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신 (제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신은 진승의 농민 봉기 이후 그의 부하가 되어 장군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진여의 제안을 받아들여 군사를 이끌고 옛 조나라 지역을 공격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한단을 점령한 후, 진승이 장한에게 패배했다는 소식을 듣고 스스로 조나라 왕을 칭했다. 이후, 진승의 명령을 무시하고 하북에서 세력을 넓히려다 연나라 군에 사로잡히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을 겪었다. 결국, 부하 이량의 반란으로 살해당했으며, 장이와 진여는 조나라를 재건하려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08년 사망 -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는 기원전 3세기의 로마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갈리아 전쟁 승리, 한니발과의 전투, 시라쿠사 공방전 승리를 통해 용맹함을 떨쳤으며, 다섯 번의 집정관을 역임하고 정찰 중 전사했다.
  • 기원전 208년 사망 - 이사 (진나라)
    이사(李斯)는 초나라 출신으로 법가 사상에 기반하여 진나라의 중국 통일에 기여하고 군현제 실시, 도량형 통일, 문자 통일 등의 정책을 주도했으나, 분서갱유를 주도하고 진 시황제 사후 유서를 위조하여 호해를 옹립하는 등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는 진나라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이다.
  • 초한전쟁 관련자 - 장량
    장량은 전국시대 말기부터 초한쟁패기를 거쳐 전한 초기에 활약한 한나라 귀족 출신 인물로, 유방을 도와 한나라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유후에 봉해진 뛰어난 지략가이자 책사이다.
  • 초한전쟁 관련자 - 소하
    소하는 전한 초기의 정치가로 유방을 도와 한나라 건국에 공을 세웠으며, 군수 보급, 내정 담당, 한신 천거, 승상으로서 국가 기틀을 다지는 데 헌신한 인물이다.
무신 (제후)
인물 정보
이름무신
한자武臣
로마자 표기Wu Chen
생몰년도기원전 3세기 ~ 기원전 208년
출신조나라 한단
직업장군
활동 시기진나라 말기
생애
주요 활동진승, 오광의 난에 가담
자칭 조나라 왕
최후이량에게 살해당함

2. 상세

진승(陳勝)의 농민 봉기 이후, 진성 사람이었던 무신은 그의 부하가 되었다. 진여가 진승에게 따로 군사를 내어 옛 조나라 영토를 공격하도록 진언했고, 진승은 이를 받아들여 무신을 장군으로 임명하고 군사 3천 명을 주어 출진시켰다. 진승은 소소(邵騷)를 호군으로, 장이와 진여는 교위로 삼아 무신의 부하로 붙여주었다.[11][12]

무신 등은 황하를 건너 옛 조나라 세력 일부를 흡수하여 여러 성을 굴복시켰다. 범양 땅을 공격하려다 괴철의 계책을 받아들여 범양령을 귀순시켰고, 옛 조나라 땅의 30여 성의 항복을 받아냈다. 한단을 점령한 후, 진승이 진나라 본토의 입구인 함곡관에서 장한에게 패배했다는 소식을 듣고 스스로 조나라의 왕을 칭했다. 진승에게 식솔들이 잡혔으나 석방되고, 진승은 즉위를 축하하는 사절단을 보내 진나라 본토를 공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1][12]

진승의 명령을 무시하고 하북에서 세력을 넓히고자 한광에게는 옛 연나라 땅을 공격하게 하고, 이량에게는 상산 일대를, 장염에게는 상당을 공격하게 했다. 한광이 연나라 왕으로 추대되어 조나라에서 독립하자 장이와 진여와 함께 연나라를 공격했으나 순시 도중 연나라 군사에 사로잡혔다. 연나라 장수는 무신의 석방 조건으로 조나라 땅을 요구했고, 시양졸이 연나라 장수를 설득하여 겨우 대가 없이 풀려났다. 이량이 상산을 평정하고 군사를 돌려 태원을 공격하게 했으나, 정형에서 진나라 군대에 가로막혀 진격하지 못하고 한단으로 갔다. 이때 무신의 누나가 이량을 무례히 대하자, 이량은 원한을 품어 무신의 누이를 죽이고 한단성을 기습했다. 무신은 소소와 함께 살해당했다.[11]

장이와 진여는 수하들의 도움으로 겨우 빠져나와 조나라를 재건했고, 이량은 진여를 공격했으나 패배해 진나라 장군 장한에게 귀순했다.[11]

3. 조나라 왕 즉위와 배신

무신은 진성 사람으로, 농민 봉기를 일으킨 진승(陳勝)의 부하가 되었다. 진여의 제안으로 진승은 무신을 장군으로 임명하고 군사 3천 명을 주어 옛 조나라 영토를 공격하게 했다. 이때 소소(邵騷)는 호군, 장이와 진여는 교위가 되어 무신을 보좌했다.[11][12]

무신은 황하를 건너 조나라 세력 일부를 흡수하고 여러 성을 굴복시켰다. 범양을 공격할 때는 괴철의 계책을 받아들여 범양령을 귀순시켰고, 이로 인해 30여 성이 싸움 없이 항복했다. 한단을 점령한 후, 진승이 보낸 군대가 장한에게 패했다는 소식을 듣고 스스로 조나라 왕을 칭했다. 진승은 처음에는 분노했으나, 결국 무신의 즉위를 축하하고 진나라 본토 공격을 명령했다.[11][12]

하지만 무신은 진승의 명령을 따르지 않고 하북에서 세력을 넓히려 했다. 한광에게는 옛 연나라 땅을, 이량에게는 상산 일대를, 장염에게는 상당을 공격하게 했다. 한광이 연나라 왕으로 추대되어 독립하자, 장이, 진여와 함께 연나라를 공격했으나, 순시 도중 연나라 군대에 사로잡혔다. 연나라 장수는 조나라 땅을 대가로 요구했으나, 시양졸의 설득으로 풀려났다.[11]

