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태평양 해병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태평양 해병대는 미국 해병대의 구성군 사령부 중 하나로, 1944년 태평양 함대 해병군 본부로 창설되었다.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의 관할 구역 내에서 병력 지원, 계획, 제공을 담당하며, 대한민국 방어 및 일본 방어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1992년 해병대 태평양 사령부(MARFORPAC)로 정식 창설되었으며, 제1 해병 원정군과 제3 해병 원정군을 주요 구성 부대로 두고 있다. 역대 사령관으로는 행크 스택폴, 찰스 크룰락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해병대의 사령부 - 해병대 전투개발사령부
해병대 전투개발사령부는 미국 해병대의 전투력 향상을 위해 교리, 전략, 훈련 등을 연구 및 개발하는 사령부로, 상륙 작전 개념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 다양한 부서와 예하 기관을 통해 전투 역량 강화 연구 및 해병대 훈련과 교육을 총괄한다. - 미국 해병대의 사령부 - 미국 해병대 특수작전사령부
미국 해병대 특수작전사령부(MARSOC)는 2006년 창설되어 직접 행동, 특수 정찰, 대테러 등 다양한 특수작전 임무를 수행하는 미국 해병대의 특수작전 부대를 지휘하는 사령부이다. - 하와이주의 부대 - 미국 태평양 육군
미국 태평양 육군은 미국 육군의 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사령부로, 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강대국 부상과 함께 시작되어 주요 전쟁에서 활동했으며 현재는 하와이에 본부를 두고 인도적 지원, 재해 구호, 국토 방위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 하와이주의 부대 - 제516통신여단
제516통신여단은 미국 육군 소속의 통신 여단으로, 1992년 재창설되어 태평양 전선,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통신 지원 임무를 수행해 왔다. - 1944년 설립 - 영국 태평양 함대
영국 태평양 함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전선에서 활동한 영국 해군의 함대로, 1944년에 창설되어 1948년에 해산되었으며, 미국 해군의 지휘를 받아 팔렘방 정유소 공격, 오키나와 전투 지원, 일본 본토 공격 등의 작전을 수행하고 일본 항복 문서 조인식에 참여했다. - 1944년 설립 - 골든 글로브상
골든 글로브상은 할리우드 외신기자협회가 설립되어 시작된 영화 및 텔레비전 시상식으로, 다양한 작품과 배우들에게 상을 수여하며 세계적으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지만, 논란과 보이콧을 겪은 후 재단으로 재편되어 현재는 영화와 텔레비전 각 부문에서 다양한 상을 시상하고 전 세계에 방송된다.
미국 태평양 해병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창설일 | 1992년 7월 31일 |
규모 | 해병대 및 해군 84,000명 |
본부 | 캠프 H. M. 스미스 |
모토 | 어떤 기후와 장소에서도! |
