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쓰비시 디그니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쓰비시 디그니티는 미쓰비시 자동차 공업이 생산한 고급 세단으로, 1999년부터 2001년까지 1세대 모델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2세대 모델이 판매되었다. 1세대는 현대자동차와 공동 개발한 프라우디아의 리무진 버전으로, 전륜구동 방식과 판매 부진으로 인해 단종되었다. 2세대는 닛산 시마를 OEM 방식으로 공급받아 판매되었으며, 하이브리드 모델로 출시되었으나 판매 부진으로 인해 단종되었다. 두 모델 모두 일본 왕실 의전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쓰비시 자동차 공업 - 미쓰비시 GTO
    미쓰비시 GTO는 미쓰비시 자동차가 1990년부터 2001년까지 생산한 2+2 시트 스포츠카로, 3.0리터 V6 엔진, 4륜 구동 및 조향 시스템 등 첨단 기술과 시대를 앞선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며 닷지 스텔스라는 이름으로 OEM 공급되기도 했다.
  • 미쓰비시 자동차 공업 - 미쓰비시 델리카
    미쓰비시 델리카는 1968년부터 미쓰비시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다목적 차량으로, 밴, 트럭, 코치 등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었으며, 해외에서는 L300 등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현대 포터로도 생산되었다.
  • 1999년 도입된 자동차 - BMW X5
    BMW X5는 BMW가 1999년에 출시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생산되었으며 고성능 버전인 X5 M도 존재한다.
  • 1999년 도입된 자동차 - 현대 에쿠스
    현대 에쿠스는 현대자동차가 1999년부터 2015년까지 생산한 고급 세단으로, 미쓰비시 자동차와의 협력으로 개발되어 대한민국 고급차 시장에서 경쟁했으며, 수출 시장에서는 센테니얼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도 했고, 1세대 모델은 전륜구동, 2세대 모델은 후륜구동 방식에 리무진 모델도 출시되었으나 2015년 12월 제네시스 G90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 미쓰비시 자동차의 차종 - 미쓰비시 GTO
    미쓰비시 GTO는 미쓰비시 자동차가 1990년부터 2001년까지 생산한 2+2 시트 스포츠카로, 3.0리터 V6 엔진, 4륜 구동 및 조향 시스템 등 첨단 기술과 시대를 앞선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며 닷지 스텔스라는 이름으로 OEM 공급되기도 했다.
  • 미쓰비시 자동차의 차종 - 미쓰비시 델리카
    미쓰비시 델리카는 1968년부터 미쓰비시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다목적 차량으로, 밴, 트럭, 코치 등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었으며, 해외에서는 L300 등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현대 포터로도 생산되었다.
미쓰비시 디그니티 - [자동차]에 관한 문서
차량 개요
차종대형 고급차
차체 형태4도어 리무진 (1999–2001)
4도어 세단 (2012–2016)
생산 및 제조
제조사미쓰비시 자동차 (1999–2001)
닛산 자동차 (2012–2016)
생산 기간1999–2001
2012–2016
구동 방식
엔진 위치 및 구동 방식앞 엔진, 앞바퀴 구동 (1999–2001)
앞 엔진, 뒷바퀴 구동 (2012–2016)
관련 차종
관련 차종미쓰비시 프라우디아
이전 차종
이전 차종미쓰비시 데보네어
모델 연혁
1세대1999-2001
2세대2012-2016
차 이름
로마자 표기Mitsubishi Diguniti

2. 1세대 (1999년~2001년)



1세대 미쓰비시 디그니티는 현대자동차와 미쓰비시자동차공업이 공동 개발한 프라우디아의 스트레치드 리무진 버전이다. 현대 에쿠스 리무진(1세대)과 형제차이며, 2000년 2월에 출시되었다.

닛산 프레지던트, 토요타 셀시오, 토요타 센추리와 경쟁하기 위해 출시되었으며, 8A80 4,498cc V8 엔진을 탑재하고, 맥퍼슨 스트럿 (전륜), 멀티 링크 서스펜션 (후륜)을 사용했다. 또한,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을 탑재했다.

