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물병자리 91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병자리 91은 세 개의 별로 이루어진 삼중성계이다. 가장 밝은 주성인 물병자리 91 A는 K0 III 분광형의 거성으로, 태양보다 질량이 크고 밝기는 49배이며 오렌지색으로 보인다. 물병자리 91 B와 C는 A로부터 52초각 떨어져 쌍성을 이루며, A와 고유 운동을 공유하여 중력적으로 묶여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3년에는 물병자리 91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 물병자리 91 b가 발견되었으며, 이 행성은 최소 목성 질량의 2.9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중성 행성계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계인 삼중성계로, 태양과 유사한 황색 왜성 A(리길 켄타우루스)와 A보다 작고 어두운 오렌지색 왜성 B(톨리만), 그리고 멀리 떨어져 중력적으로 연결된 적색 왜성 C(프록시마 센타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 주위를 도는 두 개의 행성이 확인되었다.
  • 다중성 행성계 - 게자리 55
    게자리 55는 태양과 유사한 G형 주계열성 게자리 55 A와 적색 왜성 게자리 55 B로 이루어진 쌍성계로, 게자리 55 A는 중원소 함량이 높고 최소 5개의 외계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가장 안쪽 행성인 게자리 55 e는 슈퍼 지구로 분류된다.
  • 삼중성계 - 민타카
    민타카는 오리온자리의 삼태성 중 하나로, 다중성계이며, 분광쌍성임이 밝혀졌고, 성간매질 존재 증거를 제공한 중요한 천체이다.
  • 삼중성계 - 폴라리스
    폴라리스는 작은곰자리의 알파별이자 지구 자전축과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 밤하늘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는 북극성이며, 황백색 초거성인 폴라리스 A와 두 개의 동반 천체를 거느린 항성계의 가장 밝은 별로, 항해의 지표로 사용되어 왔다.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에타 유성군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이오타
물병자리 91
개요
명칭91 Aquarii (물병자리 91)
다른 명칭물병자리 프시1, ADS 16633, BD–09 6156, FK5 1608, 글리제 893.2, HD 219449, HIP 114855, HR 8841, LTT 9437, SAO 146598
별자리물병자리
물병자리 내 물병자리 프시1 별의 위치
물병자리 내 물병자리 프시1 별의 위치 (원으로 표시)
관측 정보
겉보기 등급+4.248
시선 속도-25.88 km/s
고유 운동 (적경)+368.78 밀리초각/년
고유 운동 (적위)–17.16 밀리초각/년
연주 시차21.77 ± 0.29 밀리초각
거리약 150 광년
특징
분광형A: K0 III
색 지수 (u-b)+1.035
색 지수 (b-v)+1.104
색 지수 (r-i)0.56
나이A: 12억 5천만 년 (+1억 6천만 년, -3억 4천만 년)
중원소 함량A: –0.14
질량A: 1.74 ± 0.35 태양 질량
반지름A: 10.16 ± 0.45 태양 반지름
자전 속도A: 2.9 km/s
광도A: 49 태양 광도
표면 중력A: 2.6
표면 온도A: 4,603 켈빈
궤도 정보 (A-BC 계)
평균 거리 대상물병자리 프시1 별 A
평균 거리2,250 천문 단위
공전 주기~ 45,000 년
항성 정보 (A-BC 계)
주성물병자리 프시1 별 A
각거리52″
궤도 정보 (B-C 계)
궤도 장반축21.5 AU
공전 주기83.61 년
이심률0.448
궤도 경사각87.0°
항성 정보 (B-C 계)
주성물병자리 프시1 별 B
위치각103.6°
각거리0.469″

2. 항성계

물병자리 91은 항성 세 개로 이루어진 삼중성계이다. 가장 밝은 별인 주성 물병자리 91 '''A'''는 분광형 K0 III의 거성이다. A의 질량은 태양보다 74퍼센트 더 무거우며 크기는 태양의 10배 이상 불어나 있다. A는 태양의 49배 밝기로 에너지를 분출하고 있으며 최외곽 대기의 유효 온도는 4603 켈빈이다. 이 정도 온도에서 A는 우리 눈에 오렌지색으로 빛나는 것처럼 보인다.

