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병자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병자리는 중국 천문학에서 다양한 별자리로 묘사되었으며, 현대 천문학에서는 외계 행성 탐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 천문학에서 물병자리는 무덤, 황제의 묘소 등으로 여겨졌으며, 이십팔수 중 세 개가 물병자리와 이름을 공유했다. 현대에는 물병자리에서 12개의 외계 행성계가 발견되었으며, 특히 TRAPPIST-1에는 지구와 유사한 암석 행성 7개가 존재한다. 서양 점성술에서 물병자리는 1월 20일부터 2월 18일까지 해당하며, 물병 시대와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적도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 적도의 별자리 - 바다뱀자리
바다뱀자리는 현대 별자리 중 가장 넓은 영역을 가진 동서로 길게 뻗은 별자리로, 그리스 신화 속 아폴론 이야기나 헤라클레스의 히드라 퇴치와 관련되어 있으며, 주요 항성인 알파르드와 다양한 메시에 천체, 여러 유성군을 포함한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 프톨레마이오스의 별자리 - 작은개자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오리온의 사냥개로 여겨지며, 가장 밝은 별인 프로키온과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러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작은 크기에 비해 문화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이 풍부한 별자리이다.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에타 유성군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이오타
물병자리 | |
---|---|
기본 정보 | |
이름 | 물병자리 |
라틴어 | Aquarius (아콰리우스) |
약자 | Aqr |
소유격 | Aquarii (아콰리이) |
상징 | 물병을 든 사람 |
위치 | 적경: 20h 38m 19.1706s – 23h 56m 26.5355s |
남중 시각 | 10월 10일 |
남중 시기 | 10월 하순 |
사분면 | SQ4 |
면적 | 979.854 평방도 |
면적 순위 | 10위 |
주요 별 개수 | 2개 |
바이어/플램스테드 명명법 별 개수 | 97개 |
밝은 별 개수 | 2개 |
가장 밝은 별 | 물병자리 베타별(β Aqr) (사달수드) |
밝기 | 2.89 등급 |
가장 가까운 별 이름 | EZ Aqr |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 11.27 광년 |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파섹) | 3.45 파섹 |
메시에 천체 개수 | 3개 |
유성우 | 3월 물병자리 유성우 물병자리 에타 유성우 물병자리 델타 유성우 물병자리 이오타 유성우 5개 |
인접 별자리 | 물고기자리 페가수스자리 조랑말자리 돌고래자리 독수리자리 염소자리 남쪽물고기자리 조각가자리 고래자리 |
북쪽 위도 | 65° |
남쪽 위도 | 90° |
2. 역사와 신화
물병자리는 여러 문화권의 역사와 신화 속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고대 문명
- 바빌로니아: 바빌론 별자리 목록에서 "위대한 자"로 확인되며, 물이 넘치는 항아리를 든 신 에아(수메르어로는 엔키)를 상징했다. 이는 기원전 2천년기의 유물에서도 나타난다. 초기 청동기 시대에는 동지점을 포함했으며,[1] 고대 바빌로니아 천문학에서 에아는 태양 경로의 최남단인 "에아의 길"을 다스리는 신으로 여겨졌다. 에아는 손에 든 항아리에서 물을 쏟아내는 모습으로 묘사되었고, 이 물은 풍요로운 비를, 발밑의 물고기는 남쪽물고기자리의 기원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또한, 바빌로니아인들이 겪었던 파괴적인 홍수와 연관되어 부정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했다.[1]
- 이집트: 고대 이집트 천문학에서는 매년 나일강의 범람과 연관 지었다. 물병자리가 항아리를 강에 쏟으면 봄이 시작되며 강이 범람한다고 믿었다.[1]
- 힌두: 힌두 조디악에서는 "물 항아리"를 의미하는 ''kumbha''라는 이름으로 불린다.[2]
그리스 천문학과 신화고대 그리스 천문학에서는 물병자리를 주로 남쪽 물고기자리로 물을 쏟는 항아리로 묘사했다. "물을 운반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Ὑδροχόος|히드로코오스grc로 불렸으나, 시대에 따라 영역이 달랐다. 기원전 3세기 아라토스는 항아리를 든 인물(Ὑδροχόος)과 흘러나오는 물(Ὕδωρ|히도르grc)을 별개의 별자리로 보기도 했다. 이후 에라토스테네스의 『카타스테리스모이(Καταστερισμοί|카타스테리스모이grc)』나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의 『천문시(De Astronomica|데 아스트로노미카la)』에서는 하나로 합쳐졌지만, 인물과 물 부분의 별 개수를 구분하여 기술했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ἡ Μεγάλη Σύνταξις τῆς Ἀστρονομίας|헤 메갈레 신탁시스 테스 아스트로노미아스grc)』에서는 총 42개의 별을 기록했으며, 물줄기의 끝은 포말하우트로 여겨졌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물병자리를 여러 인물과 동일시했다.
