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류는 상품의 원산지에서 소비 지점까지의 효율적인 이동과 보관, 서비스 및 관련 정보의 계획, 실행, 통제를 포괄하는 공급망 관리의 중요한 부분이다. 군사 용어에서 시작되어 산업 혁명 이후 비즈니스 분야로 확대되었으며, 현재는 경제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물류는 조달, 유통, 역물류, 폐기 물류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며, 운송 관리 시스템(TMS), 창고 관리 시스템(WMS) 및 자동화 기술을 통해 효율성을 높인다. 대한민국에서는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정부 부처와 한국통합물류협회, 한국물류학회 등 관련 단체가 물류 산업 발전을 지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류 - 화물
화물은 크기, 종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운송 수단으로 운반되는 재화 또는 물건을 의미하며, 현대에는 컨테이너 운송이 일반적이고 운송 방식에 따라 분류되며 물류 효율성과 국가 경제, 안보에 큰 영향을 미친다. - 물류 - 에너지 관리
에너지 관리는 에너지 자원, 수급, 효율적 사용, 에너지 전략, 산업 공해 방지 등을 포괄하며, 대체 에너지 개발과 에너지 효율 증대, 산업 공해 방지를 위한 다양한 기술과 정책을 포함한다. - 시스템 공학 - 제어 시스템
제어 시스템은 시스템의 출력을 원하는 값으로 유지하거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동작을 조절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제어 방식과 기법,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되어 소형 장치부터 대규모 산업 공정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 시스템 공학 - 최소 기능 제품
최소 기능 제품(MVP)은 린 스타트업 방법론의 핵심 개념으로, 최소한의 기능만 갖춘 제품을 통해 고객 검증을 거쳐 제품 개발 방향성을 결정하고 시장 수요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둔다. - 사업 용어 - 리스
리스는 자산 소유자가 사용 권한을 타인에게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계약으로, 자금조달 성격의 금융리스와 임대차 성격의 운영리스로 구분되며, 리스료는 자산가액, 제세공과금, 자금조달 비용을 고려하여 산정되고, 비용 평준화, 세금 혜택, 유동성 확보 등의 장점이 있지만 회계 처리 및 세제 혜택은 국가별로 다르며, 국제회계기준(IFRS) 16호와 미국 일반회계기준(US GAAP) ASC 842는 단기리스를 제외한 모든 리스를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로 인식하도록 규정한다. - 사업 용어 - 이사회
이사회는 주주의 이익을 위해 경영진을 감독하고 주요 의사 결정을 내리는 회사의 핵심 의사 결정 기구이다.
물류 | |
---|---|
지도 | |
정의 | |
정의 | 물류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급망 관리의 일부로서, 상품, 서비스, 관련 정보가 생산 지점에서 소비 지점까지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동하고 저장되는 것을 계획, 실행, 통제하는 과정이다. |
추가 설명 | 물류는 자원 흐름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복잡한 네트워크와 시스템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물류 관리의 범위 | |
주요 영역 | 운송 창고 관리 재고 관리 주문 처리 물류 정보 시스템 |
물류의 중요성 | |
중요성 | 물류는 비용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만족도를 개선하며,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물류의 유형 | |
유형 | "1자 물류: 기업 스스로 물류 활동을 수행" "2자 물류: 전문 물류 기업에 일부 물류 활동 위탁" "3자 물류: 전문 물류 기업에 모든 물류 활동 위탁" "4자 물류: 컨설팅 및 솔루션 제공을 포함한 통합 물류 서비스" |
물류 기술 | |
주요 기술 | 바코드 및 RFID GPS 및 텔레매틱스 창고 관리 시스템 (WMS) 운송 관리 시스템 (TMS)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
물류와 공급망 관리 | |
관계 | 물류는 공급망 관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공급망은 제품의 전체 흐름을 관리한다. 물류는 이 흐름의 효율성을 보장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
마케팅 채널의 역할 | 마케팅 채널은 공급망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제품의 이동 및 판매 과정을 관리한다. |
최근 동향 | |
최근 동향 | 전자상거래 성장으로 인한 물류 수요 증가 자동화 및 로봇 기술의 도입 지속 가능한 물류에 대한 관심 증가 물류 네트워크의 복잡성 증가 |
물류 관련 산업 | |
관련 산업 | 운송업 (해상, 항공, 육상) 창고업 택배업 물류 소프트웨어 개발업 물류 컨설팅 |
2. 역사
"logistics영어"라는 용어는 1846년 영어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에서 유래했다. 이 용어는 앙투안-앙리 조미니가 그의 저서 『전쟁 예술 개요』에서 만들거나 대중화했다. 조미니는 이 용어가 |lit=숙소}}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하며, 및 이라는 용어에서 유래했다고 보았다.[4]
는 기존의 수학 용어와 동음이의어인데, 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그리스 수학의 전통적인 분야이다.
