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각거북고둥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각거북고둥과는 그리스 신화의 무사 클리오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무각익족류에 속하는 고둥의 한 종류이다. 몸은 투명하고 크기는 약 0.5~1cm이며, 날개 모양의 발을 이용하여 헤엄친다. 주로 양 극을 둘러싼 한류 역에 분포하며, 유년기에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성체가 되면 육식성으로 변해 유각익족류 등을 섭취한다. 자웅동체이며, 수명은 2~3년이다. 인간 활동으로 인한 해양 산성화와 천적에 의해 종이 위협받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행운의 동물로 여겨진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무사( Μουσα|무사el )의 클리오에서 유래한다.
투명한 몸으로 인해 해파리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로는 고둥의 일종이다. 다 자라면 껍질이 사라지는데, 이는 무각익족류의 공통된 특징이다.
양 극 주변의 차가운 바다에 분포하며, 유빙에 붙어살기도 한다.
머리는 반으로 갈라져 있으며, 두 개의 더듬이 사이로 버칼콘(buccal cone)이라 불리는 6개의 촉수가 나온다. 먹이가 적절한 위치에 오면 이 촉수를 이용하여 먹이를 잡아 완전히 삼킨다.
무각거북고둥과는 자웅동체이다. 배쪽에서 서로 짝짓기를 하여 상호 수정을 하며, 교미 후 4시간 안에 수정이 이루어진다. 이듬해 봄이 되면 젤라틴질의 자유 부유 알 덩어리가 생긴다.
무각거북고둥과(Clionidaelat)는 1676년 프리드리히 마르텐스가 처음 발견했으며, 1774년 콘스탄틴 존 핍스 남작이 학명을 기재했다. 이는 무각익족류 중 처음으로 발견된 종이다.
2. 기원
3. 외형
크기는 약 0.5cm에서 1cm 정도로, 100원짜리 동전보다 작으며, 몸은 투명한 부분이 많아 몸 앞쪽에 위치한 주황색 내장낭이 들여다보인다. 몸의 뒷부분은 젤라틴질이며 대부분 투명하다.
두 개의 더듬이가 있으며, 더듬이 안에는 6개의 촉수가 숨겨져 있어 먹이를 잡을 때 펼쳐 사용한다. 몸 앞쪽에는 한 쌍(두 장)의 날개 모양 다리(pteropods)가 붙어 있다. 이는 지느러미가 아니라 발의 일종으로, 익족목의 고유한 특징이다. 이 날개 다리를 움직여 마치 날갯짓하듯 리드미컬하게 헤엄쳐 이동한다.
4. 분포
5. 먹이
유년기에는 식물성 플랑크톤만을 먹지만, 성체가 되면 육식성으로 바뀌어 극지 플랑크톤과 유각익족류를 주로 먹는다. 만약 유각익족류를 찾기 어려울 때는 갑각류를 대신 섭취하기도 한다. 이렇게 한 번 먹이를 먹으면 반 년에서 1년 반 동안은 추가적인 섭식 없이도 생존할 수 있다.
6. 생활사
산란기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번식기와 관련이 깊다. 밴쿠버 앞바다에서는 봄철에, 오호츠크해에서는 늦가을부터 초여름 사이에 알을 낳는다. 몸길이 1cm 정도의 비교적 작은 남부 개체는 약 150~200개의 알을 낳고, 4cm에서 8cm 길이의 비교적 큰 북부 개체는 약 1200~1800개의 알을 낳는다. 알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0.12mm 정도로 매우 작다.
종에 따라 크기는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약 1cm에서 2cm까지 성장한다. 가장 큰 종인 ''Clione limacina''는 최대 8.5cm까지 자랄 수 있다. 성장하는 데는 1년이 걸리며, 수명은 2~3년 정도이다.
7. 종
과명인 Clionidae 도르비니, 1851는 해면의 유착해면목, 보통해면강에 속하는 과의 이름과 동일하여 혼동의 여지가 있었다. ICZN는 해면 과의 철자를 Clionaidae로 수정하자는 제안을 검토했고, 복족류 과의 올바른 이름은 '''Clionidae''' 그레이, 1847이며 기준 속은 ''Clione'' 팔라스, 1774라고 결정했다.[1][2]
부셰 & 로크루아 (2005)의 복족류 분류에서는 다음 두 개의 아과를 인정하고 있다.
무각거북고둥과에 속하는 속은 다음과 같다.
