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족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익족류는 1804년 조르주 퀴비에가 처음 명명한 연체동물의 일종으로, 바다에 사는 작은 고둥류이다. 초기에는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었으며, 유각익족류와 무각익족류로 크게 나뉜다. 익족류는 전 세계 대양에서 발견되며, 해양 산성화에 취약한 종이 있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익족류 - 유각익족류
유각익족류는 석회질 껍질을 가진 작은 해양 복족류로, 날개 모양의 측족을 이용해 유영하며 플랑크톤 생활을 하고 해양 먹이 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해양 산성화로 인해 생존에 위협을 받는 분류군이다.
익족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명 | Pteropoda |
명명자 | Cuvier(1804)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연체동물문 |
강 | 복족강 |
미분류 | 이새류 |
미분류 | 직신경류 |
미분류 | 진후새류 |
하위 분류 | |
하위 | 무각익족류 (Gymnosomata) 유각익족류 (Thecosomata) |
기타 정보 | |
가장 오래된 화석 | 캄파니아절 |
2. 분류
익족류는 1804년 조르주 퀴비에가 처음 명명했다.[15] 프랑수아 페롱과 샤를 알렉상드르 르쉬외르는 이 분류군을 더 큰 분류군으로 생각하여, 후새류와 농발거미, 심지어 유즐동물까지도 포함시켰다. 1810년 이 저자들은 익족류를 조가비를 가지고 있는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었다.[4]
1824년 앙리 마리 뒤크로테 드 블랑빌은 이들 2개 그룹을 무각익족류와 유각익족류로 명명하고, 익족류 대신에 아포로브랜치아목(Aporobranchia)에 통합했다.[16][5] 필리로이속(''Phyllirhoë'')을 제외하고 추가 속을 거부했고, 프실로소마타(Psilosomata)라고 명명한 일종의 세 번째 분류군으로 수정했다. 다만 필이로이속은 더 나중에 나새류로 분류했다.
익족류를 다르게 기술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익족류를 닥틸로브란키아(Dactylobranchia, 거북고둥속(''Cavolinia'')만으로 구성)와 프테로브란키아(Pterobranchia, 나머지 모든 익족류 포함)로 구분했다.[17][6] 퀴비에(그의 제자)는 블랭빌의 분류를 인정하지 않았고, 그들은 〈Le Règne Animal프랑스어〉라고 이름지은 원래의 분류 체계를 선호했다.
1829년 폴 랑은 퀴비에의 분류 체계를 계승했으나 뚜렷이 구별되는 머리가 있는 지를 가리는 특징을 포함시키려고 시도했다.[18][7] 독일인 박물학자 로렌츠 오켄은 대칭성을 찾기 위해 한 발짝 더 나갔고, 각각의 목이 4개의 과를 포함하고, 각 과는 4개의 속을 포함하기를 원했다.[19][8] 피에르 앙드레 라트레유는 익족류를 지느러미의 크기에 따라 "Macroptérygiens프랑스어"(오직 Pneumonoderma 포함)와 "Microptérygiens프랑스어" (나머지 모두 포함)로 구분했다. 1851년 윌리엄 불록 클라크는 익족류를 하나의 과로 취급했으며, Pteropodidae(현재는 과일박쥐의 과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라는 이름으로 철자를 수정했다.
수많은 과학 탐사의 결과로써 점점 더 많은 종들이 기술됨에 따라서 마침내 이 모든 시도를 포기했으며, 유각익족류(Thecosomata)와 무각익족류(Gymnosomata)로 나누는 익족류 분류가 일반적으로 채택되었다. 이 많은 신종들은 장 르네 콩스탕 콰이와 조세프 폴 가이마르, 폴 랑, 알시드 도르비니, 루이 프랑수아 오귀스트 술리에 등 프랑스 동물학자들이 처음 기술했다.
익족류(Pteropoda)라는 이름은 속명에 기원을 두고 있지 않으며, 별도의 과 그룹 이름으로도 유효하지 않다.
