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 산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 산란은 구형 나노입자에 의한 빛의 산란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맥스웰 방정식을 이용하여 해를 구한다. 입사 평면파와 산란장, 내부 필드를 벡터 구면 조화 함수로 전개하여 경계 조건을 통해 얻어진 계수를 통해 산란, 소멸, 흡수 계수를 계산한다. 산란 단면적의 파장 의존성은 입자 재료에 따라 달라지며, 작은 입자 또는 긴 파장에서는 전기 쌍극자 항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이론은 기상학, 암 진단, 의학, 메타물질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케르커 효과와 같은 특수한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미 산란 솔루션은 다양한 컴퓨터 언어로 구현되어 있으며, 구름의 흰색, 화성의 붉은 하늘과 같은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도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빛 - 형광
    형광은 물질이 빛을 흡수하여 여기 상태가 된 후 바닥 상태로 돌아오며 흡수한 에너지보다 낮은 에너지를 가진 빛을 방출하는 현상으로, 형광등, 형광염료 등에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 빛 - 광초
    광초는 빛이 1초 동안 진공에서 이동하는 거리로, 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 제한 요소 및 통신 지연 시간 계산에 활용되며, 천문학에서는 천체 간 거리 측정에 유용하고, 광분, 광시, 광일, 광주, 광년 등의 배수 단위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미 산란
개요
이름미 산란
로마자 표기Mi Sanran
설명구형 입자에 의한 전자기파 산란
관련 인물구스타프 미
상세 정보
특징입자 크기가 파장과 비슷할 때 발생
산란 패턴이 복잡하고 파장의 영향을 많이 받음
레일리 산란과는 다른 특징을 보임
활용 분야콜로이드 용액 연구
대기 에어로졸 연구
천문학
관련 현상무지개
이론적 배경
이론전자기학
광학
관련 이론레일리 산란
프라운호퍼 회절

2. 역사

미 산란 이론은 1908년 독일 물리학자 구스타프 미가 발표한 논문에서 유래한다.[4] 덴마크 물리학자 루드비히 로렌츠 등도 독립적으로 유전체 구에 의한 전자기 평면파 산란 이론을 개발했다.

구에 대한 산란 문제에 대한 미 해의 현대적인 공식은 줄리어스 아담스 스트라톤의 ''전자기 이론''과 같은 책에서 찾을 수 있다.[2] 이 공식에서, 입사 평면파뿐만 아니라 산란장도 방사 구면 벡터 구면 조화 함수로 확장된다. 내부 필드는 규칙적인 벡터 구면 조화 함수로 확장된다. 구면 경계 조건을 적용하여 산란된 필드의 확장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미 산란은 작은 입자에 대한 레일리 산란과 큰 입자에 대한 레일리-간스-데바이 산란(로레 로렐라이, 리처드 간스, 피터 데바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과 대조적이다.[5] 산란된 빛의 파장보다 훨씬 크거나 작은 입자의 경우, 간단하고 정확한 근사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크기가 파장의 몇 배 정도인 물체(예: 대기 중의 물방울, 페인트의 라텍스 입자, 우유를 포함한 에멀젼의 물방울, 생물학적 세포 및 세포 구성 요소)의 경우 더 자세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3]

3. 이론

평면파의 산란, 입사 방향은 ''z''축과 평행하고, 편광은 ''x''축과 평행하며, 나노입자의 반경은 ''a''이다.


자기 및 전기 벡터 구면 조화 함수의 각 부분. 빨간색과 녹색 화살표는 필드의 방향을 보여준다. 생성 스칼라 함수도 표시되며 처음 세 개의 차수(쌍극자, 사중극자, 팔극자)만 표시된다.


미 산란 이론은 구스타프 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4] 유전체 구에 의한 전자기 평면파 산란 이론을 다룬다.[4] 이 이론은 구형 물체의 내부와 외부의 전기장과 자기장을 계산하고, 빛이 얼마나 산란되는지 (총 광학 단면적) 또는 어디로 가는지 (형태 계수) 등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5]

미 산란은 맥스웰 방정식을 구면 좌표계에서 풀어 해를 구한다. 입사 평면파와 산란장을 벡터 구면 조화 함수로 전개하여 경계 조건을 적용한다.

