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대왕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무대왕면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면으로, 2021년 4월 1일에 양북면에서 개칭되었다. 신라 시대에는 악지현 또는 아지현이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문무대왕면이 되었다. 15개의 법정리와 20개의 행정리, 76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소재지는 어일리이다. 주요 시설로는 월성원자력발전소, 경주 문무대왕릉 등이 있으며, 양북초등학교, 양북중학교, 경주화랑고등학교 등의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또한 동해고속도로, 국도 4호선, 14호선, 31호선 등이 지나가며, 기림사, 감은사지, 문무대왕릉, 경주 장항리 사지 등의 명소와 문화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1년 설치 - 남사읍
용인시 처인구에 있는 남사읍은 조선시대에 용인현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남사면으로 개편된 후 2021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농촌 지역의 인구 특징을 보이고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 2021년 설치 - 국토정중앙면
국토정중앙면은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에 위치하며 13개의 법정리와 20개의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고 면사무소는 용하리에 있으며 용하초등학교, 도촌초등학교, 죽리초등학교, 용하중학교 등의 교육기관이 있다. - 사람 이름이 붙은 지명 - 김형직군
김형직군은 량강도 최서단,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경한 개마고원 북서부 산악 지대에 위치하며, 본래 평안도 후창군이었으나 김일성 가문의 현양 정책으로 개칭되었고, 임업이 주요 산업이며 북부내륙선 철도가 통과한다. - 사람 이름이 붙은 지명 - 김형권군
김형권군은 량강도 최남단에 위치한 산악 지형의 군으로, 1914년 풍산군으로 발족하여 함경남도에 속했다가 1954년 량강도로 이관되었으며, 1990년 김형권의 이름을 따 개칭되었고 1개의 읍, 1개의 로동자구, 17개의 리로 구성되어 밭농사, 광업 및 제조업이 이루어진다. - 경주시의 행정 구역 - 내남면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내남면은 1906년 경주군 내남면으로 시작하여 1995년 경주시 내남면으로 확정되었으며, 경주 남산을 포함하고 반구대로 등의 도로가 지나간다. - 경주시의 행정 구역 - 건천읍
경주시 건천읍은 11개 법정리로 이루어진 읍으로, 경부고속선과 동해선이 지나고 주요 도로와 나들목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며, 고분군과 단석산 등 문화재와 관광 명소가 있다.
문무대왕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면 |
이름 | 문무대왕면 |
한글 표기 | 문무대왕면 |
한자 표기 | 文武大王面 |
로마자 표기 | Munmudaewang-myeon |
면적 | 120.06 km2 |
방언 | 경상도 방언 |
소속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경상북도 경주시 |
구성 | 21개 행정리 (15개 법정리), 90개 반 (2022년 3월 기준, 20개 행정리, 76개 반) |
인구 정보 | |
인구 | 4558명 (2006년), 4171명(2022년 3월) |
인구 밀도 | 38명/km2 |
세대수 | 1,998세대 (2013년 12월 31일 기준) |
행정 | |
정부 유형 | 경주시 |
시장 | (정보 없음) |
읍사무소 | 경주시 문무대왕면 어일중앙길 24 |
홈페이지 | 문무대왕면 홈페이지 |
지도 정보 | |
![]() | |
교육 기관 | |
교육 기관 | (정보 없음 - 외부 링크 참조) |
2. 역사
신라 시대에는 악지현(惡支縣) 또는 아지현으로 불렸다. 757년 (경덕왕 16년)에 약장현(約章縣)으로 이름을 바꾸고 대성군(大城郡)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행정 구역이 폐지되어 경주에 합병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경주에 속한 동해면(東海面)이 되었다.
1906년 동해면이 장기군에 편입되면서 내남면(內南面)과 양남면(陽南面)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1914년 다시 경주군으로 돌아오면서 내남면이 양북면(陽北面)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법정리 | 한자 | 행정리 | 세대 | 인구 (2013년 12월 31일 기준) |
---|---|---|---|---|
어일리 | 魚日里 | 어일1리 | 300 | 633 |
어일2리 | 126 | 279 | ||
와읍리 | 臥邑里 | 와읍리 | 110 | 220 |
용동리 | 龍洞里 | 용동1리 | 80 | 167 |
용동2리 | 120 | 230 | ||
권이리 | 權伊里 | 권이리 | 43 | 71 |
호암리 | 虎岩里 | 호암리 | 68 | 152 |
안동리 | 安洞里 | 안동1리 | 86 | 182 |
안동2리 | 89 | 203 | ||
장항리 | 獐項里 | 장항1리 | 60 | 128 |
장항2리 | 105 | 224 | ||
범곡리 | 凡谷里 | 범곡리 | 61 | 129 |
입천리 | 卄川里 | 입천리 | 124 | 288 |
송전리 | 松田里 | 송전1리 | 43 | 78 |
송전2리 | 86 | 152 | ||
죽전리 | 竹田里 | 죽전리 | 19 | 30 |
두산리 | 斗山里 | 두산리 | 62 | 136 |
용당리 | 龍堂里 | 용당리 | 133 | 274 |
구길리 | 九吉里 | 구길리 | 125 | 220 |
봉길리 | 奉吉里 | 봉길리 | 156 | 317 |
합계 | - | 20개 | 1,998 | 4,119 |
4. 주요 시설
5. 교육 기관
6. 교통
동해고속도로 울산~포항 구간이 건설되어 문무대왕면을 지나며, 입천리에 동경주 나들목이 개설되었다.
국도는 4호선이 경주시내와 감포읍으로 연결되고, 14호선은 외동읍과 포항시 오천읍으로 연결된다. 또한 31호선은 감포읍과 양남면으로 이어진다.
7. 명소·문화재
참조
[1]
웹사이트
양북면 Yangbuk-myeon 陽北面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9-08-17
[2]
웹사이트
Educational institution
http://www.gyeongju.[...]
Gyeongju City
2009-08-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