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 수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 수학은 '배우다'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마테마티케'에서 유래되었으며, 기원전 600년경부터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다. 탈레스, 피타고라스, 유클리드, 아르키메데스, 아폴로니우스 등은 이 시대를 대표하는 수학자들로, 기하학, 정수론, 원뿔 곡선, 구적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특히 형식적 증명과 논리적 추론을 강조하며 수학의 기초를 다졌고, 유클리드의 '원론'은 기하학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그리스 수학은 비잔틴 필사본, 아랍어 번역, 라틴어 번역 등을 통해 전승되었으며, 서양 수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수학 - 그리스 숫자
    그리스 숫자는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된 십진법 숫자 체계로, 알파벳을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는 아티카 숫자를 거쳐 현재의 이오니아 숫자 체계로 발전했으며, 헬레니즘 시대에는 0을 나타내는 기호가 사용되기도 했다.
  • 그리스 수학 - 주판
    주판은 기원전 27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 처음 등장하여 여러 문명에서 사용된 수 계산 도구로, 현대에는 전자 계산기 사용 증가로 사용이 줄었으나 교육용 및 시각 장애인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리스 수학
고대 그리스 수학
피타고라스 흉상
피타고라스 흉상
개요
특징고대 그리스 시대에 발전한 수학
역사
기원기원전 6세기 경 탈레스피타고라스 학파
발전유클리드, 아르키메데스, 아폴로니우스 등에 의해 체계화 및 발전
쇠퇴로마 제국의 등장과 함께 쇠퇴
주요 분야
기하학유클리드 기하학, 원뿔 곡선
정수론피타고라스의 정리, 디오판토스 방정식
천문학지구 중심설, 천구 모델
주요 인물
철학자탈레스
피타고라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수학자유클리드
아르키메데스
아폴로니우스
디오판토스
히파티아
천문학자아리스타르코스
프톨레마이오스
히파르코스
업적
수학적 엄밀성공리로부터 출발하는 연역적 추론 방식 확립
기하학 발전유클리드 원론 집필, 기하학 체계화
정수론 발전피타고라스의 정리 증명, 디오판토스 방정식 연구
천문학 발전지구 중심설 모델 제시, 천체 운동 연구
영향
현대 수학현대 수학의 기초 확립
과학과학적 사고방식 발전에 기여
철학철학적 탐구에 영향

2. 기원과 어원

'수학(mathematics)'을 뜻하는 그리스어 '마테마티케(mathēmatikē)'는 '배우다'라는 뜻의 동사 '만타네인(manthanein)'에서 유래했다.[6][7] '마테마(máthēma)'는 원래 학습의 모든 분야를 의미했지만, 고대부터 산술, 기하학, 천문학, 조화(음악)는 특별한 학문으로 여겨졌다.[6][7]

그리스 수학의 기원은 명확하게 기록되지 않았다.[8][9] 기원전 2000년경 그리스유럽에서 번성했던 초기 문명인 미노스 문명과 미케네 문명은 문자와 고도의 기술을 보유했지만, 수학 관련 문서는 남기지 않았다.

바빌론고대 이집트 문명이 그리스에 영향을 미쳤다고 추정되지만,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10][63][8] 기원전 800년에서 600년 사이는 그리스 문학이 번성했던 시기이지만, 이 시기의 그리스 수학에 대한 정보는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대부분 기원전 4세기 중반 이후의 기록을 통해 전해진다.[11][12]

3. 고대 및 고전 시대

그리스 수학은 탈레스(기원전 624년경~548년경)와 피타고라스(기원전 580년경~500년경) 등 초기 수학자들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탈레스는 탈레스의 정리를 증명한 것으로 유명하며, 피타고라스는 수와 우주의 조화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준 피타고라스 학파를 이끌었다. 히파수스, 테오도로스, 아르키타스 등의 수학자들이 피타고라스 학파에 기여했다.[19]

이 시기에는 키오스의 히포크라테스(기원전 470~410년경), 테아이테토스(기원전 417~369년경), 에우독소스(기원전 408~355년경) 등 특정 학파에 소속되지 않은 수학자들도 활동했다.