구형 나노입자에 의한 산란은 입자 크기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다. ''x''축을 따라 편광된 ''z''축을 따라 전파되는 평면파에 의한 산란을 고려하면, 입자의 유전율과 자기 투자율은 \varepsilon_1\mu_1이고, 환경은 \varepsilon\mu이다.

산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구면 좌표에서 벡터 헬름홀츠 방정식의 해를 작성한다.[6] 헬름홀츠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nabla^{2} \mathbf{E} + {k}^{2} \mathbf{E} = 0, \quad

\nabla^{2} \mathbf{H} + {k}^{2} \mathbf{H} = 0.



헬름홀츠 방정식 외에도, 필드는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nabla \cdot \mathbf{E}=\nabla \cdot \mathbf{H}=0 \nabla \times \mathbf{E}=i \omega\mu \mathbf{H}, \nabla \times \mathbf{H}=-i \omega\varepsilon \mathbf{E}

벡터 구면 조화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mathbf{M}_{^e_o m n}=\nabla \times\left(\mathbf{r} \psi_{^e_o m n}\right)

— 자기 조화 함수 (TE),

:

\mathbf{N}_{^e_o m n}=\frac{\nabla \times \mathbf{M}_{^e_o m n}}

— 전기 조화 함수 (TM),

여기서

:

{\psi_{e m n} = \cos m \varphi P_{n}^{m}(\cos \vartheta) z_{n}({k} r),}



:

{\psi_{o m n} = \sin m \varphi P_{n}^{m}(\cos \vartheta) z_{n}({k} r),}



P_{n}^{m}(\cos \theta)는 연관 르장드르 다항식, z_{n}({k} r) 는 구면 베셀 함수이다.

입사 평면파는 벡터 구면 조화 함수로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begin{align}

\mathbf{E}_{\text{inc}} &= E_0e^{ikr\cos\theta}\mathbf{e}_x=E_{0}\sum_{n=1}^{\infty} i^n\frac{2n+1}{n(n+1)}\left( \mathbf{M}^{(1)}_{o1n}(k, \mathbf{r})-i \mathbf{N}_{e1n}^{(1)}(k, \mathbf{r})\right), \\

\mathbf{H}_{\text{inc}} &= \frac{-k}{\omega\mu}E_{0}\sum_{n=1}^{\infty} i^n\frac{2n+1}{n(n+1)}\left( \mathbf{M}^{(1)}_{e1n}(k, \mathbf{r})+i \mathbf{N}_{o1n}^{(1)}(k, \mathbf{r})\right).

\end{align}

여기서 위첨자 (1)은 함수 \psi_{^e_omn}의 반경 부분에서 제1종 구면 베셀 함수를 의미한다. 확장 계수는 적분을 통해 얻을 수 있는데, m\neq 1인 경우 모든 계수는 0이 된다.

다음으로, 구와 환경 사이의 경계 조건을 적용하고, 해가 원점에서 경계가 있다는 조건과 산란장이 무한대에서 발산하는 구면파에 해당한다는 조건을 적용한다.

산란장은 다음과 같이 벡터 조화 확장으로 나타낼 수 있다.

:

\mathbf{E}_{s}=\sum_{n=1}^{\infty} E_{n}\left(i a_{n} \mathbf{N}_{e 1n}^{(3)}(k, \mathbf{r})-b_{n} \mathbf{M}_{o 1 n}^{(3)}(k, \mathbf{r})\right),



:

\mathbf{H}_{s}=\frac{k}{\omega\mu}\sum_{n=1}^{\infty} E_{n}\left(a_{n} \mathbf{M}_{e 1n}^{(3)}(k, \mathbf{r})+ib_{n} \mathbf{N}_{o 1 n}^{(3)}(k, \mathbf{r})\right).



여기서 위첨자 (3)은 함수 \psi_{^e_omn}의 반경 부분에 제1종 구면 행켈 함수가 있음을 의미하고, E_n= \frac{i^n E_0 (2n+1)}{n (n+1)}이다.

내부 필드는 다음과 같다.