물류는 원래 병참(兵站)을 뜻하는 군사 용어였다. 군사 용어로서, 작전 계획에 따라 무기와 병력을 확보하고, 관리하고, 보급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이후 산업 구조의 고도화에 따라 비즈니스 용어로도 사용되게 되었다. 경제 활동에서의 물류는 비즈니스 물류라고도 불린다.
물류 연구는 마케팅 연구의 일부로서 발전해 왔다. IT 혁명 이후에는 경로 최적화 알고리즘에 의한 배송 계획 산출 방법도 실용화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와 양자 컴퓨터 등에 의해 향후 발전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일본의 물류 연구는 미국에 비해 10년 이상의 격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연구기관으로는 일본통운이 설립에 참여한 유통경제대학 유통정보학부 및 동 대학원 물류정보학연구과, 일본통운의 싱크탱크 자회사인 일통종합연구소, 도쿄해양대학 해양공학부 유통정보공학과, 와세다대학의 네오·로지스틱스 공동연구회, 해양물류과학강좌를 보유한 고베대학 대학원 해사과학연구과 등이 있다. 또한, 보급 및 진흥을 위한 조직으로는 일본물류시스템협회가 있다. 자격시험으로는 비즈니스·캐리어 검정시험의 물류 분야[47]가 있다.
2. 1. 군사적 기원
logistics영어라는 용어는 1846년 영어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link=no|logistique프랑스어에서 유래했다. 이 용어는 스위스 군 장교이자 작가인 앙투안-앙리 조미니가 그의 저서 『전쟁 예술 개요』에서 만들거나 대중화했다. 조미니는 이 용어가 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하며, maréchal des logis|lit=숙소의 마샬프랑스어 및 major-général des logis|lit=숙소의 사령관프랑스어이라는 용어에서 유래했다고 보았다.[4]logistique|label=프랑스어프랑스어는 기존의 수학 용어와 동음이의어인데, λογῐστῐκός|logistikósgrc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그리스 수학의 전통적인 분야이다.
군사 과학에서 적의 보급선을 교란하면서 자신의 보급선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군사 전략 요소이다. 자원과 수송 수단이 없는 무장 세력은 무방비 상태이기 때문이다. 한니발, 알렉산드로스 대왕, 웰링턴 공작은 군수 지원의 천재로 여겨진다.[18][19][20]
군수 지원에서 군수 장교는 필요한 곳에 자원을 언제 어떻게 이동시킬지 관리한다. 군수 분류는 계획 목적으로 유사한 소비 변수를 가진 군수 범주를 그룹화하는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물류는 원래 병참(兵站)을 뜻하는 군사 용어였다. 군사 용어로서, 작전 계획에 따라 무기와 병력을 확보하고, 관리하고, 보급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전선에서 전투에 종사하는 전방 작전에 대응하여 후방 작전 또는 후방 지원이라고 불리는 업무 영역을 가리킨다.
2. 2. 민간 부문으로의 확산
19세기 말, 산업 혁명과 대량 생산 체제 등장으로 물류는 기업 경영의 중요한 요소로 부상했다. 20세기 초, 미국에서 농산물 유통과 마케팅 연구를 통해 물류 개념이 체계화되기 시작했다.[47] 1950년대 이후, 물류는 마케팅의 핵심 기능으로 인식되었고, 학문적 연구와 교육이 본격화되었다. 1960년대, 피터 드러커는 잡지 기사에서 물류를 "경제의 암흑 대륙"이라 칭하며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47]더글러스 M. 램버트(Douglas M. Lambert)가 2000년에 정리한 미국에서의 물류 연구 역사는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01년 | 농산물의 유통에서 비용(コスト)과 기타 요인을 논하는 서적 출판. |
1916년 | 물류의 전략적 측면 및 마케팅과 유통 채널(チャンネル)의 개념(コンセプト)을 소개하는 서적 출판. |
1922년 | 물류와 물건의 소유권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마케팅이 소개된 서적 출판. |
1927년 | 현재 사용되는 의미와 같은 물류의 정의가 이루어짐. |
1950년대 | 마케팅 개념의 발전. |
1954년 | 비즈니스계와 교육계 권위자가 저서 『The other half of marketing』에서 마케팅에서 물류(Physical distribution) 측면을 조사할 필요성을 주장. |
1956년 | 물류에서의 비용 분석 개념을 소개하는 서적 출판. |
1960년대 초 | 물류 관리 개념의 기업에 의한 실천을 소개하는 보고서 출판 및 미시간 주립대학교(ミシガン州立大学)와 오하이오 주립대학교(オハイオ州立大学)에서 물류 교육 시작. |
1961년 | 물류(Physical distribution) 초기 교재 출판. |
1962년 | 피터 드러커(ピーター・ドラッカー)가 잡지 기사 「경제의 암흑 대륙」에서 물류를 논함. |
1963년 | 협회 「National Council of Physical Distribution」발족. (현 CSCMP) |
1969년 | Donald J. Bowersox가 저서에서 역사적 관점에서 물류 관리를 논함. |
1972년 | 물류 성공에서 회계 정보의 중요성을 논하는 논문 출판. |
1976년 | Douglas M. Lambert가 물류 비용 구성 요소와 재고 비용 계산을 논하는 논문 출판 및 Bernard J. Ladonde 등이 미국 기업의 고객 서비스 평가 방법을 논하는 논문 출판. |
1978년 | A. T. Kearney (컨설팅 회사)가 물류(Physical distribution)의 효율성 측정을 논하는 보고서 발표. |