주성 A는 나머지 두 별 B, C와 고유 운동을 공유하고 있으므로 이들은 서로 중력적으로 묶여 있으리라 추측하고 있다. 물병자리 '''B'''와 물병자리 '''C'''는 A로부터 각거리로 52초각만큼 떨어져서 쌍성구조를 이루고 있다. B와 C는 서로 0.3초각 떨어져 있으며 밝기는 둘을 합쳐셔 10등급이다.

구성원겉보기
등급
(V)
분광형
A4.22K0 III
B9.62K3 V
C10.10D



쌍성계 CCDM J23159-0905DE이 물병자리 91과 같은 시선방향에 있는데, CCDM 항성목록에는 두 항성계가 서로 중력적으로 묶인 계로 수록되어 있으나 WDS 목록에는 둘은 서로 별개의 항성계이며 고유 운동도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수록되어 있다. CCDM J23159-0905DE는 항성 둘로 이루어져 있는데 둘 중 밝은 쪽인 CCDM J23159-0905D는 겉보기 등급 13등급에 물병자리 91로부터 80.4초각 떨어져 있고 어두운 쪽인 CCDM J23159-0905E는 14등급 밝기에 물병자리 91로부터 19.7초각 떨어져 있다.

2. 1. 물병자리 91 A (분)

물병자리 91 A는 물병자리 91 항성계에서 가장 밝은 주성으로, 분광형 K0 III의 거성이다. 이 별은 태양 질량의 약 1.4배(138% ~ 174%), 반지름은 태양의 10배 이상으로 팽창한 진화된 별이다. 별의 바깥 층에서 태양의 약 50배(49 ~ 54배)의 광도를 방출하며, 유효 온도는 약 4,700K(4603K ~ 4730K)이다. 이는 K형 별의 특징인 오렌지색 빛을 띠게 한다.

주성 A는 물병자리 91 B, C와 고유 운동을 공유하며, 이들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B와 C는 서로 0.3초각 떨어져 있으며 밝기는 둘을 합쳐서 10등급이다.

구성원겉보기
등급
(V)
분광형
A4.22K0 III
B9.62K3 V
C10.10D



쌍성계 CCDM J23159-0905DE는 물병자리 91과 같은 시선방향에 있으나, WDS 목록에는 둘은 서로 별개의 항성계이며 고유 운동도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수록되어 있다.

2. 2. 물병자리 91 B와 C

물병자리 91 B와 C는 주성 A로부터 각거리로 52초각 떨어져 쌍성구조를 이루고 있다. B와 C는 서로 0.3초각 떨어져 있으며 밝기는 둘을 합쳐 10등급이다.

구성원겉보기
등급
(V)
분광형
B9.62K3 V
C10.10D



주성 A는 B, C와 고유 운동을 공유하고 있어, 이들은 서로 중력적으로 묶여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쌍성계 CCDM J23159-0905DE는 물병자리 91과 같은 시선방향에 있으나, CCDM 항성목록에는 두 항성계가 서로 중력적으로 묶인 계로 수록되어 있는 반면, WDS 목록에는 둘은 서로 별개의 항성계이며 고유 운동도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수록되어 있다. CCDM J23159-0905DE는 항성 둘로 이루어져 있는데, 밝은 쪽인 CCDM J23159-0905D는 겉보기 등급 13등급에 물병자리 91로부터 80.4초각 떨어져 있고, 어두운 쪽인 CCDM J23159-0905E는 14등급 밝기에 물병자리 91로부터 19.7초각 떨어져 있다.

2. 3. CCDM J23159-0905DE

CCDM J23159-0905DE는 쌍성계로, CCDM 항성목록에는 물병자리 91과 중력적으로 묶여 있는 것으로 수록되어 있다.[1] 그러나 WDS 목록에는 둘은 서로 별개의 항성계이며 고유 운동도 공유하고 있지 않다고 수록되어 있다.[2]

CCDM J23159-0905D는 겉보기 등급 13등급에 물병자리 91로부터 80.4초각 떨어져 있고, CCDM J23159-0905E는 14등급 밝기에 물병자리 91로부터 19.7초각 떨어져 있다.