색상 | 해병대 색상 |
지휘부 | |
사령관 | 제임스 F. 글린 중장 |
부사령관 | 다니엘 L. 쉽리 소장 |
주임원사 | 에릭 D. 쿡 주임원사 |
조직 | |
상위 부대 |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
2. 역사
1992년 태평양 사령부의 구성군으로 창설된 해병대 태평양 사령부(MARFORPAC)는 해병대 대서양 사령부와 함께 해병대 구성군 사령부 중 단 두 곳 중 하나였다. 1990년대 동안 MARFORPAC는 해병대 전투 부대의 3분의 2를 지휘했으며, 총 8만 명 이상의 해병대를 거느리고 태평양 사령부뿐만 아니라 중앙 사령부와 주한 미군에도 병력을 제공하는 책임을 맡았다. 이에 따라 MARFORPAC 사령관은 1990년대부터 2005년 완전히 분리된 사령부가 될 때까지 해병대 중앙 사령부(MARCENT)의 사령관을 겸임했다. 2002년 당시 해병대 태평양 사령관 얼 B. 헤일스턴은 중동 작전을 감독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하와이에서 페르시아만 아랍 국가로 이동하기도 했다. 테러와의 전쟁 동안 MARCENT의 확대로 인해 중앙 사령부 산하의 독립된 사령부가 되었으며, MARCENT가 관할 구역에서 제외된 후에도 MARFORPAC는 해병대에서 가장 큰 야전 사령부로 남아 있다.[1][2]
2. 1. 창설 배경
1944년 홀랜드 M. 스미스 해병대 대장이 태평양 함대해병군의 본부를 창설하였다. 태평양 해병대의 본부는 하와이의 캠프 캐틀린에서 운영되었다. 1950년에 영구적인 본부를 설치할 터를 찾기 시작하여, 1955년에 아이에 헤이츠 해군병원(Aiea Heights Naval Hospital영어)으로 옮겼다.[1]미국 해병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태평양 지역에 부대를 주둔시켜 왔지만, 해병대 태평양 사령부(MARFORPAC)는 1992년 7월 31일에야 태평양 사령부의 구성군으로 창설되었다. 해병대 태평양 사령관은 1944년부터 존재했던 직책인 태평양 해병대 부대 사령관을 겸임한다. 태평양 해병대 부대의 초대 사령관인 홀랜드 스미스 장군은 1944년 여름, 50만 명이 넘는 해병대를 지휘하기 위해 본부를 설치하여 태평양 전선에서 미국 태평양 함대에 배속시켰다.[1]
2. 2. 발전 과정
1944년 홀랜드 M. 스미스 해병대 대장이 태평양 함대해병군의 본부로서 창설하였다. 태평양 해병대의 본부는 하와이의 캠프 캐틀린에서 운영되었다. 1950년에 영구적인 본부를 설치할 터를 찾기 시작하여, 1955년에 아이에 헤이츠 해군병원(Aiea Heights Naval Hospital영어)으로 옮겼다.[1]1992년 태평양 해병대는 근무구성본부로 지정되었고, 사령관은 여전히 태평양 함대해병군의 역할을 유지하였다.
2005년 8월부터 미국 중부사령부의 책임지역에서의 작전 횟수가 늘면서 태평양 해병대의 대응에서 벗어나 미국 해병대 중부사령부로 독립하여 개별 본부가 설립되었다.
미국 해병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태평양 지역에 부대를 주둔시켜 왔지만, 해병대 태평양 사령부(MARFORPAC)는 1992년 7월 31일에야 태평양 사령부의 구성군으로 창설되었다.[1] 해병대 태평양 사령관은 1944년부터 존재했던 직책인 태평양 해병대 부대 사령관을 겸임한다. 태평양 해병대 부대의 초대 사령관인 홀랜드 스미스 장군은 1944년 여름, 50만 명이 넘는 해병대를 지휘하기 위해 본부를 설치하여 태평양 전선에서 미국 태평양 함대에 배속시켰다.
