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 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사일 유도는 미사일이 목표물을 정확하게 타격하도록 돕는 기술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원격 조종 폭탄 시도에서 시작되었다. 유도 방식은 크게 목표 지향 유도(GOT)와 우주 내 위치 지향 유도(GOLIS)로 나뉘며, GOT는 이동 및 고정 목표물 공격에 사용되고, GOLIS는 고정 목표물 공격에 주로 사용된다. 유도 방식은 호밍, 지령, 프로그램, 복합 유도로 분류되며, 호밍 유도는 미사일 자체 센서를, 지령 유도는 발사대에서 미사일을 제어하며, 복합 유도는 여러 방식을 결합한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스스로 목표를 선택하는 미사일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사일 유도 - 적외선 유도
적외선 유도는 적외선 센서로 목표물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추적하는 유도 방식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사일에 적용되어 성능이 개선되었으며, 수동, 반능동, 능동 방식으로 분류되고 플레어나 재머에 의해 무력화될 수 있다. - 미사일 유도 - 능동 레이더 유도
능동 레이더 유도는 미사일에 송신기와 수신기를 탑재하여 자체적으로 목표물을 추적하는 레이더 호밍 유도 방식으로, 발사 후 망각 능력을 제공하며 전자전 환경에서 높은 명중률을 보이지만, 미사일 탑재 공간 및 전력 제약으로 유효 사거리가 제한될 수 있어 교전의 종말 단계에서 주로 사용된다. - 추적 - 감시 자본주의
감시 자본주의는 기업이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이윤을 얻는 새로운 자본주의 형태로, 개인 정보 침해 및 사회적 불평등 심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여 국제적인 규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 추적 - HTTP 쿠키
HTTP 쿠키는 웹 서버가 사용자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작은 텍스트 파일로, 웹 사이트가 방문 기록, 로그인 정보 등을 기억하여 HTTP의 상태 비저장성을 보완하고 세션 관리, 개인 설정, 사용자 추적 등에 활용되지만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문제에 대한 논란이 있다.
미사일 유도 | |
---|---|
개요 | |
유도 방식 | 미사일을 목표 지점 또는 목표 지점 근처로 보내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 |
목표 | 미사일이 목표물에 명중할 확률을 최대화하는 것. |
유도 시스템 | |
구성 요소 | 유도 장치 센서 신호 처리 장치 제어 시스템 |
유도 단계 | |
부스트 단계 | 미사일이 발사된 직후 추진력을 얻어 초기 궤도를 설정하는 단계. |
중간 단계 | 목표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궤도를 수정하는 단계. |
종말 단계 | 목표물에 정확히 명중하기 위해 최종적인 궤도 수정이 이루어지는 단계. |
유도 방법 | |
빔 라이딩 유도 | 미사일이 지향하는 빔을 따라가는 방식. |
와이어 유도 | 미사일이 와이어를 통해 유도 명령을 받는 방식. |
관성 유도 | 미사일 자체의 관성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궤도를 유지하고 목표물로 향하는 방식. |
능동 레이더 유도 | 미사일 자체에 레이더를 탑재하여 목표물을 탐지하고 추적하는 방식. |
반능동 레이더 유도 | 다른 플랫폼에서 목표물을 비추는 레이더 신호를 미사일이 수신하여 목표물을 추적하는 방식. |
수동 레이더 유도 | 목표물에서 방출되는 레이더 신호를 미사일이 감지하여 추적하는 방식. |
GPS 유도 | GPS 위성 신호를 사용하여 미사일의 위치를 파악하고 목표물로 유도하는 방식. |
광학 유도 | 광학 센서를 사용하여 목표물을 식별하고 추적하는 방식. |
적외선 유도 | 목표물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신호를 감지하여 추적하는 방식. |
레이저 유도 |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목표물을 지정하고 미사일을 유도하는 방식. |
지형 윤곽 대조 유도 (TERCOM) | 미리 저장된 지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사일의 위치를 파악하고 궤도를 수정하는 방식. |
디지털 장면 대조 유도 (DSMAC) | 디지털 이미지를 사용하여 목표물을 식별하고 추적하는 방식. |
확률 | |
유도 확률 | 미사일 유도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목표물에 명중할 확률. |
2. 역사
