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사통상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사 통상문(Ordinarium Missae)은 로마 전례와 같은 라틴 전례 미사에서 일반적으로 불변하는 텍스트의 모음이다. 자비송, 대영광송, 신경, 거룩하시도다, 하느님의 어린 양으로 구성되며, 축일이나 전례력에 따라 달라지는 고유문과 구분된다. 미사 통상문은 성가대, 사제, 회중이 함께 노래하거나 낭송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사 - 미사 브레비스
    미사 브레비스는 '짧은 미사'를 의미하는 라틴어 용어로, 미사 통상문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특정 부분만 포함하여 간결하게 구성된 미사곡을 지칭하며, 바로크 시대 루터교 예배에서 중요했고 19세기 이후에는 예배 시간 단축 등을 위해 미사 형식을 간소화한 작품을 의미한다.
  • 미사 - 미사 솔렘니스
    루트비히 판 베토벤이 루돌프 대공의 올뮈츠 대주교 임명을 기념하기 위해 1818년부터 1823년까지 작곡한 미사 솔렘니스는 종교적 신념과 예술적 이상 사이의 갈등이 반영된 베토벤 후기 작품 세계의 걸작으로,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그레고리오 성가
    그레고리오 성가는 서방 기독교 전례에서 사용되는 무반주 일성부 성가로, 로마와 갈리아 성가의 통합을 거쳐 서방 기독교 세계의 표준 성가로 자리매김했으며, 교회 선법 체계화 및 네우마 기보법 발달과 함께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가톨릭 기도문과 전례문 - 성모송
    성모송은 가브리엘 대천사와 엘리사벳의 인사말에 기반하여 하느님 찬양과 성모 마리아에게 애원과 찬미를 드리는 가톨릭교회의 대표적인 기도로, 묵주기도의 기본이 되며 다양한 언어 번역본과 음악 작품으로 널리 사용된다.
미사통상문
미사 통상문
라틴어 명칭Ordo Missae
종류기독교 전례의 일부

2. 미사 통상문 (Ordinarium Missae)

'''미사 통상문'''(Ordinarium Missaela) 또는 미사의 ''통상문''은 로마 전례와 같은 라틴 전례에 따른 미사의 일반적으로 불변하는 텍스트 집합이다. 이는 축일이나 전례력에 따라 달라지는 미사의 항목인 고유문(proprium)과 대조된다. 미사 통상문은 미사의 ''통상문'' 부분 또는 미사 통상문 (고유문 부분을 포함)을 지칭할 수 있다.

다음 본문은 성가대가 노래하거나 아니면 사제와 회중이 파트를 나누어서 교대로 부르거나 낭송한다.

# 자비송 (Kyrie eleison)

# 대영광송 (Gloria in Excelsis Deo)

# 신앙고백 (Credo) :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또는 사도신경

# 거룩하시도다 (Sanctus)

# 하느님의 어린 양 (Agnus Dei)

2. 1. 자비송 (Kyrie)

자비송(Kyrie eleison)은 미사 통상문의 첫 번째 부분이다. 성가대가 노래하거나 사제와 회중이 파트를 나누어서 교대로 부르거나 낭송한다.

2. 2. 대영광송 (Gloria in Excelsis Deo)

대영광송(Gloria in Excelsis Deo)은 "하늘 높은 곳에는 하느님께 영광"이라는 뜻이다.[4] 대영광송은 사순 시기와 대림 시기(1970년 이전에는 1년에 4번 있는 사계재와 사순절을 시작하는 사순절 전 주일도 추가되었음)를 제외한 주일, 대축일, 축일 미사 때 사용된다.[4] 평일 미사(평일)와 기념 미사, 위령 미사, 서원 미사에서는 생략되지만, 다른 성사 집전, 수도 서원, 성당 축복 등과 같은 의식 미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4]

대영광송은 성가대가 노래하거나 사제와 회중이 파트를 나누어서 교대로 부르거나 낭송한다.

2019년 5월 22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탈리아에서 대영광송의 일부를 "평화가 땅에, 선의를 가진 사람들에게"에서 "평화가 땅에, 하느님께서 사랑하시는 사람들에게"로 변경했다.[4] 이 변경은 이탈리아 주교회의 총회에서 처음 승인되었으며, 로마 미사 경본 제3판의 일부이다.[4][5]

2. 3. 신경 (Credo)

신경("나는 믿나이다")은 니케아 신경 또는 사도신경을 낭송한다.[6] 주일과 주요 축일에 낭송되며, 사도신경은 사순 시기와 부활 시기, 그리고 어린이 미사에서 이를 대신할 수 있다.[6] 일부 국가에서는 전례력 전체 기간 동안 사도신경을 낭송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6]

2. 4. 거룩하시도다 (Sanctus)

산투스(Sanctus)는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 거룩하시다"로 시작하며, "Benedictus"("복되도다")로 시작하는 두 번째 부분이 있다. 곡의 길이가 길 경우 축성 후 종종 별도로 불렸다. 다음 본문은 성가대가 노래하거나 아니면 사제와 회중이 파트를 나누어서 교대로 부르거나 낭송한다.

2. 5. 하느님의 어린 양 (Agnus Dei)

하느님의 어린 양에게 바치는 기도문이다. 하느님의 어린 양(Agnus Dei)은 성가대가 노래하거나 사제와 회중이 파트를 나누어 교대로 부르거나 낭송한다.

2. 6. Ite, missa est

"Ite, missa est"( "가십시오, 예식은 끝났습니다"는 신자들을 지칭)는 트리엔트 공의회 이후 미사 전례의 통상문의 마지막 부분이다.

3. 정시 기도 (Canonical Hours)

정시 기도의 전례는 주로 시편으로 구성되며, 시편은 한 주 또는 한 달에 걸쳐 배열된다. 시편 외에 칸티쿰, 찬미가, 기타 기도문이 추가된다. 전통적으로 정시 기도는 참여하는 성직자들이 합창했다. 정시 기도문 중 일부는 특히 베네딕투스, 마니피캇, 눈크 디미티스와 같이 다성 음악으로 작곡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Ordinary of the Divine Office http://www.breviary.[...] 2010-10-24
[2] 웹사이트 Ordinary Time http://www.churchyea[...] 2020-05-05
[3] 서적 Liturgy and the Arts in the Middle Ages: Studies in Honour of C. Clifford Flanigan https://books.google[...] Museum Tusculanum Press 1996
[4] 웹사이트 Pope Francis Approves Changes to Lord's Prayer & Gloria of Italian Missal https://ucatholic.co[...] 2020-05-05
[5] 웹사이트 Francis Approves Revised Translation of Italian Missal https://internationa[...] 2020-05-05
[6] 웹사이트 Substituting for the Creed {{!}} EWTN https://www.ewtn.com[...] 2023-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