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린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린컵은 1978년 일본 축구 협회가 일본 대표팀 강화를 위해 창설한 국제 축구 대회이다. 초기에는 해외 클럽팀과 국가대표팀이 참가하는 대회였으나, 1992년부터는 FIFA 공인 국제 A매치 대회로 전환되어 해외 국가대표팀 간의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기린 맥주의 후원을 받아 '기린컵'으로 명칭되었으며, 일본 대표팀의 국제 경기 일정에 따라 개최되지 않는 해에도 기린 챌린지컵이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축구 대회 -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는 1921년 시작되어 잉글랜드 FA컵을 모델로 한 일본 축구 협회 주최 토너먼트 대회이며, 우승팀에게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자격이 주어진다.
  • 일본의 축구 대회 - 사이타마 시티컵
    사이타마 시티컵은 사이타마시에서 스포츠 진흥과 국제 교류 활성화를 목표로 2003년에 시작된 친선 축구 대회로, J리그의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와 오미야 아르디자를 비롯해 세계적인 클럽들이 참가하며, 2009년 중단 이후 부정기적으로 재개되어 이어지고 있다.
  • 1978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바이애슬론 월드컵
    바이애슬론 월드컵은 매년 11월/12월부터 3월까지 스프린트, 개인, 추격, 매스스타트, 계주 등의 종목으로 구성된 국제 바이애슬론 경기 대회 시리즈이며, 시즌 종합 성적에 따라 크리스털 글로브가 수여된다.
  • 1978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유럽축구연맹이 주관하는 21세 이하 유럽 국가대표팀 간의 축구 대회로, U-23 챌린지 컵과 유럽 청소년 선수권 대회를 거쳐 1978년부터 현재의 형태를 갖추었으며, 이탈리아와 스페인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국제 친선 축구 대회 - 발틱컵
    발트 3국을 중심으로 시작된 발틱컵은 주변 국가들이 초청되어 참가하기도 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소련 점령기에 중단되었다가 발트 3국 독립 이후 재개되어 발트 3국의 축구 발전과 국제적 교류에 기여하고 있다.
  • 국제 친선 축구 대회 - 아라비안 걸프컵
    아라비안 걸프컵은 걸프 지역 국가들의 축구 선수권 대회로, 쿠웨이트가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으며, 정치적 어려움 속에서도 국제적 위상을 높여왔다.
기린컵
기본 정보
주최JFA
창립1978년
참가 팀 수4팀 (2016년부터)
지역일본 (AFC)
현재 우승팀튀니지 (1회 우승)
최다 우승팀일본 (11회 우승)
웹사이트https://www.kirin.co.jp/soccer/%7Ckirin.co.jp/soccer
현재 대회2022년 기린컵 축구 대회
명칭
한국어기린컵 축구
일본어キリンカップサッカー (키린캇푸 삿카-)
영어KIRIN CUP SOCCER

2. 역사

기린컵은 1978년 '재팬컵'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국제 축구 대회이다.[4][5][6][7][8] 초기에는 유럽이나 남미의 유명 클럽팀과 국가대표팀을 초청하여 일본 대표팀 및 클럽팀과 함께 경쟁하는 혼합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나,[4][8][9][10] 1980년 기린 맥주의 후원을 받기 시작하며 대회 명칭이 변경되었고,[4][6][9][10][15] 1992년부터는 국제 축구 연맹(FIFA) 공인 국제 A매치 대회로 전환되었다.[8][16] 주로 3~4개국이 참가하여 풀 리그전 또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리며, FIFA 월드컵이나 AFC 아시안컵 등 주요 국제 대회를 앞둔 일본 대표팀의 평가전 성격으로 개최되기도 한다. 여러 사정으로 인해 대회가 열리지 않는 해도 있었다.

아래는 역대 기린컵 우승팀 목록이다.

