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제3해병원정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제3해병원정군은 미국 해병대의 원정군으로, 1942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등 여러 작전에 참전했다. 1988년 오키나와에 재배치되었으며, 현재는 지상전 부대, 항공전 부대, 병참전 부대, 지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3해병원정군은 신속한 배치, 유연성, 자급자족 능력을 갖춘 전투 부대를 제공하며, 인도적 지원 및 재난 구호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사령관은 중장이 맡으며, 현재 로저 B. 터너 중장이 사령관으로 재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오키나와 미군의 부대 - 류큐사령부
    류큐사령부는 1946년 오키나와섬과 이에섬 사령부를 통합하여 창설된 미국 육군 부대로, 류큐 열도 미국군정부 및 미국민정부 역할을 수행하다가 1972년 류큐 열도가 일본에 반환되면서 해산되었다.
  • 주오키나와 미군의 부대 - 제3해병사단 (미국)
    제3해병사단은 1942년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주요 전쟁에 참전한 미국 해병대의 사단으로, 현재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외교 활동 지원, 전투 훈련, 인도주의적 지원 임무를 수행하며 오키나와에 주둔하고 전력 보충을 위해 UDP를 실시한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24군단 (미국)
    제24군단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1944년 창설되어 레이테 전투와 오키나와 전투에 참전하고 일본 항복 후 한반도에서 군정 임무를 수행했으며, 1968년 베트남 전쟁 당시 재창설되어 남베트남 북부 지역에서 작전을 지휘하다 1972년 해산하였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2베트남야전부대
    제2베트남야전부대는 베트남 전쟁 중인 1966년에 창설되어 남베트남 사이공 주변 11개 성을 관할하며 다양한 미군 부대와 동맹군을 통제하다가 1971년 미군 철수와 함께 해체되었다.
  • 미국 해병대의 군단 - 제5상륙군단
    제5상륙군단은 1943년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타라와, 사이판, 이오지마 전투 등에서 활약했으며, 1946년 해체된 미국 해병대 군단이다.
  • 미국 해병대의 군단 - 제2해병원정군
    제2해병원정군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캠프 르쥔에 본부를 둔 미국 해병대의 해병 원정군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규모의 해병 항공-지상 합동 부대를 구성하여 운용되며, 여러 작전에 참여하여 다양한 훈장을 수여받았다.
제3해병원정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제3해병기동군 휘장
제3해병기동군 휘장
소속미국 해병대
종류해병 공지 기동대
역할전방 배치된 원정군
규모약 27,000명
상위 부대미국 태평양 해병대
주둔지일본 오키나와현 오키나와 캠프 코트니
별칭해당 없음
표어전방, 충실, 집중 (Forward, Faithful, Focused)
군가"Fight Now" - Michael Andrew Newell 작곡
역사
창설1942년 10월 1일 ~ 1946년 6월 10일
1965년 5월 7일 ~ 현재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카트휠 작전
스테일메이트 2 작전
포레저 작전
아이스버그 작전
벨레거 작전
베트남 전쟁
후에 전투
걸프 전쟁
사막 방패 작전
사막 폭풍 작전
프로바이드 컴포트 작전
씨 엔젤 작전
파이어리 비질 작전
리 스토어 호프 작전
테러와의 전쟁
엔듀어링 프리덤 작전
이라크 전쟁
이라크 자유 작전
통합 지원 작전
도모다치 작전
다마얀 작전
지휘관
현재 사령관로저 B. 터너 해병대 중장
주요 지휘관알렉산더 밴더그리프트
윌리엄 R. 콜린스
허먼 니커슨 주니어
돈 J. 로버트슨
루이스 W. 월트
로버트 E. 쿠시먼 주니어
칼 W. 호프만

2. 역사

제3해병원정군의 전신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10월 1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캠프 엘리엇에서 창설된 '''I Marine Amphibious Corps|제1해병상륙군단영어'''(I MAC)이다.[16] 창설 직후 남태평양누메아 (누벨칼레도니)로 배치되었다.