미사일 유도 개념은 적어도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에 비행기에서 투하되는 폭탄을 원격으로 조종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미사일 유도 방식은 크게 목표 지향 유도(GOT)와 우주 내 위치 지향 유도(GOLIS)로 나눌 수 있다.[3]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은 보복무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유도 미사일을 처음 개발하였다.[15] B. F. 스키너는 프로젝트 비둘기를 통해 비둘기를 이용한 미사일 유도 시스템을 연구하기도 했다.[2]
정밀한 관성 유도 시스템을 갖춘 최초의 미국 탄도 미사일은 단거리 PGM-11 Redstone이었다.[3]
3. 유도 방식의 분류
공학적인 관점에서 미사일의 유도 방식은 호밍 유도, 지령 유도, 프로그램 유도, 복합 유도의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13]
3. 1. 목표 지향 유도 (GOT)
목표 지향 유도(GOT) 방식은 이동하거나 고정된 목표물을 공격하는 데 사용된다. 목표 지향 유도 미사일은 이동 및 고정 목표물 모두 공격할 수 있지만, 우주 내 위치 지향 (GOLIS) 무기는 고정 또는 거의 고정된 목표물로 제한된다. 이동 목표물을 공격할 때 미사일의 궤적은 목표물의 움직임에 따라 달라진다.[3]
모든 목표 지향 시스템은 목표 추적기, 미사일 추적기, 유도 컴퓨터라는 세 가지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하위 시스템이 미사일과 발사대 사이에 분산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13]3. 1. 1. 원격 제어 유도
지령 유도는 미사일 추적기가 발사대에 있는 유도 방식이다. 미사일은 발사대에서 보내는 모든 제어 명령을 통해 제어된다. 여기에는 두 가지 변형이 있다.
가시선 빔 라이딩 유도(LOSBR)는 표적 추적기가 미사일에 탑재된 방식이다. 미사일은 발사대가 표적을 조명하는 데 사용하는 빔 내에서 비행하도록 방향을 잡는다.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4]
CLOS 시스템은 미사일과 표적 사이의 각도 좌표만을 사용하여 충돌을 보장한다. 미사일은 발사대와 표적 사이의 시선(LOS)에 위치하도록 만들어지며, 이 선에서 벗어나는 모든 편차는 수정된다. 이러한 유도 시스템을 사용하는 미사일 종류가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네 그룹으로 세분된다. 추적 장치와 항공기 사이의 시선(LOS)에 항상 미사일이 위치하도록 명령하는 특정 유형의 명령 유도 및 항법은 시선 유도 명령(CLOS) 또는 삼점 유도라고 한다. 즉, 미사일 포착 후 지상 관제소에서 미사일로 유도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미사일이 표적에 대한 LOS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빔 가속도를 고려하여 빔 라이더 방정식에 의해 생성된 공칭 가속도에 추가하면 CLOS 유도가 된다. 따라서 빔 라이더 가속도 명령은 추가 항을 포함하도록 수정된다. 빔 운동을 고려하면 빔 라이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CLOS 유도는 주로 단거리 대공 및 대전차 시스템에 사용된다.
이 유도 방식은 최초로 사용된 방식 중 하나이며, 주로 대공 미사일에 사용되어 현재까지도 운용되고 있다. 이 시스템에서 목표물 추적기와 미사일 추적기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유도 시스템은 목표물과 미사일의 공간상 위치를 파악하여 미사일이 목표물을 요격하도록 한다. 이는 지령-시선 유도(CLOS) 시스템과 같이 각도 좌표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시스템은 거리를 나타내는 다른 좌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목표물 추적기와 미사일 추적기는 모두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들은 항상 자동이며, 레이더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유일한 센서로 사용되어 왔다. SM-2MR 스탠더드 미사일은 중간 유도 단계 동안 관성 유도를 사용하지만, 발사 플랫폼에 장착된 AN/SPY-1 레이더가 제공하는 레이더 링크를 통해 지령-시선 밖 유도(COLOS) 시스템의 지원을 받는다.
LOSBR은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레이더 또는 레이저와 같은 일종의 "빔"을 사용하며, 이 빔은 표적을 향하도록 조준되고 미사일 후면의 감지기는 빔 중앙에 미사일을 유지한다. 빔 라이딩 시스템은 종종 반자동 시선 유도 방식(SACLOS)이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으며, 다른 시스템에서는 빔이 자동화된 레이더 추적 시스템의 일부이다.