- 가니메데: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로, 트로이의 왕 트로스의 아름다운 아들이다. 제우스가 그의 미모에 반해 독수리로 변신(혹은 독수리를 보내) 올림포스 산으로 데려가 신들에게 넥타르(포도주)를 따르는 시종으로 삼았다고 한다.[3] 이 독수리는 독수리자리가 되었다. 일부 전승에서는 에오스에게 납치되었다고도 한다.[4] 물병자리에서 흘러나오는 물은 에리다누스강으로 이어지며, 대홍수를 일으킨 물로 여겨지기도 한다.
- 데우칼리온: 프로메테우스의 아들로, 제우스가 일으킨 대홍수 때 아버지의 경고로 아내 피라와 함께 방주를 만들어 살아남았다. 물병의 물은 이 대홍수를 상징한다고 여겨진다.[1]
- 케크롭스 1세: 아테네의 초대 왕으로, 신들에게 포도주 대신 물을 희생 제물로 바쳤다고 한다. 물병의 물은 와인이 전해지기 전 물을 제물로 사용했던 시대를 나타낸다고 한다.[1]
- 아리스타이오스: 아폴론과 퀴레네의 아들로, 시리우스가 뜨는 한여름의 더위를 식히기 위해 에테지안 바람을 부르는 제사를 지낸 공적으로 별자리가 되었다는 전승도 있다.



근대 천문학1603년 독일의 법학자 요한 바이어는 성도 『우라노메트리아』에서 물병자리의 별들에 그리스 문자와 라틴 문자를 이용해 부호를 붙였다. 그는 포말하우트를 남쪽물고기자리에만 속하게 하고, 물줄기의 끝을 현재의 c1별로 정했다. 바이어는 별자리 그림에 데우칼리온, 가니메데, 케크롭스, 아리스타이오스의 이름을 함께 적어 여러 신화적 해석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태양계의 8번째 행성인 해왕성은 1846년 9월 23일과 9월 24일 사이, 물병자리 영역에서 발견되었다. 프랑스의 천문학자 위르뱅 르 베리에가 예측한 위치를 베를린 천문대의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와 조수 하인리히 다레스트가 관측하여 ι별 근처, 염소자리와의 경계 부근에서 찾아냈다.
1922년 5월 로마에서 열린 국제천문연맹(IAU) 총회에서 물병자리는 현행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별자리명은 '''Aquarius''', 약칭은 '''Aqr'''로 정식으로 정해졌다.
2. 1. 한국 전통 천문학에서의 물병자리
동아시아의 천문학, 특히 중국 천문학의 영향을 받은 한국 전통 천문학에서는 물병자리 영역의 별들을 다양한 성관(星官)으로 나누어 해석했다. 이는 서양 천문학의 별자리 개념과는 다른 독자적인 체계를 따른다.=== 중국 천문학에서의 성관 ===
중국 천문학에서 물병자리 부근의 별들은 여러 성관으로 구성되었다. 물병자리에서 흘러나오는 물줄기에 해당하는 희미한 별들은 우림군(羽林君)이라 불렸는데, 이는 '깃털과 숲'을 의미하며 제국 북쪽 변방 출신의 경보병을 상징했다. 우림군은 45개의 별로 이루어져 중국 별자리 중 가장 많은 별을 포함했으며, 대부분 현대 물병자리 영역에 위치한다. 이 천상의 군대는 루이비전(垒壁阵)이라는 성벽으로 보호받았는데, 이 성벽은 이오타, 람다, 파이, 시그마 물병자리를 포함한 12개의 별로 이루어졌다.
88번 별, 89번 별, 98번 별은 푸유에(斧鉞)라는 성관을 이루며, 이는 무기이자 죄인을 처형하는 데 사용되는 도끼를 상징했다. 또한, 물병자리 영역에는 루이피친(壘壁陣)이라는 또 다른 성벽도 있었는데, 이는 29번 물고기자리 및 27번 물고기자리, 33번 물병자리 및 30번 물병자리에서 시작하여 파이, 람다, 시그마, 이오타 물병자리를 거쳐 델타, 감마, 카파, 엡실론 염소자리까지 이어지는 긴 성벽이었다.
그 외에도 물병자리 부근에는 다음과 같은 성관들이 있었다.
- 펀무(墳墓): 무덤을 의미한다.
- 슈리앙(虛梁): 황제들의 묘소를 의미하며, 카파 물병자리와 다른 세 개의 별로 경계가 표시되었다.
- 쿠(哭)와 치(泣): 각각 두 개의 별로 구성되며, '울음'과 '애도'를 의미한다.
