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스카린 수용체 M3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스카린 수용체 M3는 Gq 단백질과 결합하여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등 다양한 생리적 영향을 미치는 수용체이다. 평활근 수축, 혈관 확장, 인슐린 분비 조절, 침샘 등 분비샘 분비 조절에 관여하며, 2형 당뇨병과 관련된 항정신병 약물의 표적이 될 수 있다. 아세틸콜린, 베타네콜, 아트로핀, 옥시부티닌 등 다양한 작용제와 길항제가 M3 수용체에 작용하며, Gq 단백질, Arf6, ARF1 등과 상호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용체 - 광수용체
    광수용체는 망막의 빛을 감지하는 세포로, 간상세포, 원추세포, ipRGCs로 구성되어 명암, 색깔, 생체 리듬 조절 등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며, 이 과정의 이상은 시각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수용체 -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세포 내에서 에스트로겐과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ERα와 ERβ의 두 가지 주요 아이소폼이 존재하며, 유방암, 폐경, 비만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되어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의 표적이 되고 비유전체적 신호 전달 경로에도 관여한다.
  • 인간 1번 염색체상 유전자 - 레닌 (효소)
    레닌은 혈압과 체액 균형을 조절하는 RAA계의 핵심 효소로서,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 I으로 전환시키며, 과활성화 시 고혈압을 유발하고 유전자 돌연변이는 신장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 인간 1번 염색체상 유전자 - 심방 나트륨이뇨 펩타이드
    심방 나트륨이뇨 펩타이드(ANP)는 심방에서 생성되는 28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펩타이드 호르몬으로, 혈압 조절 및 체액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나트륨 배설 촉진, 알도스테론 분비 억제, 혈관 이완 등의 효과를 나타내 심혈관 질환의 바이오마커 및 급성 심부전 치료제로 활용된다.
무스카린 수용체 M3
일반 정보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 M3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 M3
유전자 기호CHRM3
유전자 이름콜린성 수용체, 무스카린 3
로커스1q43
식별
외부 데이터베이스Entrez Gene: 1131
Ensembl: ENSG00000163353
UniProt: P20309
Pubmed: 31926814
ECogene: EG11881
NCBI protein: NP_000731
관련 유전자CHRM1
CHRM2
CHRM4
CHRM5
기타 데이터
올소로그인간
생쥐
기능
기능G 단백질 결합 수용체
세포 표면 수용체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
참여신호 전달
혈당 항상성
리간드
작용제세비멜린
옥소트레모린
필로카르핀
길항제다리페나신
솔리페나신
트록스피움
4-DAMP
피렌제핀
세토피프라졸
클로자핀
텔렌제핀
역할
역할침샘에서의 침 분비
위벽 세포에서의 위산 분비
방광벽의 배뇨근 수축
혈관 내피 세포에서 이완 인자 (NO 또는 EDHF) 방출로 인한 혈관 확장 (직접적인 수축은 아님)
뇌혈관 확장
장 연동 운동 증가
눈의 조절
동공 수축
인슐린 분비
특정 형태의 기억 및 학습
상호 작용
상호 작용GRK2와 상호 작용
GRK3와 상호 작용
추가 정보
추가 정보CHRM3 콜린성 수용체, 무스카린 3

2. 메커니즘

M3 무스카린성 수용체는 Gq 단백질과 짝을 이루어 인지질분해효소 C를 활성화시킨다. 그 결과 신호전달경로로써 IP3와 세포 내 칼슘 농도가 변하게 된다.[4] 척추동물에서 칼슘은 단백질인산화효소 C(PKC)의 활성과 그 기능에 관여한다.

2. 1. Gq 단백질과의 결합

M1 무스카린성 수용체와 마찬가지로 M3 수용체는 Gq 단백질과 결합하여 포스포리파제 C를 상향 조절한다. 이는 신호 전달 경로로서 이노시톨 삼인산과 세포 내 칼슘을 증가시킨다.[4] 척추동물에서 칼슘은 단백질 키나아제 C의 활성화와 그 효과에 관여한다.

