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응식 (184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응식은 1844년에 태어나 1903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인현왕후의 친족으로, 1882년 임오군란 당시 명성황후를 피신시키는 데 기여하며 고속 승진했다. 이후 척신 세력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며, 갑신정변 이후 개화파 제거에 앞장섰다. 갑오경장으로 유배되었으나 석방 후 다시 관직에 복귀하여 궁내부 특진관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구파 - 명성황후
    명성황후는 1851년 민치록의 딸로 태어나 고종의 왕비가 되었으며, 개화 정책을 추진하고 외세의 개입을 겪었으며, 을미사변으로 시해된 후 명성태황후로 추존되었다.
  • 수구파 - 송병준
    송병준은 성리학자 송시열의 8대손이었으나 서출 출신으로, 무과 급제 후 관료 생활을 하다가 갑신정변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김옥균의 동지가 되었지만, 러일전쟁 이후 친일파로 전향하여 일진회 조직 및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기여하고 고종 황제 퇴위에도 관여한 인물이다.
  • 1903년 사망 - 오자키 고요
    오자키 고요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소설가로, 겐유샤 창립과 '이인비구니색참회' 등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사실주의적 묘사와 의고전주의적 경향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활동으로 고다 로한과 함께 '홍로시대'를 구축하고 이즈미 교카 등의 문하생을 배출했다.
  • 1903년 사망 -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
    프레더릭 로 옴스테드는 센트럴 파크 등을 설계한 미국의 조경 건축가이며, 저널리스트, 사회 운동가로 활동하며 미국 조경 건축의 아버지로 불린다.
  • 1844년 출생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44년 출생 - 앙리 루소
    프랑스의 화가 앙리 루소는 정규 미술 교육 없이 세관원으로 일하며 독학으로 그림을 그린 소박파 화가로, 전통적인 회화 기법을 따르지 않은 독특한 화풍으로 환상적이고 이국적인 정글 그림을 그려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주며 초현실주의 미술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민응식 (1844년)
기본 정보
이름민응식(閔應植)
출생1844년
사망1917년
본관여흥(驪興)
자(字)백순(伯純)
관력
주요 관직한성부판윤
공조판서
형조판서
지경연사
육군법원 검사총장
중추원 찬의
봉작자작

2. 생애

민응식은 이조·형조 판서를 지낸 민영우의 아들로, 1882년 임오군란 때 왕비 명성황후의 피난을 도와 신임을 얻었다.[1] 같은 해 10월 과거 문과에 급제한 후 1883년 종2품으로 승진, 호조 참판, 도승지를 거쳐 1884년 평안도 관찰사가 되었다.[1] 1885년 정2품으로 승진하여 병조를 제외한 육조의 판서, 협변(次席) 내무부사, 독변(主席) 내무부사 등을 역임하고, 1887년 종1품으로 승진했다.[1] 1894년 민씨 일족의 세도 정치가 붕괴되자 전라도 고금도유배되었으나, 1895년 사면되어 궁내부 특진관에 임명되었다.[1]

2. 1. 젊은 시절

1844년에 태어났으며, 인현왕후의 친정아버지인 여양부원군 민유중의 8대손이자, 좌의정 민진원의 7대손이다. 생부는 민영우(閔泳愚)였으나, 민한준(閔漢俊)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조부는 민원용이다. 명성황후에게는 친정 손자뻘이 되는 친척이었다.[1]

유학을 공부하여 성균관의 유생이 되었다. 1882년 초 직부전시(直赴殿試)의 자격을 얻어 1882년(고종 19년) 증광별시(增廣別試)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같은 해 6월 임오군란이 일어났을 때 세자익위사 익찬으로 재직 중, 홍계훈 등과 함께 명성황후의 피신을 도왔다. 장호원(長湖院)에 있던 민응식의 집을 명성황후의 피신처로 제공하였으며, 명성황후는 난병이 한성부로 집결되어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 여주군 민유중의 생가로 갔다가 다시 충주에 있던 민응식의 다른 집으로 은신하였다.

2. 2. 관료 생활

민응식은 이조·형조 판서를 지낸 민영우의 아들이다. 1882년 임오군란 때 왕비 명성황후의 피난을 도와 신임을 얻었다. 같은 해 10월 과거 문과에 급제하여 1883년 종2품으로 승진하고, 호조 참판, 도승지를 거쳐, 1884년 평안도 관찰사가 되었다. 1885년 정2품으로 승진하여 병조를 제외한 육조의 판서, 협변(次席) 내무부사, 독변(主席) 내무부사 등을 역임하고, 1887년 종1품으로 승진했다. 1894년 민씨 일족의 세도 정치가 붕괴되자 전라도 고금도유배되었으나, 1895년 사면되어 궁내부 특진관에 임명되었다.

