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선 유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선 유적은 4세기부터 13세기까지 참파 왕국의 힌두교 사원 유적이다. 바드라바르만 1세에 의해 시바 신을 모시는 사원이 건립되면서 시작되었으며, 70여 개의 사원과 무덤이 남아있다. 힌두교의 성역이자 참파 왕국의 수도였으며, 10세기 말 불교의 영향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13세기 이후 참파 왕국이 쇠퇴하면서 숭배가 사라졌으며, 1898년 재발견되었다. 붉은 벽돌로 지어진 건축 양식과 산스크리트어 및 고대 참어 비문은 중요한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인도의 지원을 받아 보존 및 복원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꽝남성의 건축물 - 추라이 국제공항
베트남 꽝남성에 위치한 추라이 국제공항은 본래 군사 기지였으나 2005년 민간 공항으로 개항하여 국내선 운항을 시작, 2019년 국제선 운항을 시작하며 베트남 중부 지역의 주요 교통 허브로 발전하고 있고, 활주로 확장 및 터미널 건설 등의 개발을 통해 여객 및 화물 처리 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베트남-뉴질랜드 정부 간 협력으로 조종사 훈련 학교가 설립될 예정이다. - 베트남의 힌두교 사원 - 뽀 끌롱 자라이 사원
뽀 끌롱 자라이 사원은 13세기 말 자야 심하바르만 3세가 뽀 끌롱 자라이 왕을 기리기 위해 베트남 중부에 건설한 참파 왕국의 사원으로, 참족 미술과 탑맘 양식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세 개의 벽돌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국과의 역사적 교류로 현대 한국-베트남 관계의 상징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 베트남의 힌두교 사원 - 뽀나가
뽀나가 사원은 베트남 냐짱에 위치한 참파 왕국의 유적으로, 얀 포나가르 여신을 모시며 힌두교 여신 두르가와 동일시된다.
미선 유적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국가 | 베트남 |
성 | 꽝남성 |
위치 | 미선 계곡 |
기본 정보 | |
이름 | 미선 성지 |
로마자 표기 | Mỹ Sơn |
베트남어 표기 | Thánh địa Mỹ Sơn |
참어 표기 | 美山 |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명칭 | 미선 성소 |
상세 정보 | |
종류 | 힌두교 사원 유적 |
주요 신 | 시바 바드레스바라 (Bhadresvara) |
건축 양식 | 참파 건축 |
건립 시기 | 4세기 |
창건자 | 불명 |
사원 수 | 불명 |
비문 | 존재 |
문화재 지정 | 1999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 |
유네스코 등록 기준 | (ii), (iii) |
면적 | 142 헥타르 |
완충 구역 | 920 헥타르 |
웹사이트 | 미선 성지 |
역사 | |
시대 | 참파 왕국 시대 |
주요 사건 | 4세기: 사원 건립 시작 7세기 ~ 13세기: 참파 왕국의 종교 중심지 1999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 |
파괴 | 베트남 전쟁 중 폭격으로 일부 파괴 |
기타 | |
![]() | |
글로벌 헤리티지 펀드 | 미선, 베트남 |
2. 역사
미선 유적은 4세기 바드라바르만 1세가 시바 신을 모시는 사원을 건립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13세기까지 참파 왕국의 역대 왕들은 이곳에 사원을 건설하고 종교 의식을 거행하며 왕국의 번영을 기원했다.[43] 미선은 종교적인 중심지였을 뿐만 아니라, 군사적으로도 전략적 요충지였다.[43]
미선 유적에서 발견된 기록된 가장 초기의 역사적 사건은 바드라바르만 1세(재위 380년-413년) 시대와 관련이 있다.[6] 이후 7세기에 삼부바르만 왕은 사원을 재건하고 삼부-바드레스와라라는 이름으로 신을 다시 모셨다.[10] 후대 왕들은 오래된 사원을 개조하고 추가 사원을 건설했다. 미선은 참파 문명의 종교 및 문화 중심지이자 왕과 종교 지도자들의 매장지로 사용되었다.[18]
13세기부터 참파 왕국은 서서히 쇠퇴하여 베트남에 흡수되었으며, 15세기 말에는 참파 왕국이 완전히 소멸되어 미선에서의 숭배도 사라졌다.[43]
레 타인 통 황제에 의한 베트남 중부 정복으로 참파 왕국이 멸망한 후, 미선 유적은 잊혀졌다. 1898년 프랑스인 Camille Michel Paris|카미유 미셸 파리프랑스어에 의해 재발견되었고,[21] 프랑스 극동 학교(EFEO)에서 연구를 시작하여 1904년에 초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22]
1937년부터 프랑스 학자들이 미선 유적 사원 복원을 시작했으나,[23] 베트남 전쟁 동안 많은 역사적 건물들이 파괴되었다. 1981년 폴란드 보존 전문가 팀이 문화 유산 보존 및 복원 작업을 수행하였다.[24]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베트남 문화부는 유적지 유지 관리에 440000USD를 할당했다. 유네스코의 계획으로 이탈리아 정부와 일본의 후원자들의 자금 지원을 받아 추가적인 훼손을 막았다.