1970년대~1980년대 | MRP, MRPII, DRP, DRPII, Kanban, Just-in-time 등의 기술 발전. |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 | 항공 운송(空運), 육상 운송(陸運), 철도 운송(鉄道), 해상 운송(海運) 업계의 규제 완화. |
1980년대 | 물류 관리에서 컴퓨터 이용 증가. |
1984년 |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물류의 중요성이 논의됨. |
1985년 | 마이클 포터(マイケル・ポーター)가 가치 사슬(バリュー・チェーン)에서 물류의 역할을 논함. |
1987년 | 미국 의회에서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 제정. |
2. 3. 한국 물류 산업의 발전
Logistics영어 산업은 1960년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과 함께 인프라 구축에 힘입어 발전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에는 수출 주도형 경제 성장에 따라 항만, 도로, 철도 등 물류 시설이 확충되었다. 1990년대 이후, 정보통신 기술 발전과 전자상거래 확산은 물류 시스템의 고도화를 이끌었다. 2000년대에는 글로벌 공급망 관리(SCM) 개념이 도입되면서 물류는 기업 경쟁력 강화의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도입하여 스마트 물류 시스템 구축이 가속화되고 있다.3. 정의 및 범위
물류는 상품의 물리적 이동뿐만 아니라 정보, 자금 흐름까지 포괄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logistics영어"라는 용어는 1846년 영어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프랑스어 logistique프랑스어에서 유래했다. 이 용어는 스위스 군 장교이자 작가인 앙투안-앙리 조미니가 그의 저서 『전쟁 예술 개요』(프랑스어: ''Précis de l'Art de la Guerre'')에서 만들거나 대중화했다. 조미니는 이 용어가 프랑스어 logis|숙소프랑스어 (영어 lodge|숙소영어와 어원이 같은 단어)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하며, maréchal des logis|숙소의 마샬프랑스어 및 major-général des logis|숙소의 사령관프랑스어이라는 용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4]
logistique|프랑스어프랑스어는 기존의 수학 용어와 동음이의어이다. λογῐστῐκός|logistikósgrc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그리스 수학의 전통적인 분야이다.
조미니는 원래 군수를 "군대의 작전을 잘 조직하고, 열병식에서 군대의 순서, 출발 시간, 경로, 제시간에 도착을 보장하는 데 필요한 통신 수단을 잘 결합하는 기술"로 정의했다.[4]
"로지스틱스(Logistics)"와 "물류(distribution)"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물류는 생산물을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인도하는(공간 및 시간을 극복하는) 것을 의미하며, 유통을 줄인 말이다.
3. 1. 다양한 정의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물류를 "물자, 인원 및 시설의 조달, 유지 및 수송과 관련된 군사 과학의 한 분야"로 정의한다.[7] 뉴 옥스퍼드 아메리칸 딕셔너리는 물류를 "많은 사람, 시설 또는 물자를 포함하는 복잡한 작전의 세부적인 조정"으로 정의한다.[7] 공급망 관리 전문가 협의회(이전에는 물류 관리 협의회)에 따르면,[8] 물류는 고객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원산지에서 소비 지점까지 서비스 및 관련 정보를 포함한 상품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운송 및 보관 절차를 계획, 실행 및 관리하는 프로세스이며, 여기에는 입고, 출고, 내부 및 외부 이동이 포함된다.[9]3. 2. 물류의 범위
램버트(2000)는 다음과 같이 14가지 물류 활동을 제시했다.[2]
물류는 각 노드(공장, 창고, 소매점 등) 간의 운송, 보관, 하역, 포장, 유통 가공, 물류 정보 처리를 나타내는 하위 개념이다.
4. 주요 활동 및 기능
물류는 크게 입고, 출고, 반품, 폐기 물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물류 활동은 주문 처리, 재고 관리, 화물 운송의 세 가지 주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인터넷 상거래 증가로 "전자 물류(e-logistics)"의 필요성이 커졌는데, 이는 전통적인 물류와 달리 소액 소포를 다루며 고객 수요가 파동 형태로 발생한다.[2]
- '''입고 물류''': 공급업체로부터 자재, 부품 등을 받아들이는 과정이다.
- '''출고 물류''': 최종 제품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이다.
- '''반품 물류''': 고객으로부터 반품된 제품을 처리하는 과정이다.
- '''폐기 물류''': 사업 운영 중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이다.
이 외에도 조달 물류, 유통 물류, 애프터 서비스 물류, 역물류, 친환경 물류, 글로벌 물류, 국내 물류, 컨시어지 서비스, 신뢰성, 가용성 및 유지보수, 자산 관리 물류, 판매 시점 자재 물류, 긴급 물류, 생산 물류, 건설 물류, 자본 프로젝트 물류, 디지털 물류, 인도주의적 물류 등 다양한 물류 활동이 있다.