한편, 이량이 상산을 평정하고 태원을 공격하려 했으나, 정형에서 진나라 군대에 막혔다. 이량은 군사를 더 청하러 한단으로 갔는데, 이때 무신의 누나가 이량을 무례하게 대하자 앙심을 품고 무신의 누이를 죽이고 한단성을 기습했다. 무신은 미처 대처하지 못하고 소소와 함께 살해당했다.[11]

4. 사후

무신은 진군(현재의 허난성저우커우시회양구) 출신으로, 진승과는 오랜 친구였다.[8] 이세 2년(기원전 208년) 11월, 이량에게 태원 공략을 명했으나, 이량이 진군에게 막혀 한단으로 돌아와 증원을 요청하려 했다. 이량은 오는 길에 무신의 누이 행렬을 무신의 행렬로 착각하고 인사를 했으나, 무신의 누이는 술에 취해 이량을 알아보지 못하고 무례하게 대했다. 이에 분노한 이량은 무신의 누이를 살해하고 한단을 습격하여 무신과 소소를 살해했다.[10]

무신 사후, 장이진여 등은 조나라 왕족 조헐을 왕으로 옹립하고 신도를 근거지로 삼았다.[10] 유방에게 반기를 들었던 옹치, 하남왕 신양, 은왕 사마앙 등도 무신의 장수였다.[10]

5. 평가

무신은 진나라 말기 혼란한 정세 속에서 진승의 봉기에 가담하여 조나라 지역을 공략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나, 진승과의 관계가 틀어지고 부하에게 살해당하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무신은 진승과 오랜 친분을 바탕으로 봉기에 참여하여 장군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조나라 지역을 공략하며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여 여러 성을 함락시키고 세력을 확장했다. 특히 괴통의 계책을 받아들여 범양성을 평화적으로 함락시키는 등 외교적 수완도 보여주었다.

하지만 무신은 장이진여의 진언에 따라 스스로 조왕에 오르면서 진승과 갈등을 빚게 되었다. 진승은 처음에는 분노했지만, 결국 무신의 왕위를 인정하고 함곡관 공격을 명했다. 그러나 무신은 장이와 진여의 조언에 따라 진나라 공격 대신 연과 대를 공격하여 영토 확장에 주력했다.

이러한 무신의 독자적인 행보는 진승과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 결국 무신은 연나라 공략 중 포로로 잡히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이후 부하인 이량의 배신으로 누이와 함께 살해당하며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10] 무신이 죽은 후, 장이·진여 등은 조의 옛 왕족 조헐을 조왕으로 삼고 신도를 근거지로 삼았다.

6. 기타

무신은 진군 진현(현재의 허난성저우커우시회양구) 출신으로, 진승과 오랜 친구였다.[8] 진승·오광의 난 이후 진승이 장초를 세우고 왕위에 오르자, 무신은 장군으로 임명되어 조나라 땅을 공략했다.

무신은 조나라 호걸들을 설득하여 세력을 키웠고, 괴통의 계책을 받아들여 범양을 비롯한 여러 성을 항복시켰다. 이후 한단에서 장이진여의 진언에 따라 조왕을 칭했으나, 진승은 이에 분노했다. 그러나 상주국 방군과 채사의 중재로 무신의 왕위는 인정되었고, 무신은 가족을 인질로 잡힌 채 진나라 공격을 명받았다.

무신은 장이와 진여의 조언에 따라 진나라 공격 대신 북쪽의 연과 대나라를 공격하고 남쪽의 하내를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하는 전략을 택했다. 한광을 연나라에, 이량을 항산에, 장엄을 상당에 보내 공략하게 했다.

그러나 한광이 연나라에서 연왕으로 옹립되자, 무신은 연나라와의 국경 분쟁 중에 연나라 군대에 사로잡히는 수모를 겪었다. 조나라 병사의 기지로 풀려나긴 했지만, 이후 이량의 배신으로 무신과 소소는 살해당했다.[10]

무신 사후, 장이와 진여는 조나라 왕족 조헐을 왕으로 옹립하고 신도를 근거지로 삼았다. 유방을 배반했던 옹치와 하남왕 신양, 은왕 사마앙 등도 무신의 장수였다.[10]

참조

[1] 서적 鬼谷子全书·第二卷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15-01-01
[2] 서적 事大與保國 ── 元明之際的中韓關係 https://books.google[...] 香港教育圖書公司 2009-07-01
[3] 서적 告_你一__信的故事 https://books.google[...] 千華駐 崧博 2018-02-08
[4] 서적 燕赵古战场演义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17-11-01
[5] 문서 史記』張耳陳余列伝、司馬遷|太史公自序より。項羽の叔父の項梁と同じ称号である。
[6] 문서 以下、特に注釈がない部分は、『史記』秦楚之際月表第四・陳渉世家・張耳陳余列伝による。
[7] 문서 年号は『史記』秦楚之際月表第四による。西暦でも表しているが、この時の暦は10月を年の初めにしているため、注意を要する。まだ、秦代では正月を端月とする。
[8] 문서 『史記』張耳陳余列伝
[9] 문서 『史記』を注釈する『史記索隠』によると、大庾・始安・臨賀・桂陽・掲陽を五嶺とする。
[10] 문서 『[[晋書]]』帝紀第一 宣帝
[11] 위키문헌 사마천: 《사기》 권89 장이진여열전
[12] 위키문헌 위와 같음, 권48 진섭세가제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