하지만, 전륜구동 방식, 미쓰비시 자동차 공업의 리콜 은폐 문제, 일본의 경기 침체(잃어버린 10년) 등의 영향으로 판매 부진을 겪었다. 1999년 15대, 2000년 42대, 2001년 2대 등 총 59대만 생산되어 매우 희귀한 모델이 되었으며, 2001년 단종되었다.

아키시노노미야가 사용한 차로도 알려져 있다.[12]

2. 1. 개발 배경 및 특징

현대자동차와 미쓰비시자동차공업이 공동 개발한 프라우디아의 리무진 버전으로, 2000년 2월에 출시되었다. 현대자동차에서는 현대 에쿠스 리무진(1세대)으로 판매되었다. V8 4,500cc 엔진과 5단 자동변속기를 조합했지만, 고급차에 어울리지 않는 전륜구동 방식과 출시 후 미쓰비시 자동차 공업의 리콜 은폐 문제, 헤이세이 불황으로 인한 일본 내 대형차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판매량이 매우 저조했다. 1999년 15대, 2000년 42대, 2001년 2대 등 총 59대만 생산되어, 일본 자동차 중 한정 판매 차종을 제외하면 가장 적게 생산된 모델이다.[14] 결국 2001년 생산 공장 폐쇄와 함께 프라우디아와 함께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었다.

디그니티는 닛산 프레지던트, 토요타 셀시오, 토요타 센추리의 경쟁 모델로 출시되었지만, 횡 배치 엔진에 전륜구동 방식을 선택했다. 1세대 디그니티는 8A80 4,498 cc GDi V8 엔진을 탑재하여 206kW의 출력과 412Nm의 토크를 냈다.[1] 프라우디아의 외부 치수를 확장하여 뒷좌석 공간을 넓혔고, 지붕선은 10mm 높이고 휠베이스는 250mm 늘렸다. 앞 서스펜션에는 맥퍼슨 스트럿, 뒷바퀴에는 멀티 링크 서스펜션을 사용했다. 또한, CCD 카메라를 이용한 차선 이탈 경고 및 사각 지대 감지 시스템, 라이다 활성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자동 수평 조절 서스펜션 멀티 링크 에어 서스펜션에 전자식 댐핑 제어 등 운전자 지원 시스템이 장착되었다.[2]

아키시노노미야가 1세대 디그니티를 사용하기도 했다.[12]

미쓰비시 디그니티 (1세대) 제원
항목내용
판매 기간2000년 2월 ~ 2001년 3월
엔진8A80 4.5L V8 DOHC 32밸브(GDI)
최고 출력280ps/5,000rpm
최대 토크42.0kg・m/4,000rpm
변속기5단 AT
서스펜션F 맥퍼슨 스트럿
R 멀티링크
구동 방식FF
전장5335mm
전폭1870mm
전고1485mm
휠베이스3080mm


2. 2. 판매 부진 및 단종

현대자동차와 미쓰비시자동차공업이 공동 개발한 프라우디아의 차체를 늘린 스트레치드 리무진 버전인 미쓰비시 디그니티는 2000년 2월에 출시되었다. 일본 내 출시 당시 가격은 999만 엔이었다. 그러나 고급차에 어울리지 않는 전륜구동 방식, 미쓰비시 자동차 공업의 리콜 은폐 문제, 헤이세이 불황으로 인한 일본 내 대형차 수요 감소 등의 이유로 판매 부진을 겪었다.[13]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총 59대만 생산되었는데, 이는 일본에서 생산된 자동차 중 한정 판매 차종을 제외하면 가장 적은 생산량이다.[14]

연간 생산 대수(연도별)
연도제조 대수[15]판매 대수[16]
19991511
20004245
200123
59대



결국 2001년에 생산되던 오에 공장이 폐쇄되면서 프라우디아와 함께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었다.

