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리안 (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리안은 대한민국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으로, 2003년부터 개발되어 2010년 6월 26일에 발사에 성공했다. 통신 서비스, 해양 관측, 기상 관측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해양 관측은 정지궤도 위성으로는 세계 최초로 시도되었다. 천리안은 2010년 7월부터 운용을 시작했으며, 2018년에는 후속 위성인 천리안 2A호와 2B호가 발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양 위성 - 천리안 2호
    대한민국이 개발한 정지궤도 위성 사업인 천리안 2호는 2A호와 2B호 두 개의 위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기상 관측과 해양 및 환경 관측 임무를 수행한다.
  • 정지 궤도의 통신 위성 - 무궁화 5호
    무궁화 5호는 프랑스에서 제작된 통신 위성으로, 군사 통신 및 국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2006년에 발사되어 상업용 및 군사용 중계기를 탑재하여 6,000km까지 교신이 가능하다.
  • 정지 궤도의 통신 위성 - 갤럭시 11
천리안 (위성)
개요
천리안 2A호 최종 점검
천리안 2A (GEO-KOMPSAT 2A) 최종 점검
임무 유형통신
해양 관측
기상 관측
운용 기관KARI
COSPAR ID2010-032A
SATCAT36744
임무 기간계획: 7년
위성 버스유로스타-3000S
제작사EADS 아스트리움
건조 질량해당 사항 없음
발사 질량2460kg
전력2.5 킬로와트
발사 정보
발사 날짜2010년 6월 26일, 21:41 (UTC)
발사 로켓아리안 5 ECA (V195)
발사 장소쿠루 ELA-3
발사 계약자아리안스페이스
궤도 정보
폐기 유형해당 사항 없음
작동 중단2020년 3월 31일, 23:59 (UTC)
최종 교신해당 사항 없음
궤도 기준 시점2015년 1월 23일, 17:05:20 (UTC)
궤도 참조지심
궤도 영역정지
근지점 고도35791 km
원지점 고도35795 km
궤도 경사0.03도
궤도 주기1436.13분
궤도 경도동경 128.2도
궤도 종류정지 궤도
명칭
한글천리안
의미Thousand Li View; clairvoyance (천 리를 보는 눈; 천리안)
로마자 표기Cheollian
임무
주요 임무통신, 해양 및 기상 관측
해양 탑재체 해상도500 m
기상 탑재체 해상도가시광선 1 km, 적외선 4 km
탑재 장비
탑재 장비 1해색계 (GOCI,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탑재 장비 2방사계 (MI, Meteorological Imager)

2. 개발 및 발사

2003년 9월부터 개발에 착수하여 2008년 12월 국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총조립을 마쳤고, 2009년 7월 기능 시험과 환경 시험이 마무리되었다.[33] 10월에는 우주환경시험을 성공리에 마쳤다. 이후 위성을 프랑스 톨루즈의 아스트리움사로 이송하여 추진계고압시험과 RF 적합성시험의 추가적인 성능시험을 2009년 12월2010년 1월에 걸쳐 수행하였고, 지난 2월에 2차례에 걸친 선적 전(船積前) 검토 회의(PSR)를 완료하였다.[34]

2. 1. 개발 과정

2003년 9월부터 개발에 착수하여 2008년 12월 국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총조립을 마쳤고, 2009년 7월 기능 시험과 환경 시험이 마무리되었다.[33] 10월에는 우주환경시험을 성공리에 마쳤다. 이후 위성을 프랑스 톨루즈의 아스트리움사로 이송하여 추진계고압시험과 RF 적합성시험의 추가적인 성능시험을 2009년 12월2010년 1월에 걸쳐 수행하였고, 지난 2월에 2차례에 걸친 선적 전(船積前) 검토 회의(PSR)를 완료하였다.[34]

2. 2. 발사 과정

천리안은 프랑스 아리안스페이스(Arianespace)사의 아리안-5ECA 발사체를 이용하여 발사되었다. 위성은 발사 32분 38초 후 고도 2,503km 지점에서 발사체와 분리되었으며, 이후 탑재된 컴퓨터의 자동 프로그램이 작동하여 초기화가 진행되었다.

