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구암 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구암 기구(GUAM)는 조지아, 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몰도바 4개국이 1997년 결성한 기구이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추구하며, 2006년 국제 기구로 발전했다. 회원국들은 자유무역지대 설립을 추진했으나,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이후 우크라이나가 독립국가연합(CIS)을 탈퇴하는 등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한국은 GUAM과의 협력을 통해 에너지, 관광, 투자 분야에서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제르바이잔의 대외 관계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는 튀르크어 사용 국가들의 협력 증진을 목표로 2009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튀르키예가 설립한 국제 기구로, 상호 신뢰 증진, 외교 정책 공조, 경제·문화 교류 확대를 추구하며 우즈베키스탄이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했고 헝가리 등이 옵서버로 참여하고 있다. - 조지아의 대외 관계 - 대한민국-조지아 관계
대한민국-조지아 관계는 대한민국과 조지아 간의 외교 관계를 의미하며, 2012년 조지아 대통령의 방한 이후 양국 간 고위급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구암 기구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구암 기구 |
로마자 표기 | GUAM Organization for Democracy and Economic Development |
현지 명칭 | |
약칭 | GUAM |
본부 | 키이우, 우크라이나 |
공식 언어 | 러시아어 (1997-2014) 영어 (2014-) |
설립 | GUAM 협의 포럼 (1997년 10월 10일) 우즈베키스탄 가입, GUUAM 설립 (1999년) 헌장 서명 (2001년 6월) 우즈베키스탄 탈퇴, GUAM 재설립 (2005년 5월) |
회원국 | 조지아 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몰도바 |
면적 | 810,506 km² |
총 인구 | 49,842,000명 (2020년) |
인구 밀도 | 71.5 명/km²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경제 | |
명목 GDP | 3,110억 달러 (2024년) |
1인당 명목 GDP | 6,240 달러 |
구매력평가 GDP | 9,937억 8천만 달러 (2024년) |
1인당 구매력평가 GDP | 19,939 달러 |
기타 | |
이전 회원국 | 우즈베키스탄 |
옵저버 | 튀르키예 라트비아 |
2. 역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 붕괴 이후, 발트 3국을 제외한 12개국이 독립국가연합(CIS)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러시아 연방이 구소련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기구로 남았기 때문에, 러시아의 영향권에서 벗어나기를 희망하는 조지아, 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몰도바 4개국이 모여 1997년 10월 10일에 GUAM을 창설하였다.
초창기 GUAM은 연락 회의 성격이 강했지만, 2002년 6월 정상회담에서 GUUAM 헌장 조약이 체결되면서 공식화되었다. 2004년 12월 오렌지 혁명으로 친서방 성향의 빅토르 유셴코가 우크라이나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반러시아 연합 강화 움직임이 거세졌다.
2006년 5월 22일부터 23일까지 키이우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GUAM은 국제기구로 발전하기로 결정하고, 명칭을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GUAM 기구"로 변경하였으며, 사무국을 키이우에 설치하기로 하였다.
2001년 야르타 헌장과 2006년 키이우 헌장에는 이 기구의 주요 목적이 명시되어 있다. 키이우 헌장은 "'''자유, 민주주의, 인권 보호, 법치주의 등의 공통 가치'''" 확대를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각 회원국이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관되게 행동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결성 초기 네 국가는 비교적 친서방 노선을 걷고 러시아와 정치·영토·에너지 문제로 대립했으나, 정치 상황 변화로 러시아 및 서방과의 관계는 일률적이지 않았다.
우즈베키스탄은 2001년 테러와의 전쟁 협력에서 나타나듯 친서방 노선을 취했지만, 2002년부터 탈퇴를 선언하고 GUUAM 회의에 불참했다. 2005년 국민의 반체제 운동이 서방 세력에 의해 선동되었다고 판단한 우즈베키스탄은 친러시아로 돌아서며 탈퇴했다. 이후 상하이 협력 기구 회원이 되었고, 다른 네 국가와 보조를 맞추는 경우는 적었다.
2008년 조지아에서 남오세티야 분쟁이 발생하고 러시아가 남오세티야를 지원하면서, 2009년 조지아는 독립국가연합(CIS)을 탈퇴하였다.
이후 몰도바와 아제르바이잔은 다자간 외교 노선으로 전환했고, 우크라이나에서는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내건 빅토르 야누코비치가 대통령에 취임했으며, 조지아에서도 2012년 비지나 이바니시빌리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2014년 마이단 혁명으로 야누코비치가 퇴진하고, 2014년 크림 위기로 러시아가 크림 반도를 점령, 병합하면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관계는 악화되었고, 우크라이나는 독립국가연합(CIS)에서 탈퇴했다.