인도 고고학 조사국(ASI)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2250000USD를 투입하여 미선 유적지의 참 사원 3개 구역(A, H, K) 복원을 지원했다.[26][27]
2. 1. 초기 역사 (4세기 - 7세기)
미선 유적에서 발견된 초기 역사 기록은 바드라바르만 1세(재위 380년-413년) 시대와 관련이 있다.[6] 그는 통치 후반기에 중국이 점령한 베트남 북부의 인구와 전쟁을 벌였다.[6] 바드라바르만 왕은 미선에 시바 신을 숭배하기 위해 링가를 세우고, 자신의 이름과 시바를 지칭하는 "주(主)"를 의미하는 "이슈바라"를 조합한 "바드레슈바라"라는 산스크리트 이름으로 신을 모셨다.[7]바드라바르만 왕은 미선에 자신의 재단을 기록한 석주를 세우고, 미선 계곡 전체를 바드레슈바라에게 헌정했다. 그는 비문에 "나를 불쌍히 여겨 내가 준 것을 파괴하지 말라"[8]는 호소를 남겼고, 윤회와 업의 교리를 이용해 후계자들이 자신의 기증을 유지하도록 설득했다.[9] 그의 호소는 받아들여져 미선은 여러 세대에 걸쳐 참파의 종교적 중심지가 되었다.

바드라바르만 시대의 사원은 주로 목재로 만들어졌으나, 루드라바르만 1세 통치 기간인 535/536년에 큰 화재로 소실되었다. 7세기에 삼부바르만 왕(재위 572년-629년)은 사원을 재건하고 삼부-바드레스와라라는 이름으로 신을 다시 모셨다.[10] 그는 비석을 세워 삼부-바드레스와라를 세상의 창조자이자 죄의 파괴자로 칭송하고, 참파 왕국에 행복을 가져다주기를 기원했다.[11]
삼부바르만 왕의 통치 기간에 참파는 큰 침략을 겪었다. 605년, 중국 장군 류팡이 참파 수도를 약탈하여 1,000권이 넘는 불교 서적과 금판 등 막대한 전리품을 가져갔다.[13] 삼부바르만 왕은 왕국으로 돌아와 재건을 시작하고, 중국에 정기적으로 조공을 바쳤다.[12] 20세기 초 프랑스 학자들은 삼부바르만 왕이 건설한 삼부-바드레스와라 사원을 "A1"으로 명명했으나, 이 건물은 베트남 전쟁 중 미국의 공습으로 파괴되어 현재는 벽돌 더미만 남아있다.