위성은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로 이송되어 2010년 4월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었다.[35] 그러나 천리안보다 먼저 발사될 예정이었던 독일룩셈부르크 위성을 탑재한 아리안 로켓의 발사가 연기되면서 발사 일정이 불투명해졌다.[35] 이후 5월 22일 해당 위성들의 발사가 성공하면서, 천리안의 발사 예정일은 2010년 6월 23일(현지 시각, 한국 시각 6월 24일)로 확정되었다.[36]

2010년 6월 23일, 발사 47분 37초 전 발사체 상단 센서 오류로 인한 압력 저하로 발사 과정이 중지되었다.[37] 6월 24일(한국 시각 6월 25일) 오후 6시 41분(현지 시각) 발사 예정 시각을 17초 남기고 중단되었다가, 약 1시간 후인 오후 7시 48분을 재발사 시간으로 정하고 카운트다운에 들어갔으나, 발사 16초 전 1단 발사체 압력 저하 문제로 다시 중단되었다.[38]

2010년 6월 26일 오후 6시 41분(한국 시각 6월 27일 오전 6시 41분), 네 번째 발사 시도 끝에 발사에 성공하였다.[39] 발사 38분 후 오스트레일리아 동가라(Dongara) 지상국과의 첫 교신도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39]

3. 구성 및 제원

'''기능'''


  • '''통신 서비스 기능:''' 3DTV, UHDTV 등 차세대 위성 서비스 기반을 마련해, 국내최초 실험위성으로서 산‧학‧연의 위성통신 연구개발, 관련제품 상용화 및 서비스 활성화 기반 등으로 활용
  • '''해양 관측 기능:''' 정지궤도 위성으로는 세계 최초
  • ** '''관측대상지역:''' 한반도 주변 바다의 가로·세로 2500km
  • '''기상 관측 기능:''' 평상시 15분 간격으로 기상 정보 획득가능하며, 비상시 특별관측으로 최소 8분간격의 기상정보 제공이 가능.

제조는 EADS 아스트리움이 담당했으며, Eurostar-3000S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한다. 무게는 2460 kg이며, NATO 분류의 D/E 및 K 밴드트랜스폰더와, IEEE 분류의 L/S 및 Ka 밴드 트랜스폰더를 각각 탑재했다. 단일 태양 전지판에서 최소 2.5kW의 전력이 공급된다[15]

임무 기간은 7년을 예정하고 있지만[15], 위성의 설계 수명은 10년이다[16]

통신해양기상위성은 크게 통신 탑재체, 정지궤도 해색 탑재체(GOCI), 기상 탑재체(MI)로 구성된다.[29][30]

정지궤도 해색 탑재체한국해양연구원의 소요 제기 및 임무 개발을 통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프랑스EADS 아스트리움에서 공동 개발하였다. 천리안 위성 해색 탑재체는 정지궤도 위성으로는 세계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를 감시하고, 해양의 클로로필 생산량 추정 및 어장 정보를 생성한다.[31]

기상 탑재체는 태풍, 집중호우, 황사 등 위험기상을 조기 탐지하고, 장기간의 해수면 온도 및 구름 자료를 통한 기후 변화를 분석한다. 이 기상 센서는 미국 ITT사의 GOES-8호~GOES-13호 및 일본 MTSAT-2에 탑재된 것과 동일한 시스템이다.[29]

통신 탑재체는 대한민국산 Ka 밴드 통신 탑재체로, 광대역 위성 멀티미디어 시험 서비스를 제공한다.[29]

EADS 아스트리움이 제조를 담당했으며, Eurostar-3000S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한다. 무게는 2460kg이며, NATO 분류의 D/E 및 K 밴드트랜스폰더와, IEEE 분류의 L/S 및 Ka 밴드 트랜스폰더를 각각 탑재했다. 단일 태양 전지판에서 최소 2.5kW의 전력이 공급된다.[15]