GUAM은 여러 차례 존속 위기를 겪었지만, 반러시아, 반테러, 경제 발전, 민주주의, 수송 협력 등 회원국 간 현황과 목표를 조정하며 현재까지 존재하고 있다.
2. 1. 창립 배경 및 초기 활동 (1997-2005)
조지아, 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몰도바 4개국은 1997년 10월 10일 스트라스부르에서 "GUAM 협의 포럼"을 창설했다. 이 포럼은 각 국가의 머리글자를 따서 명명되었다. 1999년 우즈베키스탄이 가입하면서 조직 명칭은 '''GUUAM'''으로 변경되었다. 2001년 6월 6일과 7일, 얄타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GUUAM 헌장이 체결되어 조직이 공식화되었다. 전 우크라이나 대통령 빅토르 유시첸코는 헌장을 통해 민주적 가치 증진, 안정적인 발전 보장, 국제 및 지역 안보 강화, 유럽 통합 강화 등 협력 목표를 설정했다고 밝혔다.[11]2002년 우즈베키스탄은 조직 탈퇴 의사를 밝혔고, 이후 GUUAM 정상회담과 회의를 무시하기 시작했다.[12] 2005년 국민의 반체제 운동이 서방 세력에 의해 선동된 것이라고 판단한 우즈베키스탄은 친러시아로 돌아서며 공식적으로 탈퇴했다. 우즈베키스탄은 GUAM 가입 후 몇 년 뒤 상하이 협력 기구 회원이 되었고, 다른 4개국과 보조를 맞추는 경우는 적었다. 우즈베키스탄의 탈퇴로 조직 명칭은 다시 GUAM으로 변경되었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 붕괴 이후, 발트 3국을 제외한 12개국이 독립국가연합(CIS)을 형성했으나, 이는 러시아 연방이 구소련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기구로 남았다. 이에 러시아의 영향권에서 벗어나기를 희망하는 4개국이 모여 GUAM을 창설했다. 초기에는 연락 회의 성격이 강했지만, 2002년 6월 정상회담에서 GUUAM 헌장 조약이 체결되었다. 2004년 12월 오렌지 혁명으로 친서방 노선을 내건 빅토르 유셴코가 우크라이나 대통령으로 선출되자, 반러시아 연합 강화 움직임이 거세졌다.
2005년 4월 22일 몰도바 키시너우에서 GUUAM 정상회담이 개최되었다. 미국 국무부 유라시아 분쟁 특별대표 스티븐 만과 유럽 안보 협력 기구 사무총장 얀 쿠비시가 참석했다. 키시너우 주재 러시아 대사는 러시아가 초청받지 못한 사실을 비판했다.[13] 아제르바이잔 대통령 일함 알리예프는 "우리 조직은 카스피-흑해 지역의 문제 해결에 참여하는 강력한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다"라고 말했고, 우크라이나 대통령 빅토르 유시첸코는 조직 역사에 새로운 장이 쓰였다고 평가했다.[14]
2. 2. 관계 심화 및 통합 (2006-2013)
2006년 4월, 구암 회원국들은 1930년대 우크라이나 대기근인 홀로도모르를 집단학살로 규탄하는 우크라이나의 제안을 지지했다.[16]2006년 5월, 우크라이나와 아제르바이잔은 조직의 명칭을 "구암 민주주의 및 경제 발전 기구(GUAM Organization for Democracy and Economic Development)"로 변경하고 우크라이나 수도에 본부를 설립하여 구암 회원국 간의 관계를 더욱 강화할 계획을 발표했다.[17] 다른 회원국들은 이를 주목할 만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같은 해 5월,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구암 평화유지군을 창설할 계획을 발표했다.[18] 이듬해, 구암 회원국들은 분리주의에 맞서 싸우기 위한 500명 규모의 합동 평화유지군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2006년 5월 22일부터 23일까지 키이우에서 개최된 참가국 정상 회담에서 공식적으로 국제 기구로 발전시키기로 결정하고, 명칭도 GUAM에서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GUAM 기구"로 변경하고, 사무국을 키이우에 설치하기로 결정하였다.
2001년 야르타 헌장과 2006년 키이우 헌장에 이 기구의 주요 목적이 명시되어 있다. 키이우 헌장에 따르면 "'''자유, 민주주의, 인권 보호, 법치주의 등의 공통 가치'''"를 확대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2007년 6월, 리투아니아, 폴란드, 루마니아 대통령이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열린 구암 정상회담에 구암 회원국 지도자들과 함께 참석했다. 정상회담에는 불가리아 부통령, 에스토니아 의회 부의장, 라트비아 경제부 장관, 미국, 일본, 유럽 안보 협력 기구, 흑해경제협력기구, 유네스코의 고위 대표들과 아제르바이잔에 파견된 외교 사절단장들이 참석했다.[19]
2. 3. 러시아의 크림반도 침공 이후 (2014-현재)
2014년 마이단 혁명으로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이 물러나고, 2014년 크림 위기가 발생하여 러시아가 크림 반도를 점령, 병합하자,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관계는 악화되었다.[20][21] 우크라이나는 독립국가연합(CIS)에서도 탈퇴하였다.이러한 상황은 구암(GUAM) 회원국 간의 결속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2014년 12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 파블로 클림킨은 구암 회의에서 소비에트 연방 시절 공식 회의에서 주로 사용되던 러시아어 대신 영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고, 구암 대표들은 이에 동의했다.
