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즈누마 다카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즈누마 다카시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 및 지도자이다. 1979년 FIFA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에서 일본 U-20 대표팀으로 출전하여 골을 기록했고, 1984년부터 1989년까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32경기 7골을 기록했다. 클럽 선수로서는 닛산 자동차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서 활약하며 여러 차례 우승을 경험했으며, 2006년에는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감독을 역임했다. 은퇴 후에는 축구 해설가 및 지도자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축구 감독 - 해리 큐얼
    해리 큐얼은 호주 국적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호주 국가대표팀에서 58경기 17골을 기록하고 OFC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리즈 유나이티드, 리버풀 등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요코하마 F. 마리노스 감독을 역임했다.
  •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축구 감독 - 오스발도 아르딜레스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인 오스발도 아르딜레스는 선수 시절 미드필더로 1978년 FIFA 월드컵 우승에 기여했고, 토트넘 홋스퍼 FC에서 활약하며 사랑받았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클럽과 J리그 팀들을 지도했다.
  • 사이타마시 출신 - 후루야 미노루
    후루야 미노루는 일본의 만화가로, 개그 만화로 데뷔하여 사춘기 청소년의 심리적 갈등과 사회 부조리를 묘사하는 작품들을 발표했으며, 이토 준지의 영향을 받은 그로테스크한 묘사와 사회 비판적 시각이 특징이다.
  • 사이타마시 출신 - 아베 도시유키
    아베 도시유키는 1995년부터 2010년까지 일본 프로 축구 선수로 활동하며 가시마 앤틀러스,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등에서 뛰었고, 은퇴 후 지도자로서 아벤투라 사이타마 코치, 나고야 경제 대학 축구부 감독, 하야부사 일레븐 감독 등을 역임했다.
  • 호세이 대학 동문 - 스가마타 데쓰오
    스가마타 데쓰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수비수로 활약하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23경기에 출전했고, 히타치 제작소 축구부에서 선수 생활을 하며 1980년과 1982년 일본 사커 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는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출전했다.
  • 호세이 대학 동문 - 최대교
    최대교는 일제강점기 검사로 시작해 해방 후 검사장, 변호사로 활동한 법조인으로, 4·19 혁명 후 부정선거 및 발포 책임자들을 기소하고 검찰 내 부정부패 척결에 힘썼으며, 퇴직 후 변호사로서 인권 옹호에 기여하며 '청렴 검사'로 불렸다.
미즈누마 다카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미즈누마 다카시
로마자 표기Mizunuma Takashi
별칭타카시, 지지미즈누마
출생일1960년 5월 28일
출생지사이타마시우라와구 (구 우라와시), 사이타마현
신장173cm
포지션FW / 미드필더
주발오른발
유소년 클럽
1976-1978우라와 시립 미나미 고등학교
1979-1982호세이 대학
선수 경력
1983-1995닛산 자동차/요코하마 마리노스
출전/득점203/38
총 출전/득점203/38
국가대표 경력
1979일본 U-20
출전/득점3/1
1984-1989일본
출전/득점32/7
감독 경력
2006요코하마 F. 마리노스
수상 내역
닛산 자동차 / 요코하마 마리노스일본 사커 리그 우승 (1988/89, 1989/90)
일본 사커 리그 준우승 (1983, 1984, 1990/91, 1991/92)
J1리그 우승 (1995)
JSL컵 우승 (1988, 1989, 1990)
JSL컵 준우승 (1983, 1985, 1986)
천황배 우승 (1983, 1985, 1988, 1989, 1991, 1992)
천황배 준우승 (1990)

2. 선수 경력

호세이 대학 졸업 후 1983년 닛산 자동차(훗날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닛산 자동차 시절에는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하며 천황배, JSL, JSL컵 등 국내 주요 대회 우승을 여러 차례 경험했고, 특히 2년 연속 3관왕 달성에 기여했다.[3] J리그 출범 이후에도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소속으로 뛰며 아시안 컵 위너스 컵 2연패와 천황배 우승 등을 이끌었으며,[12] 1995년 현역에서 은퇴했다.[21]