임무 기간은 7년으로 예정되어 있지만,[15] 위성의 설계 수명은 10년이다.[16]

천리안은 EADS 아스트리움에서 제조했으며, Eurostar-3000S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한다. 무게는 2460 kg이며, 단일 태양 전지판에서 최소 2.5kW의 전력이 공급된다.[15] NATO 분류의 D/E 및 K 밴드트랜스폰더와, IEEE 분류의 L/S 및 Ka 밴드 트랜스폰더를 각각 탑재했다.

임무 기간은 7년으로 예정되어 있지만,[15] 위성의 설계 수명은 10년이다.[16]

3. 1. 구성

통신해양기상위성은 크게 통신 탑재체, 정지궤도 해색 탑재체(GOCI), 기상 탑재체(MI)로 구성된다.[29][30]

정지궤도 해색 탑재체한국해양연구원의 소요 제기 및 임무 개발을 통해 한국항공우주연구원프랑스EADS 아스트리움에서 공동 개발하였다. 천리안 위성 해색 탑재체는 정지궤도 위성으로는 세계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를 감시하고, 해양의 클로로필 생산량 추정 및 어장 정보를 생성한다.[31]

기상 탑재체는 태풍, 집중호우, 황사 등 위험기상을 조기 탐지하고, 장기간의 해수면 온도 및 구름 자료를 통한 기후 변화를 분석한다. 이 기상 센서는 미국 ITT사의 GOES-8호~GOES-13호 및 일본 MTSAT-2에 탑재된 것과 동일한 시스템이다.[29]

통신 탑재체는 대한민국산 Ka 밴드 통신 탑재체로, 광대역 위성 멀티미디어 시험 서비스를 제공한다.[29]

EADS 아스트리움이 제조를 담당했으며, Eurostar-3000S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한다. 무게는 2460kg이며, NATO 분류의 D/E 및 K 밴드트랜스폰더와, IEEE 분류의 L/S 및 Ka 밴드 트랜스폰더를 각각 탑재했다. 단일 태양 전지판에서 최소 2.5kW의 전력이 공급된다.[15]

임무 기간은 7년으로 예정되어 있지만,[15] 위성의 설계 수명은 10년이다.[16]

3. 2. 제원

천리안은 EADS 아스트리움에서 제조했으며, Eurostar-3000S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한다. 무게는 2460 kg이며, 단일 태양 전지판에서 최소 2.5kW의 전력이 공급된다.[15] NATO 분류의 D/E 및 K 밴드트랜스폰더와, IEEE 분류의 L/S 및 Ka 밴드 트랜스폰더를 각각 탑재했다.

임무 기간은 7년으로 예정되어 있지만,[15] 위성의 설계 수명은 10년이다.[16]

4. 운용

천리안은 정지 궤도(동경 128.2도)에서 운용 중이다.[21] 2010년 7월 10일 한국 지상국이 관제권을 인수한 후, 7월 12일에는 첫 기상 영상을, 7월 13일에는 첫 해양 영상을 성공적으로 촬영하였다.[21]

2011년 2월에는 러시아의 군사 통신 위성 "라도가 1-7"이 천리안에 수 킬로미터 거리까지 접근하여 위성을 긴급 회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2] 러시아는 과거 천리안이 위치한 동경 128.2도 상공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 적이 있어 고의 접근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나, 한국 측의 재발 방지 요구에 대한 답변은 없었다.[22]

2018년 2월 11일에는 천리안의 메인 컴퓨터 고장으로 기상 관측을 일시적으로 일본의 히마와리로 전환했으나,[23] 4일 후 복구되었다.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천리안의 운영 기한을 2020년 3월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4. 1. 운용 현황

