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지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지방은 문짝을 미끄러지게 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문 아래에 설치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어원 연구에 따르면, 문지방은 원래 문간의 일부가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탈곡 장소를 가리키는 데서 유래했을 수 있다. 문지방은 소나무, 편백나무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미닫이문의 발달과 함께 한국 전통 가옥에 보편화되었다. 문화적으로는 문턱을 사이에 두고 악수하거나 키스하는 것을 불운으로 여기는 문화가 있으며, 한국어에서는 '문턱이 높다/낮다', '문턱을 넘다', '문턱에 걸리다' 등 다양한 관용구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 - 스크린도어
    스크린도어는 철도 승강장에서 승객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는 설비로, 열차 사고 예방, 무인 운전 가능, 쾌적한 승강장 유지를 위해 다양한 종류로 설치되며, 설치 및 유지 보수 비용, 열차 지연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문 - 우편함
    우편함은 우편물 수취를 위해 개인 주택, 공동 주택, 공공 장소 등에 설치되는 장치이며, 18세기 말 프랑스에서 처음 사용되어 다양한 종류로 발전해 왔고, 법적으로 우편물 투입 시점을 의사표시 도달 시점으로 간주하며, 문제점 개선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 미신 - 점복
    점복은 미래 예측이나 상황 해석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는 행위로, 고대부터 세계 각지에서 종교적 의례, 정치적 결정, 개인적 삶의 방향 설정 등 여러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현대에는 종교적 의례보다는 개인적 상담이나 오락적 목적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 미신 - 사주팔자
    사주팔자는 사람이 태어난 년, 월, 일, 시를 간지로 나타내 개인의 운명을 예측하는 명리학의 한 분야이며,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한 육십갑자를 기반으로 오행, 십이운성, 십성 등을 활용하여 개인의 성격, 직업, 길흉성패 등을 판단한다.
문지방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문 아래쪽에 가로로 댄 널빤지
문짝과의 관계문짝이 드나드는 아래쪽의 경계
재료나무, 돌, 금속
역할문을 닫을 때 틈을 막는 역할
실내외 온도차로 인한 문틀 변형을 막는 역할
기원고대 시대부터 존재
문화적 의미
신성시예로부터 문지방을 신성하게 여김
집 안과 밖을 구분하는 경계로 인식
미신문지방을 밟으면 재수 없다는 미신 존재
집안에 들어오기 전에 문지방에서 발을 멈추고 기도
문지방에 기대거나 걸터앉는 것을 금기
풍습신혼부부를 집 안으로 들일 때 남편이 신부를 안고 문지방을 넘는 풍습
문지방을 넘어가는 행운을 상징
종교문지방에 악령을 막는 부적을 붙이기도 함
일부 문화권에서는 악령이 문지방에 산다고 믿음
속담"문지방이 높다" (집안에 드나들기가 어렵다는 뜻)
건축학적 의미
구조적 역할문틀의 하부를 고정하고 지지
문의 하중을 분산
문틀의 변형을 방지
실용적 역할바닥 마감재와 문틀 사이의 틈을 막아 바람과 먼지를 차단
빗물이나 습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음
현대 건축최근에는 바닥과 높이를 맞추어 문지방이 없는 디자인도 많음
디자인 다양화
다른 이름
순우리말문턱
일본어敷居 (시키이)
영어threshold (쓰레숄드)
언어별 표현
폴란드어próg (프루크)
러시아어порог (포로그)
일본어시키이 (しきい)
중국어門檻 (ménkǎn)
추가 정보
참고일부 문화권에서는 문지방을 행운과 안전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김
문지방을 밟지 않고 넘어가는 것을 좋게 여기는 문화도 있음

2. 어원

영어 'threshold'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고대 영어 시대부터 이 단어의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는데, 이는 원래 의미, 특히 뒷부분의 의미가 불분명했고, 여러 철자가 민중 어원의 결과임을 보여준다.[1] 현대 언어학에서는 문턱이 탈곡 장소와 관련이 있다는 설이 유력하다.