2. 2. 1. 임오군란 직후

명성황후가 복귀하자 민응식은 고속 승진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그해 11월 규장각직각, 12월 홍문관응교가 되었다가 통정대부로 승진, 승정원우부승지(承政院右副承旨)에 발탁되었다. 1883년 봄 군국사무 참의(軍國事務參議), 이조참의 등을 지냈고, 그해 혜상공국총판(惠商公局總辦), 성균관대사성 등을 지내며 민씨 척족세력의 중심인물이 되었다. 그해 10월 작헌례의 예모관(禮貌官)이 되었다가 충주목사로 부임하였으나, 12월 군국사무독판으로 내직으로 되돌아왔다.[1]

흥선대원군을 견제하려던 명성황후는 민응식을 신뢰하여 중용하였고, 민응식은 친척인 민영목, 세자빈의 친정아버지 민태호(閔台鎬) 등 척신들과 함께 수구파를 형성, 위안스카이(袁世凱)의 세력을 업고 개화파 타도에 앞장섰다. 또한 김옥균, 서재필 등이 일본의 폭력배를 데리고 강화도에 침입하였다는 말을 유포하여 민심을 소란하게 하였다.[1]

민응식은 삼촌인 민영위, 민영기, 조카인 민병석 등과 함께 4인방 체제를 형성했다. 민병석은 대법원장을 지낸 민복기의 아버지이다.[1]

2. 2. 2. 갑신정변 이후

1884년 갑신정변 당시 피신하여 살아남았다. 그해 갑신정변에 가담한 개화파 인사들의 단죄와 심판을 주도하였고, 친군후영영무(親軍後營營務), 좌영사(左營使), 도승지, 규장각직제학 등을 거쳐 그해 8월 평안도 관찰사로 부임했다가 협판내무부사(協辦內務府事) 등을 역임했다.[1] 1885년 친군 좌영사(親軍左營使), 이조참판을 지내고, 그해 6월 평안도관찰사로 나갔다가 협판내무부사를 겸하고, 곧 지경연사(知經筵事)로 발탁되어 돌아왔다.[1] 1886년 세자시강원 우부빈객, 예문관제학, 이조판서, 병조판서, 도총제사(都總制使) 등을 역임했다.[1] 이후 민겸호, 민규호, 민태호 등의 뒤를 이어 척신 세력의 대표로 활동하며 민영익(閔泳翊) 등과 같이 위안스카이의 세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러시아 세력을 끌어들이려는 운동을 제창하기도 하였다.[1]

1888년 판돈녕부사, 중건소서사관(書寫官), 겸 우영사(右營使), 상량문 제술관(上樑文製述官), 호조판서, 삼도육군 통어사(三道陸軍統禦使) 등을 역임했다.[1] 1890년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형조판서, 예조판서를 거쳐 1891년 다시 예조판서가 되었고, 좌부빈객을 거쳐 다시 예조판서가 되었다.[1] 1892년 방곡령(防穀令)으로 인한 황두배상문제(黃豆賠償問題)가 발생하자 이를 극력반대, 일본의 고압적인 태도를 규탄하였고, 민병석(閔丙奭) 등과 함께 개화파 잔당의 제거를 추진, 갑신정변의 실패로 일본에 망명하여 있던 김옥균의 암살을 모의, 장응규(張應奎) 등을 자객으로 밀파하여 살해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1] 그 뒤 통어사, 도총제사(都總制使)를 역임하고 강화부유수(江華府留守)로 나갔다.[1]

2. 3. 생애 후반

1894년 갑오경장으로 김홍집 내각이 성립되고 유길준, 서재필 등이 복귀하자 개화파 인사들의 맹공격을 받고 전라남도 고금도에 유배되었다.[1] 1894년 가을 석방되어 복귀하여 1897년 중추원 일등의관, 태의원경(太醫院卿), 1900년 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 경효전 제조(景孝殿提調), 재궁상자서사관(梓宮上字書寫官), 경효전 제조, 의정부 찬정(議政府贊政) 등을 역임했다.[1] 그해 병으로 사직했다가 다시 궁내부 특진관에 임명되었다.[1] 1903년 궁내부 특진관으로 재직 중 그해 10월 죽었다.[1] 향년 59세였다.[1]

3. 가계

관계이름
친고조부민양현
친증조부민치화
친할아버지민원용
친아버지민영우
양아버지민한준


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