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주주의 유지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주의 유지 작전은 1994년 미국과 동맹국들이 아이티의 민주주의를 회복시키기 위해 수행한 군사 작전이다. 1991년 아이티 쿠데타 이후 라울 세드라스가 집권하면서 경제 제재와 난민 사태가 발생했고, 국제 사회의 외교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드라스가 민주적 선거를 거부하자, 미국은 군사 개입을 결정했다.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설득과 군사적 압박 끝에 세드라스가 항복하면서, 3,900명의 낙하산 부대가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공중에서 회항했다. 이후 미군 주도의 다국적군이 아이티에 배치되어 질서 유지 및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했으며, 1994년 10월 장 베르트랑 아리스티드가 귀환했다. 민주주의 유지 작전은 1995년 3월 31일 종료되고 유엔 아이티 임무단(UNMIH)으로 전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민주주의 유지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작전 개요
민주주의 유지 작전 첫날, 포르토프랭스 공항을 확보하는 제10산악사단 제2대대 22보병연대 C중대 소속 군인들
민주주의 유지 작전 첫날, 포르토프랭스 공항을 확보하는 제10산악사단 제22보병연대 제2대대 C중대 소속 군인들.
명칭민주주의 유지 작전
기간1994년 9월 19일 – 1995년 3월 31일 ()
장소아이티
결과미국 주도 연합군 승리; 군사 정권 축출, 라울 세드라스 축출, 장베르트랑 아리스티드 복귀.
교전 세력
교전 1
아이티 야당


}}|liststyle=|hlist=|bullets=|1 =|2 =|3 =|4 =|5 =|6 =|7 =}}
지휘관
지휘관 1빌 클린턴
조지 A. 피셔 주니어
스와보미르 페텔리츠키

장베르트랑 아리스티드
마르크 바쟁
에밀 조나상
지휘관 2라울 세드라스
미셸 프랑수아
에밀 조나상
로베르 말발
병력 규모
병력 규모 1총 25,000명
병력 규모 2미상
피해 규모
피해 규모 11명 사망, 1명 부상
피해 규모 2301명 사망 (출처 미확인)

2. 역사적 배경

1991년 아이티 쿠데타로 민주적으로 선출된 장베르트랑 아리스티드 대통령이 축출되고 라울 세드라스가 이끄는 군부 독재 정권이 들어서자, 아이티는 국제 사회의 제재와 외교적 고립에 직면했다. 쿠데타 이후 발생한 아이티 난민 사태와 지속적인 인권 침해 문제로 인해 국제 사회의 개입 압력이 높아졌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제 사회는 외교적 협상을 통해 아리스티드 대통령의 복귀와 민주주의 회복을 시도했으나, 세드라스 군사 정권은 이를 거부하며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이에 미국은 군사적 개입 가능성을 시사하며 아이티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작전 개시에 앞서 미국 해군, 미국 해안경비대, 미국 공군 등 미군 병력이 푸에르토리코와 플로리다 남부 등 아이티 인근 지역으로 이동 배치되었으며, 합동 특수작전사령부, 미국 제7수송여단, 미국 제10산악사단 등이 작전 지원 준비를 마쳤다.[20][21] 특히 제10산악사단 제1여단은 항공모함 USS ''America''와 USS ''Dwight D. Eisenhower''에 탑승하여 아이티 해역에 배치되었다.[20][21] 이러한 군사적 준비는 세드라스 정권에 대한 최후통첩과 함께 진행되었으며, 평화적인 정권 이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무력 사용도 불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22]

2. 1. 1991년 아이티 쿠데타와 난민 사태

USS ''Moinester'' (FF-1097)가 1991년 아이티 난민 사태 당시 아이티 난민들을 관타나모 만 해군 기지로 이송하는 모습


1991년 아이티 쿠데타로 군 장교 라울 세드라스가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하자, 미주 기구(OAS)는 아이티에 대해 경제 제재를 부과했다.[1]