플라톤(기원전 428~348년경)과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년경)는 철학적 관점에서 수학을 탐구하며, 수학적 사고의 발전에 기여했다.

3. 1. 탈레스와 초기 수학자들

밀레투스의 탈레스(기원전 624년경~548년경)는 그리스 7현인 중 한 명으로, 그리스 수학의 시조로 여겨진다. 프로클로스에 따르면, 탈레스는 바빌론에서 수학 등을 배우고 탈레스의 정리를 증명했다.[13][14]

3. 2. 피타고라스 학파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1509)에 묘사된 피타고라스


사모스의 피타고라스(기원전 580년경~500년경)는 이집트바빌론을 방문하고,[12][15] 크로톤에 정착하여 일종의 학파를 세웠다. 피타고라스 학파는 "만물은 수이다"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수와 사물 사이의 수학적 관계를 탐구했다.[16] 피타고라스는 5개의 정다면체 구성과 같은 여러 발견의 공로를 인정받았으나, 아리스토텔레스는 특정 업적을 피타고라스 개인에게 귀속시키지 않고 학파 전체의 업적으로 논의했다.[17][18]

유클리드의 ''원론''에 수록된 내용의 상당수는 히파수스(기원전 530년경~450년경)와 테오도로스(기원전 450년경 활동)가 발견한 무리수를 포함하여 피타고라스 학파의 업적으로 여겨진다.[19] 이 학파의 주요 수학자는 아르키타스(기원전 435~360년경)로, 정육면체 배가 문제를 해결하고 조화 평균을 정의했으며, 광학역학에도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9][20]

3. 3.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기원전 428~348년경)은 플라톤 아카데미를 설립했으며, 여러 대화에서 수학을 언급했다.[21] 수학자로 여겨지지는 않지만, 플라톤은 피타고라스 학파의 숫자 관련 사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물질의 원소를 기하학적 고체로 분해할 수 있다고 믿었다.[22] 또한 그는 기하학적 비율이 물리적 힘이나 기계적 힘보다 코스모스를 결합하는 데 더 중요하다고 믿었다.[23]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년경)는 페리파토스 학파를 설립했으며, 무지개 이론에서는 기하학을, 운동 분석에서는 비율 이론을 사용하는 등 자신의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종종 수학을 활용했다.[23] 이 시기 고대 그리스 수학에 대한 지식은 대부분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신의 저서에서 참조한 기록 덕분이다.[12][24]

4. 헬레니즘과 로마 시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 헬레니즘 시대가 시작되면서, 그리스어와 문화가 동지중해,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이란 고원, 중앙 아시아, 인도 일부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그리스어는 헬레니즘 세계 전역에서 학문의 공용어가 되었고, 고전 시대의 수학은 이집트 및 바빌로니아 수학과 융합되어 헬레니즘 수학으로 발전했다.[26][27]

히파르코스(기원전 190–120년경), 프톨레마이오스(서기 100–170년경) 등으로 대표되는 헬레니즘 시대와 초기 로마 제국 시기의 그리스 수학은 매우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28] 헬레니즘 시대에는 여러 학습 센터가 등장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곳은 알렉산드리아무세이온으로, 이집트를 비롯하여 헬레니즘 세계 전역에서 학자들을 끌어모았다. 헬레니즘 수학자들은 수가 적었지만 서로 적극적으로 소통했으며, 출판은 동료들 사이에서 작품을 전달하고 복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32][33][34]