2. 3.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 사용

1세대 디그니티는 상황 아키히토의 둘째 아들인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가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아키시노노미야 가의 공용차로 궁내청에 납품된 실적이 있으며,[12] 2020년에 아키시노노미야가 황사가 된 후에도 부부 전용차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12]

3. 2세대 (2012년~2016년)

미쓰비시 디그니티 정측면


미쓰비시 디그니티 후측면


미쓰비시자동차공업은 고급 승용차 라인업 확대를 위해 닛산 자동차와 협약을 맺고 시마를 OEM 방식으로 공급받아 미쓰비시 엠블럼과 디그니티 차명을 붙여 판매했다.[17][18][19] 하지만 판매 부진으로 2016년 12월프라우디아와 함께 후속 없이 단종되었다.

2세대 디그니티는 5세대 닛산 시마를 바탕으로 2012년 4월 26일부터 일본에서 판매되었다.[8] 이전 세대와 마찬가지로 아키시노 일본 왕실에서 의전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2세대 디그니티는 이전 모델보다 200kg 가볍고, 일본에서 판매된 최초의 하이브리드 미쓰비시 자동차 모델이다. 2005년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하여 이전 모델 대비 75% 감소율을 달성했으며, 2003년 일본 정부 연비 기준도 충족했다. VQ35HR V6 엔진 한 가지만 제공되었지만, "Pure Drive/Hybrid" 배지는 없었고, 외관은 시마와 달랐다. "VIP" 단일 트림 패키지로만 제공되었고, CarWings GPS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포함되었다.[9]

3. 1. 개발 배경 및 특징

미쓰비시자동차공업은 고급 승용차 라인업 확대를 위해 닛산 자동차와 협약을 맺었다. 닛산 자동차경자동차 기반 순수 전기차인 i MIEV를 OEM 방식으로 공급하는 대신, 푸가의 하이브리드 롱 휠베이스 버전인 시마를 OEM 방식으로 공급받았다. 여기에 미쓰비시 엠블럼과 디그니티 차명을 부착하여 판매하였다.[17][18][19]

2세대 디그니티는 5세대 닛산 시마를 기반으로 하며, 후륜구동 방식을 채택했다.[8] 이전 세대와 마찬가지로 아키시노 일본 왕실에서 의전 차량으로 사용되었다.[8]

2세대 디그니티는 이전 모델보다 약간 높지만, 더 좁고 짧으며, 무게는 200kg 가볍다. 일본에서 판매된 최초의 하이브리드 미쓰비시 모델로, 2005년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하여 이전 모델 대비 75% 감소율을 달성했으며, 2003년 일본 정부 연비 기준도 충족했다.[19]

VQ35HR V6 3.5L 가솔린 하이브리드 엔진과 7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했다. 외관은 시마와 차별화되었으며, "Pure Drive/Hybrid" 배지는 부착되지 않았다. 시마에서 가져온 격자형 후면 전동식 스크린 등 다양한 항목이 제공되었다. "VIP"라는 단일 트림 패키지로만 제공되었으며, 이는 시마의 VIP G 트림에 해당한다.[9] 4륜구동 시스템은 제공되지 않았으며, CarWings GPS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포함되었다.

디그니티는 판매 부진으로 2016년 12월프라우디아와 함께 후속 없이 단종되었다.[19]

등급판매 연도엔진 형식엔진배기량최고 출력최대 토크변속기연비가격
VIP2012년 7월 - 2016년 11월VQ35HRV형 6기통 DOHC 24밸브3,498cc엔진: 306ps/6,800rpm
모터: 68ps
엔진: 35.7kg・m/5,000rpm
모터: 27.5kg・m
7단 자동 변속기(7AT)16.6km/l8640000JPY


3. 2. 판매 부진 및 단종

미쓰비시자동차공업은 고급 승용차 라인업 확대를 위해 닛산 자동차와 협약을 맺었다. 닛산 자동차경자동차 기반 순수 전기차 i MIEV를 OEM 공급하는 대신, 푸가의 하이브리드 롱 휠베이스 버전인 시마를 OEM 방식으로 공급받았다. 이 차량은 미쓰비시 엠블럼과 디그니티 차명을 붙여 판매되었다. 그러나 판매 부진으로 2016년 12월프라우디아와 함께 후속 없이 단종되었다.[17][18][19]