2. 1. 어원 관련 논란

이 단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대중적인 잘못된 어원이 존재하며, 일부는 과거 사전에 기록되기도 했고, 언어학이 엄격한 과학 분야가 되기 이전 초기 언어학자들에 의해 만들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잘못된 어원 중 일부는 고대 영어 시대 또는 그 이전부터 전해져 내려온 것이다.[1]

고대 영어에는 이 단어의 여러 가지 형태가 증명되어 있는데, 이는 이 단어의 원래 의미, 특히 후반부의 의미가 당시 이미 불분명했고, 고대 영어의 여러 철자는 대부분 또는 전부 민중 어원의 결과임을 보여준다.[1] 현대 사전에는 아직 이 단어에 대한 최신 어원 연구 결과가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후반부가 현대 단어 'hold'와 관련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이전 연구 결과는 기록하고 있다. 언어학자 아나톨리 리버만에 따르면, 가장 가능성이 높은 어원은 이 용어가 원래 문간의 일부가 아니었지만 나중에 문간과 연관된 탈곡 장소를 가리키는 것이라는 것이다.

리버만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한때, 문턱은 문간의 일부가 아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 단어의 원래 형태는 아주 일찍 불분명해져서 민중 어원적 이중어의 집합을 만들어냈습니다. 고대 고지 독일어 ''driscubli''는 찾고 있는 어근과 특히 가깝습니다. 아마도 문턱은 곡식을 탈곡하는 곳(탈곡장)이었을 것입니다. 이 단어에는 어근과 접미사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 접미사는 사람들이 그것을 그들에게 의미가 될 수 있는 어떤 단어와 식별하려고 시도했기 때문에 수많은 변화를 겪었습니다. 불분명한 것은 이 과정이 아니라 의미의 도약입니다. 우리는 아무리 원시적이라도 탈곡장이 방의 입구를 나타내기 시작한 순간을 놓치고 있습니다."[1]

3. 구조

문턱은 문짝을 미끄러지게 하여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이다.[5] 미닫이문의 경우 문턱에 홈을 파서 문이 이 홈을 따라 움직이도록 만든다. 문턱이 잘 미끄러지지 않을 때는 밀랍을 바르거나 전용 실링테이프, 스프레이를 뿌려 미끄러짐을 좋게 한다.

3. 1. 한국 전통 문턱

문턱 재료로는 소나무 외에도 편백나무, 벚나무, 솔송나무, 호두나무 등이 사용된다.[7] 홈이 마모되는 것을 막기 위해 홈 바닥을 상수리나무 재목으로 메우기도 한다.[7]

문턱을 설치할 때는 한쪽 끝을 눈치로 끼우고 다른 쪽 끝을 가로 걸쇠로 하거나, 턱맞춤이나 가로 걸쇠를 조합하여 튼튼하게 고정한다.[7] 여닫이문 등에서는 아래틀이라고 하며, 마루와의 경계를 정확하게 맞춰야 한다.

문턱은 문짝을 미끄러지게 하여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이다.[5] 따라서 잘 미끄러지지 않을 때는 밀랍을 바르거나 전용 실링테이프, 스프레이를 뿌려 미끄러짐을 좋게 한다.

문턱에는 홈이 없는 무목문턱, 두께가 보통 문턱의 8할 정도인 얇은 문턱(박문턱), 계단턱 위쪽 끝에 사용하는 차문턱, 홈이 한 줄인 미닫이문 등에 사용하는 일줄문턱 등의 종류가 있다.[8] 참고로, 배리어프리를 적용한 주택이나 시설 등에서는 바닥에 문턱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3. 2. 현대 건축에서의 문턱

현대 건축에서는 문턱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배리어프리 디자인을 적용하여 문턱을 없애는 경우도 많다. 배리어프리를 적용한 주택이나 시설 등에서는 바닥에 문턱을 사용하지 않는다.[8]

4. 역사

옛날 일본 가옥에서는 여닫이문이나 미닫이문이 일반적이었고, 미닫이문에 필요한 문지방은 사용되지 않았다. 문지방이 일반화된 것은 무로마치 시대 후기에 개별 방을 칸막이하는 서원 양식이 확립되고 미닫이문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이며, 무가 사회의 확산과 함께 보급되었다.