국가대표팀에서는 대학 시절인 1979년 일본에서 열린 1979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으며, 1984년 일본 성인 대표팀에 데뷔했다. 같은 해 대한민국과의 원정 경기에서 결승골을 넣어 일본의 사상 첫 대한민국 원정 승리를 이끌었다.[5][6] 이후 1986년 월드컵 아시아 예선,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1990년 월드컵 아시아 예선 등 주요 국제 대회 예선에 참가했으며, 1989년까지 A매치 통산 32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기록했다.[1]

2. 1. 클럽 경력

호세이 대학 졸업 후 1983년 닛산 자동차(훗날 요코하마 마리노스)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입단 초기 감독 가모 슈의 선수 기용 변화로 오른쪽 윙 주전 자리를 확보했다.[3]

닛산 자동차 시절, 미즈누마는 카네다 요시노리, 기무라 카즈시 등과 함께 팀의 황금기를 이끌며 천황배, JSL, JSL컵 등 국내 주요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경험했고, 특히 2년 연속 3관왕 달성에 기여했다.

J리그 출범 이후에도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소속으로 활약하며 아시안 컵 위너스 컵 2연패와 천황배 우승 등을 경험했다. 1995 시즌 리그 개막전에 출전한 것을 마지막으로[20] 그해 7월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21]

2. 1. 1. 닛산 자동차 (1983-1992)

호세이 대학 졸업 후, 1983년 닛산 자동차(후에 요코하마 마리노스)에 입단했다. 당시 팀의 주된 오른쪽 윙은 일본 대표팀의 기무라 카즈시였으나, 가모 슈 감독이 기무라를 공격형 미드필더로 기용하면서 미즈누마가 오른쪽 윙 주전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3] 1983년과 1985년 천황배 우승을 시작으로, 1988-89 시즌과 1989-90 시즌에는 JSL, JSL컵, 천황배를 모두 제패하는 2년 연속 3관왕 달성에 크게 기여했다. 이 시기 미즈누마는 카네다 요시노리, 기무라 카즈시와 함께 닛산의 황금기를 구축했다. 1989년 정월, 제68회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는 후지타 공업을 상대로 선제골을 넣어 팀의 우승을 도왔다.

1990년대에 들어서도 1990년 JSL컵, 1991년 천황배, 1992년 천황배 우승 트로피를 추가했다. 아시아 무대에서는 1991-92 시즌과 1992-93 시즌 아시안 컵 위너스 컵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미즈누마는 J리그 이외의 각 카테고리(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사회인) 전국 대회에서 우승을 경험한 몇 안 되는 선수 중 한 명이다.

1991년, 이전까지 주전으로 활약했지만 리그 전반기 팀 성적이 부진하자, 후반기에는 오스카 감독의 결정으로 벤치 멤버가 되는 경우도 있었다.[4]

2. 1. 2. 요코하마 마리노스 (1992-1995)

1991-92 시즌과 1992-93 시즌 아시안 컵 위너스 컵에서 2년 연속 우승을 경험했다. 또한 1992년 천황배에서도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1993년 1월, 제72회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 요미우리전에서 선제골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12] 같은 해 5월 15일 열린 J리그 역사적인 개막전(베르디 가와사키전)에 선발 출전하여, 마리노스의 결승골로 이어진 결정적인 슛을 날리는 등 팀 승리에 공헌했다.[13] 11월 17일, 세컨드 스테이지 제13절 감바 오사카전에서 J리그 데뷔골을 기록했고,[14] 이어진 11월 21일 제14절 산프레체 히로시마전에서는 결승골을 넣어 2경기 연속 득점을 올렸다.[15] 12월 1일 제16절 나고야 그램퍼스전에서 기록한 골은 J리그 통산 500호 기념 골이 되었다.[16]

1994년에는 시즌 제4절 베르디전에서 골을 넣어 팀 승리에 기여했고,[17] 제7절 제프 이치하라전에서도 골을 기록했으나, 이 골이 그의 현역 마지막 득점이 되었다.[18] 시즌 후반기(세컨드 스테이지)부터는 주전 경쟁에서 밀려 벤치에서 시작하거나 아예 명단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아졌고, 해당 시즌 15경기 출전 2득점에 그쳤다.