2세대 디그니티는 2012년 4월 26일에 발표되었고, 같은 해 7월 26일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1세대 모델에 비해 전고는 높아졌지만 전장과 전폭은 짧아졌고, 차량 중량은 200kg 경량화되었다. 일본 내 미쓰비시 최초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연비 기준을 충족했다. 닛산 시마(HGY51)를 기반으로 엠블럼과 전면 디자인을 변경했지만, 전면 디자인은 프라우디아와 공통된 디자인을 적용했다.

2016년 11월, 2세대 디그니티는 한 번도 개선되지 않은 채 프라우디아와 함께 판매가 종료되었고, 공식 웹사이트에서도 삭제되었다. 미쓰비시가 독자적으로 실시하는 특별 보증 제도 대상에서도 제외되었다.[20]

연간 판매 대수[21] (연도별)
연도판매 대수[22]
201261
2013119
201413
201514
20167
합계214대


3. 3.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 사용

2세대 디그니티는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 친왕이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참조

[1] 간행물 Proudia & Dignity: Luxury sedan and limousine models http://www.mitsubish[...] Mitsubishi Motors 1999-12-20
[2] 논문 Mitsubishi's new flagships http://www.sae.org/a[...] 2000-03
[3] 간행물 MMC Announces New Management Organization, Details Major Progress in http://media.mitsubi[...] Mitsubishi Motors Corporation 2001-03-28
[4] 웹사이트 Future Vehicles Preview: 2008 Hyundai Equus Large Sedan https://web.archive.[...] Inside Line, edmunds.com 2006-07-15
[5] 논문 Facts & Figures 2002 https://www.mitsubis[...] Mitsubishi Motors Corporation 2002-09
[6] 문서 "Facts & Figures 2002"
[7] 웹사이트 Mitsubishi Dignity VIP https://carfromjapan[...] 2021-04-06
[8] 웹사이트 http://gazoo.com/car[...] Toyota Motor Corporation
[9] 서적 週刊 日本の名車 K.K. DeAgostini Japan 2015-06-16
[10] 간행물 「プラウディア」「ディグニティ」 http://www.mitsubish[...] 三菱自動車工業 1999-12-20
[11] 웹사이트 三菱 ディグニティ (初代 2000-2001):センチュリーなどへの対抗馬として登場するもごく短命に [S43A] https://b-cles.jp/ca[...] 2019-11-23
[12] 웹사이트 秋篠宮夫妻が「傷だらけの公用車」に乗り続ける理由とは https://www.news-pos[...] ポストセブン 2020-11-28
[13] 문서
[14] 웹사이트 三菱自動車ファクトブック http://www.mitsubish[...] 三菱自動車 2002-09
[15] 논문 Facts & Figures 2002 https://www.mitsubis[...] Mitsubishi Motors Corporation 2002-09
[16] 문서 "Facts & Figures 2002"
[17] 간행물 今夏発売予定の高級セダン、車名を『プラウディア』に決定 http://www.mitsubish[...] 三菱自動車工業 2012-04-26
[18] 간행물 今夏発売予定の最高級セダン、車名を『ディグニティ』に決定 http://www.mitsubish[...] 三菱自動車工業 2012-05-16
[19] 간행물 高級セダン『プラウディア』及び最高級セダン『ディグニティ』を新発売 http://www.mitsubish[...] 三菱自動車工業 2012-07-04
[20] 웹사이트 最長10年10万km特別保証延長 http://aichaku.jp/me[...] 三菱自動車 愛着力サイト
[21] 문서
[22] 웹사이트 FACTS & FIGURES 2017 https://www.mitsubis[...] 三菱自動車 2024-08-11
[23] 웹사이트 車名の意味・由来 http://www.mitsubish[...] 三菱自動車工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