=== 이십팔수와의 관계 ===
물병자리의 별들은 중국의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여러 수(宿)에 걸쳐 포함되었다.
- 여수(女宿): 열 번째 수. 엡실론, 뮤, 3번 별, 4번 별로 표현되는 시녀를 상징하는 성관 '여'(女)가 여기에 속한다.
- 허수(虛宿): 열한 번째 수. 베타 물병자리와 알파 조랑말자리로 구성된 성관 '허'(虛)와 이름을 공유하며, 죽음과 장례식과 관련된 황량한 곳을 나타냈다.
- 위수(危宿): 열두 번째 수. 알파 물병자리, 세타 페가수스자리, 엡실론 페가수스자리로 이루어진 V자 모양의 성관 '위'(危)와 이름을 공유하며, 지붕을 의미했다.
=== 『흠정의상고성』에서의 배정 ===
청나라 건륭제 때인 1752년에 편찬된 성표 『흠정의상고성』(欽定儀象考成)에서는 물병자리의 별들을 현무(玄武) 방위에 속하는 이십팔수 중 여수(女宿), 허수(虛宿), 위수(危宿), 실수(室宿)에 걸쳐 다음과 같이 배정했다.
이십팔수 | 성관(星官) | 해당 별 (물병자리 중심) | 의미 |
---|---|---|---|
여수(女宿) | 여(女) | ε, μ, 4번 별, 3번 별 | 기혼 여성 또는 신분이 낮은 여성 |
이주(離珠) | 1번 별 | 진주나 장식한 부인복 | |
허수(虛宿) | 허(虛) | β (페가수스자리 알파별 포함) | 분묘를 지키는 역할 |
사명(司命) | 24번 별, 26번 별 |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신 | |
사록(司祿) | 25번 별 (페가수스자리 11번별 포함) | 봉록(俸祿, 관리의 급여)에 관한 일을 관장 | |
사위(司危) | (별 특정 안 됨) | 안위와 화복을 관장하는 천계의 관리 | |
곡(哭) | 38번 별 | 큰 소리로 우는 것 | |
읍(泣) | ρ, θ | 소리 없이 슬퍼하며 우는 것 | |
천루성(天壘城) | ξ, 18번 별, 9번 별, 8번 별, ν, 14번 별, 17번 별, 19번 별 (염소자리의 5개 별 포함) | 하늘 군대의 요새 | |
위수(危宿) | 위(危) | α (페가수스자리 2개 별 포함) | 지붕 위 |
분묘(墳墓) | ζ, γ, η, π | 분묘 (무덤) | |
개옥(蓋屋) | ο, 32번 별 | 지붕이 있는 건물 | |
허량(虛梁) | 44번 별, 51번 별, κ, HD 216953 | 묘소 (무덤) | |
실수(室宿) | 루벽진(壘壁陣) | ι, σ, λ, φ (염소자리, 물고기자리 별 포함) | 성벽으로 둘러싸인 진지 |
우림군(羽林軍) | 29번 별, 35번 별, 41번 별, ..., χ, ω1, ω2 (총 40개 별) | 천제의 친위군 | |
부월(鈇鉞) | 103번 별, 106번 별, 108번 별 | 도끼와 월(鉞, 큰 도끼) |
이처럼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통 천문학에서 물병자리는 서양의 신화적 인물과는 다른 방식으로, 군대, 건축물, 감정, 사회적 역할 등 다양한 상징을 담은 별들의 집합으로 인식되었다.
3. 특징
물병자리는 영역 북단 부근을 천구 적도가 지나가기 때문에 지구상의 어디에서든 별자리의 일부를 볼 수 있다. 황도 12궁 중에서는 처녀자리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크며, 전체 88개 별자리 중에서는 10번째로 큰 별자리이다. 20시 남중 시기는 10월 하순경이며, 페가수스자리의 가을의 사각형과 남쪽물고기자리의 포말하우트 중간 부근에서 찾을 수 있다. 21세기 현재 인접한 물고기자리에 위치한 춘분점은 지구의 세차 운동 영향으로 서기 2597년경 물병자리 영역으로 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고대 그리스의 시인 에라토스테네스의 『카타스테리스모이』와 로마 시대의 작가 히기누스의 『천문시』에 따르면, 물병을 든 인물은 제우스에게 발탁되어 납치된 미소년 가니메데이며, 신들에게 불멸의 술 넥타르를 따르는 모습이라고 한다.
히기누스는 물병자리의 모델에 대한 다른 두 가지 설도 전한다. 첫 번째는 기원전 3세기에서 2세기경 알렉산드리아의 역사학자 헤게시아낙스가 전한 설로, 프로메테우스의 아들이자 프티아의 왕인 데우칼리온이라는 것이다. 데우칼리온은 제우스가 일으킨 대홍수 때 아버지 프로메테우스의 경고로 방주를 만들어 살아남은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이 설에서 물병자리 물병에서 쏟아지는 물은 대홍수를 상징한다고 여겨진다.