:

\mathbf{E}_{1}=\sum_{n=1}^{\infty} E_{n}\left(-i d_{n} \mathbf{N}_{e 1n}^{(1)}(k_1, \mathbf{r})+c_{n} \mathbf{M}_{o 1 n}^{(1)}(k_1, \mathbf{r})\right),



:

\mathbf{H}_{1}=\frac{-k_1}{\omega\mu_1}\sum_{n=1}^{\infty} E_{n}\left(d_{n} \mathbf{M}_{e 1n}^{(1)}(k_1, \mathbf{r})+ic_{n} \mathbf{N}_{o 1 n}^{(1)}(k_1, \mathbf{r})\right).



k = \frac{\omega}{c}n은 입자 외부의 파수, k_1 = \frac {\omega}{c}{n_1}은 입자 재료의 매질에서의 파수, nn_1은 매질과 입자의 굴절률이다.

경계 조건을 적용하면 계수에 대한 표현식을 얻을 수 있다.

:

c_n(\omega) = \frac {\mu_1\left[ \rho h_n(\rho)\right]'j_n(\rho) - \mu_1\left[ \rho j_n(\rho)\right]'h_n(\rho)}{\mu_1\left[ \rho h_n(\rho)\right]'j_n(\rho_1) - \mu\left[ \rho_1 j_n(\rho_1)\right]'h_n(\rho)},



:

d_n(\omega) = \frac {\mu_1n_1n\left[ \rho h_n(\rho)\right]'j_n(\rho) - \mu_1n_1n\left[ \rho j_n(\rho)\right]'h_n(\rho)}{\mu n_1^2\left[ \rho h_n(\rho)\right]'j_n(\rho_1) - \mu_1 n^2\left[ \rho_1 j_n(\rho_1)\right]'h_n(\rho)},



:

b_n(\omega) = \frac {\mu_1\left[ \rho j_n(\rho)\right]'j_n(\rho_1) - \mu\left[ \rho_1 j_n(\rho_1)\right]'j_n(\rho)}{\mu_1\left[ \rho h_n(\rho)\right]'j_n(\rho_1) - \mu\left[ \rho_1 j_n(\rho_1)\right]'h_n(\rho)},



:

a_n(\omega) = \frac {\mu n_1^2\left[ \rho j_n(\rho)\right]'j_n(\rho_1) - \mu_1 n^2\left[ \rho_1 j_n(\rho_1)\right]'j_n(\rho)}{\mu n_1^2\left[ \rho h_n(\rho)\right]'j_n(\rho_1) - \mu_1 n^2\left[ \rho_1 j_n(\rho_1)\right]'h_n(\rho)},



여기서 \rho=ka,, \rho_1=k_1a 이고 a는 구의 반경, j_nh_n은 각각 베셀과 행켈의 구면 함수이다.

소멸 Q_e, 산란 Q_s, 흡수 Q_a에 대한 효율 계수는 각 과정의 단면적 \sigma_i와 입자 보호 면적의 비율로 표현된다.[7][8]

: Q_i = \frac{\sigma_i}{\pi a^2} (여기서 ''a''는 입자 반경)

소멸의 정의에 따라,

: \sigma_e = \sigma_s + \sigma_a 이고 Q_e = Q_s + Q_a 이다.

산란 및 소멸 계수는 무한 급수로 나타낼 수 있다.

:Q_s = \frac{2}{k^2a^2}\sum_{n=1}^\infty (2n + 1)\left(|a_{n}|^2 + |b_{n}|^2\right)

:Q_e = \frac{2}{k^2a^2}\sum_{n=1}^\infty (2n + 1)\Re(a_{n} + b_{n})

위 합에서 ''n''으로 색인된 기여는 다중극 전개의 차수에 해당하며, n=1은 쌍극자 항, n=2는 사중극자 항 등이다.

미 계수가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며 분모가 0에 가까울 때 최대값을 갖는데, 이때 특정 고조파의 기여가 산란에서 지배적일 수 있다. 이를 다중극 공명이라고 하며, 0이 되는 경우를 아나폴이라고 할 수 있다.

산란 단면적의 파장에 대한 의존성과 특정 공명의 기여는 입자 재료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반경이 100 nm인 금 입자는 광학 범위에서 산란에 대한 전기 쌍극자의 기여가 우세하지만, 실리콘 입자는 뚜렷한 자기 쌍극자 및 사중극자 공명이 있다. 금속 입자의 경우 산란 단면적에서 보이는 피크를 국소화된 플라즈몬 공명이라고 한다.

작은 입자 또는 긴 파장의 극한에서는 전기 쌍극자 기여가 산란 단면적에서 지배적이다.