LOSBR은 빔이 확산되면서 사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부정확하다는 본질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레이저 빔 라이더는 이러한 점에서 더 정확하지만 모두 단거리이며, 심지어 레이저조차 악천후에 의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SARH는 표적까지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더 정확해지므로 두 시스템은 상호 보완적이다.[4]
외부 사격 지휘 장치의 지령에 따라 미사일을 조타 및 유도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지령 시준선 일치(CLOS) 유도 방식
: 외부의 사격 지휘 장치가 목표를 추적할 때의 시준선과 실제 미사일의 진로와의 어긋남을 바탕으로, 미사일에 진로를 수정하도록 지시하는 방식이다.
:; 수동 지령 시준선 일치(MCLOS) 유도 방식
:: 사격 지휘 장치에 의한 목표 포착·추적부터 정보 처리에 이르기까지 전적으로 인간에게 의존하는 방식이다.
:; 반자동 지령 시준선 일치(SACLOS) 유도 방식
:: 사격 지휘 장치에 의한 목표 포착·추적을 인간에게 의존하고, 미사일의 유도·조타에 필요한 정보 처리는 사격 지휘 장치에서 자동으로 수행되는 방식이다.
; 시준선 빔 라이딩 유도(LOSBR) 방식
: 미사일의 유도·조타에 필요한 정보 처리를 미사일 측에서 수행하는 방식이다.
; 지령 시준선 비일치(COLOS) 유도 방식
: 사격 지휘 장치가 목표와 미사일의 쌍방을 추적하고, 쌍방의 진로가 교차하도록 미사일에 대해 지령하는 방식이다.
3. 1. 2. 호밍 유도
비례 유도(PN 또는 Pro-Nav)는 대부분의 유도 원리를 따르는 미사일에 사용되는 비례 제어와 유사한 방식이다.[5] 이 방식은 두 물체의 시선 방향이 변하지 않으면 충돌 경로에 있다는 사실에 기반한다. 비례 유도는 미사일 속도 벡터가 시선 회전율(시선 속도)에 비례하는 속도로 회전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적외선 유도는 표적에서 발생하는 열을 추적하는 수동 방식이다. 주로 대공 임무에서 제트 엔진의 열을 추적하는 데 사용되며, 일부 대차량 임무에도 사용되었다. 이러한 유도 방식은 "열 추적"이라고도 불린다.[6]
대비 탐색기는 비디오 카메라(주로 흑백)를 사용하여 미사일 앞의 시야를 이미지화하여 조작자에게 표시한다. 발사 후 미사일의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서 대비가 가장 빠르게 변하는 지점을 찾아 해당 지점을 시야에서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려고 시도한다. 대비 탐색기는 AGM-65 매버릭을 포함한 공대지 미사일에 사용되었는데, 이는 대부분의 지상 표적이 시각적으로만 구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강한 대비 변화에 의존하므로, 전통적인 위장은 "록온"을 방해할 수 있다.
재전송 호밍("트랙-미사일을 통한" 또는 "TVM")은 지령 유도, 반능동 레이더 호밍, 능동 레이더 호밍의 혼합형이다. 미사일은 표적에서 반사된 추적 레이더의 방사선을 포착하여 추적 기지로 중계하고, 추적 기지는 미사일로 명령을 다시 중계한다.
'''광파 호밍 유도'''는 광파를 매개로 하는 호밍 유도 방식이다. 광파는 전파(특히 마이크로파)에 비해 더 작은 장치로 운용할 수 있지만, 주파수 특성상 대기권 내 투과성이 낮아 목표 탐지 거리가 짧다. 따라서 광파 호밍 유도 방식 무기는 전파 호밍 유도보다 짧은 사정거리에서 더 가볍게 운용되는 경향이 있다.
광파 호밍 유도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크게 나눌 수 있다.
미사일 경유 추적(Track Via Missile - TVM영어)은 지상 레이더에서 조사된 반사파를 미사일이 수신하고, 그 정보를 지상 레이더에 전송, 지상 레이더에서 유도 계산 후 다시 미사일에 유도를 지령하는 방식이다. 반능동 레이더 호밍 방식과 지령 유도 방식의 복합이다. 미국의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러시아의 S-300에 사용된다.
미사일에 고성능 컴퓨터를 탑재하는 것은 그 컴퓨터를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모든 미사일에 고성능 컴퓨터를 탑재하는 것은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 그래서 미사일에 최소한의 성능을 가진 컴퓨터를 탑재하고, 미사일이 얻은 정보를 지상의 고성능 컴퓨터로 처리하여 미사일을 목표로 유도 지령하는 방식이 TVM이다.