프라카사다르마 왕(재위 653년-687년경)은 왕위에 오른 후 비크란타바르만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0] 그는 참파의 국경을 확장하고 중국에 사절과 조공을 보냈다. 그는 링감 위에 "코사스"라는 장식된 금속 슬리브를 기증하는 종교적 관행을 시작했으며, 시바뿐만 아니라 비슈누에게도 헌신했다.[16]
프라카사다르마 왕이 657년에 세운 비석은 시바 신을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 왕의 조상을 밝히고 참파 통치자들의 계보를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그는 이사나바르만 1세라는 캄보디아 왕을 언급하고, 캄보디아 왕들처럼 나가 공주 소마에게서 자신의 계보를 추적했다.[17]
미선 유적은 산스크리트어로 공식 명칭을 '슈리샤나바드레슈바라'라고 하며, 참파 왕국의 종교(힌두교 시바파) 성역으로, 성산 마하파르바타를 바라보는 꽝남성 주이쑤옌현 미선 계곡에 있다. 미선에는 벽돌로 지은 참파 탑 등 7세기부터 13세기에 걸친 유구가 남아 있지만, 베트남 전쟁 당시 폭격으로 상당 부분 파괴되었다.
2. 2. 전성기 (8세기 - 12세기)
참파 왕국은 8세기에서 12세기까지 전성기를 맞이했다.8-9세기에는 미선 E1 양식, 호아라이 양식 등 독특한 건축 양식이 발전했다. 9세기 후반에는 동즈엉 양식이 도입되면서 불교의 영향력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10세기는 미선 A1 양식의 전성기로, 이 시기에 정교하고 세련된 건축물들이 많이 건립되었다. 특히 10세기 말 지아야 심하바람 왕의 통치 시기에는 미선의 종교적 위치가 불교와 동등한 지위에 있었다고 평가받는다.[43]
11세기에 들어서면서 전쟁으로 미선을 포함한 참파 왕국의 여러 성지들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하리바르만 4세가 평화를 회복하고 수도를 도반(Do Ban)으로 옮기면서 미선 유적 복원이 시작되기도 했다.[43]
12세기에는 자야 인드라바르만 4세가 크메르 제국을 공격하여 수도를 함락시키기도 했지만, 참파 왕국은 크메르의 역공으로 1190년부터 1220년까지 점령당했다.[43]
2. 3. 쇠퇴와 멸망 (13세기 - 15세기)
13세기부터 참파 왕국은 서서히 쇠퇴해 갔으며 점점 힘을 키우던 베트남에 흡수되었고, 15세기 말에는 참파 왕국이 완전히 소멸되어 미선 유적에서의 숭배도 사라졌다.[43]2. 4. 근현대
레 타인 통 황제에 의한 베트남 중부 정복으로 참파 왕국의 지위가 자치 종속 지역으로 축소되고, 참파가 쇠퇴하고 결국 멸망한 후, 미선 유적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대부분 잊혀졌다. 베트남 사람들은 정복된 참파 땅에 정착하여 마을, 읍, 도시를 건설했다. 1898년 프랑스인 카미유 미셸 파리|카미유 미셸 파리프랑스어에 의해 재발견되었다.[21] 1년 후, 극동 프랑스 학교(EFEO)라는 학술 단체의 회원들이 미선 유적의 비문, 건축, 예술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1904년, 그들은 학회 저널인 ''극동 프랑스 학교 회보''(BEFEO)에 초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앙리 파르망티에는 미선 유적의 설명을 제공했고, M. L. 피노는 그곳에서 발견된 비문을 발표했다.[22]1937년, 프랑스 학자들이 미선 유적 사원 복원을 시작했다.[23] 1937년과 1938년에 "A1"으로 알려진 주요 사원과 주변의 작은 사원들이 복원되었다. 다른 주요 사원들은 1939년과 1943년 사이에 복원되었다. 그러나 많은 역사적 건물들이 베트남 전쟁 동안 파괴되었다. 사원들은 베트남 인민군과 베트콩 기지 지역의 일부였으며, 그 결과 1969년 8월 미국 항공기가 해당 지역을 폭격했다. 주변 지역은 아직도 불발 지뢰로 인해 위험한 상태이다.