1995년, 선수 본인의 희망에 따라 구단과 반년 계약을 맺었다.[19] 1st 스테이지 개막전인 가시마 앤틀러스전에 선발 출전하여 51분간 뛰었지만, 이 경기가 그의 현역 마지막 공식 경기가 되었다.[20] 이 경기에서 부상을 당한 데다, 당시 감독이었던 호르헤 소라리 체제 하에서 더 이상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이후 부임한 하야노 히로시 감독으로부터 은퇴를 권유하는 듯한 발언을 듣고, 마리노스 선수로서 은퇴하고 싶다는 본인의 의지가 더해져 은퇴를 결심하게 되었다.[20] 1995년 7월 30일, 팀 동료 기무라 카즈시의 은퇴 경기에 출전했는데, 이 경기는 미즈누마에게도 사실상의 은퇴 경기가 되었고,[21] 다음 날인 7월 31일, 그는 공식적으로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21] 공교롭게도 그가 은퇴한 1995년, 요코하마 F. 마리노스는 산토리 시리즈(1st 스테이지)에서 우승하고 J리그 챔피언십에서 베르디 가와사키를 꺾으며 J리그 출범 이후 첫 연간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2. 2. 국가대표팀 경력

호세이 대학 재학 중이던 1979년 8월, 일본 U-20 대표팀에 발탁되어 일본에서 개최된 1979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그는 조별 리그 3경기에 모두 출전했으며, 멕시코와의 최종전에서 팀의 유일한 득점을 기록했다.

1984년 4월, 198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을 위해 일본 국가대표팀에 처음 소집되었다. 같은 해 4월 18일, 말레이시아를 상대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1984년 9월 30일 대한민국과의 정기전에서는 A매치 첫 골을 기록했는데, 이는 결승골이 되어 일본이 원정에서 처음으로 대한민국을 꺾는 역사적인 승리에 기여했다.[5][6]

이후 1986년 월드컵 아시아 예선, 198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1990년 월드컵 아시아 예선 등 주요 국제 대회 예선에 꾸준히 출전했다.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는 1차 예선 싱가포르전에서 선제 결승골[7], 2차 예선 홍콩과의 1차전에서 골을 기록하며[8] 최종 예선 진출에 기여했다. 그러나 최종 예선에서 대한민국과의 1차전에 선발 출전했으나 1-2로 패했고, 2차전에서는 명단에서 제외되며 팀은 0-1로 패배하여[9]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1987년 서울 올림픽 예선에서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중국 원정 경기에서 하라 히로미의 결승 헤딩 골(1-0 승리)을 어시스트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본선 진출이 걸린 중국과의 홈 2차전에서 0-2로 패배하며 올림픽 본선 진출은 좌절되었다.[10] 1989년 199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는 북한과의 3차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0-1로 뒤지던 중 동점골을 기록하며 2-1 역전승의 발판을 마련했다.[11]

1989년 8월 4일, 에버턴 FC와의 친선 경기에 출전하여 골을 기록했으며, 이 경기가 그의 마지막 국가대표팀 경기가 되었다. 그는 1989년까지 일본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총 32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기록했다.[1]

3. 지도자 경력

2003년부터 2005년까지 호세이 대학에서 코치로 활동했다.[1]

2006년,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코치로 부임했다. 같은 해 8월, 오카다 타케시 감독의 후임으로 감독직을 맡아 시즌 종료까지 팀을 이끌었다.[1] 2007년에는 다시 코치직으로 복귀했으며,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났다.[1] 2008년부터는 다시 호세이 대학에서 코치를 맡고 있다.[1]

'''감독 시절 성적'''

연도소속클럽리그전컵 대회
순위경기승점승리무승부패배나비스코컵천황배
2006J1요코하마 F. 마리노스9위1522 (45)7174강8강
J1 통산-15-717


  • 2006년은 8월부터 감독직을 수행했다. (괄호 안은 시즌 전체 팀 승점, 나비스코컵은 준결승전만 지휘)[1]

