratigraphy of fossil holoplanktonic Mollusca, 13. Considerations on a subdivision of Thecosomata, with the emphasis on genus group classification of Limacinidae
[12]
논문
The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pteropods precede past perturbations in the Earth's carbon cycle
2020-09-24
[13]
웹사이트
Gymnosomata
https://marinespecie[...]
MolluscaBase
2024-11-25
[14]
간행물
わが国近海に見られる浮遊性巻貝類-VII. 裸殻翼足類
https://www.rimi.or.[...]
2017-03
[15]
간행물
軟体動物腹足類の新分類体系と上位分類群の和名
http://hdl.handle.ne[...]
群馬大学教育学部
[16]
간행물
わが国近海に見られる浮遊性巻貝類-VI. 有殻翼足類・ミジンウキマイマイ科及び擬有殻翼足類
https://www.rimi.or.[...]
2016-12
[17]
서적
ウミウシの生態観察図鑑:食餌、飼育記録から繁殖まで 知られざる生存戦略を知る
誠文堂新光社
[18]
저널
Systematic position of the pelagic Thecosomata and Gymnosomata within Opisthobranchia (Mollusca, Gastropoda) - revival of the Pteropoda
[19]
문서
낭설류 (Ascoglossa)와 갯민숭달팽이(나새류, Nudibranchia)
[20]
저널
Larval Development and Metamorphosis in ''Pleurobranchaea maculata'', with a Review of Development in the Notaspidea (Opisthobranchia)
http://www.biolbull.[...]
[21]
저널
Notes on the systematics, morphology and biostratigraphy of fossil holoplanktonic Mollusca, 13. Considerations on a subdivision of Thecosomata, with the emphasis on genus group classification of Limacinidae
[22]
저널
Metabolic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coevolution of locomotory performance in pteropod molluscs
[23]
저널
Observations on the Gymnosomatous Pteropod Clione Limacina (Phipps)
[24]
웹사이트
2007 IPCC Working Group II Report on Polar Impacts
http://www.gtp89.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