연도우승팀
1978서독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브라질 SE 파우메이라스 (공동 우승)
1979잉글랜드 토트넘 홋스퍼
1980잉글랜드 미들즈브러
1981벨기에 클뤼프 브뤼허
1982서독 베르더 브레멘
1983잉글랜드 뉴캐슬 유나이티드
1984브라질 인테르나시오나우
1985브라질 산투스
1986서독 베르더 브레멘
1987브라질 플루미넨세
1988브라질 CR 플라멩구
1989미개최
1990미개최
1991일본
1992아르헨티나
1993헝가리
1994프랑스
1995일본
1996일본
1997일본
1998체코
1999벨기에페루 (공동 우승)
2000일본슬로바키아 (공동 우승)
2001유고슬라비아
2002순위 없음[9][10]
2003순위 없음[9][10]
2004일본
2005페루아랍에미리트 (공동 우승)
2006스코틀랜드
2007일본
2008일본
2009일본
2010미개최
2011일본, 체코페루 (공동 우승)[18]
2012미개최
2013미개최
2014미개최
2015미개최
2016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17미개최
2018미개최
2019미개최
2020미개최
2021미개최
2022튀니지


2. 1. 창설 배경 (1978년 이전)

1976년, 일본 축구 협회(JFA) 전무 이사로 취임한 나가누마 겐은 당시 일본 축구의 부흥을 위한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었다[4][5]。 그는 "아시아와의 교류를 심화하고, 유럽이나 남미의 강호 클럽과 아시아 국가 대표팀을 초청하는 토너먼트" 개최를 구상했다[4][5]。 이는 나가누마 자신이 감독으로서 일본 대표팀을 이끌고 1964년 도쿄 올림픽과 1968년 멕시코 시티 올림픽에서 성과를 거둔 이후, 점차 하락세를 걷던 일본 대표팀의 성적과 인기를 반전시키기 위한 방안이었다[4]。 당시 일본 축구 리그(JSL)의 관중 수도 감소하는 등 침체된 분위기 속에서, JFA의 어려운 재정 상황에도 불구하고 나가누마는 대회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이를 추진했다[4]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78년 5월, 일본 대표팀 강화를 목적으로 "재팬 컵"이라는 이름의 대회가 창설되었다[4][5][6][7][8]。 이는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국제 축구 대회였다[9][10]。 당시 일본 대표팀은 니노미야 히로시 감독 아래 나가이 요시카즈, 카네다 키노리, 니시노 아키라, 가토 히사시 등이 주축 선수였다[11]。 제1회 대회에는 전년도 발롱도르 수상자인 알랑 시몽센을 비롯해 유프 하인케스, 헤르베르트 비머 등이 속한 분데스리가 3연패 중이던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 일본인 최초의 유럽 프로 선수 오쿠데라 야스히코가 소속된 1. FC 쾰른이 참가하여 화제를 모았다[7][11]。 쾰른에는 골키퍼 하랄트 슈마허와 명장 헤네스 바이스바일러 감독도 포함되어 있었다[4]。 하지만 큰 기대와 달리 대회는 흥행에 실패하여 15경기 총 관중 16만 2,500명, 유료 입장객 8만 416명으로 경기당 평균 5,000명 수준에 그쳤고, 약 6000만의 적자를 기록했다[4][6]

제2회 대회(1979년)에는 1978년 FIFA 월드컵 우승 멤버인 리카르도 비야, 오스발도 아르딜레스가 속한 토트넘 홋스퍼 FC와 잔카를로 안토니오니가 이끄는 ACF 피오렌티나 등이 참가했지만, 흥행은 더욱 부진했고 적자는 계속되었다[4][6][7][11][12]。 재정난 타개를 위해 나가누마는 오카노 슌이치로와 함께 기린 맥주 본사를 찾아가 코니시 히데쓰구 당시 사장에게 직접 후원을 요청했고, 타이틀 스폰서 계약을 성사시켰다[6][11][12][13][14]。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기린 맥주의 축구 일본 대표팀 공식 후원의 시작이었다[5][13][14]。 당시만 해도 타이틀 스폰서 개념이 생소했고, 상금 대회 개최 보도에 일본 체육 협회가 아마추어리즘을 이유로 항의하기도 했다[4][5]。 이에 JFA는 대회가 흥행이 아닌 강화 목적임을 강조하며 상금 대신 경기당 개런티 제도를 도입했다[5]。 기린 맥주는 이미 제1회 대회부터 광고판 협찬을 하고 있었으며[4], 1980년 제3회 대회부터 본격적인 후원을 시작했다[4]。 대회 명칭은 일본 체육 협회 등의 반대를 고려하여 "재팬컵 기린 월드 축구"로 변경되었다가[6][9][10][15], 1985년부터 "기린컵 축구"로 다시 변경되었다[4][6][9][10][15]