물류 가족(Logistic family)은 무게 및 부피 특성, 물리적 보관 요구 사항(온도, 방사선 등), 취급 요구 사항, 주문 빈도, 포장 크기 등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하는 제품의 집합이다. 회사는 다음과 같은 지표를 사용하여 제품을 다양한 가족으로 분류할 수 있다.[25]
- 재고 시스템 평가에 사용되는 물리적 지표: 보관 용량, 선택성, 표면적 활용도, 부피 활용도, 운송 용량, 운송 용량 활용도 등
- 통화 지표: 건물, 선반, 서비스와 같은 공간 보유 비용과 사람, 취급 기계, 에너지, 유지 보수와 같은 취급 비용
재고 회전율과 같이 물리적 또는 통화적 형태로 나타나는 다른 지표도 있다.
4. 1. 입고 물류 (Inbound Logistics)
입고 물류는 공급업체에서 제조 또는 조립 공장, 창고 또는 소매점으로 재료, 부품 또는 미완성 재고의 입고 이동을 구매하고 준비하는 데 중점을 둔 주요 물류 프로세스 중 하나이다.[2]조달 물류는 시장 조사, 요구 사항 계획, 자체 제조 또는 외주 결정, 공급업체 관리, 주문 및 주문 관리로 구성된다. 조달 물류의 목표는 핵심 역량에 집중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거나, 회사의 자율성을 유지하면서 아웃소싱하거나, 조달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공급 프로세스 내에서 보안을 극대화하는 등 상반될 수 있다.
4. 2. 출고 물류 (Outbound Logistics)
출고 물류는 최종 제품의 보관 및 이동과 관련된 프로세스로, 생산 라인의 끝에서 최종 사용자에게로 관련 정보가 전달된다. 이는 완제품을 생산 공장이나 창고에서 고객에게 배송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주문 처리, 창고 관리, 운송 관리 등을 포함한다.[2]과거에는 주문 처리가 주문 주기 시간의 최대 70%를 차지할 정도로 시간이 오래 걸리는 활동이었다.[2] 하지만 바코드 스캐닝, 컴퓨터 및 네트워크 연결과 같은 신기술 덕분에 고객 주문은 즉시 판매자에게 전달되고, 재고 가용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2]
재고를 보유하는 목적은 고객 서비스를 개선하면서 전체 물류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완제품을 미리 비축하면 고객과의 운송 빈도를 줄이고, 고객 수요의 불규칙성에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재고를 유지하려면 완제품에 대한 자본 투자와 창고 유지가 필요하며, 보관 및 주문 피킹은 창고 유지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한다.[2]
화물 운송은 물류의 중요한 부분이며, 상품을 수백 또는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으로 운송하여 광범위한 시장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화물 운송은 물류 비용의 3분의 2를 차지하며 고객 서비스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운송 정책과 창고 관리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2] 유통 물류는 생산 시간, 장소 및 수량이 소비 시간, 장소 및 수량과 다르기 때문에 필요하다.[11]
4. 3. 반품 물류 (Reverse Logistics)
역물류는 제품 및 재료 재사용과 관련된 모든 작업을 의미한다. 역물류 프로세스에는 잉여 물품 관리 및 판매뿐만 아니라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반품하는 제품도 포함된다. 이는 "가치를 회수하거나 적절히 폐기하기 위해 원자재, 가공 중 재고, 완제품 및 관련 정보를 소비 지점에서 원산지 지점으로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으로 흐르게 하는 프로세스를 계획, 실행 및 제어하는 것"이다.[12] 더 정확하게 말하면, 역물류는 일반적인 최종 목적지가 아닌 곳에서 상품을 이동시켜 가치를 회수하거나 적절하게 폐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역물류의 반대 개념은 순방향 물류이다.4. 4. 폐기 물류 (Disposal Logistics)
친환경 물류는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고, 재활용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폐기 물류의 주요 기능은 사업 운영 중 발생하는 폐기물 처리와 관련된 물류 비용을 줄이고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이다.[2]4. 5. 기타 물류 활동
글로벌 물류는 기술적으로 생산 장소에서 세계 다른 지역으로 공급망을 통해 상품의 "흐름"을 관리하는 프로세스이다. 이는 종종 해상, 항공, 철도 및 트럭을 통한 연계 운송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2] 글로벌 물류의 효과는 물류 성과 지수로 측정된다.긴급 물류는 물류, 공급망 및 제조업에서 긴급 상황 발생 시 상품을 신속하게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시간 제약 모드의 운송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13] 긴급 물류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는 생산 지연 또는 예상 생산 지연, 또는 항공기 지상 정지("항공기 지상 정지(aircraft on ground)—AOG"로도 알려짐), 선박 지연 또는 통신 장애와 같은 사건을 방지하기 위한 특수 장비의 긴급 필요 때문일 수 있다. 인도주의적 물류에는 정부, 군대, 원조 기관, 기부자, 비정부기구가 포함되며, 긴급 물류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전문 제공업체에서 조달한다.[13][14]
생산 물류라는 용어는 부가가치 시스템(예: 공장 또는 광산) 내의 물류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생산 물류는 각 기계와 작업장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수량과 품질의 올바른 제품을 받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생산, 테스트, 운송, 보관 및 공급에 대한 우려가 있다. 생산 물류는 기존 공장과 신규 공장 모두에서 운영될 수 있다. 기존 공장의 제조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기계가 교체되고 새로운 기계가 추가되어 그에 따라 생산 물류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다.[15] 생산 물류는 고객 대응 및 자본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생산 물류는 배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더욱 중요해진다. 많은 산업(예: 휴대전화)에서 단기 목표는 배치 크기가 1인 것이며, 심지어 단일 고객의 요구 사항도 효율적으로 충족할 수 있도록 한다. 자동차 산업 및 의료 산업에서 특히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추적 및 추적(Track and trace)은 제품 안전 및 신뢰성 문제로 인해 생산 물류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건설 물류는 여러 인류 문명이 생활과 보호를 위해 최상의 건설물을 건설하려고 시도하면서 수천 년 동안 문명에 의해 사용되어 왔다. 현재 건설 물류는 건설의 중요한 부분으로 부상했다. 지난 몇 년 동안 건설 물류는 공급망 관리 및 물류 내에서 다른 지식 및 연구 분야로 등장했다.