1992년 창설 이후 MARFORPAC는 해병대 대서양 사령부와 함께 해병대 구성군 사령부 중 단 두 곳 중 하나였다. 1990년대 동안 MARFORPAC는 해병대 전투 부대의 3분의 2를 지휘했으며, 총 8만 명 이상의 해병대를 거느리고 있었고, 태평양 사령부뿐만 아니라 중앙 사령부와 주한 미군에도 병력을 제공하는 책임을 맡았다. 이에 따라 MARFORPAC 사령관은 1990년대부터 2005년 완전히 분리된 사령부가 될 때까지 해병대 중앙 사령부 (MARCENT)의 사령관을 겸임했다. 2002년 당시 해병대 태평양 사령관 얼 B. 헤일스턴은 중동 작전을 감독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하와이에서 페르시아만 아랍 국가로 이동했다. 테러와의 전쟁 동안 MARCENT의 확대로 인해 중앙 사령부 산하의 독립된 사령부가 되었다. MARCENT가 관할 구역에서 제외된 후에도 MARFORPAC는 해병대에서 가장 큰 야전 사령부로 남아 있다.[1][2] 대한민국의 해병대를 위한 하위 사령부 (해병대 한국 사령부 또는 MARFORK)도 1995년에 창설되어 MARFORPAC와 주한 미군에 보고했다.[3]
2. 3. 대한민국과의 관계
미국 해병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부터 태평양 지역에 부대를 주둔시켜 왔다. 1990년대 동안 해병대 전투 부대의 3분의 2를 지휘했으며, 총 8만 명 이상의 해병대를 거느리고 태평양 사령부뿐만 아니라 중앙 사령부와 주한 미군에도 병력을 제공하는 책임을 맡았다. 대한민국의 해병대를 위한 하위 사령부 (해병대 한국 사령부 또는 MARFORK)도 1995년에 창설되어 해병대 태평양 사령부와 주한 미군에 보고했다.[3]3. 임무
미국 태평양 해병대는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의 해병대 구성 부대로서, 태평양 지역에서 활동하는 해병대 부대를 관할한다. 여기에는 일본, 대한민국, 동남아시아 등 미국이 중대한 관심을 갖는 지역이 있으며, 이 지역에서 발생한 사태에 대한 초동 병력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태평양 측 반구를 책임 범위로 하여, 미국 중앙 사령부의 해병대 부대에 병력을 제공하는 것도 임무로 하고 있어, 병력 제공자로서의 면모도 강하다.[4] 제1 해병 원정군은 제3 함대, 제3 해병 원정군은 제7 함대와 협동하여 활동한다.
3. 1. 주요 임무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관할 구역에 할당된 군 구성 요소인 태평양 해병대는 INDOPACOM AOR 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지역에서 병력 지원, 계획 및 제공을 담당하며, 상시 책임 또는 지정된 작전에 대한 집행 기관으로 지정될 수 있다. MARFORPAC의 오랜 임무에는 지역 협력 및 역량 구축 노력을 지원하는 파트너 역량 구축, 대한민국 방어(산하 사령부인 MARFORK를 통해) 및 일본 방어가 포함된다.[4] 태평양 해병대는 또한 이라크 자유 작전과 항구적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전투 부대를 제공했다.[2]미국 해병대에서 태평양 해병대는 해병대 총군(MarForCom) 및 해병대 예비역 집단(MarForRes)과 함께 작전 부대(MarFor)의 3개 사령부 중 하나이다. 실전 부대로 제1 해병 원정군과 제3 해병 원정군의 2개 해병 원정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3개의 주요 사령부 중에서 최대의 전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태평양 해병대 사령관은 태평양 함대 해병 군(FMFPac) 및 태평양 해병대 기지 부대(MCBPac), 주한 해병대(MarForK)의 사령관을 겸임하고 있다.
4. 구성 부대
해병대 태평양 사령부는 제1 해병 원정군(I MEF)과 제3 해병 원정군(III MEF)으로 구성된다. 2019년 사령관의 계획 지침에 따르면 제1 해병 원정군은 미국 제3함대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예정이며, 제3 해병 원정군은 미국 제7함대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5] 대한민국에 주둔한 미 해병대는 해병대 태평양 사령부에 소속된 자체 하위 사령부인 해병대사령부 한국을 두고 있으며, 전투 부대는 배속되어 있지 않다.[3]
4. 1. 현재