2. 2. 초창기 (1978년 ~ 1991년)

1978년, 일본 축구 협회(JFA)의 나가누마 켄 전무이사(당시) 주도로 '재팬컵'이라는 이름의 국제 축구 대회가 창설되었다.[4][8][9][10] 나가누마는 하라주쿠의 협회 사무실 창밖으로 보이는 기린 맥주 본사를 보고 후원을 요청할 생각을 했고, 광고 대행사 없이 직접 오카노 슌이치로와 함께 기린 맥주 사장을 만나 타이틀 스폰서 계약을 성사시켰다.[6][11][12][13][14] 이로써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기린 맥주의 축구 일본 대표팀 공식 후원이 시작되었다.[5][13][14] 당시에는 상금 지급이 아마추어 규정에 어긋난다는 일본 체육 협회의 반발이 있어, 상금 대신 경기당 개런티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4][5] 기린 그룹은 이미 1회 대회부터 광고판 협찬을 하고 있었으며,[4] 1980년 제3회 대회부터 본격적인 후원을 시작했다.[4] 대회 명칭은 초기에 "재팬컵 기린 월드 축구"였다가[6][9][10][15], 1985년부터 "기린컵 축구"로 변경되었다.[4][6][9][10][15]

1978년부터 1991년까지 대회는 나가누마의 초기 구상대로 해외 국가대표팀과 클럽팀을 초청하여 일본 대표팀과 클럽팀이 함께 경쟁하는 혼합 방식으로 진행되었다.[4][8][9][10] 이는 당시 1970년대 일본 대표팀의 실력이 부족하여, 시즌 오프 기간에 일본을 방문하는 해외 클럽팀에게도 고전했기 때문에 현실적인 방식이었다.[8] 실제로 제1회부터 제11회 대회까지 모두 해외 클럽팀이 우승을 차지했다.[9][10] 초기 대회 우승팀으로는 토트넘 홋스퍼(1979년), 미들즈브러 FC(1980년), 클럽 브뤼헤(1981년), 뉴캐슬 유나이티드(1983년) 등이 있다. 1985년까지는 일본 대표팀 외에 다른 일본 팀(초기에는 일본 선발팀, 1980년부터는 전년도 천황배 우승팀)도 참가했다.[9][10] 1987년 대회에는 UC 삼프도리아가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UEFA컵 출전 문제로 불참하고 토리노 FC가 대신 참가하기도 했다.

1988년에 한 해 대회가 중단되었다가 1991년에 재개되었는데, 이 대회에서 일본 대표팀은 태국 대표팀과 잉글랜드의 토트넘 홋스퍼 등을 꺾고 마침내 국제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8] 비록 동남아시아 원정 중이던 리네커가 급히 합류하는 등 토트넘의 컨디션이 최상은 아니었지만,[8] 미우라 가즈요시의 2골 활약에 힘입어 4–0으로 완승을 거둔 이 경기는 오랫동안 유럽 및 남미 강호 클럽에 고전하던 일본 축구가 분명히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8]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미야모토 쓰네야스일본 축구 협회 회장도 이 경기가 매우 충격적이었다고 회고했다.[13]

2. 3. 국가대표팀 대회로 전환 (1992년 ~ 현재)

일본 프로 축구 리그(J리그)가 시작되기 전 해인 1992년부터 기린컵은 국제 축구 연맹(FIFA) 공인의 국제 A매치 대회로 전환되었다[8][16]. 이에 따라 해외에서 2개의 국가대표팀을 초청하여 풀 리그전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리는 형식으로 변경되었다[4]. 같은 해 일본 대표팀은 첫 외국인 감독으로 한스 오프트를 선임했는데[7][8], 그의 감독 데뷔 무대가 바로 이 기린컵이었다[8]. 첫 상대는 1990 FIFA 월드컵 준우승팀인 강호 아르헨티나였다[7][8]. 당시 알피오 바실레 감독이 이끌던 아르헨티나는 바티스투타, 카니히아, 루제리, 고이코체아 등 세계적인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었으나[7][8], 오프트 감독이 이끈 일본 대표팀은 0-1로 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7]. 이 경기에서는 모리야스 하지메다카기 다쿠야가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7].