5. 물류 시스템 구성 및 관리
물류 서비스 제공업체 간에는 잠재적으로 경쟁 관계에 있는 둘 이상의 물류 회사 간 협력을 의미하는 수평적 기업 연합이 자주 발생한다.[34] 이러한 수평적 연합에서 파트너는 두 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공통의 운송 네트워크 및 창고 인프라 확장, 자원 결합을 통한 복잡한 서비스 패키지 제공 능력 향상 등 "직접 활용 가능한 유형 자원에 접근"할 수 있다. 둘째, "직접 활용할 수 없는 무형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데, 이는 주로 노하우와 정보를 포함하며 혁신으로 이어진다.[34]
5. 1. 물류 네트워크 설계
물류 네트워크는 생산 공장, 창고, 유통 센터, 소매점 등 물류 거점과 이들을 연결하는 운송 경로로 구성된다. 효율적인 물류 네트워크 설계는 물류 비용 절감과 고객 서비스 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시설 위치 선정, 수송 경로 최적화, 재고 배치 전략 등이 물류 네트워크 설계의 핵심 요소이다.[2]물류 시스템은 예상되는 고객 서비스 수준을 기반으로 최소 비용으로 설계된다. 서비스가 향상됨에 따라 매출도 증가하며, 경쟁 업체로부터 더 많은 매출을 확보할 수 있지만,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고객 서비스 수준을 높여도 매출은 미미하게 증가한다.[2]
생산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물류 시스템 역시 적절하게 구성 및 관리되어야 한다. 네트워크 노드의 재고 관리를 위한 경제적 주문량 모델 사용과 같이 운영 관리에서 직접 차용된 여러 방법론이 사용된다.[29] 분산 자원 계획(DRP)은 자재 소요 계획(MRP)과 유사하지만 네트워크 노드 내부의 활동이 아닌 네트워크 링크를 통해 상품을 이동할 때 분산 계획에 관한 것이다.
물류 구성은 창고(노드) 수준 또는 유통 시스템(네트워크)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일 창고의 경우, 창고 설계 및 건설 문제 외에도 여러 가지 상호 관련된 기술적-경제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랙 셀의 크기 조정, 팔레타이징 방법(수동 또는 로봇을 통한) 선택, 랙 크기 및 설계, 랙 수, 검색 시스템의 수와 유형(예: 스태커 크레인) 등이 이에 해당한다. 포크와 하중 보의 굽힘에 대한 저항 및 스프링클러의 적절한 배치와 같은 몇 가지 중요한 제약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피킹은 구성 문제라기보다는 전술적 계획 결정에 가깝지만, 창고 내부의 랙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핸들러 및 모터식 카트와 같은 도구를 구매할 때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결정이 내려지면 창고 관리 시 제약 조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정렬도 컨베이어 시스템을 설계하거나 자동 디스펜서를 설치할 때 마찬가지이다.
유통 시스템 수준에서의 구성은 주로 지리적 공간에서 노드의 위치와 노드 간의 능력 분배 문제에 관한 것이다. 전자는 시설 위치(특별한 경우 부지 선정)로, 후자는 용량 할당으로 언급될 수 있다. 아웃소싱 문제는 일반적으로 이 수준에서 발생한다. 공급망의 노드는 단일 기업이 소유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유통 네트워크는 공급업체와 소비자 사이의 중간 노드 수인 레벨 수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 직접 매장 배송, 즉 0개 레벨
- 1레벨 네트워크: 중앙 창고
- 2레벨 네트워크: 중앙 및 지방 창고
이 구분은 모델링 목적으로 더 유용하지만 안전 재고에 대한 전술적 결정과도 관련이 있다. 2레벨 네트워크를 고려할 때, 안전 재고가 지방 창고에만 보관되는 경우 공급업체로부터 종속적인 시스템이라고 하고, 안전 재고가 중앙 및 지방 창고에 분산되는 경우 공급업체로부터 독립적인 시스템이라고 한다.[25] 생산자에서 2차 레벨로의 운송은 1차 운송이라고 하고, 2차 레벨에서 소비자로의 운송은 2차 운송이라고 한다.