2. 2. 인지질분해효소 C 활성화

M3 수용체는 Gq 단백질과 짝을 이루고 있다.[4] Gq 단백질은 인지질분해효소 C를 활성화시키고, 그 결과 신호전달경로로써 IP3와 세포 내 칼슘 농도가 변하게 된다.[4] 척추동물에서 칼슘은 단백질인산화효소 C(PKC)의 활성과 그 기능에 관여하고 있다.

2. 3. IP3 및 칼슘 농도 변화

M1 무스카린성 수용체와 마찬가지로 M3 수용체는 Gq 클래스의 G 단백질에 결합하여 포스포리파제 C를 상향 조절한다.[4] 그 결과 신호전달경로로써 이노시톨 삼인산(IP3)과 세포 내 칼슘 농도가 증가한다.[4] 척추동물의 칼슘 기능은 단백질 키나아제 C의 활성화와 그 효과를 포함한다.

2. 4. 단백질인산화효소 C 활성화

M1 무스카린성 수용체와 같이 M3 수용체는 Gq 단백질과 짝을 이루고 있다. Gq 단백질은 인지질분해효소 C를 활성화시키고, 그 결과 신호전달경로로써 IP3와 세포 내 칼슘 농도가 변하게 된다.[4] 척추동물에서 칼슘은 단백질인산화효소 C의 활성과 그 기능에 관여하고 있다.

3. 영향

M3 수용체는 Gq 단백질과 결합하여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므로, 기관지 수축과 같이 평활근 수축을 유발한다.[5] 그러나 혈관에서는 혈관 내피 세포의 M3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산화 질소 합성이 증가한다. 이 산화 질소는 주변 혈관 평활근 세포로 확산되어 이완과 혈관 확장을 일으킨다. 이는 부교감신경 흥분제가 혈관 긴장도와 세기관지 긴장도에 미치는 상반된 효과를 설명한다.[5] 혈관 평활근 세포에 있는 M3 수용체가 직접 자극되면 혈관 내피세포에 문제가 있는 경우 혈관 수축을 유발한다.[5]

무스카린 M3 수용체는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를 조절하여[2] 2형 당뇨병 기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표적이 된다. 정신 분열증과 양극성 장애 치료에 쓰이는 일부 항정신병약(올란자핀, 클로자핀 등)은 M3 수용체에 강하게 결합하여 차단하므로, 당뇨병 부작용 위험이 높다. 이는 인슐린 조절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1]

M3 수용체는 내분비선과 외분비선을 포함한 여러 샘에 위치하여, 침샘 등에서 분비를 촉진한다.[1] 그 외에도 에서의 분비 증가,[1] 눈 조절[1] 등의 효과가 있다.

3. 1. 평활근

M3 수용체는 Gq 결합 수용체이며 세포 내 칼슘 증가를 매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관지 수축에서 관찰되는 것과 같이 평활근의 수축을 유발한다.[5] 그러나 혈관과 관련하여, 혈관 내피 세포에서 M3의 활성화는 산화 질소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인접한 혈관 평활근 세포로 확산되어 이완과 혈관 확장을 유발하므로, 부교감신경 흥분제가 혈관 긴장도 및 세기관지 긴장도에 미치는 역설적인 효과를 설명한다.[5]

M3 수용체는 Gq 단백질과 협업하며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대개는 기관지수축(bronchoconstriction)같은 평활근의 수축을 야기한다.[5] 그러나 혈관구조와 관련하여 혈관의 내피세포에 발현된 M3의 활성은 산화질소(nitric oxide)의 합성이 증가되는 것을 야기한다.[5] 합성된 산화질소는 인접한 혈관의 평활근 세포로 확산되고, 이는 혈관확장과 이완을 유발시키는데 이로써 혈관 긴장(vascular tone)과 세기관지 긴장(bronchiolar tone)에 대한 부교감신경흥분작용(parasympathomimetic)의 모순적인 설명이 가능해진다.[5]

실제로 혈관 평활근 세포에 존재하는 M3 수용체의 직접적인 자극은 혈관 내피세포에 문제가 있는 질병에서 혈관수축(vasoconstriction)을 매개하고 있다.[5]

3. 2. 2형 당뇨병

무스카린 M3 수용체는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를 조절하며,[2] 2형 당뇨병의 기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표적이다.