이 쿠데타는 아이티 난민 사태를 촉발시켰다. 1992년 1월까지 미국은 카리브해에서 14,000명의 아이티 난민들을 구조했으나, 당시 미국 대통령 조지 H. W. 부시는 망명 자격이 없다고 판단된 아이티 난민들을 다음 달 본국으로 송환하도록 지시했다.[1]

아이티 국회와 장-베르트랑 아리스티드 전 대통령, 그리고 OAS 회원국들은 1992년 2월 아이티의 민주주의 복원을 위한 일정을 담은 "워싱턴 의정서"를 마련했다. 그러나 아이티 대법원은 같은 해 4월 이 의정서를 무효라고 선언했고, 이에 OAS 회원국들은 아이티에 대한 제재를 더욱 강화했다.[1]

같은 해 5월, 부시 대통령은 아이티 난민의 망명을 금지하고 강제 송환을 명령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이 정책은 후임 빌 클린턴 대통령 행정부에서도 이어졌다.[1] 1992년 말까지 OAS에 따르면 총 38,000명의 아이티 난민이 구조되었다.[2]

2. 2. 외교적 노력

미국 대표단은 끈질긴 외교적 노력을 펼쳤고 필요하다면 무력을 사용할 것임을 암시했지만, 세드라스 군사 정권이 민주적 선거의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아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22] 독재자를 평화적으로 퇴진시키기 위한 마지막 외교적 노력으로, 미국 대표단은 세드라스 장군에게 제82공수사단 병력이 항공기에 탑승하는 영상을 보여주며 군사 개입이 임박했음을 경고했다.[22] 세드라스에게 보여준 영상은 이미 2시간 전에 촬영된 것이었고, 그가 영상을 보는 동안 약 3,900명의 미국 육군 낙하산 부대는[23] 이미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포트 브래그에서 출발하여 아이티로 향하고 있었다.[22]

2. 2. 1. 거버너스 아일랜드 협정

라울 세드라스가 단테 카푸토, OAS 및 유엔 대표가 제안한 아리스티드 복귀 계획을 거부하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1993년 6월 아이티에 대한 석유 및 무기 금수 조치를 결의했다.[1] 한 달 후인 1993년 7월, 세드라스와 아리스티드는 거버너스 아일랜드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1993년 10월 30일까지 아리스티드가 권력에 복귀하는 과정을 명시했다.[1] 1993년 8월에는 로버트 말발이 아리스티드에 의해 임시 총리로 임명되었다.[1]

그러나 1993년 10월 8일, 미 해군 함선 USS ''Harlan County''가 아이티 당국과의 훈련에 참여하기 위해 포르토프랭스 국제 항구에 접근했을 때, 아이티 군부는 함선의 착륙(입항)을 막았다. 세드라스는 이전에 서명했던 협정을 준수하지 않겠다고 발표하며 약속을 뒤집었다.[1] 10월 14일에는 기 말라리 법무부 장관이 총에 맞아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말발 총리 내각은 은신했다.[1] 다음 날인 10월 15일, 세드라스는 협정에서 정한 리더십 이양 마감일을 무시했으며, 이에 미국은 아이티에 대한 해상 봉쇄를 시작했다.[1] 10월 16일, 유엔 안보리는 국제 제재를 강제하기 위해 해상 봉쇄를 포함한 군사력 사용을 승인했고, 더 많은 국가가 이러한 노력에 동참하게 되었다.[1]

2. 2. 2. 유엔 안보리의 군사 개입 승인

1994년 5월 5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UNSC)는 세드라스에게 15일 이내에 아이티를 떠나지 않으면 무력으로 제거될 수 있다는 최후 통첩을 보냈다.[1] 1994년 7월까지 미국은 다시 아이티 난민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관타나모 만 수용소에서 더 많은 아이티 난민들을 구금하기 시작했다.[1] 같은 달, 미국 합동참모본부는 카리브 국가들의 참여 확대를 요구했으며, 카리브 공동체(CARICOM) 국가들에 참여를 요청했다.[1] 이에 따라 1994년 7월 22일 자메이카 포트 로열에서 열린 회의에서 앤티가 바부다, 바하마, 바베이도스, 벨리즈, 가이아나, 자메이카,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CARICOM 국가들은 각각 소대 규모의 병력을 파견하기로 합의했다.[1] 무력 개입은 1994년 7월 31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940에 의해 최종 승인되었으며, 이 결의안은 "아이티의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수단의 적용"을 허가했다.[1]