물류 시스템이 구성되면, 전술적 결정을 의미하는 관리가 다시 한번 창고 및 유통 네트워크 수준에서 이루어진다. 결정은 사용 가능한 인프라와 같은 내부 제약 또는 주어진 제품 유통 기한 및 만료일을 준수하는 것과 같은 외부 제약 집합 하에서 내려져야 한다.
5. 2. 창고 관리 시스템 (WMS)
창고 관리 시스템(WMS)은 창고 제어 시스템(WCS)과 기능이 일부 중복되기는 하지만 상당히 다르다. WMS는 통계 및 추세와 같은 요소를 기반으로 주간 활동 예측을 계획하는 반면, WCS는 현장 감독과 같이 실시간으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작동한다. 예를 들어, WMS는 시스템에 몇 시간 전에 SKU A 5개와 SKU B 5개가 필요할 것이라고 알릴 수 있지만, 실제로 작동할 때까지는 다른 고려 사항이 개입되었거나 컨베이어에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WCS는 실시간으로 작동하고 현재 활동과 운영 상태를 기반으로 마지막 순간 결정을 내림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WMS와 WCS는 상승 작용적으로 작동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창고 또는 유통 센터의 효율적인 운영에 의존하는 기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30]5. 3. 운송 관리 시스템 (TMS)
운송 관리 시스템(TMS)은 화물 운송의 계획, 실행, 추적, 정산 등을 자동화하는 시스템으로, 운송 비용 절감, 배송 시간 단축, 운송 가시성 확보 등에 기여한다.6. 물류 기술 및 자동화
물류 자동화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나 자동화된 기계를 적용하여 물류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급망 엔지니어링 시스템 및 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광범위한 작업을 통해 창고 또는 유통 센터 내의 운영을 의미한다.
6. 1. 단위 하중 (Unit Load)
단위 하중은 여러 개의 상품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 취급하는 방식이다. 팔레트, 컨테이너 등이 단위 하중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단위 하중은 하역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상품 파손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물류 자동화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자동화된 기계를 적용하여 물류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산업용 기계는 일반적으로 바코드 또는 RFID 기술을 통해 제품을 식별할 수 있다. 기존 바코드의 정보는 너비가 다른 검정색과 흰색 막대의 시퀀스로 저장되며, 레이저로 읽으면 디지털 시퀀스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 시퀀스는 고정된 규칙에 따라 십진수 또는 다른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때때로 바코드의 정보는 무선 주파수를 통해 전송될 수 있지만, RFID 태그에서는 더 일반적으로 무선 전송이 사용된다. RFID 태그는 메모리 칩과 리더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가 포함된 카드이다. RFID는 상품, 동물, 차량 및 사람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1]
6. 2. 자동 창고 시스템 (AS/RS)
자동 창고 시스템(AS/RS)은 컴퓨터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상품을 입출고하는 시스템이다. 자동창고입출고시스템은 창고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인건비를 절감하는 데 기여한다.산업용 기계는 일반적으로 바코드 또는 RFID 기술을 통해 제품을 식별할 수 있다. 기존 바코드의 정보는 너비가 다른 검정색과 흰색 막대의 시퀀스로 저장되며, 레이저로 읽으면 디지털 시퀀스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 시퀀스는 고정된 규칙에 따라 십진수 또는 다른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RFID 태그는 메모리 칩과 리더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가 포함된 카드이며, 상품, 동물, 차량 및 사람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RFID에서는 무선 전송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6. 3. 바코드 및 RFID
물류 자동화에서 산업용 기계는 일반적으로 바코드 또는 RFID 기술을 통해 제품을 식별할 수 있다. 기존 바코드의 정보는 너비가 다른 검정색과 흰색 막대의 시퀀스로 저장되며, 레이저로 읽으면 디지털 시퀀스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 시퀀스는 고정된 규칙에 따라 십진수 또는 다른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RFID 태그는 메모리 칩과 리더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가 포함된 카드이다. RFID는 상품, 동물, 차량 및 사람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때때로 바코드의 정보는 무선 주파수를 통해 전송될 수 있지만, RFID 태그에서는 더 일반적으로 무선 전송이 사용된다.6. 4. 물류 로봇
물류 자동화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나 자동화된 기계를 적용하여 물류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급망 엔지니어링 시스템 및 전사적자원관리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광범위한 작업을 통해 창고 또는 유통 센터 내의 운영을 의미한다.