복합 단지 중앙에 있는 대부분의 사원 유적은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있다. 그러나 남아 있는 사원들의 구조적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으며, 일부는 붕괴될 위험에 처해 있다. 많은 조각상들이 프랑스 또는 다낭의 참 조각 박물관과 같은 베트남의 역사 박물관으로 옮겨졌지만, 다른 조각상들은 독일과 폴란드의 후원자들의 자금 지원을 받아 설립된 현지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1981년, 문화 유산 보존 및 복원 작업은 카지미에시 크비아트코프스키가 이끄는 루블린 출신의 폴란드 보존 전문가 팀에 의해 수행되었다.[24]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베트남 문화부는 유적지 유지 관리에 약 440000USD를 할당했다. 유네스코의 초안 계획은 이탈리아 정부와 일본의 후원자들의 자금 지원을 받아 추가적인 훼손을 막았다. 이러한 노력은 세계 문화 유산 기금의 지원도 받고 있다.
인도 고고학 조사국(ASI)은 베트남 중부 꽝남성에 위치한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인 미선 유적지의 참 사원 3개 구역(A, H, K)의 보존을 지원해 왔으며, 2017년부터 2022년까지 2250000USD를 투입하여 복원했다. 복원 완료는 2022년 12월 20일 꽝남성 미선 유적지에서 기념되었다.[26][27]
미선 유적은 20세기 초 프랑스인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프랑스 극동 학교(EFEO)의 파르망티에, 클레이 등에 의해 여러 차례 보수・보강이 이루어졌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통치 시대에 도굴을 당해 미술품의 상당수가 손실되었다. 또한, 베트남 전쟁에서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 아지트 소탕을 위해 미국 공군 B-52의 폭격을 받아 대부분의 유적이 파괴되었다.
베트남 전쟁 후, 폴란드 문화재 보호 아틀리에(PKZ)의 카지미에슈 크비아트코프스키, 베트남 문화 정보성 문화재 수복 공사의 호앙 다오 킨 등에 의해 보강이 이루어졌으며, 석상의 일부가 다낭시의 참 조각 박물관으로 이송되었다. 일본의 도요타 재단, 미국의 월드 모뉴먼트 워치 재단에 의한 보호 지원이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이탈리아 팀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2005년 3월에는 일본 국제 협력 기구의 기술 협력으로 미선 유적 전시관이 완공되었다.
3. 건축
미선 유적의 건물은 대부분 붉은 벽돌로 만들어졌으며, B1 사원만 유일하게 석재로 만들어졌다.[33] 참파 사원의 장식 조각은 벽돌에 직접 새겨졌는데,[33] 이는 9세기 캄보디아 바콩 사원과는 다른 양식이다.
참파 건축가가 사용한 건축 기술은 오늘날까지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다.[34] 풀리지 않은 문제는 다음과 같다.
미선 유적은 산스크리트어로 '슈리샤나바드레슈바라'라고 불리며, 참파 왕국의 힌두교 시바파 성역이었다. 성산 마하파르바타를 바라보는 꽝남성 주이쑤옌현 미선 계곡에 위치하며, 7세기부터 13세기에 걸친 벽돌로 지은 참파 탑 등의 유구가 남아 있다. 하지만 베트남 전쟁 당시 폭격으로 상당 부분 파괴되었다. 유적 근처에는 투본강이 흐르며, 강의 여신을 모시는 추본부인 사당과 산스크리트 비문이 있다. 투본강 중류에는 왕도 짜키에우 유적이 있고, 하구에는 근세 일본인 마을이 번성했던 항구 도시 호이안이 있다.
참파 왕국은 산스크리트어로 참파프라/참파나가라라고 불렸으며, 슈리크셰트라(미얀마), 드바라바티(태국), 캄보자(캄보디아), 슈리비자야(인도네시아) 등과 같은 동남아시아 중세 인도 문화권 국가였다.
미선 유적은 20세기 초 프랑스인에 의해 발견되어 프랑스 극동 학교(EFEO)에 의해 여러 차례 보수되었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통치 시대에 도굴로 미술품 상당수가 손실되었고, 베트남 전쟁에서 미국 공군 B-52 폭격으로 대부분 유적이 파괴되었다.
