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은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청동 거울 3점을 묶어 이르는 말로, 국보 제161호로 지정되었다. 신수문경, 의자손수대경, 수대문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거울은 중국 한나라 시대의 거울을 모방하여 제작되었다. 신수문경은 신선과 12지신을, 의자손수대경은 '의자손' 글자와 짐승 문양을, 수대문경은 신선과 상서로운 동물 무늬를 특징으로 한다.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립공주박물관 소장품 - 무령왕릉 지석
무령왕릉 지석은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2매의 매지권으로, 왕과 왕비의 생년월일, 사망일, 장례 날짜 등이 기록되어 있어 무덤의 주인을 확인하고 당시 백제인들의 매장 풍습과 사후 세계관, 백제와 중국 남조의 문화 교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국립공주박물관 소장품 - 무령왕 금제관식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 금제관식은 왕과 왕비의 화려한 금 장식품 한 쌍으로, 백제 왕족 문화와 미술을 보여주는 국보급 유물이며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무령왕릉 - 무령왕릉 지석
무령왕릉 지석은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2매의 매지권으로, 왕과 왕비의 생년월일, 사망일, 장례 날짜 등이 기록되어 있어 무덤의 주인을 확인하고 당시 백제인들의 매장 풍습과 사후 세계관, 백제와 중국 남조의 문화 교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 무령왕릉 - 무령왕 금제관식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 금제관식은 왕과 왕비의 화려한 금 장식품 한 쌍으로, 백제 왕족 문화와 미술을 보여주는 국보급 유물이며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청동 - 범종
범종은 불교 의식이나 시간 알림에 사용되는 사찰의 종으로, 편종에서 유래하여 한국과 일본 등지에서 각 문화와 결합해 발전했으며, 한국은 음통, 일본은 와비사비 미학을 특징으로 하고, 불교적, 사회·역사적 의미와 더불어 평화와 추모를 상징한다. - 청동 - 동메달
올림픽을 비롯한 스포츠 경기에서 3위 입상자에게 수여되는 동메달은 청동을 주 재료로 하며, 1904년 하계 올림픽부터 수여되었고, 디자인은 개최 도시에서 담당하며, 일부 종목에서는 공동 3위에게 수여되며, 심리학 연구에서 동메달리스트가 은메달리스트보다 더 기뻐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원어 명칭 | 武寧王陵 銅鏡一括 |
영문 명칭 | Bronze Mirrors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
지정 번호 | 국보 제161호 |
지정일 | 1974년 7월 9일 |
소재지 |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
수량 | 3개 |
시대 | 백제 |
2. 신수문경
방격규구신수문경은 뒷면의 거울걸이를 중심으로 4각의 구획이 있고 그 주위에 신수를 표현하였다. 거울에 묘사된 사람은 신선을 표현하듯, 머리에는 상투를 틀고 반나체에 삼각하의만 입은 모습이며 손에는 창을 들고 4마리의 큼직한 짐승들을 사냥하는 모습이다. 손잡이 주위에는 4각형의 윤곽을 만들고 작은 돌기들을 배열한 다음 그 사이에 12간지를 새겨 놓았다.[2] 청동신수경은 중국 후한의 거울인 ‘방격규구문경’을 모방하여 만든 것이다. 거울 내부에는 반나체 인물상과 글은 한나라의 거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의자손수대경은 가죽끈이 끼워져 있는 거울걸이 아래에 '의자손'이라는 글씨와 짐승 모양이 새겨져 있어 붙은 이름이다.[3] 거울 중앙의 꼭지를 중심으로 9개의 돌기가 있고, 안에는 크고 작은 원과 7개의 돌기가 솟아있다. 내부 주위의 테두리에는 명문이 새겨져 있으나 선명하지 못하여 알아볼 수 없다. 중국 한대의 수대경을 본떠 만든 복제품이다.
수대문경은 거울 중앙의 꼭지를 중심으로 9개의 작은 돌기가 있다. 안쪽에는 크고 작은 원이 있고 그 사이에 7개의 둥근 돌기와 네 명의 신선, 세 마리의 상서로운 동물무늬가 가는 선으로 새겨져있다.[1] 수대경은 한나라 때 동물 문양을 새겨 넣은 수대경을 본받아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한나라 거울에 비해 선이 굵고 무늬가 정교하지 못하다.
3. 의자손수대경
4. 수대문경
5. 세부 목록
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 지정일 161-1호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신수문경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국립공주박물관 1974년 7월 9일 161-2호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의자손명 수대문경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국립공주박물관 1974년 7월 9일 161-3호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 수대문경 충남 공주시 관광단지길 34, 국립공주박물관 (웅진동) 국립공주박물관 1974년 7월 9일
5. 1. 신수문경 (국보 제161-1호)
방격규구신수문경은 뒷면 거울걸이를 중심으로 4각 구획이 있고 그 주위에 신수를 표현하였다. 거울에 묘사된 사람은 신선을 표현하듯, 머리에 상투를 틀고 반나체에 삼각하의만 입은 모습이며 손에는 창을 들고 4마리의 큼직한 짐승들을 사냥하는 모습이다. 손잡이 주위에는 4각형 윤곽을 만들고 작은 돌기들을 배열한 다음 그 사이에 12간지 글씨를 새겨 넣었다.[2] 청동신수경은 중국 후한의 거울인 ‘방격규구문경’을 모방하여 만든 것이다. 거울 내부의 반나체 인물상과 글은 한나라 거울에서 흔히 볼 수 있다.
5. 2. 의자손수대경 (국보 제161-2호)
의자손수대경은 가죽끈이 끼워져 있는 거울걸이 아래에 '의자손'이라는 글씨와 짐승 모양이 새겨져 있어 붙은 이름이다.[3] 거울 중앙의 꼭지를 중심으로 9개의 돌기가 있고, 안에는 크고 작은 원과 7개의 돌기가 솟아있다. 내부 주위의 테두리에는 명문이 새겨져 있으나 선명하지 못하여 알아볼 수 없다. 중국 한대의 수대경을 본떠 만든 복제품이다.
5. 3. 수대문경 (국보 제161-3호)
수대문경은 거울 중앙의 꼭지를 중심으로 9개의 작은 돌기가 있다. 안쪽에는 크고 작은 원이 있고 그 사이에 7개의 둥근 돌기와 네 명의 신선, 세 마리의 상서로운 동물 무늬가 가는 선으로 새겨져 있다.[1] 수대경은 한나라 때 동물 문양을 새겨 넣은 수대경을 본받아 만들어졌으나, 한나라 거울에 비해 선이 굵고 무늬가 정교하지 못하다.
참조
[1]
웹사이트
무령왕릉 수대문경
http://www.emuseum.g[...]
2015-09-24
[2]
웹사이트
무령왕릉 신수문경
http://www.emuseum.g[...]
2015-09-24
[3]
웹사이트
무령왕릉 의자손명 수대문경
http://www.emuseum.g[...]
2015-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