4. 은퇴 후 활동

1996년부터 2006년 1월까지 해설자로서 TBS의 '슈퍼 사커'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현역 선수 시절이던 두 번째 방송에 게스트로 출연한 인연이 있다.) 또한 매주 월요일 JNN 뉴스 노 모리의 '월드 사커 파라다이스' 코너와 낮 시간대 버라이어티 쇼 '저스트'에 월요일 해설자로 참여했다. NBS과 TV 가나가와에서도 축구 해설자로 활동했으며, TV 가나가와에서는 2006년 1월까지 '킥오프 !! F. 마리노스' 프로그램 진행을 맡았다. 2002년 10월부터 2003년 3월까지는 TBS 라디오에서 '미즈누마 다카시의 스포츠 폭격!'을 진행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모교인 호세이 대학교 축구부 코치로 활동하며 후배 양성에 힘썼고, 2004년에는 S급 지도자 자격증을 취득했다.

2006년 2월 1일, 1년 계약으로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코치로 부임하면서 '슈퍼 사커'와 '킥오프 !! F. 마리노스' 출연은 중단되었다. 같은 해 8월 24일, 성적 부진으로 오카다 타케시 감독이 사임하자 감독 대행을 맡았고, 이후 정식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그는 팀의 J2 강등은 막았으나,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천황배 종료 후 사임 의사를 밝혔다. 2007년 다시 요코하마 F. 마리노스 감독을 맡았으나, 1년 만에 물러났다. 그는 마리노스 선수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감독이 된 인물이다.

2008년 2월, 모교인 호세이 대학교 축구부 감독으로 다시 부임했고, 2010년 2월에는 도쿄 23 FC의 기술 고문을 맡았다.

감독직에서 물러난 이후에는 스카이 퍼펙TV!, J 스포츠 등에서 축구 해설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유칸 후지에 '슈큐 7 데이즈', 넘버웹에 '미즈누마 다카시의 나이스 미들!'이라는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2012년 1월 22일 열린 마츠다 나오키 추모 경기에서는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올드 보이즈 팀의 감독을 맡았다.

5. 통계

일본
연도출전
198451
198583
198600
198782
198830
198981
합계327

[1]

클럽 기록리그천황배J리그컵합계
시즌클럽리그출장출장출장출장
일본리그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J리그컵합계
1983닛산 자동차JSL 디비전 1123123
1984178178
1985/86223223
1986/87223223
1987/88227227
1988/89204204
1989/9016242204
1990/9110140141
1991/9220230232
1992요코하마 F. 마리노스J1리그-433073
19932633230325
19941521010172
19951000-10
합계203388518222945


5. 1. 클럽

사이타마시 출신으로, 호세이 대학 졸업 후 1983년 닛산 자동차 (현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 입단했다. 입단 초기에는 같은 포지션에 일본 대표팀의 기무라 카즈시가 있었으나, 가모 슈 감독이 기무라를 공격형 미드필더로 기용하면서 미즈누마는 오른쪽 윙 주전 자리를 확보했다.[3]

닛산 자동차 시절, 그는 팀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1983년과 1985년 천황배 우승에 기여했으며, 특히 1988-89 시즌1989-90 시즌에는 일본 사커 리그, JSL컵, 천황배를 모두 제패하는 2년 연속 3관왕 달성에 핵심 역할을 했다. 이 시기 카네다 노부토시, 기무라 카즈시와 함께 닛산의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1990년대 들어서도 1990년 JSL컵, 1991년 천황배, 1992년 천황배 우승컵을 들어 올렸고, 아시아 무대에서는 1991-92 시즌과 1992-93 시즌 아시안 컵위너스컵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다만 1991년, 팀 성적 부진으로 인해 오스카 감독 체제 하에서 후반기 리그전에는 벤치를 지키는 경우도 있었다.[4]

J1리그 출범 이후에는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소속으로 활약했다. 1993년 1월 1일 열린 제72회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 도쿄 베르디(당시 요미우리)를 상대로 선제골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12] 같은 해 5월 15일, J리그 개막전인 베르디 가와사키와의 경기에도 선발 출전하여 결승골로 이어진 슈팅을 기록하는 등 팀 승리에 기여했다.[13] 11월 17일, 감바 오사카를 상대로 J리그 첫 골을 기록했고,[14] 이어진 11월 21일 산프레체 히로시마전에서는 결승골을 넣어 2경기 연속 득점을 올렸다.[15] 12월 1일 나고야 그램퍼스전에서 기록한 골은 J리그 통산 500호 기념 골이 되었다.[16]

1994년 시즌 초반 베르디 가와사키전과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전에서 골을 기록하며 활약했으나,[17][18] 후반기부터는 출전 시간이 줄어들며 벤치에서 시작하거나 명단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아졌고, 시즌 기록은 15경기 2득점에 그쳤다.