2017년 3월, 구암은 회원국 간의 자유무역지대와 관세 절차 조화에 관한 협정을 공식적으로 체결했다.[22]
2021년 5월, 우크라이나, 몰도바, 조지아 3개국은 유럽 통합을 공동으로 촉진하기 위해 협력 3국(Association Trio)에 가입했다.
3. 회원국
1997년 조지아, 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몰도바 4개국이 GUAM을 결성했다. 1999년 우즈베키스탄이 가입하면서 GUUAM으로 확대되었으나, 2005년 탈퇴하여 다시 GUAM으로 축소되었다.[1]
3. 1. 현재 회원국
3. 2. 과거 회원국
1999년 우즈베키스탄이 가입했다가 2005년 탈퇴했다.[1]4. 회원국의 독립 지역 문제
구암 기구(GUAM) 회원국들은 모두 국내에 분리 독립 문제나 영토 분쟁을 겪고 있으며, 이는 러시아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1] 이러한 상황은 구암 기구가 반러시아 성향을 띠는 한 가지 이유가 되고 있다.
각 회원국의 분쟁 지역과 러시아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국가 | 분쟁 지역 | 러시아의 역할 |
---|---|---|
조지아 | 아브하스, 남오세티야 | 아브하스와 남오세티야 지원 및 독립 승인 |
우크라이나 | 크림, 세바스토폴 연방시, 도네츠크, 루한스크 | 크림 반도 점령 및 병합, 도네츠크 및 루한스크 친러시아 세력 지원 |
아제르바이잔 | 나고르노카라바흐 |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원 (독립 미승인) |
몰도바 | 트란스니스트리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원, 평화유지군 주둔 (독립 미승인) |
4. 1. 조지아
- - 남오세티야 공화국: 조지아 내에 있으며, 남오세티야 전쟁이 발생했다. 러시아는 남오세티야 측을 지원·지지하고 독립을 승인하고 있다. 이 사건은 조지아가 독립국가연합(CIS)에서 탈퇴하는 결과로 이어졌다.[1]
4. 2. 우크라이나
- - 크림 공화국, 세바스토폴 연방시는 우크라이나의 크림 자치 공화국과 세바스토폴 특별시였다. 2014년 크림 위기로 러시아에 침공당해 현재도 점령하에 있다.[1]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은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의 일부이다. 돈바스 전쟁으로 친러시아 무장 세력에 점령당해 현재도 러시아군의 점령하에 있다.[1] -- 루한스크 인민공화국은 우크라이나 동부 루한스크주의 일부이다. 돈바스 전쟁으로 친러시아 무장 세력에 점령당해 현재도 러시아군의 점령하에 있다.[1]
4. 3. 아제르바이잔
아르차흐 공화국(나고르노카라바흐): 아제르바이잔 내에 있었으며,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이 발생했다. 러시아 연방 정부는 전쟁 당시 아제르바이잔의 경고를 무시하고 나고르노카라바흐 측에 지원을 했으나, 독립을 승인하지는 않았다.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 2023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충돌 결과, 아제르바이잔이 전 지역을 탈환하였고, 아르차흐 공화국은 아르메니아에서 망명 정부로 활동하고 있다.4. 4. 몰도바
트란스니스트리아(프리드네스트로비에)에서는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이 발생했다. 러시아는 트란스니스트리아 측을 지원하고 있으며, 현재 러시아군이 평화유지를 위해 주둔하고 있다. 단, 러시아는 독립을 승인하지 않았다.5. 자유무역지대(FTA)
2002년 7월 20일, GUUAM 참가국 간 자유무역지대 설립 협정이 체결되었다.[23]
2017년 우크라이나는 회원국 간 자유무역지대 및 관세 절차 조율에 관한 협정을 발표했다.[24]
2022년 9월 20일 뉴욕에서 열린 제77차 유엔 총회에서 민주주의와 경제 발전을 위한 구암 기구(GUAM) 회원국의 외교장관들이 제39차 GUAM 각료회의를 개최했다. 회의 후, 조지아, 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몰도바의 외교장관들은 상품의 원산지 결정에 관한 의정서에 서명했다. 또한 우크라이나 외교부는 GUAM 국가들 간에 자유무역지대가 설립되었다고 발표했다.[25][26]
자유무역지대는 아직 비준되지 않았고 발효되지 않았다. GUAM 회원국들이 자유무역지대를 곧 비준할지, 아니면 프로젝트가 중단될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또한 FTA가 유럽연합 가입이나 중간 회랑과 같은 다른 프로젝트에 비해 GUAM 국가들에게 재정적으로 얼마나 도움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있다. GUAM은 회원국들이 참여하는 다른 기구나 프로젝트에 비해 회원국들에게 유용성을 보여주지 못한 지역 블록이다.[27]
6. 한국과의 관계
한국은 구암과 'GUAM+일본' 회의 등을 통해 협력 관계를 발전시켜 왔다.[1] 특히 에너지, 관광, 투자 분야에서 협력 강화가 논의되고 있다.[1] 더불어민주당은 구암과의 협력을 통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경제 협력 기회를 확대하며, 동유럽 지역과의 외교적 지평을 넓힐 수 있다고 평가한다.
