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읍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장읍성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 행정적 기능을 수행하는 성으로,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에 위치한다. 둘레 약 1,400m, 넓이 144,776m² 규모이며, 객사, 동헌, 진무루 등 옛 건물과 유구가 남아있다. 조선 태종 17년(1417) 병마사 김저래가 축조했으며, 흙과 돌을 섞어 쌓은 성곽으로 확인되었다. 2018년에는 비격진천뢰 11점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17년 완공된 건축물 - 울산 경상좌도병영성
울산 경상좌도병영성은 조선 태종 때 왜구 침입에 대비하고 경상좌도 군사력을 통제하기 위해 세워진 병마절도사 영성으로, 일제강점기 이후 군사적 기능을 상실하고 현재는 역사 유적지로 보존되고 있다. - 1417년 완공된 건축물 - 하동읍성
하동읍성은 삼한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하동 지역의 방어 및 행정 중심지였던 평지 읍성으로, 현재 일부 성벽과 유구가 남아 사적으로 보존되고 있다. - 고창군의 문화유산 - 고창읍성
고창읍성은 전라북도 고창군에 위치한 조선시대 읍성으로, 효과적인 방어를 위해 공북루, 등양루, 진서루 등의 성문과 옹성, 치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 고창군의 문화유산 -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은 기원전 1000년에서 기원전 100년 사이에 축조된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이 밀집 분포하여 당시 사회 구조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사적 - 익산 토성
익산 토성은 오금산 정상에 흙과 돌로 쌓은 산성으로,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에 축조되었으며 백제, 통일신라, 고려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사적 - 익산 쌍릉
익산 쌍릉은 백제 무왕의 능으로 추정되는 익산시 왕궁면 소재의 백제 후기 왕릉으로, 대왕릉에서 발견된 유골 분석 결과가 무왕의 기록과 일부 일치하나, 무왕릉 확정 여부 및 소왕릉 주인공에 대한 추가 연구와 익산 천도설 관련 논쟁이 남아있다.
무장읍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이름 |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
한자 표기 | 高敞 茂長縣 官衙와 邑城 |
유형 | 사적 |
지정 번호 | 346 |
지정일 | 1991년 2월 26일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 149-1번지 외 |
시대 | 조선시대 |
면적 | 205,997m2 |
참고 | 고창 무장읍성 |
2. 역사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을 말한다. 무장읍성은 흙으로 쌓은 토성으로 알려졌으나, 일부는 흙과 돌을 섞어 쌓은 것으로 밝혀졌다. 1915년에 발견된 '무장읍지'에 따르면 조선 태종 17년(1417)에 축성되었다고 전한다.
2. 1. 축성
무장읍성은 남문인 진무루에서 무장초등학교 뒷산을 거쳐 해리면으로 가는 도로의 좌편까지 뻗어 있다. 성의 둘레는 약 1400m, 넓이는 43.847평이다. 성내에는 객사, 동헌, 진무루 등 옛 건물이 그대로 남아 있고 건물 주변에는 여러 가지 유구들이 산재해 있다.그동안 흙으로 축조된 토성으로 알려져 왔으나, 공사 때 성벽 동쪽 끝부분의 단면이 드러나면서 흙과 돌을 섞어서 축조된 성곽 일부가 밝혀졌다. 1915년에 발견된 '무장읍지'에 따르면 조선 태종 17년(1417) 병마사 김저래가 여러 고을의 백성과 승려 등 주민 2만여 명을 동원하여 그해 2월부터 5월까지 만 4개월 동안 축조했다고 전한다.[1]
3. 구조
무장읍성은 남문인 진무루에서 무장초등학교 뒷산을 거쳐, 해리면으로 가는 도로의 좌편까지 뻗어 있다. 성의 둘레는 약 1400m, 넓이는 43.847평이다. 성내에는 객사, 동헌, 진무루 등 옛 건물이 그대로 남아 있고 건물 주변에는 여러 가지 유구들이 산재해 있다.
그동안 흙으로 축조된 토성으로 알려져 왔으나, 공사 때 성벽 동쪽 끝부분의 단면이 드러나면서 흙과 돌을 섞어서 축조한 성곽 일부가 밝혀졌다. 1915년에 발견된 '무장읍지'에 의하면 조선 태종 17년(1417) 병마사 김저래가 여러 고을의 백성과 승려 등 주민 2만여 명을 동원하여 그해 2월부터 5월까지 만 4개월 동안 축조했다고 전한다.
4. 주요 시설
무장읍성은 남문인 진무루에서 무장초등학교 뒷산을 거쳐 해리면으로 가는 도로의 좌편까지 뻗어 있으며, 둘레는 약 1400m, 넓이는 43.847평이다. 성 안에는 객사, 동헌 등 옛 건물이 남아 있고, 건물 주변에는 여러 가지 유물들이 흩어져 있다.[1]
4. 1. 객사
무장읍성 안에는 객사, 동헌, 진무루와 같은 옛 건물들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건물 주변에는 여러 가지 유물들이 흩어져 있다.[1]4. 2. 동헌
무장읍성 내에는 객사, 진무루 등 옛 건물이 그대로 남아 있고 건물 주변에는 여러 가지 유구들이 산재해 있다.[1]4. 3. 진무루
진무루는 무장읍성의 남문으로, 무장초등학교 뒷산을 거쳐 해리면으로 가는 도로의 좌측까지 연결된다. 성의 둘레는 약 1400m, 넓이는 43,847평이다. 성 안에는 객사, 동헌 등 옛 건물이 그대로 남아 있으며, 건물 주변에는 여러 가지 유구들이 흩어져 있다.[1]원래 흙으로 쌓은 토성으로 알려졌으나, 공사 중 성벽 동쪽 끝부분의 단면이 드러나면서 흙과 돌을 섞어 쌓은 성곽임이 밝혀졌다. 1915년에 발견된 '무장읍지'에 따르면 조선 태종 17년(1417) 병마사 김저래가 여러 고을의 백성과 승려 등 주민 2만여 명을 동원하여 그해 2월부터 5월까지 4개월 동안 축조했다고 전해진다.[1]
5. 출토 유물
호남문화재연구원은 무장읍성에서 비격진천뢰가 발견되었다고 밝혔다.[2][3]
5. 1. 비격진천뢰
호남문화재연구원은 2018년 11월 15일 전북 고창의 무장읍성에서 비격진천뢰 11점을 발견했다고 밝혔다.[2][1][3]참조
[1]
뉴스
조선 비밀병기 ‘비격진천뢰’ 고창서 대량 출토
http://news.kbs.co.k[...]
2018-11-15
[2]
뉴스
고창서 조선시대 시한폭탄 비격진천뢰 11점 발견
http://www.yonhapnew[...]
2018-11-15
[3]
뉴스
조선의 귀신폭탄 '비격진천뢰' 무더기로 발견
https://www.ytn.co.k[...]
2018-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