3. 작전 전개

작전은 아이티 섬나라에 대한 미국과 동맹국의 강제 진입 경고로 시작되었다.[20][3] 미 해군, 해안 경비대, 공군은 푸에르토리코와 남부 플로리다에 배치되어 합동 특수 작전 사령부(JSOC)[3] (제75 레인저 연대 본부)의 주도 하에 공중 침공을 지원할 준비를 마쳤다. 이어서 제3 특수 부대 그룹, 미 육군 제7 수송 그룹(육군 수상 수송선 및 터미널 부대) 및 제10 산악 사단이 투입되었다.[20][3] 이 부대들 중 일부는 헌터 육군 비행장과 관타나모 만 해군 기지에서 출동했으며,[20][4] 제10 산악 사단 제1 여단은 항공모함 USS America(CV-66)와 USS Dwight D. Eisenhower(CVN-69)에 탑승하여 아이티로 배치되었다.[21][4][5] 작전 지휘는 휴 쉘튼 중장(제120 합동 임무 부대, JTF-120)이 맡았고, 항공모함 타격단 2 사령관이 지원했다.[6]

3. 1. 군사력 배치

작전은 아이티에 대한 미국과 동맹국의 강제 진입 경고로 시작되었다.[20][3] 미 해군, 해안 경비대, 공군은 푸에르토리코와 남부 플로리다에 배치되어 침공을 지원할 준비를 했다.[20][3] 작전은 합동 특수 작전 사령부(JSOC)가 주도했으며, 예하의 제75 레인저 연대 본부와 함께 제3 특수 부대 그룹이 투입되었다.[3] 또한 미 육군 제7 수송 그룹(육군 수상 수송선 및 터미널 부대)과 제10 산악 사단도 참여했다.[20][3] 이 부대들 중 일부는 헌터 육군 비행장과 관타나모 만 해군 기지에서 배치되었다.[20][4]

제10 산악 사단의 제1 여단은 항공모함 USS America(CV-66)와 USS Dwight D. Eisenhower(CVN-69)에 탑승하여 아이티로 향했다.[21][4][5]

미국 대표단의 외교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미국은 무력 사용 가능성을 내비쳤다.[22] 최후의 수단으로 대표단은 라울 세드라스 장군에게 제82 공수사단 병력이 항공기에 탑승하는 영상을 보여주었다.[22] 당시 제1 보병사단의 DRF-1(사단 준비 부대)은 낙하 작전을 위한 장비와 차량을 미리 탑재한 상태였다.[22] 제325 공수보병연대 제2대대 "화이트 팔콘"은 파나마의 셔먼 요새에 배치되어 있었다.[22] 세드라스 장군이 본 영상은 실제 촬영 2시간 후였으며, 3,900명의 낙하산 부대는 이미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포트 브래그에서 출발하여 대서양 상공에 있었다.[23]

작전 전체는 휴 쉘튼 중장이 지휘하는 제120 합동 임무 부대(JTF-120)가 맡았으며, 항공모함 타격단 2 사령관이 이를 지원했다.[6]

3. 2. 침공 직전의 외교적 노력과 세드라스의 항복

1994년 9월 16일, 미군 병력이 침공을 준비하는 가운데 지미 카터 전 대통령, 샘 넌 미국 상원의원, 콜린 파월 전 합참의장이 이끄는 외교 사절단이 아이티 지도자들을 설득하여 물러나고 민주적으로 선출된 관리들이 권력을 되찾도록 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당시 권력을 쥐고 있던 핵심 인물인 라울 세드라스 장군이 대표단의 주요 설득 대상이었다. 세드라스 장군이 젊은 장교 시절 미주 학교 학생이었을 때 파월 장군과 맺었던 개인적인 관계는, 미국 대표단이 세드라스와 직접 만나 약 2주간 협상을 진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