1994년 대회에는 본래 아르헨티나가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팀의 핵심 선수인 디에고 마라도나가 과거 마약 관련 문제로 일본 입국 허가를 받지 못하면서 아르헨티나 대표팀 전체가 대회 출전을 포기하는 일이 발생했다[17]. 이에 따라 호주 대표팀이 급하게 대체 참가하게 되었다.

1987년 기린컵 당시 모습.


대회는 일반적으로 유럽의 주요 리그가 종료되는 5월에서 6월 사이에 열렸지만, 점차 FIFA 월드컵 예선이나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팀의 출정식 성격을 띠게 되면서 대회 자체의 성적보다는 해당 국제 대회를 대비하는 과정으로서의 의미가 커졌다. 예를 들어 1993년 대회는 1994년 미국 월드컵 아시아 1차 예선 출정식을 겸하여 3월 7일과 14일에 일본 대표팀 경기가 열리기도 했다.

2002년2003년에는 국제 대회 일정(특히 2002년은 한일 월드컵 개최 준비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지 못했고, 최종 순위를 가리지 않았다[9][10].

2011년 대회에서는 모든 경기가 득점 없이 0-0 무승부로 끝나는 진기록이 세워졌다. 그 결과 참가국인 일본, 체코, 페루 3개국이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18].

2016년에는 5년 만에 대회가 다시 열렸으며, 기존의 리그 방식 대신 4개국이 참가하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이 방식은 2022년 대회에도 적용되었다)[19].

2010년대 이후로는 일본 대표팀의 빡빡한 국제 경기 일정 때문에 기린컵이 열리지 않는 해가 늘어났다. 대회가 열리지 않는 해에는 비슷한 시기에 기린 챌린지컵이라는 이름의 친선 경기가 대신 개최되기도 한다.

3. 역대 대회 결과

브라질 SE 파우메이라스 (공동 우승)1979잉글랜드 토트넘 홋스퍼 FC1980잉글랜드 미들즈브러 FC1981벨기에 클뤼프 브뤼허 KV1982서독 SV 베르더 브레멘1983잉글랜드 뉴캐슬 유나이티드 FC1984브라질 SC 인테르나시오나우1985브라질 산투스 FC1986서독 SV 베르더 브레멘1987브라질 플루미넨시 FC1988브라질 CR 플라멩구1989미개최1990미개최1991년일본1992년아르헨티나1993년헝가리1994년프랑스1995년일본1996년일본1997년일본1998년체코1999년벨기에
페루 (공동 우승)2000년일본
슬로바키아 (공동 우승)2001년일본2002년순위 결정 없음[9][10]2003년순위 결정 없음[9][10]2004년일본2005년페루
아랍에미리트 (공동 우승)2006년스코틀랜드2007년일본2008년일본2009년일본2010미개최2011년일본
페루
체코 (공동 우승)2012미개최2013미개최2014미개최2015미개최2016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017미개최2018미개최2019미개최2020미개최2021미개최2022년튀니지


3. 1. 클럽팀 및 국가대표팀 혼합 (1978년 ~ 1991년)

1978년부터 1991년까지 기린컵은 대회 창설자 나가누마 겐의 초기 구상에 따라 해외의 국가대표팀이나 클럽팀을 초청하여 일본 대표팀 및 일본 클럽팀과 혼합하여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4][8][9][10]. 당시 일본 대표팀의 전력을 고려한 방식으로[8], 실제로 1970년대 일본 대표팀은 시즌 오프 기간에 일본을 방문하는 해외 단독팀에게도 고전하는 수준이었다[8]. 이 때문에 제1회 대회부터 제11회(1988년) 대회까지는 모두 해외 클럽팀이 우승을 차지했다[9][10]. 1985년까지는 일본 대표팀 외에 다른 일본 팀(선발팀 또는 전년도 천황배 우승팀)도 참가했다[9][10].

1989년과 1990년에는 대회가 열리지 않았으나, 1991년에 부활하여 일본 대표팀이 태국, 잉글랜드토트넘 홋스퍼 FC 등을 꺾고 처음으로 국제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8]. 당시 토트넘은 게리 리네커가 다른 일정 후 급히 합류하는 등 최상의 상태는 아니었지만[8], 미우라 가즈요시의 활약 등으로 4–0 완승을 거두며 일본 축구의 성장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8][13].