천리안은 정지 궤도(동경 128.2도)에서 운용 중이다.[21] 2010년 7월 10일 한국 지상국이 관제권을 인수한 후, 7월 12일에는 첫 기상 영상을, 7월 13일에는 첫 해양 영상을 성공적으로 촬영하였다.[21]

2011년 2월에는 러시아의 군사 통신 위성 "라도가 1-7"이 천리안에 수 킬로미터 거리까지 접근하여 위성을 긴급 회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2] 러시아는 과거 천리안이 위치한 동경 128.2도 상공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 적이 있어 고의 접근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나, 한국 측의 재발 방지 요구에 대한 답변은 없었다.[22]

2018년 2월 11일에는 천리안의 메인 컴퓨터 고장으로 기상 관측을 일시적으로 일본의 히마와리로 전환했으나,[23] 4일 후 복구되었다.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천리안의 운영 기한을 2020년 3월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4. 2. 기상 관측

천리안의 기상 관측은 2011년 4월 6일부터 본격적으로 운용되기 시작했다. 관측 범위는 전 지구, 아시아 지역(협역 아시아 지역, 광역 아시아 태평양 지역 및 남반구), 한반도 지역으로 나뉜다. 광역 북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남반구 관측은 주간 스케줄에 따라 공지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통상 관측에서는 실시되지 않는다. 협역 아시아 지역은 88회, 전 지구 관측은 하루 8회 실시된다.

관측 채널은 일본의 MTSAT-1/2와 거의 같은 파장대를 사용한다. 다만, 계조값과 휘도 또는 등가 흑체 온도와의 대조표가 나오지 않아 MTSAT나 중국의 FY-2 시리즈와 비교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5. 특징 및 의의

이전까지는 일본의 기상위성인 MTSAT-1R과 미국의 기상위성으로부터 위성 영상 이미지를 얻었으나, 천리안이 운영되면 독자적인 위성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기상관측 센서는 미국의 ITT사에서 주문 제작하였고,[40] 기상자료 처리시스템(CMDPS)은 국립기상연구소에서 개발하였다.[41]

천리안에는 설계, 제작, 시험 등 전 과정을 순수 대한민국 국산 기술로 개발한 통신 중계기가 처음으로 탑재되어,[42] 대한민국은 세계 10번째 정지궤도 통신위성의 자체개발 국가가 되었다. 통신 탑재체 및 관제시스템은 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주관하여 개발했다.[41] 또한 천리안 위성은 위성통신을 위해 흔히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인 Ku 밴드가 포화됨에 따라,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인 Ka 밴드의 지원을 포함하였다.[40] Ka-Band는 3DTV나 UHDTV와 같은 광대역 위성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용에 유리하지만, 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다.

해양관측 센서는 EADS 아스트리움사와 공동으로 제작하였고, 해양자료 처리시스템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에서 개발하였다.[41]

5. 1. 기술적 특징

천리안은 순수 대한민국 기술로 개발된 통신 중계기가 탑재되어, 대한민국은 세계 10번째 정지궤도 통신위성 자체 개발 국가가 되었다.[42] 통신 탑재체 및 관제시스템은 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주관하여 개발했다.[41] 이전까지는 일본의 기상위성인 MTSAT-1R과 미국의 기상위성으로부터 위성 영상 이미지를 얻었으나, 천리안이 운영되면 독자적인 위성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기상관측 센서는 미국의 ITT사에서 주문 제작하였고,[40] 기상자료 처리시스템(CMDPS)은 국립기상연구소에서 개발하였다.[41]

또한 천리안 위성은 위성통신을 위해 흔히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인 Ku 밴드가 포화됨에 따라,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인 Ka 밴드의 지원을 포함하였다.[40] Ka-Band는 3DTV나 UHDTV와 같은 광대역 위성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용에 유리하지만, 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다.