두 번째 설은 기원전 4세기 후반 메시나 출신 철학자 에우헤메로스가 전한 것으로, 아테네의 초대 왕 케크롭스를 기념한 것이라는 설이다. 이 설에 따르면, 케크롭스가 들고 있는 물병에서 나오는 물은 인류에게 와인이 전해지기 전에 신들에게 물을 제물로 바쳤던 사실과 케크롭스가 와인이 전해지기 전부터 통치했음을 나타낸다고 한다.
또한, 기원전 1세기에서 1세기경 활동한 로마 제국의 군인 게르마니쿠스가 아라토스의 『파이노메나』를 라틴어로 번역한 책에 후대에 덧붙여진 주석(Scholia)에는 이 별자리의 모델을 아리스타이오스로 보는 전승이 기록되어 있다. 아리스타이오스는 아폴론과 퀴레네의 아들로, 새벽녘 시리우스가 떠오를 무렵의 극심한 더위를 완화하기 위해 에테지안 바람을 부르는 의식을 거행한 공적으로 별자리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라틴어 학명 'Aquarius'에 해당하는 일본의 학술 용어로서의 별자리 이름은 '미즈가메'(みずがめ)로 정해져 있다. 현대 중국에서는 '보핑좌'(宝瓶座)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초인 1874년(메이지 7년) 문부성에서 출판된 세키토 나리오의 천문서 『성학첩경』에서 '아카류스'(アカリュス)라는 읽기와 '보병궁'(寶瓶宮), '수병'(水瓶)이라는 해설이 소개되었다. 5년 후인 1879년(메이지 12년)에는 노먼 로키어의 저서 『Elements of Astronomy』를 번역한 『락시천문학』에서 '보병'(寶瓶)으로 소개되었다. 메이지 후기에는 '보병'(寶瓶)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으나, 1910년(메이지 43년)에 '수병'(水瓶)으로 개정된 사실이 일본천문학회 회보 『천문월보』 제2권 11호에 실린 "별자리 이름"이라는 기사에서 보고되었다. 이때 한자 읽기는 특별히 정해지지 않았다. 1925년(다이쇼 14년) 도쿄 천문대 편집으로 초판이 간행된 『이과연표』에서는 '수병(미즈카메)'(水瓶(みづかめ))로 표기하여 '병'(瓶)을 청음으로 읽었다. 이후 1944년(쇼와 19년) 천문학 용어 재검토 시 '수병(미즈가메)'(水瓶(みづがめ))로 '병'(瓶)의 읽기가 탁음으로 개정되었다. 전후에도 계속 '수병(미즈가메)'이 사용되었으나, 1952년(쇼와 27년) 7월 일본천문학회가 "별자리 이름은 히라가나 또는 가타카나로 표기한다"고 정하면서 Aquarius의 일본어 이름은 '미즈가메'(みずがめ)로 확정되었고, 이후 계속 사용되고 있다.
3. 1. 주요 별
물병자리는 황도대에서 두드러진 위치와 큰 크기에도 불구하고 특별히 밝은 별이 없으며, 가장 밝은 별 4개의 밝기가 2.8등급보다 어둡다. (겉보기 등급은 숫자가 작을수록 밝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물병자리 내에는 행성계를 가진 별이 여러 개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물병자리 감마(γ), 제타(ζ), 에타(η), 파이(π) 별들은 물병에서 물이 흘러나오는 입구 부분을 형성하며, 이 Y자 모양의 별 그룹은 워터 자(Water Jar)라는 성군(asterism)으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노지리 호게이가 이를 미츠야 사이다 상표에 비유하여 미츠야(ミツヤ)라고도 부른다.
=== 외계 행성계 및 특이한 별 ===
물병자리에는 여러 외계 행성계가 발견되었다.
다음은 국제천문연맹(IAU)의 NameExoWorlds 캠페인을 통해 고유 이름이 부여된 외계 행성계이다.
항성 | 행성 | 명명 국가 | 항성 이름 | 행성 이름 | 항성 정보 (겉보기 등급, 분광형) | 거리 (광년) |
---|---|---|---|---|---|---|
HD 206610 | HD 206610 b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Bosona | Naron | 8.35, K0III 거성 | 약 482ly |
HD 212771 | HD 212771 b | 홍콩 | Lionrock | Victoriapeak | 7.60, G8IV 준거성 | 약 364ly |
WASP-6 | WASP-6 b | 도미니카 공화국 | Márohu | Boinayel | 11.91, G8V 주계열성 | 약 651ly |
HATS-72 | HATS-72 b | 튀니지 | Zembra | Zembretta | 12.47 | 약 416ly |
WASP-69 | WASP-69 b | 카메룬 | Wouri | Makombé | 9.87 | 약 164ly |
이 외에도 주목할 만한 별들이 있다.