1944년 4월 15일, 부대 명칭은 '''III Amphibious Corps|제3상륙군단영어'''(III AC)으로 변경되었으며,[1][16]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 제국을 상대로 여러 주요 전투에 참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중화민국 톈진에 주둔하며 북중국 점령 임무를 수행하다가 1946년 6월 10일 해체되었다.[1]

베트남 전쟁 당시 다낭에 위치했던 제3해병상륙군(III MAF) 사령부


이후 베트남 전쟁이 발발하자 1965년 5월 6일 베트남 공화국 다낭에서 재창설되었고, 다음 날인 5월 7일 '''III Marine Amphibious Force|제3해병상륙군영어'''(III MAF)으로 재지정되었다. III MAF는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북부 제1군단 작전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1971년 4월, III MAF는 일본 오키나와현의 캠프 코트니로 재배치되었다. 1988년 2월 5일, 부대 명칭이 현재의 '''III Marine Expeditionary Force|제3해병원정군영어'''(III MEF)으로 변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 10월 1일, 태평양 전쟁 수행을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의 캠프 엘리엇에서 '''I Marine Amphibious Corps|제1해병상륙군단영어'''(I MAC)으로 창설되었다.[16] 창설 직후 남태평양의 누메아 (누벨칼레도니)로 배치되어 활동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제3해병사단, 제37보병사단, 뉴질랜드 제3사단 예하 여단 등을 지휘하는 다국적 수륙양용부대로서 기능했다.

1943년 10월 8일, 군단장 찰리 D. 배럿 소장이 누벨칼레도니의 개인 집무실 발코니에서 추락하여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같은 해 11월 1일부터는 솔로몬 제도 전역의 일부인 부겐빌 전역에 참전하여 일본 제국군과 격전을 벌였으며, 이 전역은 1945년 7월 21일까지 이어졌다.

1944년 4월 15일, 부대 명칭이 '''III Amphibious Corps|제3상륙군단영어'''(III AC)으로 변경되었다.[1][16] 제3상륙군단은 이후 마리아나·팔라우 제도 전역(사이판 전투 포함), 화산 열도 및 류큐 열도 전역(이오지마 전투, 오키나와 전투 포함) 등 태평양 전쟁의 주요 격전지에 투입되어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1]

1945년 9월, 일본 제국의 항복 이후 제3상륙군단은 중화민국 톈진으로 이동하여 중국 북부 지역 점령 임무를 수행했다. 임무 완료 후 1946년 6월 10일에 해체되었다.[1]

2. 2. 베트남 전쟁

1965년 5월 6일, 베트남 전쟁이 격화됨에 따라 베트남 공화국 다낭에서 윌리엄 R. 콜린스(William R. Collins) 소장의 지휘 아래 재창설되었다. 다음 날인 1965년 5월 7일, 부대 명칭은 '''제3해병상륙군'''(III Marine Amphibious Force|III MAF영어)으로 재지정되었다. 제3해병상륙군은 제1해병사단, 제3해병사단, 제1해병항공단으로 구성되었다.

제3해병상륙군의 주요 작전 지역은 북부의 제1군단 작전 지역이었다. 1965년 5월부터 1971년 4월까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꽝찌, 트어티엔, 꽝남, 꽝틴, 꽝응아이 등지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1971년 4월, 제3해병상륙군은 일본 오키나와현의 캠프 코트니로 철수하여 재배치되었다.

2. 3. 1980년대 이후 현재

1988년 2월 1일 오키나와현으로 재배치되었고, 같은 해 2월 5일 제3해병상륙군(III MAF)에서 현재의 명칭인 제3해병원정군(III MEF)으로 재지정되었다. 재지정 이후 III MEF는 다양한 군사 작전과 인도적 지원 활동에 참여했다.

주요 군사 작전 참여 기록은 다음과 같다.

  • 1990년: 걸프 전쟁의 사막 방패 작전에 약 8,000여 명의 병력이 참전했다.
  • 1990년 9월 ~ 1991년 4월: 사막의 방패 작전, 사막의 폭풍 작전 (서남아시아, 이라크)
  • 1991년 5월 ~ 6월: 컴포트 제공 작전 (서남아시아, 이라크)
  • 1991년 6월: 타오르는 경계 작전 (필리핀)
  • 1992년 12월 ~ 1994년 3월: 희망 회복 작전, 희망 지속 작전 (소말리아)
  • 2000년대 이후: 이라크 전쟁의 이라크 자유 작전과 테러와의 전쟁항구적 자유 작전에 참여하여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III MEF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인도적 지원과 재난 구호(HA/DR) 활동이다. 주요 활동 내역은 다음과 같다.

  • 1991년 5월 ~ 6월: 바다의 천사 작전 (방글라데시)
  • 2004년 12월 ~ 2005년 2월: 통합 지원 작전 (동남아시아 쓰나미 재해 대응)
  • 2005년 10월 ~ 2006년 3월: 2005년 카슈미르 지진 대응
  • 2006년 3월 ~ 4월: 필리핀 산사태 대응
  • 2006년 5월 ~ 6월: 2006년 욕야카르타 지진 대응
  • 2007년 3월: 필리핀 레가즈피, 알바이 태풍 복구 지원
  • 2007년 4월: 2007년 솔로몬 제도 지진 및 쓰나미 대응
  • 2007년 11월 ~ 12월: 바다의 천사 2 작전 (방글라데시)
  • 2008년 5월 ~ 6월: 배려하는 대응 작전 (미얀마)
  • 2009년 8월: 대만 태풍 구호
  • 2009년 10월: 필리핀 태풍 및 인도네시아 지진 구호
  • 2010년 10월: 필리핀 태풍 구호
  • 2011년 5월: 토모다치 작전 (동일본 대지진 구호)
  • 2011년 10월 ~ 11월: 태국 홍수 구호
  • 2012년 12월: 필리핀 태풍 구호
  • 2013년 11월: 필리핀 태풍 구호