해양관측 센서는 EADS 아스트리움사와 공동으로 제작하였고, 해양자료 처리시스템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에서 개발하였다.[41]

5. 2. 사회경제적 의의

일본의 MTSAT-1R과 미국의 기상위성으로부터 위성 영상 이미지를 얻었으나, 천리안 운영으로 독자적인 위성 영상을 확보하여 해외 기상 위성에 대한 의존도를 줄였다.[40] 기상관측 센서는 미국의 ITT사에서 주문 제작하였고,[40] 기상자료 처리시스템(CMDPS)은 국립기상연구소에서 개발하였다.[41]

천리안에는 설계, 제작, 시험 등 전 과정을 순수 대한민국 국산 기술로 개발한 통신 중계기가 처음으로 탑재되어,[42] 대한민국은 세계 10번째 정지궤도 통신위성의 자체개발 국가가 되었다. 통신 탑재체 및 관제시스템은 (ETRI)에서 주관하여 개발했다.[41] 또한 천리안 위성은 Ku 밴드가 포화됨에 따라, Ka 밴드의 지원을 포함하였다.[40] Ka-Band는 3DTV나 UHDTV와 같은 광대역 위성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수용에 유리하여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해양관측 센서는 EADS 아스트리움사와 공동으로 제작하였고, 해양자료 처리시스템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위성센터에서 개발하였다.[41]

6. 논란 및 문제점

러시아는 천리안의 궤도 동경 128.2도의 정지궤도가 러시아 소유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지궤도는 어느 특정 국가가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자원이 아니며, 러시아가 동경 128.2도에 정지궤도위성이 없으므로 한국은 이러한 러시아의 주장을 무시하고 발사했다.[43][44] 2011년 2월 NORAD에 등록되지 않은 러시아 군용 통신 위성 라두가 1-7이 궤도를 변경해 천리안 위성을 위협했다. 천리안 위성은 충돌을 피하기 위해 궤도를 변경했다. 위성은 잦은 궤도를 변경하면 내부 탑재 연료가 일찍 소모되어 위성 수명이 짧아진다.[43][44]

6. 1. 러시아와의 궤도 분쟁

러시아는 천리안의 궤도 동경 128.2도의 정지궤도가 러시아 소유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지궤도는 어느 특정 국가가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자원이 아니며, 러시아가 동경 128.2도에 정지궤도위성이 없으므로 한국은 이를 무시하고 발사했다.[43][44] 2011년 2월 NORAD에 등록되지 않은 러시아 군용 통신 위성 라두가 1-7이 궤도를 변경해 천리안 위성을 위협했다. 천리안 위성은 충돌을 피하기 위해 궤도를 변경했다. 위성은 잦은 궤도를 변경하면 내부 탑재 연료가 일찍 소모되어 위성 수명이 짧아진다.[43][44]

6. 2. 컴퓨터 고장

7. 후속 위성

2018년 12월 5일에는 기상 관측을 담당하는 천리안 2A호가[24], 2020년 2월 19일에는 해양·환경 관측을 담당하는 천리안 2B호가 발사되었다.[25]