1995년, 자신의 희망에 따라 구단과 반년 계약을 맺었다.[19] 1st 스테이지 개막전인 가시마 앤틀러스전에 선발 출전하여 51분간 뛰었으나, 이 경기가 그의 현역 마지막 공식 경기가 되었다.[20] 이 경기에서 입은 부상과 더불어, 당시 감독이었던 호르헤 소라리 체제 하에서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고, 후임 하야노 히로시 감독으로부터 은퇴를 권유받은 점, 그리고 마리노스 선수로서 은퇴하고 싶다는 개인적인 바람이 더해져 은퇴를 결심했다.[20] 1995년 7월 30일, 기무라 카즈시의 은퇴 경기에 출전했으며, 이 경기는 미즈누마에게도 사실상의 은퇴 경기가 되었다. 다음 날인 7월 31일, 공식적으로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21] 공교롭게도 그가 은퇴한 해에 요코하마 마리노스는 J리그 첫 연간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미즈누마는 뛰어난 기술과 축구 센스를 바탕으로 상대의 허를 찌르는 창의적인 플레이와 드리블 돌파를 주무기로 삼았다.[22][23][24] 중요한 순간에 득점을 올리는 결정력을 갖추었고, 특히 발리슛에 능숙했다.[23]

클럽별 통산 기록리그천황배리그컵합계
시즌클럽리그출장출장출장출장
일본리그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J리그컵합계
1983닛산 자동차JSL 디비전 1123123
1984178178
1985/86223223
1986/87223223
1987/88227227
1988/89204204
1989/9016242204
1990/9110140141
1991/9220230232
1992요코하마 F. 마리노스J1리그-433073
19932633230325
19941521010172
19951000-10
합계203388518222945


5. 2. 국가대표팀

호세이 대학 재학 중이던 1979년 8월, 일본에서 개최된 1979년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일본 U-20 국가대표팀으로 선발되었다. 그는 조별 리그 3경기에 모두 출전했으며, 멕시코와의 최종전에서 득점을 기록했다. 이는 해당 대회에서 일본 대표팀의 유일한 골이었다.

1984년 4월, 1984년 하계 올림픽 예선을 위해 일본 국가대표팀에 처음 발탁되었다. 4월 18일, 말레이시아와의 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같은 해 9월 30일, 서울에서 열린 한일 정기전에서 A매치 첫 골을 기록했는데, 이 골은 결승골이 되어 대한민국 원정에서 일본의 사상 첫 승리(2-1)라는 역사적인 결과를 가져왔다.[5][6]

이후 1986년 월드컵 예선, 1988년 하계 올림픽 예선, 1990년 월드컵 예선 등 주요 국제 대회 예선에 꾸준히 참가했다. 1986년 월드컵 1차 예선 싱가포르전에서는 선제 결승골을 넣었고[7], 2차 예선 홍콩과의 1차전에서도 골을 기록하며[8] 최종 예선 진출에 기여했다. 그러나 최종 예선에서 만난 대한민국과의 1차전에서는 선발 출전했지만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팀은 1-2로 패했으며, 2차전에서는 명단에서 제외된 채 팀이 0-1로 패배하며[9] 월드컵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1987년 서울 올림픽 예선에서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중국 원정 경기에서 하라 히로미의 결승 헤딩골(1-0 승리)을 어시스트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본선 진출이 걸린 중국과의 홈 2차전에서 0-2로 패배하며 올림픽 출전이 좌절되었다.[10] 1989년 1990년 월드컵 1차 예선에서는 북한과의 3차전에 선발 출전하여 0-1로 뒤지던 상황에서 동점골을 넣어 2-1 승리에 기여했다.[11]

미즈누마는 1989년까지 일본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A매치 32경기에 출전하여 7골을 기록했다.[1] 그의 마지막 국가대표팀 경기는 1989년 8월 4일 에버턴 FC와의 친선 경기였으며, 이 경기에서도 골을 기록했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기록'''