2012년 3월 말, III MEF는 도태 예정인 CH-46E 시나이트 헬리콥터를 미국 본토로 수송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대한민국 해병대에 증여하겠다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17]

3. 구조

제3해병원정군은 신속하게 배치 가능하고 유연하며 자급자족하는 전투 부대를 제공하기 위해 해병대 공지 기동 부대(MAGTF)로 편성된다. 해병대는 공중, 지상 및 병참 부대를 결합하여 일관성 있고 자급자족하는 부대로 작전을 수행한다. 각 임무는 MAGTF의 규모와 구조를 결정하여 해병대에 모든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해병원정군은 모든 MAGTF 중 가장 크다.

캠프 코트니에 사령부를 둔 제3해병원정군은 미국 외부에 사령부를 둔 유일한 해병 원정군이며,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예하 태평양 해병대에 소속되어 있다. 해병대 부대 중 유일하게 해외에 전방 배치된 것은 아시아에서 중동에 이르는 지역에서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분쟁 지역에 신속하게 전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세보 기지에 주둔하는 제7함대 상륙함 부대와 오키나와에 전개하는 이 원정군이 연계하여 긴급 전개 부대로서의 신속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제3해병원정군 사령관은 태평양 해병대 기지 부대(MCBPac)의 분견대인 주일 미 해병대 기지 부대(Marine Corps Bases Japan|MCBJeng) 사령관, 그리고 오키나와에 주둔하는 모든 미군의 대표자인 재오키나와 미 4군 조정관(Okinawa Area Coordinator|OACeng)을 겸임한다.

3. 1. 지휘부


  • '''사령관''': 로저 B. 터너 중장[15]
  • '''부사령관''': 소장 클라이그 Q. 팀버레이크
  • '''참모장''': 대령 대니얼 하스
  • '''주임원사''': 스티븐 D. 모어필드


'''역대 사령관'''

번호사령관임기참고
초상화이름 (계급)취임일퇴임일
---로렌스 D. 니콜슨 (중장)2015년 9월 11일2018년 8월 2일[11]
---에릭 M. 스미스 (중장)2018년 8월 2일2019년 5월 31일[12]
---H. 스테이시 클라디 (중장)2019년 5월 31일2021년 11월 9일[13]
---제임스 W. 비어만 주니어 (중장)2021년 11월 9일2024년 1월 26일[14]
---로저 B. 터너 (중장)2024년 1월 26일현재[15]


3. 2. 부대 구성

제3해병원정군 2024년 3월 조직도


제3해병원정군은 제1해병원정군과 함께 태평양 해병대를 구성하며, 지휘하는 병력 규모는 다른 원정군에 비해 작은 편이다. 주력인 제3해병사단은 순환 배치되는 부대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오키나와에 상주하는 부대는 적다.

주요 구성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지상 전투 요소: 제3해병사단
  • 항공 전투 요소: 제1해병항공단
  • 군수 전투 요소: 제3해병군수단
  • 지휘 요소: 제3해병원정군 정보단 [5]
  • III MEF 지원 대대[6]
  • 제3정보대대
  • 제3무선대대
  • 제7통신대대
  • 제5항공해군포병연락대대 (ANGLICO)
  • 제3해병원정여단
  • 제31해병원정대

4. 한반도 안보 역할

제3해병원정군은 미국 외부에 사령부를 둔 유일한 해병 원정군이며,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예하 미국 태평양 해병대에 소속되어 있다. 해병대 부대 중 유일하게 해외에 전방 배치된 것은 아시아에서 중동에 이르는 지역에서 분쟁이 발생했을 경우, 분쟁 지역에 신속하게 전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본 사세보 기지에 주둔하는 제7함대 상륙함 부대와 오키나와에 전개하는 이 원정군이 일체가 되어 행동함으로써, 긴급 전개 부대로서 가장 중요한 신속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제3해병원정군 사령관은 태평양 해병대 기지 부대(MCBPac)의 분견대인 주일 미 해병대 기지 부대(Marine Corps Bases Japan|MCBJeng) 사령관, 또한 오키나와에 주둔하는 모든 미군의 대표자인 재오키나와 미 4군 조정관(Okinawa Area Coordinator|OACeng)을 겸임한다.