참조

[1] 웹사이트 COMS 1 Satellite details 2010-032A NORAD 36744 http://www.n2yo.com/[...] N2YO 2015-01-25
[2] 웹사이트 Issue 629 http://planet4589.or[...] Jonathan's Space Report 2010-06-29
[3] 웹사이트 Space Programs in Korea http://www.aprsaf.or[...] Asia Pacific Space Activity Forum 2010-06-26
[4] 웹사이트 COMS 1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10-06-26
[5] 웹사이트 Flight 195 – Arabsat-5A - COMS: Launch delayed http://www.arianespa[...] Arianespace 2010-06-23
[6] 웹사이트 Arianespace launch 195 – Arabsat-5A and COMS: Liftoff is set for Saturday, June 26, 2010 http://www.arianespa[...] Arianespace 2010-06-26
[7] 웹사이트 Ariane 5 marks its 37th consecutive success by orbiting the Arabsat-5A and COMS satellites https://www.arianesp[...] Arianespace 2021-08-28
[8] 웹사이트 Ariane 5 Does The Heavy Lifting For Arabsat-5A and COMS http://www.satnews.c[...] Satnews Daily 2010-06-21
[9] 웹사이트 COMS Retirement Information https://public-old.w[...] WMO 2021-08-28
[10] 웹사이트 Satellite Launches for the Middle East and South Korea http://www.arianespa[...] Arianespace 2010-06-26
[11] 웹사이트 COMS http://www.astrium.e[...] EADS Astrium 2010-06-26
[12] 웹사이트 South Korea's Chollian-2B Environmental Satellite To Launch In February 2020 https://spacewatch.g[...] 2021-08-28
[13] 웹사이트 Space Programs in Korea http://www.aprsaf.or[...] Asia Pacific Space Activity Forum 2010-06-26
[14] 웹사이트 COMS-1 https://www.restec.o[...] リモート・センシング技術センター 2021-11-29
[15] 웹사이트 COMS 1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10-06-26
[16] 웹사이트 COMS http://www.astrium.e[...] EADS Astrium 2010-06-26
[17] 웹사이트 Flight 195 – Arabsat-5A - COMS: Launch delayed http://www.arianespa[...] Arianespace 2010-06-23
[18] 웹사이트 http://www.arianespa[...]
[19] 웹사이트 Arianespace launch 195 – Arabsat-5A and COMS: Liftoff is set for Saturday, June 26, 2010 http://www.arianespa[...] Arianespace 2010-06-26
[20] 웹사이트 アリアン5ロケット、韓国初の静止衛星などを打ち上げ http://www.sorae.jp/[...] 2010-06-29
[21] 웹사이트 静止軌道衛星「千里眼」 試験運営に本格着手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1-03-09
[22] 웹사이트 韓国人工衛星、ロシア衛星接近受け退避騒動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03-09
[23] 웹사이트 韓国気象衛星、よりによって五輪中に故障…日本衛星を活用中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08-26
[24] 웹사이트 韓国開発の気象衛星「千里眼2A」 打ち上げに成功(12月5日)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1-11-29
[25] 웹사이트 韓国静止衛星「千里眼2B号」打ち上げ成功 地上と初交信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1-11-29
[26] 뉴스 국산 1호 통신해양기상위성 발사된다 대덕넷 2002-12-16
[27] 뉴스 통신해양기상위성 명칭 '천리안' 선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4-01
[28] 뉴스 기상관측 전용위성 2008년 발사…佛과 공동개발 세계일보 2006-08-23
[29] 웹인용 국가기상위성센터 천리안위성 소개 http://nmsc.kma.go.k[...] 2017-05-25
[30] 웹사이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천리안 1호 소개 https://www.kari.re.[...]
[31] 웹사이트 천리안해양관측위성 소개 http://kosc.kiost.ac[...]
[33] 뉴스 '통신해양기상위성' 최종시험 위해 프랑스로 이송 https://news.naver.c[...] 아시아경제 2009-11-25
[34] 뉴스 http://www.kari.re.k[...]
[35] 뉴스 나로호 발사 순항, 천리안 발사 안개 속 https://news.naver.c[...] YTN 2010-04-15
[36] 뉴스 통신해양기상위성 ‘천리안’ 내달 24일 발사 http://korea.kr/news[...] 공감코리아 2010-05-28
[37] 뉴스 기상관측위성 천리안 발사 25일 재시도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0-06-24
[38] 뉴스 "<천리안 위성> 25일 발사도 16초전 중단"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6-25
[39] 뉴스 "<천리안 위성> 발사 성공..천이궤도 진입(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6-27
[40] 뉴스 우주 셋방살이 '탈출 프로젝트' 가동 대덕넷 2005-09-20
[41] 뉴스 2008년 통신해양기상위성 쏜다 국제신문 2005-04-22
[42] 뉴스 (사보마당)항우연 통신해양기상위성 사업단은? 대덕넷 2006-07-26
[43]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44]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