- R 물병자리: 적색거성과 백색왜성으로 이루어진 공생성이다. 지구에서 약 1045ly 떨어져 있다. 적색거성은 미라형 변광성으로 약 390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며, 전체 시스템은 백색왜성 주변의 강착원반과 가스 구름의 영향으로 5.2 등급에서 12.4 등급까지 크게 변광한다. 이 가스 구름은 과거 신성 폭발의 잔해로 추정되며, 930년 일본에서 관측된 객성 기록이 이 별의 폭발과 관련있을 수 있다는 설이 있다.
- Z 물병자리: 반규칙 변광성(SRa형)의 원형 별로, 약 136.6일 주기로 7.4 등급에서 10.2 등급 사이에서 밝기가 변한다. 지구에서 약 3450ly 떨어져 있다.
- EZ 물병자리(글리제 866): 3개의 적색왜성으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다. 지구에서 약 11.1ly 거리에 있다. 고래자리 UV 변광성(섬광성) 및 용자리 BY 변광성의 특징을 보인다. 약 32,300년 후에는 태양에 약 8.2ly까지 접근할 것으로 예측된다.
3. 2. 어두운 천체 (Deep Sky Objects)





은하 평면에서 벗어난 위치 때문에 물병자리의 심원 천체는 대부분 은하, 구상 성단, 행성상 성운이다. 물병자리에는 메시에 천체 목록에 있는 세 개의 심원 천체가 있다.
- '''M2 (NGC 7089)''': 태양계로부터 약 37,000 광년 (또는 약 39,000 광년) 떨어진 풍부한 구상 성단이다. 겉보기 등급은 6.5등급으로 작은 구경의 장비로도 관측할 수 있지만, 개별 별을 분해하려면 100mm 구경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1746년 9월 11일 이탈리아 천문학자 장 도미니크 마랄디가 발견했고, 샤를 메시에는 1760년 9월 11일에 "별이 없는 성운"으로 기록하며 재발견했다. 직경은 약 175 광년이며, 15만 개 이상의 별들이 속해 있다. 중심부 집중도가 매우 높으며(집중도 II 분류), 성단 질량의 절반이 중심부 직경 약 10 광년 영역에 밀집해 있다. 2018년 연구에 따르면, M2는 약 80억~100억 년 전 은하수와 충돌·융합한 왜소 은하의 흔적인 '가이아 소시지' (Gaia Sausage영어)의 일부일 가능성이 높다.
- '''M72 (NGC 6981)''': 태양계로부터 약 56,000 광년 (또는 약 38,800 광년) 거리에 있는 9등급의 작은 구상 성단이다. 1780년 8월 29일~30일 사이에 프랑스 천문학자 피에르 메샹이 발견했다.
- '''M73 (NGC 6994)''': 10등성 BD-13 5809, 11등성 HD 358033, 12등성 TYC 5778-594-1, BD-13 5808의 4개의 별로 이루어진 성군(Asterism)이다. 1780년 10월 4일 샤를 메시에가 발견했으며, M72에서 동쪽으로 약 1.5도 떨어져 보인다. 과거에는 산개 성단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현대 분석 결과 물리적으로 연관되지 않은 별들이 우연히 같은 방향에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15] 가이아 계획 데이터에 따르면 각 별들의 거리는 BD-13 5809가 약 2,290 광년, HD 358033이 약 1,249 광년, TYC 5778-594-1이 약 2,170 광년, BD-13 5808이 약 1,030 광년으로, 서로 100 광년 이상 떨어져 있다.
물병자리에는 잘 알려진 행성상 성운들도 있다.
- '''NGC 7009 (토성 성운)''': μ 물병자리의 남동쪽에 위치하며, 태양계로부터 약 3,000 광년 (또는 약 4,500 광년) 떨어진 8등급 행성상 성운이다. 1782년 9월 7일 영국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발견했다. 19세기 천문학자 로스 경 윌리엄 파슨스가 망원경으로 관측했을 때 토성과 닮았다고 하여 '토성 성운'(Saturn Nebula영어)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양쪽에 희미하게 튀어나온 구조가 토성의 고리처럼 보인다. 망원경으로는 청록색으로 보이며 중심별의 등급은 11.3등급이다. 콜드웰 목록 55번 천체이기도 하다.