다음은 클럽팀 및 국가대표팀 혼합 시기(1978년 ~ 1991년)의 대회 결과이다.

연도우승준우승3위 / 4위 (또는 4강 진출팀)
1978년서독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브라질 SE 파우메이라스 (공동 우승)
4강: 서독 1. FC 쾰른, 잉글랜드 코번트리 시티 FC
1979년잉글랜드 토트넘 홋스퍼 FC스코틀랜드 던디 유나이티드 FC4강: 아르헨티나 CA 산로렌소, 이탈리아 ACF 피오렌티나
1980년잉글랜드 미들즈브러 FC스페인 RCD 에스파뇰4강: 중국, 일본
1981년벨기에 클뤼프 브뤼허 KV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4강: 일본, 잉글랜드 에버턴 FC
1982년서독 SV 베르더 브레멘일본3위: 네덜란드 페예노르트
4위: 싱가포르
1983년잉글랜드 뉴캐슬 유나이티드 FC브라질 보타포구 FR3위: 일본 야마하 발동기
4위: 시리아
1984년브라질 SC 인테르나시오나우아일랜드4강: 프랑스 툴루즈 FC, 중국
1985년브라질 산투스 FC우루과이3위: 잉글랜드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4위: 일본 요미우리 클럽
1986년서독 SV 베르더 브레멘브라질 SE 파우메이라스3위: 일본
4위: 알제리 알제리 선발
1987년브라질 플루미넨시 FC이탈리아 토리노 FC3위: 일본
4위: 세네갈
1988년브라질 CR 플라멩구서독 바이어 04 레버쿠젠3위: 중국
4위: 일본
1989년-1990년 미개최
1991년일본브라질 CR 바스쿠 다 가마3위: 잉글랜드 토트넘 홋스퍼 FC
4위: 태국


3. 2. 국가대표팀 대회 (1992년 ~ 현재)

J리그 출범 전 해인 1992년부터 국제 축구 연맹(FIFA) 공인 국제 A매치 대회로 변경되었고, 해외 국가대표팀 두 팀을 초청해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8][16][4] 이 해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은 첫 외국인 감독인 한스 오프트를 선임했고[7][8], 그의 데뷔 무대가 기린컵이었다.[8] 당시 상대는 1990년 FIFA 월드컵 준우승팀인 아르헨티나였는데, 알피오 바실레 감독 아래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클라우디오 카니히아, 루제리, 세르히오 고이코체아 등 화려한 선수진을 갖추고 있었다.[7][8] 일본은 이 경기에서 0-1로 패배했지만 선전했다.[7] 모리야스 하지메다카기 다쿠야가 이 경기를 통해 A매치에 데뷔했다.[7]

1994년 대회에는 아르헨티나가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팀의 주축 선수인 디에고 마라도나마약 관련 전과 기록 때문에 일본 입국이 불허되면서 참가를 포기했다.[17] 이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가 대신 참가했다.

대회는 주로 유럽 리그 시즌이 끝나는 5~6월에 열렸으나, 점차 FIFA 월드컵 예선이나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 시 출정식의 성격을 띠게 되면서 대회 자체의 성적보다는 해당 국제 대회를 대비하는 성격이 강해졌다. 1993년 대회는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출정식을 겸해 3월에 개최되었다.

2002년2003년에는 국제 대회 일정(특히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으로 인해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지 않아 공식 순위를 가리지 않았다.[9][10] 2011년 대회에서는 모든 경기가 0-0 무승부로 끝나, 일본, 체코, 페루 3개국이 공동 우승하는 진기록을 남겼다.[18]

5년 만에 다시 열린 2016년 대회부터는 4개국이 참가하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2022년 대회도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9]