5. 주요 주둔 시설

제3해병원정군은 주로 일본대한민국에 주요 시설을 두고 주둔하고 있다. 일본 내에서는 오키나와혼슈 지역에, 대한민국에서는 캠프 무적 등에 시설이 위치한다. 각 지역별 상세한 주둔 시설 및 부대 정보는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5. 1. 일본 오키나와

일본 오키나와에는 제3해병원정군의 주요 시설과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주요 기지로는 캠프 스메들리 D. 버틀러 해병대 기지와 후텐마 해병대 비행장 등이 있다.

제3해병원정군은 미국 외부에 사령부를 둔 유일한 해병 원정군으로,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예하 미국 태평양 해병대에 소속되어 있다. 해병대 부대 중 유일하게 해외에 전방 배치된 것은 아시아에서 중동에 이르는 지역에서 분쟁 발생 시 신속하게 전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나가사키현 사세보 기지에 주둔하는 미국 제7함대 상륙함 부대와 오키나와의 제3해병원정군은 긴밀히 연계하여 작전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신속성을 확보하고 있다.

오키나와에 주둔하는 주요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명약칭
제3해병원정군 지휘부III MEF CE
제3해병원정군 본부단III MHG
제3해병원정군 본부 및 지원 중대III MEF HQSVC
제3해병원정여단3rd MEB
제3해병사단3rd MarDiv
제1해병 항공단1st MAW
제3해병군수단3rd MLG
제31해병원정대31st MEU



또한, 제3해병원정군 사령관은 태평양 해병대 기지 부대(MCBPac)의 분견대인 주일 미 해병대 기지 부대(Marine Corps Bases Japan|주일 미 해병대 기지 부대eng, MCBJ) 사령관과 오키나와에 주둔하는 모든 미군의 대표자인 재오키나와 미 4군 조정관(Okinawa Area Coordinator|재오키나와 미 4군 조정관eng, OAC)을 겸임한다.

5. 2. 일본 혼슈


  • 후지 기지
  • 이와쿠니 해병대 항공기지
  • 제12해병항공단
  • 제36전투근무지원중대

5. 3. 대한민국

캠프 무적

6. 역대 사령관

초상화계급성명취임일퇴임일비고
--중장로렌스 D. 니콜슨2015년 9월 11일2018년 8월 2일[11]
--중장에릭 M. 스미스2018년 8월 2일2019년 5월 31일[12]
--중장H. 스테이시 클라디2019년 5월 31일2021년 11월 9일[13]
--중장제임스 W. 비어만 주니어2021년 11월 9일2024년 1월 26일[14]
--중장로저 B. 터너2024년 1월 26일현직[15]


참조

[1] 간행물 III MEF Lineage and Honors USMC History Division
[2] 뉴스 Joint Task Force 505 Activates for Operation Damayan DoD News
[3] 간행물 Typhoon Haiyan (Yolanda): U.S. and International Response to Philippines Disaster Lum and Margesson
[4] 간행물 Constant Vigilance readies Kinser, community for disaster response Manning
[5] 웹사이트 III MEF stands up new MEF Information Group http://www.iiimef.ma[...]
[6] 웹사이트 III MEF Support Battalion: the newest battalion in the Marine Corps https://www.iiimef.m[...] III Marine Expeditionary Force 2022-09-28
[7] 웹사이트 III MEF Band ends year on high note https://www.dvidshub[...] 2019-09-08
[8] 웹사이트 III MEF Band https://www.iiimef.m[...] 2019-09-08
[9] 웹사이트 III MEF Band Leaders https://www.iiimef.m[...] 2019-09-08
[10] 웹사이트 III Marine Expeditionary Force > Band > Mascot https://www.iiimef.m[...] 2019-09-08
[11] 웹사이트 Nicholson takes reins of Marine Forces Japan, III MEF https://www.stripes.[...]
[12] 웹사이트 III MEF commanding general change of command ceremony https://www.usfj.mil[...] 2018-08-02
[13] 웹사이트 III MEF Commanding General Change of Command https://www.dvidshub[...] 2020-05-31
[14] 웹사이트 III MEF Commanding General https://www.iiimef.m[...] 2020-05-31
[15] 웹사이트 III MEF Change of Command Ceremony https://www.dvidshub[...] III Marine Expeditionary Force 2024-01-26
[16] 웹사이트 III Marine Expeditionary Force https://www.iiimef.m[...] 2022-02-21
[17] 뉴스 미국 퇴역 헬기 20대, 한국 해병대에 주겠다는데 …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2-07-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