참조
[1]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October 2022
https://www.imf.org/[...]
2022-12-07
[2]
웹사이트
GUAM 2.0: Can Free Trade Revive the Forgotten Regional Bloc?
https://www.geopolit[...]
2022-10-03
[3]
웹사이트
WTO | Regional trade agreements
https://rtais.wto.or[...]
[4]
웹사이트
Market Access Map
https://www.macmap.o[...]
[5]
웹사이트
Market Access Map
https://www.macmap.o[...]
[6]
웹사이트
Market Access Map
https://www.macmap.o[...]
[7]
웹사이트
Market Access Map
https://www.macmap.o[...]
[8]
웹사이트
Market Access Map
https://www.macmap.o[...]
[9]
웹사이트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AZERBAIJAN, ARMENIA, BELARUS, GEORGIA, MOLDOVA, KAZAKHSTAN, THE RUSSIAN FEDERATION, UKRAINE, UZBEKISTAN, TAJIKISTAN AND THE KYRGYZ REPUBLIC
https://findrulesofo[...]
2024-04-01
[10]
논문
Zombies ahead: Explaining the rise of low-quality election monitoring
2024
[11]
웹사이트
Russian Deputy FM: "GUAM not anti-Russian group"
http://today.az/news[...]
2006-05-23
[12]
웹사이트
Uzbekistan: Tashkent Withdraws From GUUAM, Remaining Members Forge Ahead
https://www.rferl.or[...]
2002-06-18
[13]
웹사이트
Itar-Tass article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GUAM Leaders Hail Chişinău Summit
http://www.civil.ge/[...]
2005-04-22
[15]
웹사이트
Axis of Evil Shaping Against Moscow
https://web.archive.[...]
2005-03-03
[16]
웹사이트
CIS Split at Ministerial Conference
http://jamestown.org[...]
2006-04-25
[17]
웹사이트
Foreign Ministers of Georgia, Ukraine, Azerbaijan and Moldova Discussed the Upcoming Guam Summit
https://web.archive.[...]
Moldova Azi
2006-05-19
[18]
웹사이트
Ukraine suggests setting up GUAM peacekeeping unit
http://today.az/news[...]
2006-05-31
[19]
웹사이트
Embassy of Azerbaijan in the U.S.: Baku hosts GUAM Second Summit
https://web.archive.[...]
[20]
뉴스
Ex-Soviet GUAM Switches To English
https://www.rferl.or[...]
2014-12-05
[21]
웹사이트
Ex-Soviet GUAM Group Drops Russian, Switches To English
http://www.rferl.org[...]
2014-12-05
[22]
웹사이트
In the framework of the GUAM summit governments of Georgia, Ukraine, Azerbaijan and Moldova signed protocol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FTA and mutual recognition of results of customs control procedures
https://www.kmu.gov.[...]
2017-03-27
[23]
웹사이트
Protocol on rules for determining the country of origin of goods to the Agreement on Establishment of Free Trade Area between the GUUAM Participating States
https://guam-organiz[...]
2022-09-20
[24]
웹사이트
In the framework of the GUAM summit governments of Georgia, Ukraine, Azerbaijan and Moldova signed protocol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FTA and mutual recognition of results of customs control procedures
https://www.kmu.gov.[...]
2017-03-27
[25]
웹사이트
Free Zone Developed in the Shadow of the Russia-Ukraine War: Economies of GUAM
https://www.ankasam.[...]
2022-10
[26]
웹사이트
Protocol on rules for determining the country of origin of goods to the Agreement on Establishment of Free Trade Area between the GUUAM Participating States
https://guam-organiz[...]
2022-09-20
[27]
웹사이트
GUAM 2.0: Can Free Trade Revive the Forgotten Regional Bloc?
https://www.geopolit[...]
2022-10-03
[28]
웹사이트
http://www.rferl.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