- '''NGC 7293 (나선 성운, 헬릭스 성운)''': δ 물병자리의 남서쪽에 위치하며, 태양계로부터 약 650 광년 (또는 약 522 광년) 떨어진, 가장 가까운 행성상 성운 중 하나이다. 1824년 이전에 독일 천문학자 카를 하딩이 발견한 것으로 추정된다. 겉보기 크기가 0.25 제곱도 (시직경 16분으로 달의 절반 크기)로 매우 크지만, 표면 밝기가 낮아 희미하게 보인다. 전체 밝기인 적분 등급은 6.0등급으로 비교적 밝다. 사진으로 보면 나선 모양처럼 보여 '나선 성운'(Helix Nebula영어)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신의 눈동자'(The Eye of God) 또는 '사우론의 눈'(The Eye of Sauron)으로도 불린다. 콜드웰 목록 63번 천체이다.
이 외에도 물병자리에는 여러 외부 은하가 있다.
- '''NGC 7727''': 초신성 탐색 대상으로 아마추어 천문가들에게 흥미로운 나선 은하 (S형)이다. 적분 등급은 10.7등급이며, 겉보기 크기는 3x3 분각이다.
- '''NGC 7252''': 두 거대 은하가 충돌하여 형성된 특이 은하로, 별들의 복잡한 구조가 만화 속 원자 모양과 비슷하여 '평화를 위한 원자 은하'(Atoms-for-Peace Galaxy영어)로 알려져 있다.
- 기타 은하: NGC 7723, NGC 7721, NGC 7606, NGC 7377, NGC 7184 등이 있다.
3. 3. 유성우
물병자리에는 복사점을 두는 여러 유성우가 있다. 국제천문연맹(IAU) 유성 데이터 센터(IAU Meteor Data Center)에서 확정한 유성우(Established meteor showers)로는 물병자리 델타 남쪽 유성우(Southern delta Aquariids, SDA), 물병자리 델타 북쪽 유성우(Northern delta Aquariids, NDA), 물병자리 에타 유성우(eta Aquariids, ETA), 물병자리 이오타 북쪽 유성우(Northern iota Aquariids, NIA), 물병자리 카파 주간 유성우(Daytime kappa Aquariids, MKA) 등 5개가 있다.주요 유성우는 다음과 같다.
- '''물병자리 에타 유성우 (Eta Aquariids, ETA)'''
물병자리에서 복사하는 가장 강력한 유성우이다. 매년 5월 5일에서 6일 사이에 절정을 이루며, 이때 시간당 약 35개의 유성을 관측할 수 있다. 401년 중국 천문학자들이 처음 발견했으며, 4월 21일부터 5월 12일까지 나타난다. 이 유성우의 모체는 주기 혜성인 핼리 혜성이다. 화구는 절정 직후인 5월 9일에서 11일 사이에 흔히 나타나며, 일반적인 유성은 노란색 궤적을 보인다.
- '''물병자리 델타 유성우 (Delta Aquariids)'''
두 개의 복사점을 가진 유성우이다.
- 남쪽 복사점 (Southern Delta Aquariids, SDA): 7월 29일경에 절정을 이루며, 시간당 약 20개의 유성이 관측된다. 복사점은 물병자리의 남쪽에 위치한다.
- 북쪽 복사점 (Northern Delta Aquariids, NDA): 8월 6일경에 절정을 이루며, 시간당 약 10개의 유성이 관측된다. 복사점은 물고기자리 소성(asterism)의 북쪽 원 안에 위치한다.
- '''물병자리 이오타 유성우 (Iota Aquariids)'''
비교적 약한 유성우로, 북쪽 복사점(Northern Iota Aquariids, NIA)은 8월 6일경에 절정을 이루며 시간당 약 8개의 유성이 관측된다.
4. 현대 천문학에서의 연구
현대 천문학에서 물병자리는 중요한 연구 대상이자 역사적 의미를 지닌 별자리이다. 태양계의 여덟 번째 행성인 해왕성이 바로 이 물병자리 영역에서 발견되었다. 1846년 9월 23일과 9월 24일, 프랑스 천문학자 위르뱅 르 베리에의 계산 예측을 바탕으로 독일 베를린 천문대의 요한 고트프리트 갈레와 조수 하인리히 다레스트가 물병자리 ι별 근처, 염소자리와의 경계 부근에서 해왕성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1922년 5월,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국제천문연맹(IAU) 창립 총회에서는 현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88개의 별자리를 공식적으로 확정했는데, 물병자리도 이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이때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학명 '''Aquarius'''와 약칭 '''Aqr'''이 정해졌다.
물병자리는 황도 위에 위치한 황도 12궁 별자리 중 하나이며, 처녀자리 다음으로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전체 하늘에서는 10번째로 큰 별자리이다. 북쪽 경계 부근으로 천구 적도가 지나가기 때문에 지구 상의 거의 모든 지역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저녁 8시경 남중하는 시기는 10월 하순경이며, 밤하늘에서는 페가수스자리의 '가을의 대사각형'과 남쪽물고기자리의 밝은 별 포말하우트 사이에서 찾아볼 수 있다. 21세기 현재 춘분점은 인접한 물고기자리에 있지만, 지구 자전축의 세차 운동으로 인해 서기 2597년경에는 물병자리 영역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된다.