미국 대표단의 끈질긴 외교적 노력과 필요시 무력을 사용할 것이라는 암시에도 불구하고, 세드라스 장군이 민주적 선거의 정당성을 인정하기를 거부하면서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그를 무력 충돌 없이 물러나게 하려는 마지막 노력으로, 대표단은 세드라스 장군에게 제82 공수 사단 병력이 항공기에 탑승하는 장면을 담은 영상물을 보여주었다. 이 영상에는 제1여단 준비부대(DRB-1) 소속 제325 공수 보병 연대 제2대대 "화이트 팔콘"과, 이미 파나마의 포트 셔먼에 배치되어 있던 같은 연대 제1대대 "레드 팔콘"(DRF-1)의 모습이 담겨 있었다.[8] 세드라스는 이 영상을 실시간 중계로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2시간 전에 촬영된 것이었다. 대표단은 이미 3,900명 규모의 공수부대[9] 선발대가 포트 브래그에서 출발하여 대서양 상공을 비행 중이라고 알렸다. 또한 미국이 아이티의 민주주의를 지지하며, 강제 진입 공중 공격이 개시되면 다음 날 해가 뜨기 전에 아이티는 미국의 통제하에 놓일 것이라고 경고했다.

카터 대표단은 세드라스에게 최종적인 최후통첩을 전달했다. 선택지는 장-베르트랑 아리스티드의 민주적 선거 결과를 인정하고 평화롭게 물러나거나, 계속해서 선거 결과를 부정하여 미군에 의해 강제로 축출되고 정의의 심판을 받는 것뿐이었다. 대표단은 세드라스에게 미 제82 공수 사단이 최근 긴급 분노 작전정의의 대의 작전에서 거둔 압도적인 승리를 상기시키며 군사적 개입 의지를 분명히 했다. 결국 세드라스 장군은 당시 그가 받아들일 수 있는 최선의 조건으로 항복했다.

3. 3. 민주주의 유지 작전

미국과 동맹국들은 아이티 섬으로의 강제 진입 가능성을 경고하며 작전을 개시했다. 미국 해군, 미국 해안경비대, 미국 공군푸에르토리코플로리다 남부로 전력을 이동시켰으며, 합동 특수작전사령부(JSOC)의 지원을 받았다. 미국 육군의 제7수송여단과 제10산악사단도 작전에 참여했다. 일부 부대는 조지아주의 헌터 육군 비행장과 쿠바의 관타나모 만 해군 기지에서 출동했다. 제10산악사단 제1여단은 항공모함 USS 아메리카와 USS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를 통해 아이티에 배치되었다.[20][21]

미국 대표단은 끈질긴 외교적 노력을 펼쳤으나, 아이티 군부 지도자 라울 세드라스 장군은 민주적 선거 결과를 인정하기를 거부하며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최후의 수단으로 미국 대표단은 세드라스에게 제82공수사단 병력이 항공기에 탑승하는 장면과 제1보병사단의 신속대응부대(DRF-1)가 공수 작전을 위해 장비와 차량을 준비하는 영상을 보여주며 군사 개입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했다. 파나마의 셔먼 요새에는 이미 제325공수보병연대가 배치되어 있었고, 제82공수사단 제1여단 신속대응여단(DRB-1) 소속인 제325공수보병연대 제2대대 "화이트 팔콘"도 투입 준비를 마쳤다.[22] 세드라스에게 보여준 영상은 실제로는 2시간 전에 촬영된 것이었으며, 당시 노스캐롤라이나주의 포트 브래그에서는 이미 3,900명의 낙하산 부대[23]가 항공기에 탑승하여 아이티를 향해 이륙한 상태였다.

그러나 군사적 충돌 직전에 세드라스가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제82공수사단을 태운 100대 이상의 항공기는 공중에서 회항하거나 이륙 전에 탑승 병력을 내렸다. 공수 부대는 포트 브래그로 복귀하여 대기 상태에 들어갔다. 이후 군사 작전의 성격은 전투에서 평화 유지 및 국가 재건으로 변경되었다. 1994년 12월 12일, 제1보병사단의 신속대응부대(DRF-1)인 태스크 포스 팬서가 파나마에 배치되어 '작전 지원과 안전 통과' 임무를 수행했다.