정신 분열증과 양극성 장애 치료를 위해 처방되는 일부 항정신병약(예: 올란자핀, 클로자핀)은 당뇨병 부작용의 위험이 높다. 이 약물들은 무스카린 M3 수용체에 강력하게 결합하여 차단하며, 이는 당뇨병 발생에 앞서 나타날 수 있는 인슐린 조절 장애를 유발한다.[1]

3. 3. 기타 영향

M3 수용체는 내분비선과 외분비선을 포함한 많은 샘에 위치하며, 침샘 및 신체의 다른 샘에서 분비를 자극하는 데 도움을 준다.[1]

다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4. 작용 물질

2009년까지 매우 특이적인(highly selective) M3 작용물질은 아직까지 이용가능한 것이 없다. 그러나, M3에 작용하는 비특이적인(non-selective) 작용물질들은 많다.

작용제길항제


4. 1. 작용제 (Agonists)

2018년 기준, 고도로 선택적인 M3 작용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지만, 비선택적 무스카린 작용제는 M3 수용체에 작용한다.[6]

4. 2. 길항제 (Antagonists)


  • 아트로핀[4][6]
  • 하이오사이아민[8]
  • 브롬화 아클리디늄
  • 4-DAMP (1,1-디메틸-4-디페닐아세톡시피페리디늄 아이오다이드, CAS# 1952-15-4)
  • 다리페나신
  • DAU-5884 (8-메틸-8-아자비사이클로-3-엔도[1.2.3]옥트-3-일-1,4-다이하이드로-2-옥소-3(2H)-퀴나졸린카르복실산 에스터, CAS# 131780-47-7)
  • 디사이클로베린
  • HL-031,120 ((3R,2'R)-EA-3167의 에난티오머)
  • 이프라트로피움[6]
  • J-104,129 ((aR)-α-시클로펜틸-α-히드록시-N-[1-(4-메틸-3-펜테닐)-4-피페리디닐]벤젠아세트아미드, CAS# 244277-89-2)
  • 옥시부티닌[6]
  • 티오트로피움
  • 톨테로딘[6]
  • 자미페나신 ((3R)-1-[2-(1-,3-벤조디옥솔-5-일)에틸]-3-(디페닐메톡시)피페리딘, CAS# 127308-98-9)
  • 트라마돌[7]
  • 디펜히드라민
  • 플루옥세틴
  • 프로시클리딘
  • 솔리페나신

5. 상호작용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M3는 Gq 단백질과 사전에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용체의 다염기성 C-말단 꼬리 부분은 이러한 결합에 필수적이다.[4] 또한 상호작용을 통해 Arf6[9] 및 ARF1과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9]

참조

[1] 논문 Effects of olanzapine on muscarinic M3 receptor binding density in the brain relates to weight gain, plasma insulin and metabolic hormone levels 2012-05
[2] 논문 A critical role for beta cell M3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s in regulating insulin release and blood glucose homeostasis in vivo 2006-06
[3] 웹사이트 Entrez Gene: CHRM3 cholinergic receptor, muscarinic 3 https://www.ncbi.nlm[...]
[4] 논문 Inactive-state preassembly of G(q)-coupled receptors and G(q) heterotrimers 2011-08
[5] 서적 Goodman &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https://archive.org/[...] McGraw-Hill
[6] 서적 Pharmacology https://archive.org/[...] Elsevier Churchill Livingstone
[7] 논문 The inhibitory effects of tramadol on muscarinic receptor-induced responses in Xenopus oocytes expressing cloned M(3) receptors 2002-11
[8] 웹사이트 DailyMed http://dailymed.nlm.[...]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0-05
[9] 논문 ADP-ribosylation factor-dependent phospholipase D activation by the M3 muscarinic receptor 20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