아과 | 속 | 비고 |
---|---|---|
Clioninae 라피네스크, 1815 (동의어: Fowlerininae 프루보-폴, 1926) | 클리오네 팔라스(Pallas), 1774 | 기준 속 |
파울러리나 펠세네어(Pelseneer), 1906 | ||
Thliptodontinae 퀴트니에프스키, 1902 (동의어: Pteroceanidae 마이젠하이머, 1902; Cephalobranchiinae 프루보-폴, 1926) | 세팔로브라키아 본느비에(Bonnevie), 1912 | |
틀립토돈 보아스(Boas), 1886 | ||
분류 불확실 | 파에도클리오네 단포스(Danforth), 1907 | 유일종 파에도클리오네 돌리이포르미스 포함 |
파라클리오네 테쉬(Tesch), 1903 | ||
탈라소프테루스 퀴에트니에프스키(Kwietniewski), 1910 | 유일종 탈라소프테루스 잔클레우스 포함 |
8. 종 위협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배출된 이산화탄소는 바다를 점차 산성으로 만들고 있다. 이러한 해양 산성화 현상은 조개처럼 껍질을 만드는 생물들의 생존을 어렵게 만든다. 특히 매우 얇은 껍질을 가진 바다달팽이와 같은 생물들이 영향을 받는데, 이들은 무각익족류의 주요 먹이원이기 때문에 무각익족류의 생존 역시 위협받게 된다.
또한, 무각익족류는 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고래나 일부 어류(주로 연어)의 중요한 먹이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무각익족류의 개체 수 감소는 해양 생태계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9. 분류
Clionidae 도르비니, 1851라는 이름은 과거 해면동물 유착해면목에 속하는 한 과의 이름과 같아 혼동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CZN에서는 해면 과의 철자를 Clionaidae로 수정하자는 제안이 있었고, 논의 끝에 복족류 과의 올바른 이름은 '''Clionidae''' 그레이, 1847이며, 기준 속은 ''Clione'' 팔라스, 1774라고 결정했다.[1][2]
부셰 & 로크루아 (2005)의 분류에서는 다음 두 개의 아과를 인정하고 있다.
- Clioninae 라피네스크, 1815 (동의어: Fowlerininae 프루보-폴, 1926)
- Thliptodontinae 퀴트니에프스키, 1902 (동의어: Pteroceanidae 마이젠하이머, 1902; Cephalobranchiinae 프루보-폴, 1926)
무각거북고둥과에 속하는 속은 다음과 같다.
속명 | 명명자 | 비고 |
---|---|---|
클리오네 (Clione) | 팔라스, 1774 | 기준 속 |
파울러리나 (Fowlerina) | 펠세네어, 1906 |
속명 | 명명자 |
---|---|
세팔로브라키아 (Cephalobrachia) | 본느비에, 1912 |
틀립토돈 (Thliptodon) | 보아스, 1886 |
속명 | 명명자 | 비고 |
---|---|---|
파에도클리오네 (Paeoclione) | 단포스, 1907 | 유일종 파에도클리오네 돌리이포르미스 단포스, 1907 포함 |
파라클리오네 (Paraclione) | 테쉬, 1903 | |
탈라소프테루스 (Thalassopterus) | 퀴에트니에프스키, 1910 | 유일종 탈라소프테루스 잔클레우스 퀴에트니에프스키, 1910 포함 |
10. 문화
일본에서는 행운의 동물로 알려져 있으며 "바다의 천사"라고도 불린다. 쾌걸 근육맨 2세에서는 이 동물을 모티브로 한 클리오네맨이라는 초인이 등장한다.
참조
[1]
간행물
Comments
http://www.iczn.org/[...]
2004-09-30
[2]
웹사이트
Comment on the proposal to emend the spelling of CLIONIDAE d'Orbigny, 1851 (Porifera, Hadromerida) to CLIONAIDAE to remove homonymy with CLIONIDAE Rafinesque, 1815 (Mollusca); (Case 3211; see BZN 60: 99-102)
http://www.iczn.org/[...]
[3]
웹사이트
Fowlerina Pelseneer, 1906
http://marinespecies[...]
2009
[4]
웹사이트
Cephalobrachia
http://www.marinespe[...]
2010
[5]
웹사이트
Thliptodon Boas, 1886
http://www.marinespe[...]
2010
[6]
웹사이트
Paedoclione Danforth, 1907
http://www.marinespe[...]
2010
[7]
웹사이트
Genus Paedoclione
http://species-ident[...]
[8]
웹사이트
Paraclione Tesch, 1903
http://www.marinespe[...]
2009
[9]
웹사이트
Thalassopterus zancleus Kwietniewski, 1910
http://www.marinespe[...]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