2010년 이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바쁜 국제 경기 일정 때문에 대회가 열리지 않는 해가 늘어났다. 대회가 열리지 않는 해에는 비슷한 시기에 기린 챌린지컵이라는 이름의 친선 경기가 대신 열리기도 한다. 과거 대회 영상 자료는 대부분 소실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연도우승준우승3위4위
1992년아르헨티나 (1)웨일스일본
1993년헝가리 (1)일본미국
1994년프랑스 (1)오스트레일리아일본
1995년일본 (2)스코틀랜드에콰도르
1996년일본 (3)멕시코유고슬라비아
1997년일본 (4)크로아티아튀르키예
1998년체코 (1)일본파라과이
1999년벨기에 (1)
페루 (1)
일본
2000년일본 (5)
슬로바키아 (1)
볼리비아
2001년일본 (6)유고슬라비아파라과이
2002년일본
온두라스
슬로바키아 (순위 결정 없음)
2003년아르헨티나
파라과이
일본 (순위 결정 없음)
2004년일본 (7)세르비아 몬테네그로슬로바키아
2005년페루 (2)
아랍에미리트 (1)
일본
2006년스코틀랜드 (1)불가리아일본
2007년일본 (8)콜롬비아몬테네그로
2008년일본 (9)파라과이코트디부아르
2009년일본 (10)칠레
벨기에
2010년개최되지 않음[21]
2011년일본 (11)
페루 (3)
체코 (2)
2012년-2015년개최되지 않음[21]
2016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일본덴마크불가리아
2017년-2021년개최되지 않음[21]
2022년튀니지 (1)일본가나칠레


4. 대한민국과의 관계

기린컵과 대한민국의 직접적인 관계는 기록상 명확하지 않다. 다만, 1985년 대회에서 대한민국 국적의 김수덕 심판이 6월 4일에 열린 일본과 말레이시아 타이거스 간의 경기를 주관한 기록이 있다.

5. 경기 중계

1978년 대회 시작부터 니혼 TV 방송망에서 중계하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그러나 니혼 TV의 편성 사정에 따라 다른 계열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경우도 있다.

니혼 TV 외 방송국 중계 사례
연도경기중계 방송사비고
2003제2전 (일본 vs 파라과이)TV 아사히니혼 TV가 프로 야구 중계(요미우리 자이언츠 vs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를 우선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2007최종전 (일본 vs 콜롬비아)TV 아사히니혼 TV 편성 문제로 전국 방송.
2008제2전 (일본 vs 코트디부아르)TV 아사히
최종전 (일본 vs 파라과이)TBS 텔레비전
2009제1전 (일본 vs 칠레)TBS 텔레비전나가이 스타디움 개최.
2011제1전 (일본 vs 페루)TV 아사히전좌 경기(U-22 일본 vs U-22 호주)는 BS 아사히 생방송.
제2전 (페루 vs 체코)BS-TBS지상파 TBS 텔레비전에서 당일 심야 녹화 방송.
제3전 (일본 vs 체코)TBS 텔레비전



수도권 외 지방 도시 개최 시에도 도쿄의 키국(Key Station)이 제작 주관, 지역 방송국은 기술 협력 형태로 참여한다. 아나운서·해설자는 키국에서 파견하며, 중계 스폰서(기린 및 일본 대표팀 스폰서 외 포함)의 네트워크 세일즈도 키국이 담당한다.

일본 A대표팀 경기가 아닐 경우, BS 디지털 방송국 생방송 또는 지방 계열 방송국 녹화 중계로 편성되기도 한다.

6. 후원 기업

기린 그룹의 협찬 기업으로는 기린 맥주를 중심으로 기린 비버리지가 참여하는 체제가 오랫동안 이어져 왔다. 일본축구협회(JFA)의 나가누마 켄은 하라주쿠 기시 기념 체육관의 협회 사무실 창문 너머로 보이는 기린 맥주 본사를 보며 스폰서십을 제안할 생각을 떠올렸다고 한다[6]. 그는 광고 대행사 없이 직접 오카노 슌이치로와 함께 당시 기린 맥주 사장이었던 코니시 히데쓰구에게 직접 협상을 벌여 타이틀 스폰서 계약을 성사시켰다[6][11][12][13][14].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기린 맥주의 축구 일본 대표팀 공식 스폰서십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5][13][14].

1980년 제3회 대회부터 기린의 본격적인 지원이 시작되었고[4], 대회 명칭은 "재팬컵 기린 월드 축구"를 거쳐[6][9][10][15] 1985년부터 "기린컵 축구"로 변경되었다[4][6][9][10][15].