연도출장득점
198451
198583
198600
198782
198830
198981
합계327



'''A매치 출전 기록'''

No.날짜장소상대팀결과감독대회
1.1984년 4월 18일싱가포르말레이시아● 1-2모리 다카지올림픽 예선
2.1984년 4월 21일싱가포르이라크● 1-2올림픽 예선
3.1984년 4월 26일싱가포르카타르● 1-2올림픽 예선
4.1984년 5월 31일사이타마현 오미야 공원 축구장중국○ 1-0재팬컵
5.1984년 9월 30일대한민국 서울대한민국○ 2-1한일 정기전
6.1985년 3월 21일도쿄도 국립경기장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0월드컵 예선
7.1985년 4월 30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0월드컵 예선
8.1985년 5월 18일도쿄도 국립경기장싱가포르○ 5-0월드컵 예선
9.1985년 5월 26일도쿄도 국립경기장우루과이● 1-4기린컵
10.1985년 6월 4일아이치현 미즈호 육상 경기장말레이시아○ 3-0기린컵
11.1985년 8월 11일효고현 유니버 기념 경기장홍콩○ 3-0월드컵 예선
12.1985년 9월 22일홍콩홍콩○ 2-1월드컵 예선
13.1985년 10월 26일도쿄도 국립경기장대한민국● 1-2월드컵 예선
14.1987년 5월 27일히로시마현 히로시마 스타디움세네갈△ 2-2이시이 요시노부기린컵
15.1987년 6월 14일싱가포르싱가포르○ 1-0올림픽 예선
16.1987년 9월 2일태국 방콕태국△ 0-0올림픽 예선
17.1987년 9월 15일도쿄도 국립경기장네팔○ 5-0올림픽 예선
18.1987년 9월 18일도쿄도 국립경기장네팔○ 9-0올림픽 예선
19.1987년 9월 26일도쿄도 국립경기장태국○ 1-0올림픽 예선
20.1987년 10월 4일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중국○ 1-0올림픽 예선
21.1987년 10월 26일도쿄도 국립경기장중국● 0-2올림픽 예선
22.1988년 2월 2일오만 무스카트오만△ 1-1요코야마 겐조국제 친선 경기
23.1988년 6월 2일아이치현 미즈호 육상 경기장중국● 0-3기린컵
24.1988년 10월 26일도쿄도 국립경기장대한민국● 0-1한일 정기전
25.1989년 5월 10일도쿄도 니시가오카 축구장중국△ 2-2국제 친선 경기
26.1989년 5월 22일홍콩홍콩△ 0-0월드컵 예선
27.1989년 5월 28일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 0-0월드컵 예선
28.1989년 6월 4일도쿄도 국립경기장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1월드컵 예선
29.1989년 6월 11일도쿄도 니시가오카 축구장인도네시아○ 5-0월드컵 예선
30.1989년 6월 18일효고현 유니버 기념 경기장홍콩△ 0-0월드컵 예선
31.1989년 6월 25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0-2월드컵 예선
32.1989년 7월 23일브라질 리오데자네이루브라질● 0-1국제 친선 경기



'''A매치 득점 기록'''

No.날짜장소상대팀스코어결과대회
11984년 9월 30일대한민국 서울대한민국2-1○ 승리한일 정기전
21985년 5월 18일일본 도쿄싱가포르5-0○ 승리1986년 월드컵 예선
31985년 6월 4일일본, 나고야말레이시아3-0○ 승리기린컵
41985년 8월 11일일본, 고베홍콩3-0○ 승리1986년 월드컵 예선
51987년 6월 14일싱가포르싱가포르1-0○ 승리서울 올림픽 예선
61987년 9월 26일일본, 도쿄태국1-0○ 승리
71989년 6월 4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1○ 승리1990년 월드컵 예선


5. 3. 감독

2006년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코치 보좌로 활동을 시작했다. 같은 해 8월, 오카다 타케시 감독의 후임으로 감독직에 올라 해당 시즌 팀을 이끌었다.[2] 2007년에는 감독직에서 물러나 다시 코치 보좌 역할을 맡았으며, 2007 시즌 종료 후 팀을 떠났다.[2]

감독으로서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시작종료기록
경기
요코하마 F. 마리노스2006200615717
합계15717



리그별 감독 성적은 아래와 같다.