해병대 태평양 사령부는 제1해병원정군(I MEF)과 제3해병원정군(III MEF)으로 구성된다. 2019년 사령관의 계획 지침에 따르면 제1 해병 원정군은 미국 제3함대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예정이며, 제3 해병 원정군은 미국 제7함대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5] 대한민국에 주둔한 미 해병대는 해병대 태평양 사령부에 소속된 자체 하위 사령부인 해병대사령부 한국을 두고 있으며, 전투 부대는 배속되어 있지 않다.[3]
- 제1해병원정군
- 지상전 부대 구성 요소 - 제1해병사단
- 항공전 부대 구성 요소 - 제3해병항공단
- 병참전 부대 구성 요소 - 제1 해병 병참군
- 지휘 부대 구성 요소 - 제1 해병 원정군 사령부대
- 제1 해병 원정군 사령부 막료
- 제1 정보 대대
- 제9 통신 대대
- 제1 무선 대대
- 제1 해상 항공 사격 연락 중대
- 제1 해병 원정 여단
- 제11 해병 원정대
- 제13 해병 원정대
- 제15 해병 원정대
- 제3해병원정군
- 지상전 부대 구성 요소 - 제3해병사단
- 항공전 부대 구성 요소 - 제1해병항공단
- 병참전 부대 구성 요소 - 제3 해병 병참군
- 지휘 부대 구성 요소 - 제3 해병 원정군 사령부대
- 제3 해병 원정군 사령부 막료
- 제3 정보 대대
- 제7 통신 대대
- 제3 무선 대대
- 제5 해상 항공 사격 연락 중대
- 제3 해병 원정 여단
- 제31해병 원정대
4. 2. 과거 (1944년 설립 당시)
홀랜드 스미스 장군은 1944년 여름, 태평양 전선에서 미국 태평양 함대에 배속된 50만 명이 넘는 해병대를 지휘하기 위해 본부를 설치하였다.[1] 당시 해병사단(MARDIV)과 해병항공단(MAW)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해병사단(MARDIV) | 해병항공단(MAW) |
---|---|
5. 주요 작전
미국 태평양 해병대는 관할 구역에 할당된 군 구성 요소로서, 필요에 따라 해당 지역 또는 다른 지역에서 병력 지원, 계획 및 제공을 담당하며, 상시 책임 또는 지정된 작전에 대한 집행 기관으로 지정될 수 있다. 이라크 자유 작전과 항구적 자유 작전 지원을 위해 전투 부대를 제공하기도 했다.[2]
태평양 해병대는 지역 협력 및 역량 구축 노력을 지원하는 파트너 역량 구축, 대한민국 방어(MARFORK를 통해) 및 일본 방어 등의 임무를 오랫동안 수행해 왔다.[4]
5. 1. 전투 작전
태평양 해병대는 관할 구역에 할당된 군 구성 요소로서, 필요에 따라 해당 지역 또는 다른 지역에서 병력 지원, 계획 및 제공을 담당하며, 상시 책임 또는 지정된 작전에 대한 집행 기관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이라크 자유 작전과 항구적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전투 부대를 제공했다.[2]태평양 해병대의 주요 전투 작전은 다음과 같다.
작전명 | 기간 | 지역 | 비고 |
---|---|---|---|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 1944년 6월 ~ 1945년 8월 | 태평양 | |
6.25 전쟁 | 1950년 6월 ~ 1953년 7월 | 한반도 | |
베트남 전쟁 | 1965년 3월 ~ 1975년 4월 | 베트남 | |
걸프 전쟁 | 1990년 8월 ~ 1991년 4월 | 서남아시아 | |
이라크 자유 작전 | 2003년 ~ 2010년 | 이라크 | |
항구적 자유 작전 | 2001년 ~ 2021년 | 아프가니스탄 |
태평양 해병대의 오랜 임무에는 지역 협력 및 역량 구축 노력을 지원하는 파트너 역량 구축, 대한민국 방어(MARFORK를 통해) 및 일본 방어가 포함된다.[4]
5. 2. 비전투/구호 작전
태평양 해병대는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관할 구역 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지역에서 병력 지원, 계획 및 제공을 담당하며, 상시 책임 또는 지정된 작전에 대한 집행 기관으로 지정될 수 있다. 다음은 태평양 해병대가 참여한 주요 비전투/구호 작전 목록이다.[4]작전명 | 국가 | 내용 |
---|---|---|
통합원조 작전 | 인도네시아 | |
제1차 바다 천사 작전 (Operation Sea Angel영어) | 방글라데시 | |
배려하는 반응 작전 (Operation Caring Response영어) | 미얀마 | |
도모다치 작전 | 일본 | |
제2차 바다 천사 작전 (Operation Sea Angel II영어) | 방글라데시 | |
다마얀 작전 (Operation Damayan영어) | 필리핀 | |
사하요기 하트 작전 (Operation Sahayogi Haat영어) | 네팔 |
6. 역대 사령관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U.S. MARINE CORPS FORCES, PACIFIC
https://www.marforpa[...]