후기 로마 시대에는 알렉산드리아의 파푸스가 ''총서''에서 중요한 결과들을 편집했고,[37] 알렉산드리아의 테온과 그의 딸 히파티아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 등을 편집했다.[38][39] 디오판토스를 제외한 이 수학자들은 주목할 만한 독창적인 작품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주석과 해설을 통해 소실된 작품의 귀중한 발췌본이나 역사적 언급들을 보존했다.[41][42]

그리스어로 쓰인 대부분의 수학 텍스트는 수세기에 걸쳐 필사본으로 복사되어 보존되었다. 이집트에서 발견된 고대 시대의 일부 조각들이 있지만, 필사본 전통으로 보존된 그리스 수학 지식에 중요한 내용을 추가하지는 않는다.[28]

4. 1. 유클리드와 원론

upright


유클리드(기원전 300년경 활동)는 헬레니즘 시대의 대표적인 수학자이다. 그의 저서 ''원론''은 기하학의 기초를 확립하고 수많은 정리와 증명을 제시하여 후대 수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헬레니즘 시대와 초기 로마 제국 시기의 그리스 수학은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유클리드를 포함한 소수의 사람들만이 이를 숙달했다.[28]

4. 2. 아르키메데스와 응용수학

헬레니즘 시대와 초기 로마 제국 시기에 그리스 수학은 절정에 달했으며, 아르키메데스(기원전 287–212년경)는 이 시기를 대표하는 수학자 중 한 명이다.[28] 이 시기의 응용 수학으로는 안티키테라 메커니즘과 같은 아날로그 컴퓨터 제작,[29][30] 에라토스테네스(기원전 276–194년)의 지구의 둘레에 대한 정확한 측정,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서기 10–70년경)의 수학 및 기계 공학 작품 등이 있다.[31] 아스칼론의 유토키우스(서기 480–540년)는 아르키메데스의 논문에 대한 주석을 썼다.[40]

4. 3. 아폴로니우스와 원뿔 곡선

아폴로니우스(기원전 240–190년경)는 원뿔 곡선 이론을 체계화하여 기하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28] 아스칼론의 유토키우스(서기 480–540년)는 아폴로니우스의 저작에 대한 주석을 썼다.[40]

4. 4. 디오판토스와 산술

디오판토스(214년경 ~ 298년경)는 다각수와 현대 이전의 대수학 작품인 ''산술''에 대해 저술했다.[35][36]

5. 주요 업적

고대 그리스 수학은 기하학, 형식적 증명, 정수론, 천문학, 조합론, 수리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때로는 적분학에 가까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도 했다.[43][44][45]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는 리하르트 데데킨트가 개발한 데데킨트 컷을 사용하여 현대 실수 이론과 유사한 비율 이론을 개발했는데, 데데킨트는 에우독소스를 영감의 원천으로 인정했다.[46][47][48][49]

고대 그리스 수학은 이론적인 저술뿐만 아니라 상업 거래 및 토지 측량과 같은 활동에도 사용되었으며, 수치해석적인 절차와 실질적인 고려사항이 중요하게 다루어졌다.[63][64]

5. 1. 형식적 증명과 논리적 추론

그리스 수학은 수학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를 구성하며, 특히 기하학과 형식적 증명의 개념에서 근본적인 역할을 했다.[43] 아르키메데스는 임의의 정확도로 문제에 대한 해답에 도달하기 위해 귀류법의 한 형태에 의존하는 기술을 사용했으며, 해답이 놓여있는 한계를 명시했다. 구진법으로 알려진 이 방법을 아르키메데스는 π의 근사값(''원 측정'')[55]포물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이 밑변과 높이가 같은 삼각형 면적의 4/3배라는 증명(''포물선 구적법'')[56]을 포함한 그의 여러 저서에서 사용했다.