물병자리 영역에서는 많은 외계 행성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현대 천문학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
4. 1. 외계 행성 탐사
2013년 기준으로 물병자리에서는 12개의 외계 행성계가 발견되었다.지구에서 약 15ly 거리에 있는 글리제 876은 적색왜성 중 최초로 행성계를 가진 것으로 밝혀진 별이다. 4개의 행성이 이 별을 공전하며, 이 중에는 지구 질량의 6.6배인 지구형 행성이 하나 있다. 행성들의 공전 주기는 2일에서 124일까지 다양하다.
91 물병자리는 주황색 거성으로, 하나의 행성인 91 물병자리 b가 공전하고 있다. 이 행성의 질량은 목성의 2.9Mj이며 공전 주기는 182일이다.
글리제 849는 적색왜성으로, 처음으로 발견된 장주기 목성형 행성인 글리제 849 b가 공전하고 있다. 이 행성의 질량은 목성 질량의 0.99Mj이며 공전 주기는 1,852일이다.
이 외에도 물병자리에는 여러 행성계가 존재한다.
- WASP-6: 겉보기 등급 12.4의 G8형 별로, 지구에서 307pc 떨어져 있다. 질량은 0.888Msun, 반지름은 0.87Rsun이다. 2008년 통과법으로 발견된 외계 행성 WASP-6 b는 3.36일마다 0.042AU 거리에서 모항성을 공전한다. 질량은 0.503Mj이고 반지름은 1.224Rj이다.
- HD 206610: 지구에서 194pc 떨어진 K0형 별이다. 질량은 1.56Msun, 반지름은 6.1Rsun으로 태양보다 크다. 2010년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된 행성 HD 206610 b는 질량이 2.2Mj이며, 610일마다 1.68AU 거리에서 공전한다.
- WASP-47: 황색 왜성(G9V)으로, 태양과 크기가 비슷하다 (반지름 1.15Rsun, 질량 1.08Msun). 2011년 통과법으로 발견된 행성 WASP-47 b는 모항성에서 0.052AU 떨어진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4.15일마다 공전한다. 질량은 1.14Mj, 반지름은 1.15Rj이다.
- HD 210277: 지구에서 21.29pc 떨어진 겉보기 등급 6.63의 황색 별이다. 분광형을 제외하면 태양과 유사하며(반지름 1.1Rsun, 질량 1.09Msun), 1998년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된 행성 HD 210277 b가 있다. 이 행성은 목성 질량의 1.23Mj이며, 약 1.1AU 거리에서 442일 주기로 공전한다.
- HD 212771: 지구에서 131pc 떨어진 G8IV(황색 준거성)이다. 태양과 질량(1.15Msun)은 비슷하지만 반지름이 5Rsun으로 더 크다. 2010년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된 행성 HD 212771 b는 질량이 2.3Mj이며, 1.22AU 거리에서 공전한다.
2013년 기준으로 물병자리 내에는 글리제 876과 HD 215152 행성계, 단 두 개의 다중 행성계만 알려져 있었다. HD 215152는 지구에서 21.5pc 떨어진 K0형 별(겉보기 등급 8.13)로, 2011년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된 두 행성 HD 215152 b와 HD 215152 c를 가지고 있다. 두 행성 모두 모항성 가까이에서 공전하며, 질량은 각각 0.0087Mj과 0.0097Mj이다. HD 215152 c가 b보다 약간 더 무겁고 더 먼 궤도(0.0852AU 대 0.0652AU)를 돈다.
2017년 2월 23일, NASA는 물병자리의 초냉각 왜성 TRAPPIST-1 주변에서 지구와 유사한 암석 행성 7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13] 이 중 최대 4개는 행성계의 생물 서식 가능 구역 내에 위치하여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 발견은 지구 밖 생명체 탐색에 있어 중요한 단계로 여겨진다.
국제천문연맹(IAU)의 NameExoWorlds 캠페인을 통해 물병자리의 일부 외계 행성계에 고유한 이름이 부여되었다.
- HD 206610 행성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성 Bosona, 행성 Naron
- HD 212771 행성계 (홍콩): 주성 Lionrock, 행성 Victoriapeak
- WASP-6 행성계 (도미니카 공화국): 주성 Márohu, 행성 Boinayel
- HATS-72 행성계 (튀니지): 주성 Zembra, 행성 Zembretta
- WASP-69 행성계 (카메룬): 주성 Wouri, 행성 Makombé
4. 2. 기타 연구
물병자리에는 여러 주목할 만한 별과 천체가 있다. 주요 별들은 다음과 같다.- 사달멜리크(α Aqr, Sadalmelik): '왕의 행운'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하늘의 적도 부근에 있다.