4. 1. 한국 전통 가옥에서의 문턱

조선시대 주택에서는 서원 양식이 확립되면서 미닫이문과 함께 문턱이 보편화되었다. 문턱은 단순한 구조적 요소를 넘어, 공간을 분리하고 위계를 나타내는 사회적 의미를 지니기도 했다.

5. 문화적 상징성

많은 문화권에서 문턱은 특별한 상징성을 지닌다. 예를 들어, 폴란드, 우크라이나, 러시아에서는 문턱을 사이에 두고 악수하거나 키스하는 것을 불운으로 여긴다.[2][3] 많은 국가에서는 신랑이 신부를 새 집 문턱 위로 들어 올리는 것을 행운으로 여긴다.[4]

예절에서 문지방을 밟아서는 안 된다는 것은 그리 오래된 관습이 아니다. 도치기현의 지방 풍습에서는 문지방에 신이 있다거나 문지방은 부모(주인)의 머리에 해당한다고 하여 밟는 것을 삼갔다.[9] 원래는 문지방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지하로부터의 공격을 막는다는 등의 구실을 붙여)으로 퍼진 것으로 생각된다.[10]

6. 관용구

한국어에서 '문턱'은 여러 관용구에 사용된다. "문턱을 넘다"는 표현은 어떤 장소에 들어가거나 어려운 과정을 통과하는 것을 비유한다.

6. 1. "문턱이 높다/낮다"

"문턱이 높다"는 표현은 어떤 기관이나 조직에 들어가기 어렵다는 의미로 사용되며, "문턱이 낮다"는 그 반대의 의미로 사용된다.[13][14] 더불어민주당은 사회 각 분야의 문턱을 낮춰 기회의 균등을 보장하고, 사회적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일본어 표현인 '敷居が高い|시키이가 타카이일본어'는 원래 '허들이 높다'는 의미로 사용되지 않았으나,[11][12] 2018년 1월에 발행된 광사전 제7판에서는 '고급이고 들어가기 어렵다'는 설명이 추가되었다. 또한, 이 새로운 의미의 반의어로 '敷居が低い|시키이가 히쿠이일본어'라는 표현도 생겨났다.[13][14]

6. 2. 기타 관용구


  • '''문턱을 넘다''': 어떤 장소에 들어가거나, 어려운 과정을 통과하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이다.
  • '''문턱에 걸리다''': 어떤 일의 마지막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을 비유하는 표현이다.

참조

[1] 뉴스 Our habitat: the etymology of 'threshold' https://blog.oup.com[...] 2015-02-11
[2] 웹사이트 Polish Superstitions http://www.polishlan[...] Polish Language.org 2012-05-13
[3] 웹사이트 Russian Superstition http://www.russian-l[...] Russian language for lovers 2012-05-13
[4] 웹사이트 Carrying the Bride: Exactly Why? http://people.howstu[...] How Stuff Works 2008-07-28
[5] 서적 建築構造の知識 アルス 1925
[6] 논문 鳩間方言の住関係語彙 https://doi.org/10.1[...] 法政大学沖縄文化研究所
[7] 서적 建築構造の知識 アルス 1925
[8] 서적 建築構造の知識 アルス 1925
[9] 간행물 とちぎの慣習・ことば集 http://www.pref.toch[...] 栃木県 2021-01-20
[10] 서적 日本の風俗の謎 大和書房
[11] 웹사이트 「敷居が高い」の意味は? https://www.nhk.or.j[...] NHK放送文化研究所 2016-10-07
[12] 웹사이트 平成20年度「国語に関する世論調査」の結果について https://www.bunka.go[...] 2018-12-21
[13] 웹사이트 「敷居が高い」と「敷居が低い」 https://www.nhk.or.j[...] NHK放送文化研究所 2022-11-19
[14] 서적 世界一敷居が低い最新医学教室 ポプラ社
[15] 웹인용 Polish Superstitions http://www.polishlan[...] Polish Language.org 2012-05-13
[16] 웹인용 Russian Superstition http://www.russian-l[...] Russian language for lovers 2012-05-13
[17] 웹인용 Carrying the Bride: Exactly Why? http://people.howstu[...] How Stuff Works 2012-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