5. 2. 기하학과 원뿔 곡선 이론

유클리드는 광학, 천문학, 그리고 조화에 관해 저술한 것으로 추정되며, 수 세기 동안 기하학과 기초 정수론의 표준으로 자리 잡은 ''원론''에 이전의 많은 수학적 결과와 정리를 모았다.[50][51][52] 후대의 기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알렉산드리아의 메넬라오스는 ''원론''의 스타일을 따르는 구면 기하학에 관한 표준 저서인 ''구면론''을 저술했는데, 이는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첫 번째 논문으로 간주될 수 있다.[53][54]

그리스 수학의 가장 특징적인 산물은 원뿔 곡선 이론으로, 이는 헬레니즘 시대에 메나이크모스의 연구로 시작되어 아폴로니우스의 저서 ''원뿔 곡선론''에서 주로 완성되었다.[58][59][60] 이 저서에서 사용된 방법은 대수학이나 삼각법을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는데, 삼각법은 히파르코스 시대 즈음에 나타났다.[61][62]

5. 3. 정수론과 무리수

그리스 수학자들은 정수론에 기여했다.[44] 피타고라스 학파는 정수의 성질을 연구하고, 무리수의 존재를 발견하여 수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4. 해석학과 구적법

아르키메데스귀류법의 한 형태에 의존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문제에 대한 해답에 임의의 정확도로 도달했으며, 해답이 놓여있는 한계를 명시했다. 구진법으로 알려진 이 방법을 아르키메데스는 여러 저서에서 사용했다. 예를 들어 원 측정[55]에서는 π의 근사값을 제시하고, 포물선 구적법[56]에서는 포물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이 밑변과 높이가 같은 삼각형 면적의 4/3배임을 증명했다. 또한, 모래알을 세는 사람[57]에서는 우주를 채우는 모래알의 수가 무한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만(10,000)을 기반으로 하는 자신의 계산 방식을 고안했다.

6. 전승과 필사본 전통

고대 그리스 수학 문서는 대부분 헬레니즘 시대 이후에 쓰여졌지만, 헬레니즘 시대와 그 이전에 쓰여진 작품의 사본으로 여겨진다.[65] 주요 자료는 비잔틴 필사본, 그리스 작품의 시리아어 또는 아랍어 번역, 그리고 아랍어 버전을 라틴어 번역한 것이다.

원본 필사본은 부족하지만, 여러 중복되는 연대기 덕분에 일부 그리스 수학자들의 연대는 생존하는 바빌로니아 또는 이집트 자료의 연대보다 더 확실하다. 네츠(2011)는 수학 또는 정확과학 분야의 고대 작가 144명을 꼽았는데, 이들 중 29명의 작품만이 그리스어로 남아있다고 했다.[66]

6. 1. 비잔틴 필사본

비잔틴 제국 시대에 제작된 필사본은 고대 그리스 수학 문서를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5] 이 필사본들은 원본에서 약 500년에서 1500년 후에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쓰여졌다.[65] 네츠(2011)는 수학 또는 정확과학 분야의 고대 작가 144명을 조사했는데, 이들 중 아리스타르코스, 아르키메데스, 유클리드, 디오판토스 등 29명의 작품만이 그리스어로 남아 있다고 밝혔다.[66]

라틴어로 된 디오판토스의 ''산술(Arithmetica)'' 표지

6. 2. 아랍어 번역과 12세기 라틴어 번역

가장 초기의 그리스어 수학 텍스트는 헬레니즘 시대 이후에 쓰여졌지만, 대부분은 헬레니즘 시대 동안과 그 이전에 쓰여진 작품의 사본으로 여겨진다.[65] 주요 자료는 다음과 같다.

  • 원본에서 약 500년에서 1500년 후에 쓰여진 비잔틴 필사본
  • 그리스 작품의 시리아어 또는 아랍어 번역 및 아랍어 버전을 라틴어 번역.