2. 1. 초기 분류 역사
익족류는 1804년 조르주 퀴비에가 처음 명명했다.[15] 프랑수아 페롱과 샤를 알렉상드르 르쉬외르는 이 분류군을 더 큰 분류군으로 생각하여, 후새류와 농발거미, 심지어 유즐동물까지도 포함시켰다. 1810년 이 저자들은 익족류를 조가비를 가지고 있는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었다.[4]1824년 앙리 마리 뒤크로테 드 블랑빌은 이들 2개 그룹을 무각익족류와 유각익족류로 명명하고, 익족류 대신에 아포로브랜치아목(Aporobranchia)에 통합했다.[16][5] 필리로이속(''Phyllirhoë'')을 제외하고 추가 속을 거부했고, 프실로소마타(Psilosomata)라고 명명한 일종의 세 번째 분류군으로 수정했다. 다만 필이로이속은 더 나중에 나새류로 분류했다.
익족류를 다르게 기술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익족류를 닥틸로브란키아(Dactylobranchia, 거북고둥속(''Cavolinia'')만으로 구성)와 프테로브란키아(Pterobranchia, 나머지 모든 익족류 포함)로 구분했다.[17][6] 퀴비에(그의 제자)는 블랭빌의 분류를 인정하지 않았고, 그들은 〈Le Règne Animal프랑스어〉라고 이름지은 원래의 분류 체계를 선호했다.
1829년 폴 랑은 퀴비에의 분류 체계를 계승했으나 뚜렷이 구별되는 머리가 있는 지를 가리는 특징을 포함시키려고 시도했다.[18][7] 독일인 박물학자 로렌츠 오켄은 대칭성을 찾기 위해 한 발짝 더 나갔고, 각각의 목이 4개의 과를 포함하고, 각 과는 4개의 속을 포함하기를 원했다.[19][8] 피에르 앙드레 라트레유는 익족류를 지느러미의 크기에 따라 "Macroptérygiens프랑스어"(오직 Pneumonoderma 포함)와 "Microptérygiens프랑스어" (나머지 모두 포함)로 구분했다. 1851년 윌리엄 불록 클라크는 익족류를 하나의 과로 취급했으며, Pteropodidae(현재는 과일박쥐의 과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라는 이름으로 철자를 수정했다.
수많은 과학 탐사의 결과로써 점점 더 많은 종들이 기술됨에 따라서 마침내 이 모든 시도를 포기했으며, 유각익족류(Thecosomata)와 무각익족류(Gymnosomata)로 나누는 익족류 분류가 일반적으로 채택되었다. 이 많은 신종들은 장 르네 콩스탕 콰이와 조세프 폴 가이마르, 폴 랑, 알시드 도르비니, 루이 프랑수아 오귀스트 술리에 등 프랑스 동물학자들이 처음 기술했다.
2. 2. 2010년 분류
익족류(Pteropoda)라는 이름은 1804년 조르주 퀴비에가 처음 명명했다.[15][4] 그러나 프랑수아 페론과 샤를르 르쉬외르는 이 분류군을 더 큰 범주로 생각하여 후새류와 농발거미, 심지어 유즐동물까지 포함시켰다.[15] 1810년 페론과 르쉬외르는 익족류를 조가비의 유무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15][4]1824년 앙리 마리 블랭빌은 이 두 그룹을 각각 무각익족류와 유각익족류로 명명하고, 익족류 대신 아포로브랜치아목(Aporobranchia)으로 통합했다.[16][5] 블랭빌은 필리로이속(''Phyllirhoë'')을 제외한 추가 속을 인정하지 않았고, 필리로이속은 프실로소마타(Psilosomata)라는 세 번째 분류군으로 수정했으나, 이는 나중에 나새류로 분류되었다.[16][5]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익족류를 닥틸로브란키아(Dactylobranchia)와 프테로브란키아(Pterobranchia)로 구분하기도 했다.[17][6] 퀴비에는 블랭빌의 분류를 인정하지 않고 원래의 분류 체계를 선호했다.[17][6]
1829년 폴 랭(Paul Rang)은 퀴비에의 분류 체계를 따르면서 머리의 유무를 구분 기준으로 포함하려 했다.[18][7] 로렌츠 오켄은 각 목이 4개의 과와 4개의 속을 포함하는 대칭적인 분류 체계를 제안했다.[19][8] 피에르 앙드레 라트레유는 지느러미 크기에 따라 익족류를 "Macroptérygiens"와 "Microptérygiens"로 나누었다. 1851년 윌리엄 블록 클라크는 익족류를 Pteropodidae라는 과로 취급했다.[17]
그러나 수많은 과학 탐사를 통해 새로운 종들이 발견되면서, 유각익족류(Thecosomata)와 무각익족류(Gymnosomata)로 나누는 분류 방식이 일반적으로 채택되었다.[17] 이들 신종은 장 르네 콩스탕 콰이와 조세프 폴 가이마르, 폴 랑, 알시드 도르비니, 루이 프랑수아 오귀스트 술리에 등 프랑스 동물학자들이 주로 기술했다.