4. 수학적 전개

벡터 구면 조화 함수를 이용하여 미 산란 문제를 수학적으로 전개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구면 좌표계에서 벡터 헬름홀츠 방정식의 해를 구한다. 헬름홀츠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nabla^{2} \mathbf{E} + {k}^{2} \mathbf{E} = 0, \quad

\nabla^{2} \mathbf{H} + {k}^{2} \mathbf{H} = 0.



이 방정식의 해는 벡터 구면 조화 함수 \mathbf{M}_{^e_o m n}\mathbf{N}_{^e_o m n}으로 표현된다. 이 함수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6]

:

\mathbf{M}_{^e_o m n}=\nabla \times\left(\mathbf{r} \psi_{^e_o m n}\right)

(자기 조화 함수, TE)

:

\mathbf{N}_{^e_o m n}=\frac{\nabla \times \mathbf{M}_{^e_o m n}}

(전기 조화 함수, TM)

여기서 \psi_{^e_o m n}은 스칼라 함수이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psi_{e m n} = \cos m \varphi P_{n}^{m}(\cos \vartheta) z_{n}({k} r),}



:

{\psi_{o m n} = \sin m \varphi P_{n}^{m}(\cos \vartheta) z_{n}({k} r),}



P_{n}^{m}(\cos \theta)는 연관 르장드르 다항식이고, z_{n}({k} r) 는 구면 베셀 함수이다.

입사 평면파는 다음과 같이 벡터 구면 조화 함수로 전개할 수 있다.[6]

:\begin{align}

\mathbf{E}_{\text{inc}} &= E_0e^{ikr\cos\theta}\mathbf{e}_x=E_{0}\sum_{n=1}^{\infty} i^n\frac{2n+1}{n(n+1)}\left( \mathbf{M}^{(1)}_{o1n}(k, \mathbf{r})-i \mathbf{N}_{e1n}^{(1)}(k, \mathbf{r})\right), \\

\mathbf{H}_{\text{inc}} &= \frac{-k}{\omega\mu}E_{0}\sum_{n=1}^{\infty} i^n\frac{2n+1}{n(n+1)}\left( \mathbf{M}^{(1)}_{e1n}(k, \mathbf{r})+i \mathbf{N}_{o1n}^{(1)}(k, \mathbf{r})\right).

\end{align}

산란파와 내부 필드 역시 벡터 구면 조화 함수로 전개된다. 산란파는 다음과 같다.

:

\mathbf{E}_{s}=\sum_{n=1}^{\infty} E_{n}\left(i a_{n} \mathbf{N}_{e 1n}^{(3)}(k, \mathbf{r})-b_{n} \mathbf{M}_{o 1 n}^{(3)}(k, \mathbf{r})\right),



:

\mathbf{H}_{s}=\frac{k}{\omega\mu}\sum_{n=1}^{\infty} E_{n}\left(a_{n} \mathbf{M}_{e 1n}^{(3)}(k, \mathbf{r})+ib_{n} \mathbf{N}_{o 1 n}^{(3)}(k, \mathbf{r})\right).



내부 필드는 다음과 같다.

:

\mathbf{E}_{1}=\sum_{n=1}^{\infty} E_{n}\left(-i d_{n} \mathbf{N}_{e 1n}^{(1)}(k_1, \mathbf{r})+c_{n} \mathbf{M}_{o 1 n}^{(1)}(k_1, \mathbf{r})\right),



:

\mathbf{H}_{1}=\frac{-k_1}{\omega\mu_1}\sum_{n=1}^{\infty} E_{n}\left(d_{n} \mathbf{M}_{e 1n}^{(1)}(k_1, \mathbf{r})+ic_{n} \mathbf{N}_{o 1 n}^{(1)}(k_1, \mathbf{r})\right).



여기서 k = \frac{\omega}{c}n은 입자 외부의 파수, k_1 = \frac {\omega}{c}{n_1}은 입자 재료의 매질에서의 파수, nn_1은 매질과 입자의 굴절률이다.