미사일 선단의 SARH시커가 얻은 정보를 지상 장치에 전송하여 유도 계산 처리를 하고, 유도 등의 지령을 한다. 컴퓨터를 고성능화할 수 있으므로 높은 유도 능력과 높은 전자전 대응 능력(ECCM)을 기대할 수 있다. 단, 시스템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ECCM 능력이 비교적 높다는 장점도 있다. 패트리어트 미사일(MIM-104A~E형, 비 PAC-3 미사일)의 TVM 유도에서는, 미사일을 유도하는 TVM 파는,
의 2계통으로 레이더(지상 장치 컴퓨터)로 돌아온다. 이 2계통의 수신 루프에서 상관 처리 등을 함으로써, 매우 높은 ECCM 능력을 얻는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한쪽 수신 루프가 ECM을 받고 끊어져도, 다른 쪽 루프에 의해 유도 연산을 하여, 예상 회적점까지 미사일을 지령 유도할 수 있다. 회적점에 접근한 미사일은, ECM 환경에서도 TVM 파의 일루미네이션 반사파 또는 목표가 발하는 ECM 파를 수신할 수 있어, 적기를 격추한다(SOJC 방식, Stand Off Jammer Counter).
3. 1. 3. 기타 호밍 유도
생물 유도는 생물의 능력을 이용하여 미사일의 진로를 조정하는 방식이다. 미국에서는 조련된 비둘기를 사용해 미사일을 유도하는 프로젝트 비둘기 계획이 있었다.[2]
3. 2. 우주 내 위치 지향 유도 (GOLIS)
우주 내 위치 지향 유도(GOLIS) 시스템은 목표물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며, 주로 고정된 목표물을 공격하는 데 사용된다. 이 시스템은 표적에 대한 사전 설정 정보를 필요로 하며, 표적 추적기 없이 미사일 자체에 유도 컴퓨터와 미사일 추적기가 위치한다.[6] GOLIS 시스템은 항법 유도를 사용하는데, 이는 표적 추적기 없이 실행되는 모든 유형의 유도를 의미한다.[6]
항법 유도는 미사일 추적기의 기능에 따라 세분화된다. 외부 항법원에 의존하지 않는 완전 자율형 시스템(관성 유도, 사전 설정 유도), 자연적인 외부원에 의존하는 시스템(천체 유도, 천문 관성 유도, 지상 유도, 자기 유도), 인공적인 외부원에 의존하는 시스템(위성 항법, 쌍곡선 항법)이 있다.[6]
3. 2. 1. 사전 설정 유도
사전 설정 유도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미사일 유도 방식이다. 목표물의 거리와 방향으로부터 비행 경로의 궤적이 결정된다. 발사 전에 이 정보는 미사일의 유도 시스템에 프로그래밍되며, 비행 중 이 시스템은 미사일을 조종하여 해당 경로를 따르도록 한다. 모든 유도 구성 요소 (가속도계 또는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센서 포함)는 미사일 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무선 지침과 같은 외부 정보는 사용되지 않는다. 사전 설정 유도를 사용하는 미사일의 예로는 V-2 로켓이 있다.[10] 목표는 위치가 미리 파악되어 있는 도시, 항만, 건물 등 전략 목표나 이동하지 않는 고정 목표에 주로 사용된다.
3. 2. 2. 항법 유도
항법 유도는 표적 추적기 없이 미사일 자체에 탑재된 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모든 유도 방식이다.[6] 미사일에 탑재된 유도 컴퓨터와 미사일 추적기를 사용하며, 표적 추적기가 없다는 특징을 갖는다.[6] 이러한 시스템은 자체 포함형 유도 시스템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사용되는 미사일 추적기로 인해 항상 완전히 자율적인 것은 아니다.[6] 미사일 추적기의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관성 유도는 민감한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알려진 위치에서 벗어난 후 미사일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계산하여 미사일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이다.[3] 초창기 기계식 시스템은 정확도가 높지 않았지만, 현대 시스템은 고체 소자 링 레이저 자이로를 사용하여 10,000km 범위 내에서 미터 단위의 정확도를 갖는다.[3] AIRS는 MX 미사일에 탑재되어 대륙간 사거리에서 100m 미만의 정확도를 제공하는 자이로스코프 개발의 정점이다.[3] 많은 민간 항공기는 링 레이저 자이로스코프를 사용하는 관성 유도를 사용하며, 이는 전략 미사일의 초기 유도 및 재진입 차량에 가장 선호되는 방식이다.[2]
관성 항법은 자이로를 사용한 가속도계가 장착된 관성 항법 장치(INS)를 통해 미사일에 가해진 가속도와 방향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된 진로와의 오차를 계산하고, 오차를 보정하여 진로를 유지하며 유도하는 방식이다. 주로 장사정 미사일의 중간 유도에 사용되며, 탄도 미사일이나 순항 미사일, 장사정 대함 미사일 등에 사용된다. 핵탄두를 탑재하는 탄도 미사일은 종말 유도 장치 없이 관성 항법 장치만 탑재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대위력 핵탄두 사용 시 착탄 오차가 커도 목표를 파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성 유도는 외부 신호를 관측하지 않고 비행하므로, 격추 외에는 방해가 불가능하다.