익족류(Pteropoda)라는 이름은 속명에서 유래하지 않았으며, 과 수준의 분류군 이름으로 유효하지 않다. 2010년 요르거(Jörger)와 그의 공저자들은[20] 익족류를 진후새류로 옮겨서 분류했다. 익족류는 무각익족류(Gymnosomata)와 유각익족류(Thecosomata)의 2개 분류군을 포함한다. 이 두 분류군은 자매 분류군인 것으로 보인다.[2]
2. 3. 계통
이 계통수는 2,654개의 핵 단백질(834,394개의 연결된 아미노산 위치를 나타냄)에서 추론되었다.[11]3. 진화 역사
익족류는 약 1억 3300만 년 전인 초기 백악기에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며, 주요 계통으로의 분화는 백악기 중후기에 일어났다.[9][10] 알려진 가장 오래된 익족류 화석은 샌환 제도의 초기-중기 캄파니아 퇴적층에서 발견된 Limacinidae의 일원이다.[9][10]
4. 생태
익족류는 모든 대양에서 발견되며, 보통 해수면 아래 10m 깊이와 모든 위도에서 발견된다.[14] 익족류는 10m보다 더 깊은 곳에서도 발견될 수 있지만, 생물량 측면에서는 그 수가 적다.[14]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익족류의 분포는 더 깊은 곳으로 더 넓게 퍼져 있는데, 열대 지역의 익족류가 더 깊은 지역에서 더 흔해지는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14] 심해에서는 흔히 발견되지 않으며, 실제로 해수면 아래 500m 이하에서 사는 종은 거의 없다.[14] 대륙붕은 영양분과 생산성이 풍부한 지역으로, 데이터 패턴에 따르면 익족류가 일반적으로 많이 서식하는 곳이다.[14] 봄은 익족류가 개체수가 증가하여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이지만, 적도 이남의 익족류는 계절적으로 개체수가 적다는 데이터가 있다.[14] 현재 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 익족류의 93%는 나각목에 속하며, 7%는 나후목에 속한다.[14]
미국 서부 해안에서 익족류에 대한 해양 산성화의 영향을 연구했다.[12] ''나선고둥(Limacina helicina)''을 사용하여 pH 감소에 대한 민감도를 테스트했다.[12] 이 익족류 종은 탄산 칼슘 껍질 때문에 해양 산성화와 관련된 부식성 물에 취약할 수 있다.[13] 익족류의 껍질을 2100년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pH 수준의 바닷물에 담갔다. 물에 한 달 반 동안 담근 후 껍질은 거의 완전히 용해되었다.[12]
4. 1. 분포
익족류는 모든 대양에서 발견되며, 보통 해수면 아래 10m 깊이와 모든 위도에서 발견된다.[14] 익족류는 10m보다 더 깊은 곳에서도 발견될 수 있지만, 생물량 측면에서는 그 수가 적다.[14]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익족류의 분포는 더 깊은 곳으로 더 넓게 퍼져 있는데, 열대 지역의 익족류가 더 깊은 지역에서 더 흔해지는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14] 심해에서는 흔히 발견되지 않으며, 실제로 해수면 아래 500m 이하에서 사는 종은 거의 없다.[14] 대륙붕은 영양분과 생산성이 풍부한 지역으로, 데이터 패턴에 따르면 익족류가 일반적으로 많이 서식하는 곳이다.[14] 봄은 익족류가 개체수가 증가하여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이지만, 적도 이남의 익족류는 계절적으로 개체수가 적다는 데이터가 있다.[14] 현재 데이터에 따르면 전 세계 익족류의 93%는 나각목에 속하며, 7%는 나후목에 속한다.[14]4. 2. 해양 산성화 위협
미국 서부 해안에서 익족류에 대한 해양 산성화의 영향을 연구했다.[12] ''나선고둥(Limacina helicina)''을 사용하여 pH 감소에 대한 민감도를 테스트했다.[12] 이 익족류 종은 탄산 칼슘 껍질 때문에 해양 산성화와 관련된 부식성 물에 취약할 수 있다.[13] 익족류의 껍질을 2100년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pH 수준의 바닷물에 담갔다. 물에 한 달 반 동안 담근 후 껍질은 거의 완전히 용해되었다.[12]