U.S Marines
2023-09-28
[2]
웹사이트
US Marine Corps Forces Pacific
https://www.globalse[...]
2023-09-28
[3]
웹사이트
About – History
https://www.marfork.[...]
U.S. Marine Corps Forces Korea
2023-09-28
[4]
웹사이트
What is MARFORPAC?
https://www.marforpa[...]
U.S. Marine Corps Forces Pacific
2023-09-29
[5]
웹사이트
Commandant's Planning Guidance
https://www.marines.[...]
U.S. Marines
2023-09-29
[6]
간행물
Stackpole assumes command
https://www.dvidshub[...]
Hawaii Marine
1992-07-09
[7]
웹사이트
Lieutenant General H.C. Stackpole III
https://www.usmcu.ed[...]
2023-09-29
[8]
간행물
LtGen. Krulak assumes command of MarForPac
https://www.dvidshub[...]
Hawaii Marine
1994-07-28
[9]
간행물
Okinawa receives LtGen. Howell, Jr
https://www.dvidshub[...]
Hawaii Marine
1995-11-16
[10]
간행물
Evening parade Honors Assistant Commandant bids Aloha to Commander Marine Forces Pacific
https://www.dvidshub[...]
Hawaii Marine
1995-06-15
[11]
간행물
Change of command
https://www.dvidshub[...]
Hawaii Marine
1998-05-07
[12]
웹사이트
Lt. General Frank Libutti, USMC (Ret.)
https://www.flagoffi[...]
2023-09-29
[13]
간행물
MarForPac changes command
https://www.dvidshub[...]
Hawaii Marine
2001-08-16
[14]
간행물
Force leadership change
https://www.dvidshub[...]
Hawaii Marine
2003-08-01
[15]
뉴스
Bush taps Gregson for top Pacific Marine slot
https://www.stripes.[...]
Stars and Stripes
2003-05-16
[16]
웹사이트
Goodman relinquishes command of MARFORPAC
https://www.marines.[...]
U.S. Marines
2008-08-22
[17]
뉴스
Robling tapped to lead Marine forces in Pacific
https://www.stripes.[...]
Stars and Stripes
2012-04-18
[18]
웹사이트
USMC Lt. Gen. Thiessen Retirement/MARFORPAC COC
https://www.dvidshub[...]
2012-08-07
[19]
웹사이트
MARFORPAC bids farewell to Robling, welcomes Toolan
https://www.dvidshub[...]
2014-08-15
[20]
웹사이트
MARINE CORPS BASE KANEOHE BAY, Hawaii - Sgt. Maj. Paul G. McKenna, the sergeant major of U.S. Marine Corps Forces, Pacific, marches with the colors during a change of command ceremony at Marine Corps Base Hawaii, Aug. 26, 2016. During the ceremony, Lt. Gen. John A. Toolan relinquished command of MARFORPAC to Lt. Gen. David H. Berger.
https://www.pacom.mi[...]
2016-08-26
[21]
웹사이트
Lt. Gen. Lewis Craparotta Relieves Lt. Gen. David Berger As MARFORPAC Commander
https://news.usni.or[...]
2018-08-10
[22]
웹사이트
U.S Marine Corps Forces, Pacific Change of Command
https://www.dvidshub[...]
U.S. Marine Corps Forces, Pacific
2022-09-07
[23]
웹사이트
Webcast: MARFORPAC Change of Command Ceremony
https://www.dvidshub[...]
2024-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