위성 항법은 GPS 등 위성에서 송신되는 전파를 바탕으로 미사일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미국의 JDAM, 개량형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인 TACTOM, 대 레이더 미사일인 AGM-88 - HARM에서 사용된다. 하지만 전파 방해 환경이나 산악 지형 등 위성 전파 수신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GPS 보정 유도는 단거리 탄도 미사일, 유도 포탄, 유도 로켓탄의 낙하 종말 단계에서 GPS 위성으로부터 전파를 받아 미사일을 유도하는 것이다. GPS 이외의 위성 항법 시스템에 의한 유도도 GPS라고 통칭한다. 중국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 DF-15는 종말 GPS와 베이더우에 의해 관성 유도를 보정하여 CEP 30~50m를 얻는다고 한다. 미국의 MLRS용 로켓탄 M30이나 155mm 유도 포탄에 GPS 유도가 사용될 예정이다.
관련 문서: 관성 항법 장치, 천문 항법
천문-관성 항법(별-관성 항법)은 관성 항법과 천문 항법의 센서 융합-정보 융합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에 사용된다. 이동하는 잠수함에서 발사되는 SLBM은 항법 계산이 복잡하고 원형 공산 오차가 증가하기 때문에, 별-관성 항법은 잠수함 항법 시스템의 오류와 불완전한 계기 보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작은 위치 및 속도 오류를 수정하는 데 사용된다.
미 공군은 노트로닉스(Nortronics)에서 SM-62 스나크 미사일을 위해 천문-관성 항법 시스템(ANS)을 개발했으며, 실패한 AGM-48 스카이볼트 미사일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도 개발했는데, 후자는 SR-71에 적용되었다.[11] 이는 발사 후 별의 위치를 사용하여 관성 항법 시스템의 정확도를 미세 조정한다. 트라이던트 미사일 시스템에서는 단일 카메라로 예상 위치에서 단 하나의 별을 찾도록 훈련되었으며(소련 잠수함의 미사일은 두 개의 별을 추적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렬되지 않으면 관성 시스템이 정확히 목표에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며 수정이 이루어진다.[12]
TERCOM(지형 등고선 정합 방식)은 지형, 등고선 정합을 통해 순항 미사일을 중간 유도하는 방식이다. 레이더로 지표면을 스캔하고, 사전에 설정된 디지털 맵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 위치를 특정하여 진로를 보정한다. 토마호크, ALCM, Kh-55 등의 순항 미사일에 사용된다. 다만, 목표나 비행 경로를 변경하는 경우 지도 정보를 재설정하거나, 선택 가능한 복수의 지도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장시간의 해상 비행에는 적합하지 않다.
별 천측 항법은 천체 관측을 통해 탄도 미사일의 중간 비행 과정에서 미사일을 중간 유도하는 방식이다. 망원경으로 천체를 관측하고, 사전에 설정된 특정 항성의 방향과의 비교를 통해 미사일의 현재 위치를 특정하여 진로를 보정한다. 주간에도 공기에 의한 빛의 산란이 없는 (=별을 관측할 수 있는) 대기권 밖을 비행하는 탄도 미사일에서 중간 진로 보정에 사용된다. 다만, 세밀한 진로까지 보정할 수 없는 점과, 어떤 이유로든 항성을 관측할 수 없었을 때를 대비하여 다른 유도 방식 (주로 관성 유도)과 함께 사용한다.