경계 조건 (인터페이스 조건)을 적용하면 미 계수(Mie coefficients) a_n, b_n, c_n, d_n을 계산할 수 있다.[6]

:

c_n(\omega) = \frac {\mu_1\left[ \rho h_n(\rho)\right]'j_n(\rho) - \mu_1\left[ \rho j_n(\rho)\right]'h_n(\rho)}{\mu_1\left[ \rho h_n(\rho)\right]'j_n(\rho_1) - \mu\left[ \rho_1 j_n(\rho_1)\right]'h_n(\rho),



:

d_n(\omega) = \frac {\mu_1n_1n\left[ \rho h_n(\rho)\right]'j_n(\rho) - \mu_1n_1n\left[ \rho j_n(\rho)\right]'h_n(\rho)}{\mu n_1^2\left[ \rho h_n(\rho)\right]'j_n(\rho_1) - \mu_1 n^2\left[ \rho_1 j_n(\rho_1)\right]'h_n(\rho)},



:

b_n(\omega) = \frac {\mu_1\left[ \rho j_n(\rho)\right]'j_n(\rho_1) - \mu\left[ \rho_1 j_n(\rho_1)\right]'j_n(\rho)}{\mu_1\left[ \rho h_n(\rho)\right]'j_n(\rho_1) - \mu\left[ \rho_1 j_n(\rho_1)\right]'h_n(\rho)},



:

a_n(\omega) = \frac {\mu n_1^2\left[ \rho j_n(\rho)\right]'j_n(\rho_1) - \mu_1 n^2\left[ \rho_1 j_n(\rho_1)\right]'j_n(\rho)}{\mu n_1^2\left[ \rho h_n(\rho)\right]'j_n(\rho_1) - \mu_1 n^2\left[ \rho_1 j_n(\rho_1)\right]'h_n(\rho)},



여기서 \rho=ka, \rho_1=k_1a이며, a는 구의 반경, j_nh_n은 각각 베셀과 행켈의 구면 함수이다.

미 계수를 이용하여 산란 단면적, 소멸 단면적 등을 계산할 수 있다.[7][8]

:Q_s = \frac{2}{k^2a^2}\sum_{n=1}^\infty (2n + 1)\left(|a_{n}|^2 + |b_{n}|^2\right)

:Q_e = \frac{2}{k^2a^2}\sum_{n=1}^\infty (2n + 1)\Re(a_{n} + b_{n})

5. 응용 분야

미 산란 이론은 다양한 과학 및 기술 분야에 응용된다.


  • 대기 과학: 구름, 안개, 에어로졸 등에 의한 빛의 산란 현상을 분석하고, 미세먼지 농도 측정 등에 활용된다. 특히 한국에서는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개발에 미 산란 이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구름이 하얗게 보이는 이유도 구름 입자가 가시광선 파장에 대해 미 산란을 일으켜 모든 파장의 빛을 거의 동일하게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화성의 하늘이 붉거나 푸르게 보이는 현상도 화성 대기의 먼지에 의한 미 산란으로 설명할 수 있다[45][46].
  • 암 진단 및 스크리닝: 각도 분해 저간섭성 간섭법을 이용하여 조직의 산란 특성을 분석하고, 암세포와 정상 세포를 구별하는 데 활용된다.
  • 임상 검사: 혼탁도 측정법을 이용한 혈액 단백질 분석에 미 산란 이론이 사용된다.
  • 자기 입자 연구: 자기 구체의 특이한 전자기 산란 효과를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 메타물질 설계: 음의 굴절률 등 특이한 광학적 성질을 갖는 메타물질 설계에 미 산란 이론이 사용된다.
  • 입자 크기 측정: 레이저 회절 분석을 통해 입자 크기를 측정하는 데 미 산란 이론이 사용된다.[30] 1990년대 이후부터 미 산란 이론이 널리 사용되었으며, ISO 13320:2009 가이드라인에서는 50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입자에 대해 공식적으로 권장한다.[31]
  • 기생충학: 말라리아 원충과 같은 기생충의 구조 연구에 활용된다.[37]
  • 안테나: 유전체 입자의 미 산란 공진 현상을 활용하여 지향성 안테나를 제작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전체 내에서의 파장 변화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소형화할 수 있어, 높은 지향성과 소형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 입자의 공진 미 산란을 이용하여 야기-우다 안테나를 형성하고, 이를 나노 스케일의 광학 소자로 활용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5. 1. 케르커 효과 (Kerker effect)

케르커, 왕, 그리고 길스의 연구에서[11], 투자율(\mu)이 1이 아닌 입자에 의한 산란 방향이 조사되었다. 특히, 유전율(\varepsilon)과 투자율이 같은 가상 입자의 경우 후방 산란이 완전히 억제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굴절률이 같은 평면 표면에서의 반사에 대한 길스와 와일드의 결과에 대한 확대로 볼 수 있으며, 여기서 반사와 투과는 일정하고 입사각에 관계없이 일정하다.[12]