4. 2. 1. 해양 산성화 연구
미국 서부 해안에서 익족류에 대한 해양 산성화의 영향을 연구했다.[12] ''나선고둥(Limacina helicina)''을 사용하여 pH 감소에 대한 민감도를 테스트했다.[12] 이 익족류 종은 탄산 칼슘 껍질 때문에 해양 산성화와 관련된 부식성 물에 취약할 수 있다.[13] 익족류의 껍질을 2100년까지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pH 수준의 바닷물에 담갔다. 물에 한 달 반 동안 담근 후 껍질은 거의 완전히 용해되었다.[12]
5. 한국의 익족류
참조
[1]
논문
Flashback and foreshadowing – a review of the taxon Opisthobranchia
[2]
논문
Systematic position of the pelagic Thecosomata and Gymnosomata within Opisthobranchia (Mollusca, Gastropoda) - revival of the Pteropoda
[3]
문서
theco-
[4]
논문
Mémoire sur l'Hyale et Ie Pneumoderme
[5]
서적
Diet. d. Sci. Nat.
[6]
서적
London Medical Repository
[7]
서적
Manuel de l'histoire naturelle des mollusques et leurs coquilles
[8]
논문
Description d'un genre nouveau de la classe des Ptéropodes
https://www.biodiver[...]
[9]
논문
The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pteropods precede past perturbations in the Earth's carbon cycle
2020-10-13
[10]
논문
Notes on the systematics, morphology, and biostratigraphy of fossil holoplanktonic Mollusca, {{grey|[part]}} 24. First observation of a genuinely Late Mesozoic thecosomatous pteropod
[11]
논문
The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pteropods precede past perturbations in the Earth's carbon cycle
2020-09-24
[12]
논문
Limacina helicina shell dissolution as an indicator of declining habitat suitability owing to ocean acidification in the California Current Ecosystem
[13]
논문
Impact of ocean acidification on a key Arctic pelagic mollusc (Limacina helicina)
2009-09-04
[14]
논문
The global distribution of pteropods and their contribution to carbonate and carbon biomass in the modern ocean
https://www.earth-sy[...]
2018-06-18
[15]
문서
Mémoire sur l'Hyale et Ie Pneumoderme
[16]
문서
Diet. d. Sci. Nat., t. xxxii. p. 271.
[17]
문서
London Medical Repository, p. 235, 1821.
[18]
문서
Manuel de l’histoire naturelle des mollusques et leurs coquilles
[19]
문서
Description d'un genre nouveau de la classe des Ptéropodes, Ann. d. &i. Nat., ser. 1, t. V. p. 284, 1825.
[20]
논문
On the origin of Acochlidia and other enigmatic euthyneuran gastropods, with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Heterobranch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