2012년 기린 맥주가 제조와 판매를 분리하면서 판매 부문은 기린 맥주 마케팅 주식회사가 담당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같은 해부터 기린 챌린지컵과 마찬가지로 우승팀에 대한 상품 수여는 기린 맥주 마케팅의 임원이 맡게 되었으나, 기린 맥주는 여전히 메인 협찬사로 참여하고 있다.

대회 우승팀에게는 부상으로 기린 맥주에서 맥주 "이치방 시보리"와 캔 츄하이 음료 "효케츠"를, 기린 비버리지에서는 스포츠 음료(2011년 당시 "KIRIN LOVES SPORTS")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슬람교를 국교로 하는 국가의 팀이 우승할 경우, 종교적 율법에 따라 주류가 금지되므로 기린 맥주의 부상은 제공되지 않고 기린 비버리지의 스포츠 음료만 증정된다. 2005년 아랍에미리트가 우승했을 때 이러한 사례가 있었다[20]. 과거에는 기린 디스티러리(구 기린 시그램)에서 샴페인을 증정한 적도 있다. 이러한 부상 수여 원칙은 자매 대회인 기린 챌린지컵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참조

[1] 뉴스 Bosnia and Herzegovina, Bulgaria, Denmark to participate in Kirin Cup Soccer 2016 http://www.jfa.jp/en[...] Japan Football Association 2016-01-25
[2] 뉴스 大会参加国、マッチスケジュール、テレビ放送が決定 キリンカップサッカー2022 http://www.jfa.jp/ne[...] Japan Football Association 2022-04-28
[3] 웹사이트 キリンカップサッカー2009 ~ALL FOR 2010!~大会概要 http://www.jfa.or.jp[...] 2009-01-20
[4] 웹사이트 キリン×日本代表パートナーシップ40周年 記念トークイベントを実施 http://www.jfa.jp/sa[...] 2019-01-18
[5] 웹사이트 サッカー日本代表 激闘日誌 <ドキュメント第1回キリンカップ> 「JAPAN CUP 1978」の衝撃 【前篇】 https://number.bunsh[...] 文藝春秋 2022-06-10
[6] 웹사이트 キリンはいかにしてサッカー日本代表を応援するに至ったのか。ー無名ペケ社員の陰徳ー https://news.yahoo.c[...] LINEヤフー 2024-05-03
[7] 웹사이트 六川亨のフットボール縦横無尽 長い歴史が続いている「キリンカップ」で残念でならないことがある https://www.nikkan-g[...] 2024-05-03
[8] 서적 日本サッカー史・代表編 日本代表の85年 双葉社
[9] 웹사이트 「キリンカップサッカー」歴代大会結果(1978年~2008年) http://www.kirin.co.[...] 2010-01-20
[10] 웹사이트 (ニュースレター)キリングループのサッカー支援~日本サッカー界のさらなる発展とサッカー文化の創造に向けて~ http://www.beverage.[...] 2011-09-11
[11] 웹사이트 キリンはいかにしてサッカー日本代表を応援するに至ったのか。ー無名ペケ社員の陰徳ー https://web.ultra-so[...] CWS Brains 2024-05-03
[12] 간행물 サッカー批評 双葉社
[13] 웹사이트 日本が歩んだ1923ー2017 そして舞台は、2018年ロシアへ ともに走りつづける。倒れてもともに立ち上がる。キリン https://adv.asahi.co[...] キリンホールディングス 2018-03-28
[14] 뉴스 山手線を挟んだご近所の縁 キリン、マイナー時代から支えて44年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2-09-21
[15] 서적 財団法人日本サッカー協会75年史:ありがとう。そして未来へ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6
[16] 서적 財団法人日本サッカー協会75年史:ありがとう。そして未来へ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6
[17] 웹사이트 No.53 子どもたちにワールドカップを与えるか、麻薬を与えるか http://www.soccertal[...] 2012-08-15
[18] 뉴스 史上初の珍事…3試合全て0-0で3ヵ国優勝 スポーツニッポン 2011-06-08
[19] 간행물 5年ぶりキリンカップ復活 〜2016年間スケジュール発表〜 http://www.jfa.jp/ne[...] 日本サッカー協会 2015-12-25
[20] 문서 当時提供されたスポーツドリンクは「キリンアミノサプリ」。
[21] 문서 同時期にキリンチャレンジカップを開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