베트남 전쟁 후 폴란드 문화재 보호 아틀리에(PKZ) 등에 의해 보강 작업이 이루어졌고, 일부 석상은 다낭시 참 조각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일본 도요타 재단, 미국 월드 모뉴먼트 워치 재단이 보호 지원을 했으며, 현재 이탈리아 팀이 조사를 진행 중이다. 2005년 3월에는 일본 국제 협력 기구 기술 협력으로 미선 유적 전시관이 완공되었다.
3. 1. 건축 양식
미술사학자들은 참파의 건축 및 예술 유산을 7개의 예술적 양식 또는 발전 단계로 분류했다.[31] 미선에는 6개의 양식이 나타나며, 그중 2개(미선 E1 양식, 미선 A1 양식)는 미선에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A1" 사원은 참파 건축의 걸작으로 자주 언급된다. 미선에서 나타나는 6개의 참파 건축 양식은 다음과 같다.- 미선 E1 및 F1 양식 (8세기): "E1" 사원은 현재 폐허가 되었다. 이 양식은 다낭의 참 조각 박물관에 소장된 받침대와 고창 2개의 예술 작품으로 표현된다.
- 호아라이 양식 (9세기 초): 미선 A2, C7, F3에서 나타나는 양식으로, 9세기 초의 호아라이 양식과 유사하다.
- 동즈엉 양식 (9세기 후반): 미선 A10, A11-13, B4, B12에 반영되어 있다. 9세기 도시이자 불교 사원인 인드라푸라가 있던 베트남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사원 유적지는 대부분 파괴되었지만, 20세기 초 프랑스 학자들이 유적지 배치와 건물 배치를 도표로 만들었다. 이 양식의 인상적인 조각 작품 다수가 베트남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 미선 A1 양식 (10세기): 미선 B5, B6, B7, B9, C1, C2, C5, D1, D2, D4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미선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양식으로, 우아함과 기품으로 유명하다. 이 양식의 이름을 딴 가장 중요한 건축물 "A1"은 대부분 폐허가 되었다. 흙더미 중앙에 흰색 받침대가 있고, 주변은 돌무더기와 벽 윤곽으로 둘러싸여 있다. 일본 연구원들이 제작한 이 사원의 축척 모형과 정면도식도가 다낭의 참 조각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 양식의 나머지 건물 중 가장 인상적인 것은 창고 B5로, 안장 모양 지붕이 특징이다. 미선 A1 양식은 인근 마을 쯔어 끼에우가 역사적인 참파 도시 심하푸라의 부지일 수 있기 때문에 쯔어 끼에우 양식으로도 알려져 있다.[32] 이 양식의 많은 건축 장식품이 참 조각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과도기적 양식 (11세기 초~12세기 중반): 미선 E4, F2, K군 유적에서 나타난다.
- 빈딘 양식 (11세기 말~13세기 초): 빈딘성 비자야로 참파 정치 중심지가 미선 주변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면서 나타난 양식이다. 미선 B1, G군, H군에서 나타난다.
건축물은 굽타 왕조 양식과 앙코르 왕조 선 앙코르 시대의 영향을 받았다. 시멘트나 회반죽 등의 접착제를 사용한 흔적이 없어 당시 참파인의 기술력을 엿볼 수 있다. 참족 전승에 따르면, 참파 조각 및 건탑 장인 대부분은 징용 노동자로 동원된 산악 민족이었다. 주변에 사는 산악 민족 카투족은 현재에도 유명한 목조각 장인을 배출하고 있다.