네츠(2011)는 수학 또는 정확과학 분야의 고대 작가 144명을 언급했는데, 이들 중 29개의 작품만이 그리스어로 남아 있고, 다음 작품들은 아랍어 번역으로만 남아 있다.[66]

아랍어 번역으로만 남아있는 그리스 수학 문서[67][68]
저자작품명
아폴로니우스원뿔 곡선(Conics) 5권에서 7권, 비율의 절단(Cutting Off of a Ratio)
아르키메데스보조정리의 책(Book of Lemmas), 정7각형의 작도(Construction of the Regular Heptagon)
디오클레스연소 거울에 대하여(On Burning Mirrors)
디오판토스산술(Arithmetica) 4권에서 7권
유클리드도형의 분할에 대하여(On Divisions of Figures), 무게에 대하여(On Weights)
헤론광학(Catoptrica), 기계론(Mechanica)
메넬라오스구면론(Sphaerica)
파푸스'유클리드 원론(Elements) 10권에 대한 주석(Commentary on Euclids Elements book X)''
프톨레마이오스광학(Optics) (그리스어의 아랍어 번역으로부터 라틴어로 남아 있음), 플라니스페리움(Planisphaerium)


참조

[1] 논문 Ancient Greek Mathematics http://individual.ut[...] 2020
[2] 서적 Science and Mathematics in Ancient Greek Culture 2002
[3]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s Wiley 1991
[4] 서적 Mathematics Harvard University Press
[5] 간행물 The Creation of Second-Order Knowledge in Ancient Greek Science as a Process in the Globalization of Knowledge https://mprl-series.[...]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2012-07-20
[6] 논문 A Manual of Greek Mathematics
[7]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the sciences in Greco-Roman antiquity https://www.isko.org[...] 2020
[8]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s: From Mesopotamia to Modernit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On the early history of axiomatics: The interaction of mathematics and philosophy in Greek Antiquity. D. Reidel Publishing Co.
[10] 서적 Some remarks on the origins of Greek science and philosophy. Garland Publishing Inc.
[11] 서적 The Origin of the History of Science in Classical Antiquity De Gruyter 2008-08-22
[12] 문서 Boyer & Merzbach (2011) pp. 40–89.
[13] 논문 Thales and the Origin of Theoretical Reasoning 1993
[14]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s Wiley
[15] 문서 Heath (2003) pp. 36–111
[16] 서적 A History of Science Wiley
[17] 논문 A review of Aristotle's claim regarding Pythagoreans fundamental Beliefs: All is number? http://revistas.unis[...] 2016-05-20
[18] 문서 'Hans-Joachim Waschkies, "Introduction" to "Part 1: The Beginning of Greek Mathematics" in ''Classics in the History of Greek Mathematics'', pp. 11–12'
[19] 간행물 The problem of Pythagorean mathe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0] 논문 Archytas and Optics https://www.cambridg[...] 2005
[21] 서적 Numbers, Ontologically Speaking: Plato on Numerosity https://brill.com/vi[...] Brill 2021-12-09
[22] 논문 Plato as Mathematician 1951
[23] 서적 The Beginnings of Western Scienc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4] 웹사이트 Aristotle and Mathematics https://plato.stanfo[...] 2004-03-26
[25] 문서 'Harv|Boyer|1991|loc="Euclid of Alexandria" p. 119'
[26] 서적 Alexander to Actium: The Historical Evolution of the Hellenistic Ag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27] 간행물 Hellenistic Mathematics Springer 2004
[28] 웹사이트 Greek mathematics to AD 300 https://www.routledg[...] 1994
[29] 논문 Hero of Alexandria's Mechanical Geometry 2004-12-01
[30] 논문 The Antikythera mechanism and the mechanical universe 2014-10-02
[31] 문서 Russo, Lucio (2004). The Forgotten Revolution. Berlin: Springer. pp. 273–277.
[32] 논문 Greek Science in its Hellenistic Phase 1988
[33] 서적 Hellenistic Science at Court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17
[34] 웹사이트 Hellenistic Mathematics https://www.oxfordha[...] 2018