- 사달수드(β Aqr, Sadalsuud): '최고의 행운'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 사다크비아(γ Aqr, Sadachbia): '비밀의 행운의 별'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 스카트(δ Aqr, Skat)
- 안카(θ Aqr, Ancha): 봉황자리의 안카(α Phe, Ankaa)와는 다른 별이다.
감마(γ), 제타(ζ), 에타(η), 파이(π) 별들은 물병에서 물이 흘러나오는 주둥이 부분을 형성한다.
물병자리에서는 주목할 만한 외계 행성계들이 발견되었다.
- 글리제 876은 적색왜성 주위에서 발견된 첫 외계 행성계이다. 이 행성계는 적어도 세 개의 행성을 포함하며, 그중 하나는 지구 질량의 6~8배 정도 되는 지구형 행성으로 추정된다.
- 물병자리 91 b는 오렌지색 거성인 물병자리 91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이다. 질량은 목성의 약 2.9배이며, 궤도 긴반지름은 약 0.3 AU이다.
- 글리제 849 b는 적색왜성 글리제 849 주위를 도는, 긴 공전 주기를 가진 목성형 행성이다. 궤도 긴반지름은 약 2.35 AU이고, 질량은 목성 질량의 약 0.82배이다.
별자리 영역의 북쪽 경계 부근을 천구 적도가 지나가므로, 지구상의 거의 모든 지역에서 물병자리의 일부 또는 전체를 관측할 수 있다. 물병자리는 황도 12궁 중 하나이며, 크기 면에서는 처녀자리 다음으로 두 번째로 넓은 영역을 차지한다. 전체 하늘의 88개 별자리 중에서는 10번째로 크다. 저녁 8시경에 남중하는 시기는 10월 하순경이다. 하늘에서는 페가수스자리의 '가을의 대사각형'과 남쪽물고기자리의 밝은 별 포말하우트 사이에서 찾을 수 있다. 21세기 현재 춘분점은 인접한 물고기자리에 위치하지만, 지구 자전축의 세차 운동 영향으로 인해 서기 2597년경에는 물병자리 영역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측된다.
5. 점성술
서양 점성술에서 물병자리는 1월 20일부터 2월 18일까지에 해당한다. 이는 천문학상의 실제 별자리 위치나 인도의 황도 12궁(2월 16일 ~ 3월 11일)과는 차이가 있다.
태양은 실제로는 2월 16일부터 3월 12일까지 물병자리 별자리를 통과한다. 하지만 열대 점성술에서는 태양이 1월 20일부터 2월 19일까지 물병자리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며, 항성 점성술에서는 2월 15일부터 3월 14일까지로 본다.
물병자리는 또한 물병 시대와 관련이 있는데, 이 개념은 1960년대 반문화 시기와 중세 시대 연금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물병 시대가 언제 시작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https://www.theosophical.org/publications/quest-magazine/4505 논쟁]이 있다.
참조
[1]
학술지
Aquarius, constellation boundary
https://www.iau.org/[...]
2016-04-30
[2]
학술지
Origins of the ancient constellations: I. The Mesopotamian traditions
1998-02-00
[3]
학술지
Origins of the ancient constellations: II. The Mediterranean traditions
http://articles.adsa[...]
1998-04-00
[4]
웹사이트
(Schol. ad Apollon. Rhod. iii. 115.)
https://www.theoi.co[...]
[5]
학술지
Chandra observations of coronal emission from the early G supergiants α and β Aquarii
2005-07-00
[6]
웹사이트
Sadalsuud (Beta Aquarii)
http://stars.astro.i[...]
University of Illinois
2016-10-11
[7]
학술지
Carbon abundance and the N/C ratio in atmospheres of A-, F- and G-type supergiants and bright giants
[8]
학술지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9]
학술지
Accurate fundamental parameters for A-, F- and G-type supergiants in the solar neighbourhood
[10]
웹사이트
Star Names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8-07-30
[11]
학술지
The ages of early-type stars: Strömgren photometric methods calibrated, validated, tested, and applied to hosts and prospective hosts of directly imaged exoplanets
[11]
star data catalog entry
Hipparcos 102395
https://vizier.cfa.h[...]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12]
학술지
Catalogue of apparent diameters and absolute radii of stars (CADARS) – third edition – comments and statistics
2001-02-00
[13]
웹사이트
NASA Telescope Reveals Largest Batch of Earth-Size, Habitable-Zone Planets Around Single Star
https://www.nasa.gov[...]
2017-02-23
[14]
보도자료
Galaxy-wide Echoes from the Past
http://www.eso.org/p[...]
2012-12-07
[15]
학술지
NGC 6994 – clearly not a physical stellar ensemble
https://www.aanda.or[...]
2002-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