3. 2. 주요 건물 유형
4. 고고학
미선 유적은 참파 왕국의 종교였던 힌두교 시바 파의 성역으로, 꽝남성 주이쑤옌현 미선 계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유적에서는 산스크리트어와 고대 참어로 기록된 비문들이 발견되어 참파 왕국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43]
미선 유적에 현존하는 70여 개의 사원과 무덤은 서기 4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비문과 기타 증거에 따르면, 현재는 존재하지 않지만 그 이전인 4세기부터 건축물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5]
1898년 프랑스인 Camille Michel Paris|카미유 미셸 파리프랑스어에 의해 재발견된 이후,[21] 1904년 극동 프랑스 학교(EFEO) 회원들이 미선 유적의 비문, 건축, 예술을 연구하여 초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앙리 파르망티에는 미선 유적에 대한 설명을 제공했고, 루이 피노는 그곳에서 발견된 비문을 발표했다.[22]
건축물은 굽타 왕조 양식과 앙코르 왕조 선 앙코르 시대의 영향을 받았으며, 시멘트나 회반죽 등의 접착제를 사용한 흔적이 없어 당시 참파인의 기술력이 높았음을 보여준다.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 공군 B-52의 폭격으로 대부분의 유적이 파괴되었으나, 베트남 전쟁 이후 폴란드 문화재 보호 아틀리에(PKZ) 등에 의해 보강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이탈리아 팀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2005년 3월에는 일본 국제 협력 기구의 기술 협력으로 미선 유적 전시관이 완공되었다.
4. 1. 비문
참파 사람들이 산스크리트어와 고대 참어로 기록을 남겼다는 사실은 미선 유적에서 발견된 비문을 통해 알 수 있다. 이들은 큰 잎과 같이 썩기 쉬운 재료에 글을 쓰기도 하고, 돌에 비문을 새기기도 했다. 인도에서 차용한 문자를 사용했다.[38] 썩기 쉬운 재료에 쓰여진 기록은 남아있지 않지만, 수많은 석비가 보존, 필사, 번역되어 현대 언어로도 접할 수 있다.참파의 중요한 비문들은 대부분 비석에 새겨져 있다. 비석은 비문을 새길 목적으로 세워진 돌 판이나 기둥을 의미한다. 미선 유적에서는 5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제작된 약 32개의 비석이 발견되었다.[39]
이 비문들의 내용은 대부분 정치적, 종교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왕이나 고위 권력자들이 자신의 정당성과 신과의 관계를 확인하려는 관점에서 쓰여졌다. 많은 비문이 신에게 바쳐진 선물(토지, 사람, 보물 등)이나 신에게 헌정된 건립(사원, 제단, 받침대 등)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40]
또한 비문은 국가의 이름(산스크리트 비문에서는 ''Campadesa'', 참 비문에서는 ''nagara Campa'')과 중요한 도시들의 이름(''Simhapura'' (사자 도시), ''Virapura'' (기사 도시), ''Rajapura'' (왕의 도시), ''Vijaya'' (승리))과 같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몇몇 비문들은 12세기에 참파와 캄보디아 사이의 지속적인 전쟁과 같은 흥미로운 역사적 사건을 암시하거나 묘사하기도 한다.[40]
미선 유적에서 발견된 초기 비문 중 하나는 바드라바르만 1세가 미선 계곡 전체를 바드레슈바라에게 헌정했음을 나타내는 석주 비문이다. 이 비문에서 바드라바르만 왕은 후계자들에게 "나를 불쌍히 여겨 내가 준 것을 파괴하지 말라"고 호소하며 윤회와 업의 교리를 통해 자신의 재단을 유지할 것을 당부했다.[8][9]
삼부바르만 왕 시대의 비석은 삼부-바드레스와라가 세상의 창조자이자 죄의 파괴자이며, "참파 왕국에 행복을 가져다주기를" 바란다고 기록했다.[11] 또한 왕을 칭찬하며 "밤을 밝히는 지상의 태양과 같다"고 묘사했다.[12]
프라카사다르마 왕이 세운 비석은 환생으로 이어지는 업의 씨앗을 극복하기 위해 신을 왕으로 세운 것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비석은 왕의 조상을 밝히고 참파 통치자들의 계보를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이사나바르만 1세라는 캄보디아 왕을 언급하고 캄보디아 왕들처럼 나가 공주 소마에게서 자신의 계보를 추적했다.[17]

5. 현대의 보존 노력
베트남 정부, 유네스코, 국제기구, 그리고 여러 국가의 지원으로 미선 유적의 복원 및 보존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인도 정부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2.25억달러를 투입하여 A, H, K 사원군 복원을 완료하였다.[26][27] 이는 인도와 베트남 간의 역사적 연결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베트남 문화부는 유적지 유지 관리에 약 440000USD를 할당했다.[25] 유네스코는 이탈리아 정부와 일본의 지원을 받아 추가적인 훼손을 막기 위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세계 문화 유산 기금도 이러한 노력을 지원하고 있다.