미군 주도의 다국적군(MNF)이 아이티에 배치되어 평화 유지 및 질서 회복 임무를 수행했다. 주요 참여 부대는 다음과 같다.

미국 육군 군수사령부와 국방군수국(DLA)은 미국 육군 제1군단지원사령부를 중심으로 합동 물류 지원 사령부(JLSC)를 구성하여 물류 지원을 담당했다.[13] 이후 다국적군의 참여를 반영하여 합동 합동 물류 지원 사령부(CJLSC)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모든 다국적군 및 미군 배치 부대의 물류를 총괄했다. 미국 육군 제3군단은 군단 지원 CMMC와 제46지원그룹을 파견했다. 포트 브래그의 제44의무여단(공수)과 제55의무그룹(주로 제28전투지원병원(CSH))은 미군 및 아이티 주민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 미국 육군 제4심리작전단(공수)과 예비군으로 구성된 합동 심리 작전 태스크 포스(JPOTF)는 작전 전반에 걸쳐 정보 작전을 지원했다.[14]

미국 해안경비대는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약 115.21m 높이의 고성능 초계함 USCGC 체이스는 포르토프랭스 항구에 정박하여 지휘, 통제, 통신 허브 역할을 했다. 다수의 약 64.01m 및 약 82.30m급 중형 초계함, 약 54.86m급 부표정비함 USCGC 겐티안, 약 33.53m급 순찰정 등이 네이비 씰의 건보트와 협력하여 아이티 주변 약 19.31km 배타적 경제 수역과 포르토프랭스 항구의 해상 보안을 담당했다.

1994년 8월, 미국 해병대 제2해병연대 제2대대는 작전 지원을 위해 카리브해와 아이티 해역으로 출동하여 9월 20일 카프아이시앵에 상륙했다. 이들은 10월까지 작전에 참여했으며, 이 과정에서 쿠데타를 지지하는 아이티 경찰 및 군대와 교전을 벌여 해군 통역관 1명이 부상을 입고 다수의 아이티인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제10산악사단은 조지 A. 피셔 주니어 소장이 지휘하는 제25보병사단(경보병)으로 교체되었다. 제25보병사단은 1995년 1월 4일 하와이의 스코필드 막사에서 출발하여 1월 9일 공식적으로 임무를 인수했다. 제25보병사단은 다국적군(합동 태스크 포스 190)의 지휘 본부 역할을 수행했다. 작전이 유엔 아이티 임무단(UNMIH)으로 전환된 후, 제25보병사단 병력 일부는 UNMIH를 지원하는 보안 및 자문 역할을 맡기 위해 재배치되었다.

미국 육군 예비군 부대도 작전에 기여했다. 일리노이주 벨빌의 제458수송분견대(ATMCT)는 소집 통보 후 48시간 이내에 포트 브래그에 도착하여 제18공수군단 합동 이동 통제 센터(JMCC)를 지원했다. 메릴랜드주 리버데일의 제450민간사단(공수), USACAPOC(A) 소속 부대원들은 초기 공수 작전 계획에 참여했으며, 제82공수사단을 지원하는 민간 업무를 담당했다. 이들은 실제 강하 직전 C-130 수송기에 탑승했으나 작전 취소로 포트 브래그로 복귀한 뒤, 다음 날 공중 착륙 방식으로 아이티에 배치되어 제10산악사단과 해병대를 지원하며 그해 12월까지 민사 작전을 수행했다.