[35] 논문 Completing Diophantus, De polygonis numeris, prop. 5 2011
[36] 논문 Practicing algebra in late antiquity: The problem-solving of Diophantus of Alexandria 2013
[37] 학위논문 Pappus Reborn : Pappus of Alexandria and the Changing Face of Analysis and Synthesis in Late Antiquity. https://ir.canterbur[...] 2008
[38] 웹사이트 Theon of Alexandria and Hypatia https://www.historyo[...] 2021-05-26
[39] 논문 Isidore of Miletus and Hypatia: On the Editing of Mathematical Texts https://grbs.library[...] 1990
[40] 서적 Prolegomena Mathematica: From Apollonius of Perga to the Late Neoplatonism. https://brill.com/di[...] Brill 2016
[41] 서적 Prolegomena Mathematica: From Apollonius of Perga to the Late Neoplatonism. With an Appendix on Pappus and the History of Platonism https://brill.com/vi[...] Brill 2016
[42] 서적 A History of Greek Mathematics Humphrey Milford
[43] 서적 Axiomatics—Euclid's and Hilbert's: From Material to Formal Springer 2015
[44] 서적 The method of indivisibles in Ancient Geometry MAA Press
[45] 문서 Did Archimedes do calculus? https://homsigmaa.ne[...] History of Mathematics Special Interest Group of the MAA 2020
[46] 논문 Eudoxos and Dedekind: On the ancient Greek theory of ratios and its relation to modern mathematics 1990
[47] 웹사이트 Eudoxus, the most important mathematician you've never heard of. https://web.stanford[...] 2019-04
[48] 논문 Proportion theory in Greek mathematics. https://eudml.org/do[...] 2003
[49] 웹사이트 Eudoxus of Cnidus http://www-history.m[...] University of St. Andrews 2011-04-18
[50] 서적 Euclid—The Creation of Mathematics https://www.springer[...] Springer-Verlag 1999
[51] 논문 Euclid's Elements and the Axiomatic Method https://www.journals[...] 1969
[52] 문서 The Foundations of Arithmetic in Euclid. http://mat.msgsu.edu[...] Pierce, D. 2015
[53] 논문 Spherical Interpretation of Plane Geometry in Menelaus of Alexandria's Sphaerica https://jihs.ut.ac.i[...] 2013-03-21
[54] 논문 Three Theorems of Menelaus 2019-08-09
[55] 논문 Archimedes and the Measurement of the Circle: A New Interpretation 1976
[56] 논문 Archimedes' Quadrature of the Parabola Revisited 1998
[57] 논문 The Goal of Archimedes' Sand Reckoner 2003
[58] 논문 The problem of Apollonius 1961
[59] 논문 The Hyperbola-Construction in the Conics, Book II: Ancient Variations on a Theorem of Apollonius 1981
[60] 서적 Conics in Greek Geometry: Apollonius, Harmonic Division, and Later Greek Geometry Springer 2020
[61] 논문 The Chord Table of Hipparchus and the Early History of Greek Trigonometry 1974
[62] 논문 The very early history of trigonometry. https://people.sc.fs[...] 2011
[63] Unpublished manuscript, written for Aufstieg und Niedergang der römischen Welt '"Sub-scientific mathematics: Undercurrents and missing links in the mathematical technology of the Hellenistic and Roman world"' http://webhotel4.ruc[...]
[64] 논문 Greco-Egyptian Arithmetical Problems: P. Mich. 4966 1934
[65] 웹사이트 How do we know about Greek mathematics? http://www-groups.dc[...] University of St. Andrews 2011-04-18
[66] 논문 The Bibliosphere of Ancient Science (Outside of Alexandria) 2011-09-27
[67] 논문 Greek-Arabic-Latin: The Transmission of Mathematical Texts in the Middle Ages https://epub.ub.uni-[...] 2001-06
[68] 논문 Lost greek mathematical works in arabic translation 1984-01
[69] 논문 A Manual of Greek Mathematic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