베트남 전쟁 이후, 폴란드 문화재 보호 아틀리에(PKZ)의 카지미에슈 크비아트코프스키와 베트남 문화 정보성 문화재 수복 공사의 호앙 다오 킨 등이 유적 보강 작업을 진행했다.[24] 일본의 도요타 재단과 미국의 월드 모뉴먼트 워치 재단의 지원도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이탈리아 팀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2005년 3월에는 일본 국제 협력 기구의 기술 협력으로 미선 유적 전시관이 완공되었다.
6. 갤러리
7. 등록 기준 (유네스코 세계유산)
미선 유적은 다음의 세계 유산 등록 기준을 충족한다.
참조
[1]
웹사이트
KINGDOM OF CHAMPA
https://web.archive.[...]
2012-05-29
[2]
서적
Champa and the Archaeology of Mỹ Sơn
[3]
서적
My Son Relics
[4]
웹사이트
My Son, Vietnam
https://web.archive.[...]
Global Heritage Fund
[5]
웹사이트
My Son Sanctuary
https://whc.unesco.o[...]
[6]
서적
The Champa Kingdom
[7]
서적
My Son Relics
[8]
서적
The Champa Kingdom
White Lotus Co., Ltd.
[9]
서적
My Son Relics
[10]
서적
Early Mainland Southeast Asia
River Books Co., Ltd.
[11]
서적
My Son Relics
[12]
서적
The Champa Kingdom
[13]
서적
The Champa Kingdom
[14]
논문
Les inscriptions de Mi-Son
[15]
서적
The Champa Kingdom
[16]
서적
My Son Relics
[17]
서적
My Son Relics
[18]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
서적
My Son Relics
[20]
서적
My Son Relics
[21]
서적
My Son Relics
[22]
논문
Les monuments du Cirque de Mi-Son; M.L. Finot, "Les inscriptions de Mi-Son."
[23]
웹사이트
The amazing story of My Son Sanctuary
https://www.visitqua[...]
visitqnam
2024-05-11
[24]
웹사이트
Kazimierz Kwiatkowski, Remembering an Extraordinary Man
http://www.hanoi.msz[...]
2023-08-14
[25]
URL
http://www.mea.gov.i[...]
2024-08
[26]
웹사이트
Mỹ Sơn heritage site restoration project: Evidence of Việt Nam-India friendship
https://vietnamnews.[...]
[27]
웹사이트
Dự án trùng tu Khu Đền tháp Mỹ Sơn – Biểu tượng của tình hữu nghị Việt Nam - Ấn Độ
https://icd.gov.vn/d[...]
[28]
서적
Vestiges of Champa Civilization
[29]
서적
My Son Relics
[30]
서적
My Son Relics
[31]
서적
My Son Relics
[32]
논문
Les inscriptions de Mi-Son
[33]
논문
Les inscriptions de Mi-Son
[34]
웹사이트
Myson map Index
https://web.archive.[...]
2023-08-14
[35]
서적
My Son Relics
[36]
서적
My Son Relics
[37]
서적
My Son Relics
[38]
서적
My Son Relics
[39]
서적
My Son Relics
[40]
서적
My Son Relics
[41]
웹인용
KINGDOM OF CHAMPA
https://web.archive.[...]
2017-12-08
[42]
서적
Champa and the Archaeology of Mỹ Sơn
[43]
웹사이트
유네스코 - 역사적 배경
http://heritage.unes[...]
2017-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