4. 작전 이후

장-베르트랑 아리스티드 대통령이 1994년 10월 아이티 포르토프랭스의 국립 궁으로 승리하여 귀환하고 있다


3년간의 강제 추방 생활 끝에 장 베르트랑 아리스티드는 1994년 10월 아이티로 돌아와 대통령직에 복귀했다.[15] 민주주의 유지 작전은 1995년 3월 31일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으며, 이후 임무는 유엔 아이티 주둔 임무(UNMIH)로 이관되었다. 당시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과 아이티 대통령 장 베르트랑 아리스티드가 참석한 가운데 권한 이양식이 거행되었다. 작전 종료 후에도 1995년 3월부터 1996년 3월까지, 기존 민주주의 유지 작전에 참여했던 미군 2,400명은 뉴 호라이즌 작전의 지휘 아래 UNMIH 지원 부대로 아이티에 잔류했다.[16] 또한 상당수의 미군(USFORHAITI)은 1996년까지 UNMIH 소속 평화유지군으로 활동했으며, 미군 사령관이 유엔군 사령관을 겸임하기도 했다. 이후 유엔군은 다양한 임무 명칭으로 변경되며 2000년까지 아이티에 주둔하며 평화 유지 및 안정화 임무를 수행했다.

작전 기간 동안 도로변 검문소에서 총격을 받아 미군 특수부대 참모 상사 한 명이 사망하는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17][18]

참조

[1] 서적 Invasion, Intervention, "Intervasion": A Concise History of the U.S. Army in Operation Uphold Democracy https://www.armyupre[...] 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 웹사이트 Migration Emergencies and Human Rights in Haiti http://www.oas.org/j[...] 2017-04-15
[3] 문서 Joint Special Operations Command
[4] 서적 U.S.S. Eisenhower departs for Haiti with 10th Mountain soldiers https://catalog.arch[...] National Archives 1994-09-14
[5] 웹사이트 History of 1st Brigade Combat Team, 10th Mountain Division http://www.drum.army[...] U.S. Army, Fort Drum 2010
[6] 웹사이트 Carrier Group Two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0-11-13
[7] 웹사이트 MISSION TO HAITI: THE DIPLOMAT; Despite Role as Negotiator, Carter Feels Unappreciated https://www.nytimes.[...] 1994-09-21
[8] 웹사이트 2nd Battalion, 325th Airborne Infantry Regiment https://www.globalse[...] 2018-02-12
[9] 웹사이트 ฝาก20รับ100ทํา300 https://wwwglobalsec[...]
[10] 문서 Walter E. Kretchik, Robert F. Baumann, John T. Fishel. ''A Concise History of the U.S. Army in Operation Uphold Democracy''.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Press. Fort Leavenworth, Kansas. 1998. p. 96.
[11] 문서 Kretchik et al, p. 98.
[12] 문서 Kretchik et al, p. 99.
[13] 문서 "New Logistics Concepts Tested in Haiti, Sullivan and Abney, Army Logistician, May-June 1995 issue, https://alu.army.mil/alog/PDFDocs/1995may_jun/toc_95mj.pdf
[14] 웹사이트 THE 1ST PSYCHOLOGICAL OPERATIONS BATTALION (A) http://www.psywarrio[...] 2018-06-13
[15] 서적 Democracy by Forc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6] 웹사이트 "Operation New Horizons", globalsecurity.org 05.07.2011. http://www.globalsec[...] 2014-11-01
[17] 웹사이트 U.S. Soldier Dies, Another Hurt in Gunfight in Haiti https://www.latimes.[...] 2018-01-12
[18] 서적 Clinton in Haiti: The 1994 US Invasion of Haiti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S 2004-12-09
[19] 웹사이트 "con el propósito de asegurar el cumplimiento del embargo comercial, dispuesto por el Consejo de Seguridad, por medio de las corbetas ARA Grandville, ARA Guerrico y ARA Drummond." http://www1.tau.ac.i[...] 2014-11-01
[2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catalog.arch[...] 2022-07-31
[2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drum.army[...] 미군, 포트 드럼 2022-07-31
[22] 문서 "{property web|url=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agency/army/2-325air.htm%7C180=2대대{{깨진 링크|url=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agency/army/2-325air.htm%7C180%3D2%EB%8C%80%EB%8C%80 }}, 제325공수보병연대|1차=존|마지막=Pike|website=www.globalsecurity.org|url-status=dead|access-date=2018년 2월 12일|http-url=https://web.archive.org/web/20171016175325/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agency/army/2-325air.htm%7C1894-date%3D2017%EB%85%84 10월 16일}"
[23] 웹인용 ร20ั100ท3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