3. 외계 행성

2003년 물병자리 91을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다.[20] 이 행성의 질량은 최소 목성 질량의 2.9배이다. 2004년 1월 5일 미국 천문학회 제203차 회의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나, 즉시 인정되지 않았다. 2013년, 리크 천문대의 60cm 쿠데 보조 망원경으로 10년에 걸쳐 시선 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한 결과, 질량 하한이 목성 질량의 3.2배인 행성이 주위를 공전하는 것에 의한 케플러 회전과 잘 일치하는 것이 확인되어 정식으로 행성의 발견이 인정되었다. 이 행성의 공전 궤도는 원에 가깝고, 모항성과의 거리도 약 0.7 au로 그다지 가깝지 않다고 생각된다.

동반 천체질량공전주기공전궤도 반지름이심률
b≥ 2.9 MJ182일≥ 0.3 AU0


3. 1. 물병자리 91 b (리카)

2003년 물병자리 91을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다.[20] 이 행성의 질량은 최소 목성 질량의 2.9배이다. 2004년 1월 5일 미국 천문학회 제203차 회의에서 처음 보고되었으나, 즉시 인정되지 않았다. 2013년, 리크 천문대의 60cm 쿠데 보조 망원경으로 10년에 걸쳐 시선 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한 결과, 질량 하한이 목성 질량의 3.2배인 행성이 주위를 공전하는 것에 의한 케플러 회전과 잘 일치하는 것이 확인되어 정식으로 행성의 발견이 인정되었다. 이 행성의 공전 궤도는 원에 가깝고, 모항성과의 거리도 약 0.7 au로 그다지 가깝지 않다고 생각된다.

동반 천체질량공전주기공전궤도 반지름이심률
b≥ 2.9 MJ182일≥ 0.3 AU0


참조

[1] 웹사이트 VizieR http://vizier.u-stra[...]
[2] 웹사이트 http://ad.usno.navy.[...] 2009-01-31
[3] 문서 "M_V = m_V + 5 + 5 (\\log \\pi)より計算。M_V\\ は[[絶対等級]]、m_V\\ は[[等級 (天文)|視等級]]、\\pi\\ は年周視差(秒)。小数第2位まで表示。"
[4] 웹사이트 psi01 Aqr -- High proper-motion Star https://simbad.u-str[...] CDS 2017-11-02
[5] 간행물 Precise radial velocities of giant stars. V. A brown dwarf and a planet orbiting the K giant stars τ Geminorum and 91 Aquarii 2013-07
[6] 간행물 Statistics of spectroscopic sub-systems in visual multiple stars 2002-01
[7] 간행물 Two Suns in The Sky: Stellar Multiplicity in Exoplanet Systems 2006-07
[8] 간행물 Four Substellar Companions Found Around K Giant Stars 2003-12
[9] 간행물 New orbitS for WDS 06255+2320, WDS 08539+0149, WDS 15227-4441 WDS 22339+6550, WDS 22478-0414, WDS 23159-0905 2007-02
[10] 간행물 Extrasolar planets in stellar multiple systems 2012-06
[11] 간행물 Speckle Interferometry at the Blanco and SOAR Telescopes in 2008 and 2009 2010-02
[12] 간행물 Properties of planets in binary systems. The role of binary separation 2007-01
[13] 간행물 Precise radial velocities of giant stars. VII. Occurrence rate of giant extrasolar planets as a function of mass and metallicity 2015-02
[14] 간행물 Toward Precise Ages for Single Stars in the Field. Gyrochronology Constraints at Several Gyr Using Wide Binaries. I. Ages for Initial Sample 2012-02
[15] 간행물 Comparative statistics and origin of triple and quadruple stars 2008-09
[16] 간행물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2001-12
[17] 간행물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2007-11
[18] 간행물 Bright Star Catalogue, 5th Revised Ed. 1995-11
[19] 웹사이트 The Colour of Stars http://www.atnf.csir[...]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17-12-01
[20] 웹인용 Four Substellar Companions Found Around K Giant Stars http://adsabs.harvar[...] 2004-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