연도리그클럽리그전컵 대회
순위경기승점승리무승부패배J리그컵천황배
2006J1요코하마 F. 마리노스9위1522 (45)7174강8강


  • 2006년은 8월부터 감독직을 수행했으며, 괄호 안의 승점은 시즌 전체 승점이다. J리그컵은 준결승전부터 지휘했다.

6. 수상


  • 제6회 전국 중학교 축구 대회 우승 (1975년) - 우라와 시립 혼타 중학교(현: 사이타마 시립 혼타 중학교)
  • 제55회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976년) - 우라와 시립 미나미 고등학교(현: 사이타마 시립 우라와미나미 고등학교)
  • 제4회, 제6회 총리대신배 전일본 대학 축구 토너먼트 우승 (1980년, 1982년) - 호세이 대학

6. 1. 클럽

사이타마시 출신으로, 본태 소년단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우라와 시립 혼타 중학교(현 사이타마 시립 혼타 중학교) 3학년 때 전국 중학교 축구 대회 우승을 경험했다. 이후 진학한 우라와 시립 미나미 고등학교(현 사이타마 시립 우라와미나미 고등학교)에서는 명장 마츠모토 쿄지 감독의 지도 아래 1학년 때부터 주전으로 활약하며, 전국 고등학교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에서 시즈오카 학원 고등학교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호세이 대학에 진학하여 축구부에 소속되었고, 총리대신배에서 두 차례 우승했다. 팀이 간토 대학 축구 리그 2부로 강등되기도 했으나, 4학년 때 자신의 골로 팀의 1부 리그 복귀를 이끌었다.

대학 졸업 후, 1983년 닛산 자동차 축구부(훗날 요코하마 마리노스, 현 요코하마 F. 마리노스)에 입단했다. 당시 팀의 주된 오른쪽 윙어는 일본 대표인 기무라 카즈시였으나, 가모 슈 감독이 기무라를 공격형 미드필더로 기용하면서 미즈누마가 오른쪽 윙 주전 자리를 확보했다.[3] 입단 첫해인 1983년과 1985년에 천황배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1988-89 시즌과 1989-90 시즌에는 일본 사커 리그(JSL), JSL컵, 천황배를 모두 제패하며 2년 연속 3관왕 달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 시기 카네다 노부토시, 기무라 카즈시와 함께 닛산 자동차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특히 1989년 천황배 결승 후지타 공업전에서는 선제골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미즈누마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그리고 사회인(JSL) 리그까지 모든 카테고리에서 전국 대회 우승을 경험한 보기 드문 선수 중 한 명이다.

1990년대에 들어서도 1990년 JSL컵, 1991년 천황배, 1992년 천황배 우승컵을 들어 올렸으며, 아시아 무대에서는 1991-92 시즌과 1992-93 시즌 아시안 컵 위너스 컵 연속 우승에 기여했다. 그러나 1991년 리그 전반기 팀 성적 부진으로 인해 후반기에는 오스카 감독의 결정에 따라 벤치를 지키는 경우도 있었다.[4]

J리그가 출범한 1993년, 1월 천황배 결승 요미우리전에서 선제골을 넣어 우승에 기여했다.[12] 5월 15일 열린 베르디 가와사키와의 J리그 개막전에서는 선발 출전하여 팀의 결승골로 연결된 슈팅을 날리는 등 승리에 공헌했다.[13] 11월 17일 감바 오사카와의 경기에서 J리그 데뷔골을 기록했고[14], 이어진 11월 21일 산프레체 히로시마전에서는 결승골을 넣어 2경기 연속 득점을 올렸다.[15] 12월 1일 나고야 그램퍼스전에서 기록한 골은 J리그 통산 500호 기념 골이 되었다.[16]

1994년에는 시즌 초반 베르디 가와사키전과 제프 이치하라전에서 골을 기록했지만[17][18], 이것이 현역 마지막 골이 되었다. 시즌 후반기부터는 주로 벤치에서 시작하거나 명단에서 제외되는 등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고, 해당 시즌 15경기 출전 2득점에 그쳤다.