또한, 전방 및 후방 방향에서의 산란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미 계수로 간단히 표현된다:[13][14]

산란 방향산란 단면적 공식
후방 산란C_{\text{sca}}^\text{backward} = \frac{1}{a^2 k^2}\left>\sum_{n=1}^\infty {(2n + 1)}(-1)^n(a_n - b_n)\right|^2
전방 산란C_{\text{sca}}^\text{forward} = \frac{1}{a^2 k^2}\left>\sum_{n=1}^\infty {(2n + 1)}(a_n + b_n)\right|^2



계수의 특정 조합에 대해 위 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1인 항을 무시할 수 있을 때 (쌍극자 근사), (a_1 - b_1) = 0 은 후방 산란의 최소값에 해당한다(자기 및 전기 쌍극자의 크기가 같고 위상이 동일하며, 이를 '제1 케르커' 또는 '후방 강도 제로 조건'이라고도 한다[15]). 그리고 (a_1 + b_1) = 0은 전방 산란의 최소값에 해당하며, 이를 '제2 케르커 조건' (또는 '전방 강도 근처 제로 조건')이라고도 한다. 광학 정리를 통해, 수동적인 입자의 경우 (a_1=-b_1)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졌다.[16] 문제의 정확한 해를 구하려면 모든 다중극의 기여를 고려해야 한다. 전기 및 자기 쌍극자의 합은 호이겐스 원천을 형성한다.[17]

유전체 입자의 경우, 최대 전방 산란은 자기 쌍극자 공명 파장보다 긴 파장에서 관찰되고, 최대 후방 산란은 더 짧은 파장에서 관찰된다.[18]

이후, 다른 종류의 케르커 효과도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전방 및 후방 산란장 모두 거의 완전하게 동시에 억제되는 가로 케르커 효과 (측면 산란 패턴),[19] 광기계적 케르커 효과,[20] 음향 산란,[21] 그리고 식물에서도 발견되었다.[22]

6. 관련 코드


  • 구에 의한 전자기 산란 코드 — 단일 구, 코팅된 구, 다층 구 및 구 클러스터에 대한 솔루션이다.[1]
  • 실린더에 의한 전자기 산란 코드 — 단일 실린더, 다층 실린더 및 실린더 클러스터에 대한 솔루션이다.[1]
  • T-행렬 방법 — 맥스웰 방정식의 해에 대한 급수 근사에 의존하며, 더 일반적으로 모양이 지정된 입자를 처리할 수 있다.[1]

7. 미 산란과 관련된 자연 현상

구름이 하얗게 보이는 것은 구름을 이루는 구름 입자의 크기가 수 μm ~ 수십 μm로, 태양광의 가시광선 파장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미 산란이 발생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모든 파장이 거의 동일하게 산란된다.[45][46]

지구에서는 지구 대기의 공기 분자에 의한 레일리 산란으로 인해 하늘이 파랗게 보이지만, 화성에서는 화성 대기에 공기 분자가 적어 먼지에 의한 미 산란이 우세하다. 화성의 낮 하늘은 붉고, 저녁 노을은 푸른색인데, 이는 화성의 먼지 입자 크기에서 가시광선 영역 중 붉은색과 같은 긴 파장이 더 강하게 산란되기 때문이다. 낮에는 산란된 붉은색 빛이 하늘을 붉게 물들이고, 저녁에는 붉은색 빛이 과도하게 산란되어 줄어들면서 푸른색 빛이 보이게 된다.[45][46]