산업용 기계는 일반적으로 바코드 또는 RFID 기술을 통해 제품을 식별할 수 있다. 기존 바코드의 정보는 너비가 다른 검정색과 흰색 막대의 시퀀스로 저장되며, 레이저로 읽으면 디지털 시퀀스로 변환된다. 이 디지털 시퀀스는 고정된 규칙에 따라 십진수 또는 다른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때때로 바코드의 정보는 무선 주파수를 통해 전송될 수 있지만, RFID 태그에서는 더 일반적으로 무선 전송이 사용된다. RFID 태그는 메모리 칩과 리더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가 포함된 카드이다. RFID는 상품, 동물, 차량 및 사람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1]
7. 한국의 물류 관련 기관 및 단체
영국왕립물류운송협회(CILT)는 1919년 영국에서 설립되어 1926년 왕실 헌장을 받은 물류 및 운송 부문 전문 기관이다. CILT는 물류 관리에 대한 전문 자격 또는 학위를 제공하며, 영국 전역의 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수강할 수 있다. 일부 센터에서는 원격 학습 옵션도 제공한다.[35] CILT는 호주왕립물류운송협회(CILTA)[36]와 홍콩왕립물류운송협회(CILTHK)[37]와 같은 해외 지부를 두고 있다. 영국에서는 여러 대학과 전문 기관에서 물류 관리[38] 대학원 과정을 운영한다.
7. 1. 정부 기관
국토교통부는 대한민국의 물류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며, 물류 기반 시설(인프라)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해양수산부는 항만 개발 및 운영과 해운 물류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7. 2. 공공 기관
한국철도공사(KORAIL)는 철도 물류 운송을 담당하고,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건설 및 관리와 화물차 휴게소 운영을 담당한다.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는 공항 운영 및 관리와 항공 물류를 지원한다.7. 3. 민간 단체
8. 한국의 물류 관련 교육 기관
이 문서는 물류 문서의 하위 섹션인 "한국의 물류 관련 교육 기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므로, 주어진 원본 소스에서 해당 섹션에 맞는 내용을 찾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9. 물류 관련 자격증
- 물류관리사: 국가전문자격증으로, 물류 관리 전문가를 양성한다.
- 유통관리사: 국가전문자격증으로, 유통 및 물류 분야 전문가를 양성한다.
- CPIM: 국제공인자격증으로, 생산 및 재고 관리 전문가를 양성한다.
- CSCP: 국제공인자격증으로, 공급망 관리 전문가를 양성한다.
영국왕립물류운송협회(CILT)는 1926년에 왕실 헌장을 받은 물류 및 운송 부문의 전문 기관 중 하나로, 물류 관리에 대한 전문 자격 또는 학위를 제공한다.[35] CILT 프로그램은 영국 전역의 센터에서 수강할 수 있으며, 일부 센터에서는 원격 학습 옵션도 제공한다.[35] 이 협회는 호주왕립물류운송협회(CILTA)[36]와 홍콩왕립물류운송협회(CILTHK)[37]와 같은 해외 지부도 두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eport details surge in warehouse construction…
https://www.njspotli[...]
NJ Spotlight News
2021-05-13
[2]
서적
Introduction to Logistics Systems Planning and Control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4
[3]
학술지
The Role of Marketing Channels in Supply Chain Management
https://linkinghub.e[...]
2015-12
[4]
서적
Tableau Analytique des principales combinaisons De La Guerre, Et De Leurs Rapports Avec La Politique Des États: Pour Servir D'Introduction Au Traité Des Grandes Opérations Militaires
https://books.google[...]
[5]
학술지
Observation sur Le Tableau Analytique des principales combinaisons De La Guerre, Et De Leurs Rapports Avec La Politique Des États: Pour Servir D'Introduction Au Traité Des Grandes Opérations Militaires par le général Jomini.
https://books.google[...]
[6]
학술지
Ancient logistics – historical timeline and etymology
http://pdfs.semantic[...]
[7]
웹사이트
logistics
http://oxforddiction[...]
[8]
웹사이트
council logistics management become council supply chain management professional
http://mhlnews.com/g[...]
Material Handling & Logistics News
[9]
웹사이트
CSCMP glossary
http://cscmp.org/sit[...]
[10]
웹사이트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s: Architecture, Design and Vision
http://www.na-busine[...]
North American Business Press
2010
[11]
뉴스
Distribution logistics - definition, basics, examples
https://www.maschine[...]
[12]
학술지
A literature review and perspectives in reverse logistics
https://www.scienced[...]
2015-04-01
[13]
서적
Humanitarian Logistic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2
[14]
학술지
Disaster relief routing: Integrating research and practice
2012-03
[15]
서적
Fundamentals of Production Logistics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9
[16]
Youtube
What is Logistics Management? Meaning, Importance, Basic Functions & Strategies
[17]
웹사이트
Logistics of the Roman Army at War
https://www.academia[...]