1995년, 본인의 희망에 따라 팀과 반년 계약을 맺었다.[19] 리그 1st 스테이지 개막전인 가시마 앤틀러스전에 선발 출전하여 51분간 뛰었으나, 이 경기에서 부상을 당하며 현역 마지막 공식 경기가 되었다.[20] 이후 호르헤 소라리 감독 체제에서는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고, 후임 하야노 히로시 감독으로부터 은퇴를 권유받은 점, 그리고 마리노스 선수로서 은퇴하고 싶다는 본인의 의지가 더해져 은퇴를 결심했다.[20] 1995년 7월 30일, 기무라 카즈시의 은퇴 경기에 출전하여 사실상의 고별전을 치렀고, 다음 날인 7월 31일 공식적으로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21] 공교롭게도 요코하마 F. 마리노스는 그해 J리그 산토리 시리즈(1st 스테이지)에서 우승하고, J리그 챔피언십에서 베르디 가와사키를 꺾으며 J리그 출범 이후 첫 연간 챔피언 자리에 올랐다.

6. 2. 개인

참조

[1]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2] J리그 J.League Data Site https://data.j-leagu[...]
[3] 웹사이트 代表クラスが6人加入。1983年の日産大補強【連載◎J前夜を歩く第14回】 https://soccermagazi[...] soccermagazine 2020-04-17
[4] 잡지 ストライカー ストライカー 1991-07
[5] 웹사이트 1984.9.30 日韓定期戦 韓国vs日本 http://samuraiblue.j[...] samuraiblue 2020-04-17
[6] 웹사이트 サッカー日韓戦“激闘の歴史” 好ゲームもあれば「猿まね」「独島メッセージ」の問題 https://dot.asahi.co[...] dot.asahi 2021-03-10
[7] 웹사이트 1985 FIFAワールドカップ・アジア予選 日本vsシンガポール http://samuraiblue.j[...] samuraiblue 2020-04-17
[8] 웹사이트 1985 FIFAワールドカップ・アジア予選 日本vs香港 http://samuraiblue.j[...] samuraiblue 2020-04-17
[9] 웹사이트 1985 FIFAワールドカップ・アジア最終予選 韓国vs日本 http://samuraiblue.j[...] samuraiblue 2020-04-17
[10] 웹사이트 1988ソウルオリンピック予選 日本vs中国 http://samuraiblue.j[...] samuraiblue 2020-04-17
[11] 웹사이트 1990 FIFAワールドカップ・アジア1次予選 日本vs北朝鮮 http://samuraiblue.j[...] samuraiblue 2020-04-17
[12] 잡지 サッカーマガジン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3-02-21
[13] 웹사이트 柔らかな左足を駆使したラモン・ディアス https://soccermagazi[...] soccermagazine.jp 2020-04-09
[14] 웹사이트 水沼貴史 http://data.j-league[...] data.j-league 2020-04-09
[15] 웹사이트 Jリーグ ニコスシリーズ第14節 https://data.j-leagu[...] 2024-10-21
[16] 웹사이트 Jリーグ記念ゴール https://data.j-leagu[...] data.j-league 2020-04-09
[17] J리그 94Jリーグサントリーシリーズ 第4節 https://data.j-leagu[...]
[18] J리그 94Jリーグサントリーシリーズ 第7節 https://data.j-leagu[...]
[19] 웹사이트 水沼貴史のJリーグ発足秘話 あえて半年契約の現役ラストイヤーで抱いた想い https://www.theworld[...] ザワールド 2021-03-05
[20] 웹사이트 95Jリーグサントリーシリーズ 第1節 https://data.j-leagu[...] soccermagazine.jp 2020-04-09
[21] 웹사이트 憧れのMF、木村和司と水沼貴史の去り際に 質問がなかったらどうしようかと https://soccermagazi[...] サッカーマガジン
[22] 잡지 サッカーマガジン 1993-05-22
[23] 잡지 別冊サッカーマガジン秋季号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3-11-01
[24] 웹사이트 憧れのMF、木村和司と水沼貴史の去り際に https://soccermagazi[...] サッカーマガジ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