참조

[1] 웹사이트 Light Scattering Theory http://plaza.ufl.edu[...] 2009-07
[2] 서적 Electromagnetic Theory McGraw-Hill
[3] 서적 Absorption and scattering of light by small particles Wiley-Interscience
[4] 간행물 Beiträge zur Optik trüber Medien, speziell kolloidaler Metallösungen
[5] 서적 Light scattering by small particl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6] 서적 Absorption and scattering of light by small particles Wiley-Interscience
[7] 서적 A-to-Z Guide to Thermodynamics, Heat and Mass Transfer, and Fluids Engineering Begel House 2019-01-28
[8] 간행물 Measurement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Based on Mie Scattering Theory and Markov Chain Inversion Algorithm https://pdfs.semanti[...] 2012-10
[9] 문서 Scattering and absorption cross sections of compounded spheres. I. Theory for external aggregation
[10] 문서 Second-harmonic generation in Mie-resonant dielectric nanoparticles made of noncentrosymmetric materials
[11] 간행물 Electromagnetic scattering by magnetic spheres http://clgiles.ist.p[...]
[12] 문서 Fresnel Reflection and Transmission at a Planar Boundary from Media of Equal Refractive Indices
[13] 문서 Light Scattering by a Dielectric Sphere: Perspectives on the Mie Resonances
[14] 문서 Generalized Kerker effects in nanophotonics and meta-optics [Invited]
[15] 문서 Magnetic and Electric Coherence in Forward- and Back-Scattered Electromagnetic Waves by a Single Dielectric Subwavelength Sphere https://doi.org/10.1[...] 2012-11-06
[16] 문서 Minimalist Mie coefficient model https://doi.org/10.1[...]
[17] 문서 Global Mie Scattering
[18] 문서 Directional visible light scattering by silicon nanoparticles
[19] 문서 Transverse Scattering and Generalized Kerker Effects in All-Dielectric Mie-Resonant Metaoptics https://doi.org/10.1[...] 2019-05-17
[20] 문서 Optomechanical Kerker Effect https://doi.org/10.1[...] 2019-01-15
[21] 문서 Far-Field and near-Field Directionality in Acoustic Scattering https://doi.org/10.1[...] 2020-08
[22] 문서 Biological Kerker Effect Boosts Light Collection Efficiency in Plants https://doi.org/10.1[...] 2019-10-09
[23] 문서 Electromagnetic dyadic green’s function in spherically multilayered media 1994-12
[24] 문서 Dyadic Green’s Functions in Electromagnetic Theory lntext Educational
[25] 문서 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From Simple Sources in the Presence of a Homogeneous Dielectric Sphere
[26] 간행물 Electromagnetic scattering by magnetic spheres http://clgiles.ist.p[...]
[27] 간행물 A double negative (DNG) composite medium composed of magnetodielectric spherical particles embedded in a matrix
[28] 간행물 Mie resonance-based dielectric metamaterials
[29] 간행물 Traveling waves on three-dimensional periodic arrays of two different magnetodielectric spheres arbitrarily arranged on a simple tetragonal lattice
[30] 간행물 Investigating the extrinsic size effect of palladium and gold spherical nanoparticles 2017
[31] 웹사이트 ISO 13320:2009 - Particle size analysis -- Laser diffraction methods http://www.iso.org/i[...] 2015-11-02
[32] 간행물 Rapid in situ determination of total oil concentration in water using ultraviolet fluorescence and light scattering coupled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s
[33] 간행물 Measurements on Concentrated Oil in Water Emulsions Using Static Light Scattering
[34] 간행물 Sonoluminescence and bubble dynamics for a single, stable, cavitation bubble https://ora.ox.ac.uk[...]
[35] 간행물 Mie scattering from a sonoluminescing air bubble in water 1995-05
[36] 논문 Mie scattering from a sonoluminescing bubble with high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2000-05
[37] 논문 Interpretation of the ultraviolet-visible spectra of malaria parasite Plasmodium falciparum
[38] 논문 Light scattering by a sphere on a substrate 1986-07-01
[39] 웹사이트 SCATMECH: class Bobbert_Vlieger_BRDF_Model https://pages.nist.g[...] 2017-01-03
[40] 서적 Multipoles and Fields of the Ellipsoid MISiS Publisher 2015
[41] 논문 Scattering theory interference theorems in vector problems of low-frequency diffraction http://mi.mathnet.ru[...] 1978
[42] 논문 Low frequency scattering of a plane wave by an acoustically soft ellipsoid https://link.springe[...] 1978
[43] 논문 On the incidence of aerial and electric waves upon small obstacles in the form of ellipsoids or elliptic cylinders, and on the passage of electric waves through a circular aperture in a conducting screen https://zenodo.org/r[...] 1897
[44] 웹사이트 火星の青い夕焼け、キュリオシティーが撮影 https://www.afpbb.co[...] 2015-05-14
[45] 간행물 光の百科事典
[46] 웹사이트 火星の夕焼けはなぜ「青い」のか? 光の散乱と大気の美しい関係 (3/4) https://nazology.net[...] 2022-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