[18]
서적
Alexander the Great and the Logistics of the Macedonian Army
University of California
1980
[19]
서적
Hannibal: A History of the Art of War Among the Carthaginians and Romans Down to the Battle of Pydna, 168 BC
Da Capo Press
1995
[20]
서적
The Duke of Wellington and the Supply System During the Peninsula War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4
[21]
학술지
Colonization, Conquest, and the Supply of Food and Transport: The Reorganization of Logistics Management, 1780–1795
2007-07
[22]
학술지
The Joint Logistics Analysis Tool
http://www.alu.army.[...]
2009-07-08
[23]
서적
The Handbook of Technology Management: Supply Chain Management, Marketing and Advertising, and Global Management, vol 2
John Wiley & Sons
[24]
학술지
Military Logistics: Insights for Business Logistics
[25]
서적
Esercitazioni e temi d'esame di Logistica Industriale
CUSL
2001
[26]
표준
ISO 6780:2003 – Flat pallets for intercontinental materials handling – Principal dimensions and tolerances
[27]
서적
Fundamentals of Logistics
McGraw-Hill
1998
[28]
서적
Logística: Visão Global e Picking
EdUFSCar
2010
[29]
서적
Logistics: An Introduction to Supply Chain Management
Palgrave Macmillan
2003
[30]
웹사이트
Enom, Inc
[31]
학술지
Commitment and Trust as Drivers of Loyalty in Logistics Outsourcing Relationships: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32]
논문
An Investigation of Logistics Outsourcing Practices in the Greek Manufacturing Sector
[33]
학술지
The Emerging Role of the Third-Party Logistics Provider (3PL) as an Orchestrator
https://onlinelibrar[...]
2011-04-01
[34]
학술지
The interplay of different types of governance in horizontal cooperations
http://www.emeraldin[...]
[35]
웹사이트
Chartered Institute of Logistics and Transport (CILT) – Professional Logistics Programs
https://www.edumarit[...]
[36]
웹사이트
Chartered Institute of Logistics & Transport Australia (CILTA) – Certification & Training
https://www.edumarit[...]
[37]
웹사이트
Chartered Institute of Logistics and Transport in Hong Kong (CILTHK) – PQE Programs
https://www.edumarit[...]
[38]
웹사이트
Logistics Management
https://loginextsolu[...]
2019-06-20
[39]
웹사이트
GIL HOME
http://www.globeinst[...]
2019-06-20
[40]
웹사이트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Public Health Logisiticians
https://iaphl.org/
2019-06-20
[41]
웹사이트
Logistics Museum
https://web.archive.[...]
2019-06-20
[42]
웹사이트
Museum of Logistics 物流博物館
http://www.lmuse.or.[...]
2019-06-20
[43]
웹사이트
Canadian Forces Logistics Museum
https://web.archive.[...]
2019-06-20
[44]
용어
[45]
웹사이트
ロジスティックス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22-07-24
[46]
기타
[47]
웹사이트
「ロジスティクス」分野の仕事
http://www.javada.or[...]
中央職業能力開発協会(JAVADA)
[48]
웹사이트
国際ロジスティクス学会[SOLE]日本支部報告
https://www.logi-biz[...]
[49]
웹사이트
グローバル対応の統合輸配送管理システムの講演会
http://www.kouei.co.[...]
[50]
웹사이트
学会HP
http://jsmd.jp/
日本商業学会
2022-01-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깨끗한나라, 청주 공장에 무인 지게차 시스템 도입
윌로그, 공급망 관리 전시회 ‘SCM 페어 2025’ 참가 – 바이라인네트워크
콜로세움코퍼레이션, 중기부 ‘2025 예비유니콘’ 선정
컬리·직방처럼 클까? 트래블월렛·라이너 등 15곳 ‘예비유니콘 기업’에
한진-DHL서플라이체인 코리아, 글로벌 기업 위한 국내 물류센터 공동 운영 – 바이라인네트워크
[포토] 물류인재 키워요
"간편" 생산성 70% 증가…'월 90만 원'에 가능? 뭐길래
콜로세움코퍼레이션, IPO 대표 주관사로 대신증권 선정 – 바이라인네트워크
콜로세움코퍼레이션, IPO 대표 주관사로 대신증권 선정
현대글로비스, 세계 물류 상위 25개 브랜드 진입…“국내 기업 중 유일”
진천군 "잠실∼청주공항 급행철도 민자적격성 조사 의뢰 환영"
스마트푸드네트웍스, 150억원 규모 시리즈 C 투자 – 바이라인네트워크
에스원, 물류센터 분실·사고 막는 솔루션 내놔
동부건설, 베트남 호찌민~동나이 연결도로 준공
테크타카, 일본 도쿄에 현지 법인 설립 – 바이라인네트워크
콜로세움, 추석 맞이 택배비 최대 30% 할인 이벤트
카페24 스토어, 앱 100만 다운로드 돌파 – 바이라인네트워크
아임웹, 자사몰 물류 네트워크 확장…한진·품고·모두먼트 3곳 참여 – 바이라인네트워크
“복합물류허브도시의 성패는 신항-신공항-철도 간 화물 이동시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