4. 복합 유도
복합 유도는 여러 유도 방식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S-300은 미사일 경유 추적(TVM) 방식을 사용한다.[13]
미사일 경유 추적(TVM)은 지상 레이더의 반사파를 미사일이 수신하여 지상 레이더에 전송하고, 지상 레이더에서 유도 계산을 한 후 다시 미사일에 지령을 내리는 방식이다. 이는 세미 액티브 유도와 지령 유도의 복합 방식이다. 미사일에 고성능 컴퓨터를 탑재하는 대신, 지상 컴퓨터를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높은 유도 능력과 전자전 대응 능력(ECCM)을 확보한다.
패트리어트 미사일의 TVM 유도는 레이더 → 목표 반사 → 미사일 시커 → 레이더, 레이더 → 목표 반사 → 레이더의 두 경로로 신호를 받아 상관 처리하여 높은 ECCM 능력을 얻는다. 한쪽 경로가 방해받더라도 다른 경로를 통해 유도가 가능하며, 최종적으로는 미사일이 직접 반사파나 적의 방해 전파를 수신하여 격추한다(SOJC 방식).
4. 1. 영상 유도
영상 유도는 미사일 선단에 탑재된 TV 시커를 통해 목표물의 영상을 획득하여 추적하는 방식이다. 이는 TVM(Television Midcourse Guidance)의 이미지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고가의 유도 장치를 소모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미지 시커는 시야가 좁고 중간 유도가 기술적으로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사일 자체 가격은 낮출 수 있지만, 미사일을 운용하는 모체(플랫폼)의 가격이 높아지는 문제도 발생한다.
영상 유도는 수동 제어가 필요하므로 사수의 기량에 따라 성능이 좌우된다. 고속으로 이동하는 표적보다는 비교적 저속으로 움직이는 함정, 전투 차량, 지상 시설 등을 목표로 한다. 안개나 연막 등으로 시야가 확보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이 개발한 Hs 293 D는 실전에서 전과를 올린 최초의 이미지 유도탄으로 알려져 있다.[1] 이후 여러 국가에서 이미지 유도 미사일 개발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명중할 때까지 지속적인 수동 추적이 필요하여 발사 후 망각 기능은 구현할 수 없다.
독일의 폴리페무스 미사일은 고가 유도 장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사일에는 관측 장치만 탑재하고, 발사 모체에 자동 유도 장치를 탑재하여 광섬유를 통해 영상 정보와 조종 신호를 주고받는 지령 유도 방식을 채택했다. 하지만 이 계획은 2003년에 취소되었다. 세르비아는 이와 유사한 시스템인 ALAS 미사일을 2009년 실용화를 목표로 개발했다.
육상자위대의 96식 다목적 유도탄 시스템은 광섬유 유선 통신을 통해 비행체와 지상 장치 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유도수는 비행체 시커가 포착한 적외선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미사일을 유도한다.
영상 식별 유도는 장치가 영상을 식별하고 대조하여 유도하므로 수동 유도가 필요 없다. 중간 유도는 다른 유도 방식과 결합하고, 최종 단계인 종말 유도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단순히 표적을 식별하는 것을 넘어, 취약한 부분을 정확하게 조준하여 명중률을 높인다.
5. 인공지능 유도
2017년, 러시아의 무기 제조사인 전술 미사일 회사는 스스로 목표물을 선택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고 발표했다.[7] 2019년, 미국 육군도 이와 유사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발표했다.[8]
참조
[1]
서적
Fundamentals of Strategic Weapons: Offense and Defense System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981-09-27
[2]
문서
Missile Guidance and Control Systems
2004
[3]
서적
Tactical and Strategic Missile Guidance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2012
[4]
웹사이트
http://www.army.mod.[...]
[5]
문서
Yanushevsky
[6]
웹사이트
Chapter 15. Guidance and Control
http://www.fas.org/m[...]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7]
웹사이트
Russia is building an AI-powered missile that can think for itself
https://businessinsi[...]
2022-08-02
[8]
웹사이트
The US Army is developing AI missiles that find their own targets
https://newscientist[...]
2022-08-02
[9]
웹사이트
Israel upgrades its antimissile plans
http://www.aviationn[...]
2010-02-13
[10]
웹사이트
Chapter 15 Guidance and Control
http://www.fas.org/m[...]
[11]
간행물
SR-71 contributors, Feedback column
Aviation Week and Space Technology
2013-12-09
[12]
웹사이트
Trident II D-5 Fleet Ballistic Missile
http://www.globalsec[...]
2014-06-23
[13]
문서
ミサイル工学事典
[14]
서적
Fundamentals of Strategic Weapons: Offense and Defense Systems
https://books.google[...]
1981-09-27
[15]
문서
Missile Guidance and Control Systems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